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1331Y1 - 경화방지용 캡 - Google Patents

경화방지용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331Y1
KR0131331Y1 KR2019960009466U KR19960009466U KR0131331Y1 KR 0131331 Y1 KR0131331 Y1 KR 0131331Y1 KR 2019960009466 U KR2019960009466 U KR 2019960009466U KR 19960009466 U KR19960009466 U KR 19960009466U KR 0131331 Y1 KR0131331 Y1 KR 01313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hole
adhesive
cap
cap body
hard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94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3583U (ko
Inventor
홍갑표
Original Assignee
홍갑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갑표 filed Critical 홍갑표
Priority to KR20199600094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1331Y1/ko
Publication of KR9700135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35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3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3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20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 B65D51/22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 B65D51/221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a major part of the inner closure being left inside the container after the opening
    • B65D51/222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a major part of the inner closure being left inside the container after the opening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being integral with, or fixedly attached to, the outer closure
    • B65D51/223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a major part of the inner closure being left inside the container after the opening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being integral with, or fixedly attached to, the outer closure the outer closure having to be removed or inverted for piercing or cu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착제 용기를 여러번 사용함에 따라 노즐구멍이 외부환경에 노출되어 접착제의 경화에 의해 막히는 것을 신뢰성있게 방지하는 경화방지용 캡에 관한 것으로, 상부면 저부에 상기 노즐구멍(5a)을 차폐할 수 있도록 소정크기만큼 볼록한 차폐용 리브(3)가 형성된 캡몸체(1); 및 그 하단부는 상기 캡몸체(1)의 차폐용 리브(3)에 박혀 고정되며, 그 상단부는 외부로 돌출되게 구비된 천공수단(4)을 구비하여 접착제 용기의 사용중이나 사용후에 접착제가 노즐구멍에서 경화되는 것을 신뢰성있게 방지하므로서 노즐구멍의 분출력을 제고시키며, 경화에 의한 접착제의 낭비를 줄이면서 오랫동안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경화방지용 캡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경화방지용 캡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제2a도 및 제2b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경화방지용 캡이 집착제 용기에 결합되는 상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경화방지용 캡의 제1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부분 단면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경화방지용 캡이 용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경화방지용 캡의 제2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제6a도 및 제6b도는 본 고안에 의한 경화방지용 캡의 제3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 및 작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1 : 캡몸체 2 : 직립부재
3,24 : 차폐용 리브 4,22 : 핀
5,25 : 접착제 용기 5a,25a : 노즐구멍
22a : 납작머리 23 : 고정리브
본 고안은 일반 합성수지재나 목재등을 순간적으로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제가 용기내에서 경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캡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접착제 용기를 여러번 사용함에 따라 외부환경에 노출된 노즐구멍이 접착제의 경화에 의해 막히는 것을 신뢰성있게 방지하는 경화방지용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접착제 용기에 내재되어 있는 접착제는 외부공기와의 차단을 해 주어야만 굳지 않고 오래도록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접착제 용기를 사용하고 난 후에는 반드시 캡을 닫도록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접착제의 잦은 사용에 따라 접착제 용기의 노즐구멍이 외부 공기에 노출되므로서 노즐구멍이 접착제의 경화에 의해 막히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접착제 용기에 내재되어 있는 접착제를 전부 사용하지 못하고 버려야 하는등 낭비가 심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그래서, 종래에는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접착제 용기의 노즐이 경화되지 않도록 하는 경화방지용 캡을 제안하고 있으며, 이를 제1도 및 제2도를 통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종래의 경화방지용 캡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일부를 절단한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몸체(101)의 상측 내부에 핀(103)이 하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데, 상기 핀(103)은 접착제 용기(102)의 노즐구멍(102a)에 인입시켜 밀폐되도록 한다. 또, 상기 캡몸체(101)의 상면 외측에 상기 핀(103)이 박히도록 소정크기만큼 볼록한 고정리브(104)가 사출성형되어 상기 핀(103)이 캡몸체(101)에서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고 있다.
