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964B1 - Article delivery device for automatic vending machine - Google Patents

Article delivery device for automatic vending machine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964B1
KR0130964B1 KR1019920003158A KR920003158A KR0130964B1 KR 0130964 B1 KR0130964 B1 KR 0130964B1 KR 1019920003158 A KR1019920003158 A KR 1019920003158A KR 920003158 A KR920003158 A KR 920003158A KR 0130964 B1 KR0130964 B1 KR 0130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tilting
product
lever
vend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31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20018619A (en
Inventor
테쯔야 미야오
코오사꾸 이토오
Original Assignee
나까오 다께시
후지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까오 다께시, 후지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나까오 다께시
Publication of KR920018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86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964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목적][purpose]

자동판매기의 상품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게끔 상품 꺼내는 곳을 전면 중앙부에 설치할 수 있게끔 한다.It allows the product outlet to be installed in the front center so that the products of the vending machine can be easily taken out.

[구성][Configuration]

상하로 이동가능한 리프터상에 L자형 단면의 상품 반출용 버킷을 좌우 균등하게 경사이동 가능한 지레로 지지하여, 이 지레의 선단부가 본체내의 가이드 부재에 상하 어느 방향에서 접합해도 버킷을 경사이동시켜 상품을 다단 래크의 중앙부에 설치한 반출 컨베이어상에 송출 가능하게 한다.The L-shaped cross section of the product carrying bucket is supported on the lifter which can be moved up and down by right and left evenly moving lever, and even if the front end of the lever is joined to the guide member in the main body in any up and down direction, the bucket is inclined to move the goods. It can be sent out on an unloading conveyor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multi-stage rack.

Description

자동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Product taking out device of vending machine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개략 구성도.1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제1도의 버킷부의 확대 배면도.2 is an enlarged rear view of the bucket part of FIG.

제3도는 제2도의 평면도.3 is a plan view of FIG.

제4도는 제2도의 버킷 하강시의 경사이동 상태 설명도.4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inclined movement state when the bucket descends in FIG.

제5도는 제2도의 버킷 상승시의 경사이동 상태 설명도.5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the inclined movement state at the time of raising the bucket of FIG.

제6도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제2항에 대응하는 실시예의 요부확대 측면도.6 is an enlarged side view of an essential part of an embodiment corresponding to claim 2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제7도는 제6도의 버킷의 경사이동 상태 설명도.FIG. 7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tilt movement state of the bucket of FIG. 6; FIG.

제8도는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대응하는 실시예의 요부 확대 측면도.8 is an enlarged side view of main parts of an embodiment corresponding to claim 3 of the present invention;

제9도는 제8도의 평면도.9 is a plan view of FIG.

제10도는 제8도의 버킷의 경사이동 상태 설명도.FIG. 10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tilt movement state of the bucket of FIG. 8; FIG.

제11도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제4항에 대응하는 실시예의 요부 확대 측면도.11 is an enlarged sid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embodiment corresponding to claim 4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2도는 제11도의 평면도.12 is a plan view of FIG.

제13도는 제11도의 버킷의 경사 작동 상태 설명도.13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inclined operating state of the bucket of FIG.

제14도는 종래예의 개략 구성도.14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ventional exampl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상품 2 : 컨베이어 래크1: Commodity 2: Conveyor Rack

13 : 버킷 13a : 분할 버킷(경동부)13: bucket 13a: split bucket (hard part)

13b : 분할 버킷(잔여부) 15 : 반출 컨베이어13b: split bucket (residue) 15: take-out conveyor

16 : 리프터 17 : 지축16 lifter 17 axis

18 : 지레 19 : 본체18: lever 19: body

20 : 가이드 부재 21,22,23,31,33,43 : 핀20: guide member 21, 22, 23, 31, 33, 43: pin

32 : 지축 34 : 힌지32: axis 34: hinge

44 : 캠 45 : 로울러44: cam 45: roller

본 발명은 상하로 다단의 래크가 있는 자동판매기에 있어, 병 등의 상품을 전면 중앙부로부터 용이하게 꺼낼 수 있게 한 상품 반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duct dispensing apparatus in which a vending machine having a rack of multiple stages up and down makes it possible to easily take out goods such as bottles from the front center.

