KR0131485Y1 -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용 애노드캡 구조 - Google Patents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용 애노드캡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31485Y1 KR0131485Y1 KR2019950020616U KR19950020616U KR0131485Y1 KR 0131485 Y1 KR0131485 Y1 KR 0131485Y1 KR 2019950020616 U KR2019950020616 U KR 2019950020616U KR 19950020616 U KR19950020616 U KR 19950020616U KR 0131485 Y1 KR0131485 Y1 KR 013148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node cap
- crt
- high pressure
- fastening hole
- close contac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42—Flyback transform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4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 component, e.g. f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에서 발생한 고압을 브라운관에 공급하는 애노드캡의 밀착부에 보강리브를 형성시켜 브라운관에 장착되는 애노드캡이 브라운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용 애노드캡 구조에 관한 것으로 종래 플라이백 트랜스용 애노드캡은 브라운관을 동작시킬 때 브라운관의 주변에서는 고압이 발생하므로 일정시간 경과에 따라 고무재질의 애노드캡 주변에 형성된 밀착부의 가장자리 부위가 노화되어 상기 애노드캡이 브라운관의 체결구멍 주변에서 이탈되어 상기 체결구멍을 통해 고압이 외부로 누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고안은 이와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브라운관의 체결구멍 주변에 밀착되는 애노드캡의 밀착부에 보강리브를 형성시켜 상기 애노드캡의 밀착부가 브라운관의 체결구멍 주변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브라운관에 공급된 고압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으로 고압발생기에 적용한다.
Description
제1도는 종래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분해상태를 보인 정면도.
제2도는 종래 프라이백 트랜스 포머와 브라운관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3도는 종래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용 애노드캡 구조를 보인 단면도.
제4도는 종래 애노드캡과 브라운관의 결합상태를 보인 측면도.
제5도의 (a)는 본 고안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용 애노드캡의 단면도.
(b)는 본 고안 애노드캡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제6도는 본 고안 애노드캡과 브라운관의 결합상태를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애노드캡 11A : 체결편
11B : 밀착부 11C : 보강리브
12 : 브라운관 12A : 체결구멍
본 고안은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에서 발생한 고압을 브라운관에 공급하는 애노드캡의 밀착부에 보강리브를 형성시켜 브라운관에 장착되는 애노드캡이 브라운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용 애노드캡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는 제1도내지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1차 코일이 권선되는 1차보빈(1)과, 2차 코일이 권선되는 2차보빈(2)과, 상기 1차보빈(1)과 2차보빈(2)을 내장시키기 위한 보빈케이스(3)와, 보빈케이스(3)에 내장되어 결합된 코일의 권선비에 의해 발생한 고압을 브라운관(5)에 전달하는 애노드켑(4)과, 상기 애노드캡(4)이 브라운관(5)에 장착되도록 애노드캡(4) 내부에 체결된 체결편(4A)과, 상기 애노드캡(4)의 체결편(A4)이 체결되게 브라운관(5)에 형성된 체결구멍(5A)과, 상기 브라운관(5)의 체결구멍(5A)에 애노드캡(4)의 체결편(4A)을 체결시 체결구멍(5A)으로 고압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체결구멍(5A), 주변에 밀착되도록 애노드캡(4) 주변에 고무재질로 형성된 밀착부(4B)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는 제1도내지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보빈케이스(3)내에 결합된 1차 및 2차 보빈(1)(2)에 권선되어 있는 코일의 권선비에 의하여 고압이 발생하면 고압전달 장치인 애노드캡(4)은 브라운관(5)에 고압을 공급한다.
이때, 플라백 트랜스 포머에서 발생한 고압이 브라운관(5)에 전달되기 위해서는 애노드캡(4)의 끝단내측에 체결된 체결편(4A)을 브라운관(5)의 체결구멍(5A)에 체결하고, 동시에 체결구멍(4B) 주변을 통해 고압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재질로 형성된 애노드캡(4) 주변의 밀착부(4B)를 브라운관(5)의 체결구멍(5A) 주변에 밀착시키므로서, 상기 애노드캡(4)이 브라운관(5)의 체결구멍(5A)에 장착된 상태에서 고압이 공급된다.
그러나 종래 플라이백 트랜스용 애노드캡은 브라운관을 동작시킬 때 브라운관의 주변에서는 고압이 발생하므로 일정시간 경과에 따라 고무재질에 애노드캡 주변에 형성된 밀착부의 가장자리 부위가 노화되어 상기 애노드캡이 브라운관의 표면에서 이탈되어 상가 체결구멍을 통해 고압이 외부로 누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브라운관의 체결구멍 주변에 밀착되는 애노드캡의 밀착부에 보강리브를 형성시켜 상기 애노드캡의 밀착부가 브라운관의 표면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브라운관에 공급된 고압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용 애노드캡 구조는 제5도와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프라이백 트랜스 포머에서 발생한 고압을 브라운관(12)에 공급하는 애노드캡(11)과, 상기 애노드캡(11)이 장착되도록 브라운관(12)에 형성된 체결구멍(12A)과 상기 브라운관(12)의 체결구멍(12A)에 견고하게 체결되게 애노드캡(11)에 형성된 체결편(11A)과, 상기 애노드캡(11)의 체결편(11A)이 브라운관(12)의 체결구멍(12A)에 체결시 체결구멍(12A)을 통해 고압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체결구멍(12A) 주변에 밀착되는 애노드캡(11) 주변에 고무재질로 형성된 밀착부(11B)와, 상기 밀착부(11B)가 브라운관(12)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밀착부(11B) 표면에 형성된 보강리브(11C)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고안의 작용효과는 제5도와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에서 발생한 고압을 브라운관(12)에 전달시키기 위해서는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에 연결된 애노드캡(11)을 브라운관(12)에 정착시켜야 한다.