제2a도 및 제2b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경화방지용 캡이 접착제 용기에 결합되는 상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2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제 용기(102)의 사용 후 캡을 닫게되면 핀(103)이 노즐구멍(102a)에 삽입되어 밀폐되므로서 사용을 하고 난 후에 상기 노즐구멍(102a)이 접착제와 외부공기에 의해 경화되어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제2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제 용기(102)는 합성수지재질로 사출성형하여 제작되기 때문에 접착제의 분출과 자연현상에 의해 노즐구멍(102a)이 넓어지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핀(103)과 노즐구멍(102a)과의 사이에 갭(t)이 생기게 된다. 이는 접착제 용기(102)의 사용중에 상기 갭(t)으로 외부공기가 인입됨에 따라 노즐구멍(102a) 내면에 잔류접착제가 경화되고, 결국은 노즐구멍(102a)이 작아지게 되어 접착제의 분출이 용이치 못하거나 막혀 종래의 문제점을 완전히 해소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접착제 용기의 노즐구멍을 차폐하여 사용 후 외부공기가 인입되는 것을 신뢰성있게 차단하고, 접착제의 사용중 경화에 의해 노즐구멍이 막혔을 경우는 용이하게 뚫을 수 있도록 한 경화방지용 캡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접착제 용기의 사용후에 핀을 노즐구멍에 관통시켜 내장시키므로써 상기 노즐구멍 내면에 잔류하는 접착제의 경화에 의해 노즐구멍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경화방지용 캡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접착제 용기의 노즐구멍을 외부공기로부터 차단시켜 접착제 용기의 사용중이나 사용후 접착제가 경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캡에 있어서, 상측면에 상기 노즐구멍을 차폐할 수 있도록 볼록한 차폐용 리브가 구비된 캡몸체; 일단부는 상기 캡몸체의 차폐용 리브를 관통하여 노즐구멍에 내장되도록 소정 길이만큼 길게 인장되며, 타단부는 노즐구멍을 뚫을 수 있도록 뾰족하게 형성된 청공수단; 및 상기 천공수단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캡몸체의 상측면 둘레에 소정 높이로 구비된 직립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방지용 캡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접착제 용기의 노즐구멍을 외부공기로부터 차단시켜 접착제 용기의 사용중이나 사용후 접착제가 경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캡에 있어서, 상측면 저부에 상기 노즐구멍을 차폐할 수 있도록 볼록한 차폐용 리브가 구비되며, 상측면 상부에는 차폐용리브와 대칭구조를 가지는 고정리브가 구비된 캡몸체; 및 일단부는 상기 캡몸체의 고정리브와 차폐용 리브에 박혀 고정되며, 그 타단부에는 납작머리가 구비된 형상으로 외부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리브들을 관통하여 노즐구멍에 수납되는 천공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방지용 캡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제3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경화방지용 캡의 일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부분단면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경화방지용 캡이 용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1은 캡몸체, 2는 직립부재, 3은 차폐용 리브, 4는 핀, 5는 접착제 용기, 5a는 노즐구멍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경화방지용 캡은 접착제 용기의 노즐구멍을 외부의 공기로부터 완전히 차폐하고, 사용중에는 노즐이 굳어 막히는 것을 용이하게 뚫을 수 있도록 구현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캡은 그의 몸체(1) 상측면 둘레에 소정높이를 가지는 직립부재(2)를 일체로 형성하여 후술할 핀(4)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측면 저부 중앙에는 소정크기만큼 볼록하게 형성된 차폐용 리브(3)를 일체로 구비하여 접착제 용기(5)에 상기 캡몸체(1)를 결합시, 차폐용 리브(3)에 의해 노즐구멍(5a)을 외부공기로부터 완전히 차폐할 수 있도록 한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노즐구멍(5a)의 차폐효과를 제고시키기 위하여 상기 차폐용 리브(3)의 굴곡면에 알맞도록 노즐구멍을 오목하게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접착제 용기(5)의 사용중에 노즐구멍(5a) 내면에 잔존하는 접착제가 외부공기에 노출됨에 따라 경화되어 상기 노즐구멍(5a)이 막히는 것을 용이하게 뚫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 일측은 직립부재(2)측으로 돌출되며, 그 타측은 차폐용 리브(3)에 박혀져 고정된 소정 길이의 핀(4)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핀(4)은 직립부재(2) 밖으로 돌출되지 않는 길이로 형성하되, 끝단부는 뾰족하게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접착제 용기(5)를 사용하고 난 후에 캡몸체(1)를 닫게 됨에 따라 차폐용 리브(3)에 노즐구멍(5a)이 막혀 외부공기의 인입이 차단되고, 또한 접착제의 사용중에 경화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노즐구멍(5a)의 막힘은 핀(4)의 상단측 뾰족한 부분으로 쉽게 뚫어 재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경화방지용 캡의 제2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핀(4)을 소정길이만큼 길게 형성하여 차폐용 리브(3)를 관통시킨 구조를 제시하고 있으며, 이는 상기 핀(4)의 일측에 형성된 뾰족한 부분으로는 노즐구멍(5a)을 뚫기 위한 기능으로 사용하고, 타측은 상기 노즐구멍(5a)에 삽입되도록 하여 노즐구멍(5a) 내면에 잔존하는 접착제가 굳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제6a도 및 제6b도는 본 고안에 의한 경화방지용 캡의 제3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 및 작용상태도로서, 접착제 용기의 사용후 노즐구멍(5a)에 핀을 내장시켜 접착제가 경화되어도 노즐구멍(5a)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현한 것이다.
도면에서 21은 캡몸체, 22는 핀, 22a는 납작머리, 23은 고정리브, 24는 차폐용리브, 25는 접착제 용기, 25a는 노즐구멍을 각각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캡몸체(21)의 중앙부에 소정길이를 가지는 핀(22)이 돌출되게 구비되되, 상기 핀(22)의 상부면은 납작머리(22a)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핀(22)의 하단부는 뾰족하게 형성되어 캡몸체(21)의 중앙부에 박혀 고정된다.