자동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의 종래예를 제14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이 도면에 있어, 병 등의 상품(1)이 상하로 다단으로 된 컨베이어 래크(2)상에 좌우 방향으로 옆으로 쓰러진 자세로 수납되어, 판매 상품(1)은 컨베이어 래크(2)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한 L자형 단면의 버킷(3)에 배치된다. 이 버킷(3)은 도시하지 않은 리프터상에 경사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리프터가 하강하여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면 버킷(3)이 경사이동하여 배치된 상품(1)을 상품 꺼내는 곳(4)을 향하여 앞쪽이 밑으로 경사진 반출 슈터(5)상에 송출하게끔 되어 있다. 상기 상품(1)은 슈터(5)위를 미끄러지면서, 예컨데 병목부를 자기 앞쪽으로 한 전후향의 자세로 되어 전면 하단부에 설치된 상품 꺼내는 곳(4)에서 꺼낸다.A conventional example of the product taking out device of the vending machin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n this figure, goods 1, such as bottles, are housed in a posture folded sideways from side to side on a conveyor rack 2 that is multistage up and down, and the merchandise 1 is moved up and down on the conveyor rack 2. It is arranged in the bucket 3 of the movable L-shaped cross section. The bucket 3 is supported on the lifter (not shown) so as to be capable of tilting, and when the lifter descends to reach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bucket 3 is tilted and the product 1 arranged to move out of the article 4 is placed. It is to be sent out on the export shooter 5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front side. The merchandise 1 slides on the shooter 5, and is removed from the merchandise outlet 4 installed in the front lower end, for example, in a forward and backward position with the bottleneck in front thereof.

상기 구조에서는 상품 꺼내는 곳(4)이 전면 하단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품(1)을 허리를 구부려 꺼낼 필요가 있다는 결점이 있었다.In the above structure, the merchandise outlet 4 is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front side, so that the merchandise 1 needs to be bent out.

본 발명은 상기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병 등의 상품을 전면 중앙부에서 용이하게 꺼낼 수 있게 한 자동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duct dispensing apparatus of a vending machine that can easily take out products such as bottles from the front center in order to eliminate the above drawbacks.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품 반출 컨베이어(15)를 상하로 다단의 상품 수납용 컨베이어 래크(2)의 중단부에 설치하여, L자형 단면의 상품 반출용 버킷(13)을 경사이동 가능하게 지지한 상하로의 이동이 가능한 리프터(16)에 지축(17)을 중심으로하여 좌우 균등하게 경사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지레(18)의 상면에서 상기 버킷(13)의 각부 하며을 지지하고, 상기 지레(18)의 선단부가 본체(19)내에 설치한 가이드 부재(20)에 위쪽 또는 아래쪽 어느 방향에서 접촉하여도 지레(18)를 통하여 버킷(13)을 경사이동시켜 상품(1)을 송출가능케 했으며, 또 버킷(13)을 지레(18)에 의한 경동부(13a)와 잔여부(13b)로 분할하여 형성시켰으며, 특허청구범위 제2항 기재의 것에서는 분할 버킷(13a,13b)의 선단부를 공통의 핀(21)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로 결합함과 동시에, 병 상품(1)의 목부 등을 배치하는 버킷 잔여부(13b)의 경사이동 각도가 지레(18)에 의한 경동부(13a)보다 크게 되는 각기의 회전 중심을 개별의 핀(22,23)으로 지지하였으며, 특허청구범위 제3항 기재의 것에서는 분할 버킷(13a,13b)을 공통의 핀(31)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이 회전 중심과 상이하는 위치에 리프터(16)로 지지된 지축(32)과 상기 경사이동부(13a)의 각부 하면에 설치하여 경동부(13a)까지 뻗은 핀(33)에 걸쳐 경동부(13a)의 경사이동에 따라 접어 굽어지는 힌지(34)를 설치하며, 상기 잔여부(13b)를 힌지(34)의 절곡부에서 가압되어 경동부(13a)보다 크게 경사이동시키며, 특허청구범위 제4항 기재의 것에서는 분할 버킷(13a,13b)을 공통의 핀(31)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이 회전 중심과 상이한 위치에 리프터(16)로 지지된 지축(42)으로 경동부(13a)의 각부 하면에 설치한 핀(43)의 선단부와 결합하는 캠(4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경동부(13a)의 경사이동에 따라 잔여부(13b)를 캠(44)에 설치한 로울러(45)로 밀어올려 경동부(13a)보다 크게 경사이동시켜, 어느 것이나 각 버킷(13)으로부터의 상품 반출시에 병목부를 자기 앞으로 한 전후 방향으로 회전이 되도록 한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discontinuity of the conveyor rack (2) for storing goods in a multi-stage product up and down, the tilting movement of the product carrying bucket 13 of the L-shaped cross-section Supports the corners of the bucket 13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ever 18 installed on the lifter 16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which is supported and supported by the support shaft 17 so as to be able to incline left and right evenly. When the tip portion of the lever 18 contacts the guide member 20 installed in the main body 19 in any of the up or down directions, the bucket 13 is tilted and moved through the lever 18 to deliver the goods 1. It was made possible, and the bucket 13 was formed by dividing the tilting part 13a and the remaining part 13b by the lever 18, and the split bucket 13a, 13b in the claim 2 At the same time, the front end of the joint is coupled to the hinge rotatably with a common pin 21, The individual pins 22 and 23 support the centers of rotation of which the inclination movement angle of the bucket remaining portion 13b for arranging the neck of the product 1 is larger than the tilting portion 13a by the lever 18. In the claim 3, the supporting buckets rotatably support the split buckets 13a and 13b with the common pins 31, and the support shafts supported by the lifters 16 at positions different from the rotation centers. 32 and a hinge 34 which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each part of the inclined moving part 13a and is bent in accordance with the inclined movement of the inclined part 13a over the pin 33 extending to the inclined part 13a. The remaining portion 13b is pressed at the bent portion of the hinge 34 to incline and move larger than the tilting portion 13a. In the method of claim 4, the divided buckets 13a and 13b have a common pin 31. Each part of the tilting portion 13a by a support shaft 42 supported by the lifter 16 at a position different from the rotation center and rotatably supported by The roller 45 which rotatably supports the cam 44 which engages with the front-end | tip of the pin 43 provided in the surface, and provided the remainder 13b in the cam 44 according to the inclined movement of the tilting part 13a. It is pushed up by), and it is inclinedly moved larger than the tilting part 13a, so that any one of them rotat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front of the bottleneck part at the time of carrying out goods from each bucket 13.