즉, 애노드캡(11)이 브라운관(12)에 장착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브라운관(12)에 형성된 체결구멍(12A)에 애노드캡(11)을 위치시킨 후 애노드캡(11)에 형성된 체결편(11A)을 체결시킨다.
이때 체결핀(11A)이 브라운관(12)의 체결구멍(12A)에 체결될 때 상기 애노드캡(11)의 주변에는 고무재질의 밀착부(11B)가 형성되어 있어 애노드캡(11)은 브라운관(12)의 체결구멍(12A) 주변에 밀착 고정된다.
이와같이 애노드캡(11)이 브라운관(12)에 장착된 후 브라운관(12)에 고압이 공급되면, 상기 브라운관(12)에 장착된 애노드캡(11)은 일정시간 경과 후, 노화현상에 의해 애노드캡(11)이 브라운관(12)의 표면으로부터 이탈될 우려가 있지만, 상기 체결구멍(12A) 주변에 밀착되어 있는 애노드캡(11)이 브라운관(12)의 표면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므로서 브라운관(12)에 공급된 고압이 체결구멍으로부터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브라운관의 체결구멍주변에 밀착되는 애노드캡의 밀착부에 보강리브를 형성시켜 상기 애노드캡의 밀착부가 브라운관의 체결구멍 주변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브라운관에 공급된 고압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으로 하므로서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에서 발생한 고압을 브라운관에 공급하는 애노드캡 구조에 있어서 브라운관(12)에 형성된 체결구멍(12A)에 체결되어 고압을 전달하는 애노캡(11)의 밀착부(11B) 표면에 보강리브(11C)를 형성시켜 상기 애노드캡(11)이 브라운관(12)의 표면에서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프라이백 트랜스 포머용 애노드캡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50020616U KR0131485Y1 (ko) | 1995-08-10 | 1995-08-10 |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용 애노드캡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50020616U KR0131485Y1 (ko) | 1995-08-10 | 1995-08-10 |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용 애노드캡 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11084U KR970011084U (ko) | 1997-03-29 |
KR0131485Y1 true KR0131485Y1 (ko) | 1998-12-15 |
Family
ID=19420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50020616U KR0131485Y1 (ko) | 1995-08-10 | 1995-08-10 |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용 애노드캡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31485Y1 (ko) |
-
1995
- 1995-08-10 KR KR2019950020616U patent/KR013148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11084U (ko) | 1997-03-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0131485Y1 (ko) |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용 애노드캡 구조 | |
KR0133582Y1 (ko) |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코일 어셈블리 | |
KR100352486B1 (ko) |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의 단자핀 결합장치 | |
KR0134752Y1 (ko) |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애노드리드선 인출 구조 | |
KR0130076Y1 (ko) | 플라이백트랜스포머의 애노드리드선 인출구조 | |
KR200209827Y1 (ko) |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의 저압보빈과 케이스의 결합구조 | |
KR950002606Y1 (ko) | Fbt에서 고압케이블과 수축튜브의 결합구조 | |
JPS6116668Y2 (ko) | ||
KR200144632Y1 (ko) | 전자총의 조립부 널링구조 | |
KR930007530Y1 (ko) | 편향요크의 누설자계 방지장치 | |
KR200147757Y1 (ko) | 음극선관용 편향요오크 | |
KR200162738Y1 (ko) | 포커스 입력 도전고무 고정캡 | |
KR0140582Y1 (ko) | 입력핀의 설치구조를 개선한 고압 보빈 | |
KR200153889Y1 (ko) |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포커스 유니트 출력핀 결합구조 | |
JPS5938029Y2 (ja) | フライバツクトランス | |
KR19980010520U (ko) | 핀 지지대를 개선한 고압 보빈 | |
KR0135043Y1 (ko) |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애노드캡 리드 결합장치 | |
KR0140581Y1 (ko) | 입력핀의 설치구조를 개선한 고압 보빈 | |
KR0118999Y1 (ko) |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 케이스의 제품결합부 구조 | |
KR0140583Y1 (ko) |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용 저압 보빈 | |
KR950010695Y1 (ko) | 고압발생용 변환기의 몰드케이스 구조 | |
JPS5938028Y2 (ja) | フライバツクトランス | |
KR200142312Y1 (ko) | 걸림돌기 형상을 개선한 저압보빈 | |
KR200209829Y1 (ko) |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의 애노드캡 결합구조 | |
KR0116741Y1 (ko) | 편향요크의 보빈 체결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10222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