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1362Y1 - 집진판에 물막이 형성토록 되는 습식전기집진기 - Google Patents

집진판에 물막이 형성토록 되는 습식전기집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362Y1
KR0131362Y1 KR2019920000940U KR920000940U KR0131362Y1 KR 0131362 Y1 KR0131362 Y1 KR 0131362Y1 KR 2019920000940 U KR2019920000940 U KR 2019920000940U KR 920000940 U KR920000940 U KR 920000940U KR 0131362 Y1 KR0131362 Y1 KR 01313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ng plate
water
dust collecting
dust
inj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200009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7863U (ko
Inventor
이근우
Original Assignee
이근우
서울샤프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우, 서울샤프엔지니어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근우
Priority to KR20199200009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1362Y1/ko
Publication of KR9300178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78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3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3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16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we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electrical effects other than those provided for in group B01D61/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53Liquid, or liquid-film,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74Cleaning the electrodes
    • B03C3/78Cleaning the electrodes by wash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습식전기 집진기의 집진판에 물막을 형성하기 위한 분무장치에 관한 것으로 집진판을 보호하고 집진판에 적층되는 유해물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집진판에 이러한 물막을 형성시키지 않을 경우에는 집진판에 먼지등이 들어 붙게 되어 세척장치로 세척을 하더라도 찌꺼기 등이 제거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되어 집진판의 부식과 고장의 원인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집진판에 물막을 형성시키기 위하여는 분사기에서 물은 분사식으로 분사시켜야하며, 계속적으로 분사를 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외부에서 정수된 물을 분사기에서 가압펌프로 가압하여 물이 분사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외부에서 정수된 물(공업용수)을 뽑아올려 순환시킬 수 있는 순환펌프를 형성하고 순환펌프로 분사기를 통하여 분사시키는 것이다. 그러면 분사된 물이 집진판에 물막을 형성하면서 집진판의 하단부에 형성된 집진판의 배수관을 통하여 몸체의 외벽을 타고 흘러내려, 배출구를 통하여 물탱크에 유입되고 이와 같이 유입된 물은 1차로 정화시키기 위한 물이나 세척하기 위한 물론 재사용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집진판에 물막이 형성토록 되는 습식전기집진기
제1도는 집진판에 방전극이 일렬로 위치된 상태에서 분사기가 장착된 위치를 나타낸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분무기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물을 공급시키는 상태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분사기 2 : 순환펌프
본 고안은 습식전기집진기의 집진판에 물막을 형성토록 함으로서 집진판에 집진되는 유해가스가 집진판에 고형화되어 엉겨붙지 않토록 하고 전하를 띠지 않고 상승하는 먼지등이 집진판에 충돌할 경우에 집진판의 수막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집진토록 하면서 하방으로 물과 함께 제거토록 하고 집진판에 집진되는 집진물이 적은 압력에도 쉽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집진판의 효율을 증대시키고 대전되지 않은 분진등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통상 전기집진기라 함은 정전력을 사용하여 입자를 집진하는 장치로서 이러한 장치의 구성으로는 방전극(Discharge electrod), 집진극(판)(Collection electrod), 타봉(Rapper) 및 호퍼(Hopper)로 구성되어 있고, 방전극에서는 음극을 띠게 되고 와이어 타입으로 되어 코로나 방전을 일으킴으로서 처리가스를 이온화하여 분진을 충전(充電)시키는 한편 전장(電場)을 만들게 되는 것이고 집진판은 보통 원판이나 판상으로 되어 양극으로 충전되며 충전된 입자를 집진하는 역할을 하게 되고, 타봉은 전극에 충격 또는 진동을 주어 집진판의 표면에 부착된 분진을 털어내는 것이 그 주기능이고 호퍼는 집진기의 하단에 설치되어 타봉결과 떨어지게 되는 분진의 퇴적저장에 사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분진이 적은 유해가스를 처리하기에는 대전방식으로 처리하는 전기집진기가 유용하나 유해가스에 많은 분진이 함유되거나 또는 분진 양이 많이 배출되는 장소에서는 대전방식으로는 동시에 많은 양을 대전시켜 처리 하기에는 전기집진기로서는 불가능한 것이고 또한 타봉으로 처리되지 않도록 집진판에 견고하게 집진물이 고형화되어 있을 경우에는 이러한 집진물에 의하여 집진판의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통상 분진이 많은 장소에서는 순환되는 물을 이용하여 집진시키는 세정집진기를 이용하여 물에 약품등을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각각 사용함으로서 약품이나 물에 용해되는 가스를 처리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세정집진기는 물이나 약품에 용해되지 않게 되는 유해가스는 처리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어 각각의 단점을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 습식전기집진기인 것이다.
그러나 전기와 물은 항상 같이 사용할시에 감전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통상 습식전기 집진기라함은 양전하와 음전하를 이용하여 집진판에 집진을 하다가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전기를 차단하고(집진기의 가동을 멈춤) 그후 집진판에 집진되어 있는 각종 집진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분사장치를 이용하여 세척을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세척을 하기 위하여는 집진판의 가동을 중지하기 때문에 공장의 가동도 중지하여야 하거나 또는 정화되지 않은 유해가스를 그냥 대기중으로 날려버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한 것으로 유해가스의 충전을 위하여 코로나 방전을 계속 발생시키면서 동시에 물을 항상 분사시켜 집진판에 물막을 형성시킴으로서 대전되지 않고 집진판에 충돌하게 되는 분진등을 손쉽게 처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구성은, 각각의 집진판(4)의 사이에 방전극(5)이 일렬로 위치되고 방전극(5)은 그 하단에 매달린 고정추(6)에 의하여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에 있고, 고정추(6)는 격자판(7)에 의하여 일렬로 수납되어 있어서 방전극(5)이 서로 꼬이지 않토록 되고 격자판(7)의 하부에는 다공판(8)이 장착되는 것에 있어서, 분사기(1)가 집진판(4)의 상부와 방전극(5)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도플레이트(13)의 하단에 위치되는 것이고 분사기(1)는 물탱크(11)로 연결되어 순환펌프(2)에 의하여 물이 순환토록 되는 구성이다.
미설명부호 4는 집진판이고, 5는 방전극이며, 6은 고정추이고, 7은 격자판이며, 8은 다공판이고, 9는 집진판의 배수관이며, 10은 배출구이고, 11은 물탱크이며, 12는 집진기의 몸체이고, 13은 전도플레이트 이다.
따라서 분사기(1)에서 분사되는 물은 방전극(5)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도플레이트(13)의 하단과 대전된 유해가스를 집진하는 집진판(6)의 상부에 위치되어 있어 집진판(6)에 항상 물막을 형성토록 하여 대전되지 않고 상승되는 분진등이 집진판(6)에 충돌되어 자연적으로 제거되는 것이고, 또한 분무시에 발생되는 연무로 인하여 집진되지 않고 빠져나가게 되는 분진등도 모두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임은 물론 집진판(6)에 집진되는 유해가스가 고형화되지 않고 바로 씻겨나가기 때문에 집진판(6)의 효율을 저하시키지 않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사용된 분사기는 본원출원인이 공고번호 95-5864호 등록 제94168호로 등록받은 분사노즐을 사용하였다.