상기 버킷(13)을 지레(18)와 가이드 부재(20)의 작용으로 위쪽 혹은 아래쪽 어느쪽 방향으로부터 이동시켜도 경사이동 가능하게 했기 때문에 상품 꺼내는 곳(14)을 전면 중앙부에서 설치하여 상품(1)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게 되어 있다. 더욱이 버킷(13)을 2분할하여 형성함과 동시에 병 상품(1)의 목부 등을 배치하는 분할 버킷(13b)의 경사이동 각도를 다른 것보다 크게 했기 때문에, 상품(1)을 좌우 방향의 옆으로 쓰러진 자세로부터 병목부를 자기 앞쪽으로 한 전후의 방향으로 회전하여 송출할 수 있다.Since the bucket 13 can be moved inclined even if the lever 13 and the guide member 20 are moved upward or downward, the product takeout point 14 is installed at the front center and the product 1 can be moved. I can take it out easily. Furthermore, since the inclination-moving angle of the split bucket 13b which divides the bucket 13 into two parts and arranges the neck part etc. of the bottle goods 1 was made larger than another, the goods 1 were made to the left-right direction. The bottleneck can be rotat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toward the front of the person from the collapsed posture and sent out.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14도와 동일 부호를 나타낸 것은 동일 부품이다. 본 도면에 있어, 병 등의 상품(1)이 상하로 다단의 컨베이어 래크(2)상에 좌우향으로 옆으로 쓰러지는 자세로 수납되어, 판매 상품(1)은 컨베이어 래크(2)로부터 상하로 이동 가능한 L자형 단면의 버킷(13)에 배치된다. 이 버킷(13)은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터(16)상에 경사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었으며, 이 리프터(16)는 본체(19)내의 컨베이어 래크 배면부에 고정된 지지주(24)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자동판매기의 상품 꺼내는 곳(14)은 전면 중앙부에 설치되어, 이 꺼내는 곳(14)을 향하여 상품(1)을 송출하는 반출 컨베이어(15)는 컨베이어 래크(2)의 중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리프터(16)에는 판상의 지레(18)가 지축(17)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균등하게 경사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 지레(18)의 상면부에서 축(17)의 양측에 설치된 로울러(25)를 통하여 버킷(13)의 각부 하면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레(18)의 지지주(24)측 선단부는 리프터(16)가 이동하여 반출 컨베이어(15) 부근의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면 지지주(24)에 설치된 가이드 부재(20)와 접촉하여 제 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쪽 혹은 아래쪽 어느 방향에서 접촉해도 지레(18)의 작용으로 로울러(25)를 통하여 버킷(13)을 경사이동시켜 로딩된 상품(1)을 반출 컨베이어(15)상에 송출하도록 되어 있다.FIG. 1 show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in FIG. In this figure, goods 1, such as a bottle, are stored in a posture that falls sideways from side to side on the conveyor rack 2 of up and down, and the merchandise 1 moves up and down from the conveyor rack 2. It is arranged in the bucket 13 of the L-shaped cross section as possible. This bucket 13 was tiltably supported on the lifter 16 as shown in FIGS. 2 and 3, and the lifter 16 was fixed to the back of the conveyor rack in the main body 19. It is provided so that it may be coupled to 24 so that a movement to an up-down direction is possible. The product taking out place 14 of the said vending machine is installed in the front center part, and the carrying-out conveyor 15 which delivers the goods 1 toward this taking out place 14 is provided in the interruption part of the conveyor rack 2. As shown in FIG. . Plate lifter 18 is installed on the lifter 16 so as to be inclined in a right and left direction about the support shaft 17, and the roller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haft 17 at the upper surface of the lever 18. The lower surface of each part of the bucket 13 is supported through 25. The tip of the support column 24 side of the lever 18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guide member 20 provided on the support column 24 when the lifter 16 moves to reach a predetermined position near the transport conveyor 15. As shown in FIG. 4 and FIG. 5, the bucket 1 is inclined through the roller 25 by the action of the lever 18 so as to contact in any direction up or down, and the loaded product 1 is unloaded. 15) is to be sent out.