또한, 상기 핀(22)의 고정력을 한층 제고시키면서 노즐구멍(25a)을 차폐할 수 있도록 상기 캡몸체(21)의 상하면에 대칭구조의 고정리브(23)와 차폐용 리브(24)를 형성한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제6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제 용기(25)의 초기 사용시에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핀(22)의 납작머리(22a)를 손가락 면으로 눌러 노즐구멍(25a)을 관통하도록 하며, 상기 접착제 용기(25)의 사용시에는 핀(22)의 납작머리(22a)를 잡고 이탈시킨 후 사용한다.
또한, 상기 접착제 용기(25)의 사용을 완료하면, 초기 상태와 마찬가지로 캡몸체(21)를 닫고, 핀(22)의 일부를 노즐구멍(25a)에 관통시켜 내장하므로서 접착제의 사용중에 노즐구멍(25a)에 잔존하는 접착제가 경화하여도 상기 노즐구멍(25a)의 막힘을 항상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간단한 구성으로 접착제 용기의 사용중이나 사용후에 접착제가 노즐구멍에서 경화되어 상기 노즐구멍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것을 신뢰성있게 방지하므로서 접착제의 분출력을 제고시키며, 경화에 의한 접착제의 낭비를 줄이면서 오랫동안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Claims (2)

  1. 접착제 용기의 노즐구멍이 외부공기로부터 차단시켜 접착제 용기의 사용중이나 사용후 접착제가 경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캡에 있어서, 상측면에 상기 노즐구멍을 차폐할 수 있도록 볼록한 차폐용 리브가 구비된 캠몸체; 일단부는 상기 캡몸체의 차폐용 리브를 관통하여 노즐구멍에 내장되도록 소정 길이만큼 길게 연장되며, 타단부는 노즐구멍을 뚫을 수 있도록 뾰족하게 형성된 천공수단; 및 상기 천공수단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캡몸체의 상측면 둘레에 소정 높이로 구비된 직립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방지용 캡.
  2. 접착제 용기의 노즐구멍을 외부공기로부터 차단시켜 접착제 용기의 사용중이나 사용후 접착제가 경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캡에 있어서, 상측면 저부에 상기 노즐구멍을 차폐할 수 있도록 볼록한 차폐용 리브가 구비되며, 상측면 상부에는 차폐용리브와 대칭구조를 가지는 고정리브가 구비된 캡몸체; 및 일단부는 상기 캡몸체의 고정리브와 차폐용 리브에 박혀 고정되며, 그 타단부에는 납작머리가 구비된 형상으로 외부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리브들을 관통하여 노즐구멍에 수납되는 천공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방지용 캡.
KR2019960009466U 1995-09-19 1996-04-26 경화방지용 캡 KR01313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9466U KR0131331Y1 (ko) 1995-09-19 1996-04-26 경화방지용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5-25372 1995-09-19
KR19950025372 1995-09-19
KR2019960009466U KR0131331Y1 (ko) 1995-09-19 1996-04-26 경화방지용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3583U KR970013583U (ko) 1997-04-25
KR0131331Y1 true KR0131331Y1 (ko) 1998-12-01

Family

ID=70977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9466U KR0131331Y1 (ko) 1995-09-19 1996-04-26 경화방지용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133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3583U (ko) 199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60310A (en) Tool handle
US3096763A (en) Hypodermic syringes and needle hubs therefor
CA2016892C (en) Ampulle
SE7908591L (sv) Rorforbindningsdel eller dylikt samt forfarande och verktyg for dess framstellning
CA1157679A (en) Recoverable form part for use in the region where a tendon is anchored in a prestressed concrete component
EP0888044B1 (en) An animal ear tag
US6223384B1 (en) Trowel with a handle
KR0131331Y1 (ko) 경화방지용 캡
US7137766B2 (en) Screw and plastic part unit
US4146152A (en) Container opener useable to close the opened hole thereof
DE59203438D1 (de) Einspritzdüse für eine Spritzgussform.
JPH055975B2 (ko)
US2967738A (en) Tool handle fastening
KR200253132Y1 (ko) 칫솔모 일체형 칫솔
KR100430808B1 (ko) 용기뚜껑
JP2003311885A (ja) 二層成形品
JPH0127787Y2 (ko)
JPH02213358A (ja) 注射器用プランジャー
JPH0348319Y2 (ko)
JPH0444720Y2 (ko)
JPH11178923A (ja) シリンジ用フランジ
KR980001748A (ko) 손잡이가 있는 합성수지 병뚜껑
DE69026618T2 (de) Einsatzelement zum vermeiden der wiederverwendung von spritzen aus kunststoff
KR200404153Y1 (ko) 순간접착제 용기
KR810002232Y1 (ko) 벼 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