Claims (1)

  1. 각각의 집진판(4)의 사이에 방전극(5)이 일렬로 위치되고 방전극(5)은 그 하단에 매달린 고정추(6)에 의하여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에 있고, 고정추(6)는 격자판(7)에 의하여 일렬로 수납되어 있어서 방전극(5)이 서로 꼬이지 않토록 되고 격자판(7)의 하부에는 다공판(8)이 장착되는 것에 있어서, 분사기(1)의 집진판(4)의 상부와 방전극(5)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도플레이트(13)의 하단에 위치되어 집진판에 물막이 형성토록 되는 습식전기집진기.
KR2019920000940U 1992-01-23 1992-01-23 집진판에 물막이 형성토록 되는 습식전기집진기 KR01313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20000940U KR0131362Y1 (ko) 1992-01-23 1992-01-23 집진판에 물막이 형성토록 되는 습식전기집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20000940U KR0131362Y1 (ko) 1992-01-23 1992-01-23 집진판에 물막이 형성토록 되는 습식전기집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7863U KR930017863U (ko) 1993-08-20
KR0131362Y1 true KR0131362Y1 (ko) 1998-12-15

Family

ID=19328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20000940U KR0131362Y1 (ko) 1992-01-23 1992-01-23 집진판에 물막이 형성토록 되는 습식전기집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136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2144A (ko) 2021-04-14 2022-10-21 (주)코넵 습식 전기집진장치용 대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습식 전기집진장치
KR20230046572A (ko) 2021-09-30 2023-04-06 (주)코넵 습식 전기집진장치용 대전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습식 전기집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2144A (ko) 2021-04-14 2022-10-21 (주)코넵 습식 전기집진장치용 대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습식 전기집진장치
KR20230046572A (ko) 2021-09-30 2023-04-06 (주)코넵 습식 전기집진장치용 대전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습식 전기집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7863U (ko) 1993-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72164B2 (ja) 除塵装置
KR100708544B1 (ko) 습식 전기집진장치
KR101064498B1 (ko) 다량의 산성가스를 포함하는 배출가스 처리장치
KR101420508B1 (ko) 이온화 습식 전기집진장치
KR101032618B1 (ko) 탄소섬유를 이용한 전기집진기
KR101233390B1 (ko) 전기집진 장치 및 전기집진 방법
KR101115605B1 (ko) 전기집진장치
KR101144230B1 (ko) 펄스 제트를 구비한 방전 전극선 세정용 습식 정전 집진기
CN207238260U (zh) 一种静电除尘设备
JP2009279496A (ja) オイルミスト除去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機械加工システム
KR101112441B1 (ko) 재생시 신뢰성을 향상시킨 전기집진방식의 공기정화장치
CN105521871A (zh) 一种湿式静电除尘器水膜形成装置
KR101436381B1 (ko) 세정이 가능한 전기 집진장치
KR20190024349A (ko) 정전분무 집진장치
JP2006102651A (ja) 空気浄化装置
JP2002119889A (ja) 集塵極中段洗浄装置付湿式電気集塵機
KR0131362Y1 (ko) 집진판에 물막이 형성토록 되는 습식전기집진기
JPH0523614A (ja) 湿式電気集塵機
EP0860196B1 (en) Flue gas treating process and apparatus
CN216704690U (zh) 湿式高压静电除尘器
CN210906566U (zh) 适用于湿式电除尘设备的喷淋结构
JP3126819B2 (ja) 湿式電気集塵装置
JP3187205B2 (ja) 排ガスの処理方法
KR940001416B1 (ko) 밴츄리형 습식전기 집진기
JP3148389B2 (ja) 湿式電気集塵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19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