상기 버킷(13)은 길이 방향으로 지레(18)에 의한 경동부(13a)와 잔여부(13b)로 2분할하여 형성되며, 이 분할 버킷(13a,13b)은 특허청구범위 제2항 기재의 것에서는 제6도의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으로 접어굽힌 선단부에 공통의 핀(21)을 삽입하여 회전 가능하게 힌지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잔여부(분할 버킷)(13b)에는, 예컨대 병 상품(1)의 목부 등이 로딩되며, 분할 버킷(13a와13b)은 제 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레(18)의 작용으로 로울러(25)를 통하여 경동부(13a)를 경사이동시키면 잔여부(13b)의 경사이동 각도가 경동부(13a)보다 크게 되는 각기의 회전 중심을 개별의 핀(22,23)으로 지지하여 버킷(13)으로부터의 상품 송출시에 상품(1)을 좌우 방향으로 옆으로 쓰러지는 자세에서 병 목부를 앞쪽으로 한 전후 방향으로 옆으로 쓰러지는 자세에서 병 목부를 앞쪽으로 한 전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The bucket 13 is formed by dividing the tilting portion 13a and the remaining portion 13b by the lever 18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divided buckets 13a and 13b are defined in claim 2 of the claims.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6, the common pin 2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inge by inserting a common pin 21 at the tip that is bent in general. The remaining part (split bucket) 13b is loaded with, for example, a neck of the bottle product 1, and the split buckets 13a and 13b are operated by the action of the lever 18 as shown in FIG. When the tilting portion 13a is inclined through the 25, the bucket 13 is supported by the respective pins 22 and 23 to support the respective rotation centers in which the tilting angle of the remaining portion 13b is larger than the tilting portion 13a. In the posture from which the product 1 falls sideways in the left-right direction at the time of sending out the product from side), it rotates in the front-back direction which made the bottle neck forward in the front-back direction which fell sideways in the front-back direction which made the bottle neck forward.

특허청구범위 제3항 기재의 것에서는 분할 버킷(13a,13b)이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통의 핀(31)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이 회전 중심과 잔여부(분할 버킷)(13b)의 중간 위치에 설치한 지축(32)과 경동부(13a)의 각부 하면에 부착되어 잔여부(13b)까지 연장된 핀(33)에 걸쳐 힌지(34)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지축(32)은 리프터(16)에 고정 부착된 지지판(36)의 선단부에서 지지된다. 상기 힌지(34)는 경동부(13a)의 경사이동에 따라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어 굽히어 링크 작동을 하며, 이 힌지(34)의 절곡부에서 잔여부(13b)를 밀어올려 경동부(13a)보다 크게 경사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In the claim 3, the divided buckets 13a and 13b are rotatably supported by a common pin 31 as shown in FIGS. 8 and 9, so that the center of rotation and the remaining portion ( The hinge 34 is attached to the support shaft 32 installed at the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divided bucket 13b and the pin 33 which extends to the bottom of each part of the tilting portion 13a and extends to the remaining portion 13b. . The support shaft 32 is supported at the tip of the support plate 36 fixedly attached to the lifter 16. The hinge 34 bends and bends as shown in FIG. 10 in accordance with the inclined movement of the tilting part 13a. The hinge 34 is pushed up from the bent part of the hinge 34 to lift the remaining part 13b. It is made to incline larger than the eastern part 13a.

특허청구범위 제4항 기재의 것에서는 분할 버킷(13a,13b)은 제11도 및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통의 핀(31)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이 회전 중심과 다른 위치에 설치된 지축(42)에서 캠(44)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지축(42)은 리프터(16)에 고정 설치된 지지판(46)의 선단부에서 지지된다. 상기 캠(44)은 경동부(13a)의 각부 하면에 부착한 핀(43)의 선단부와 결합하여, 경동부(13a)의 경사이동에 따라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44)에 부착한 로울러(45)에서 잔여부(분할 버킷)(13b)를 밀어올려 경동부(13a)보다 크게 경사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In the description of claim 4, the split buckets 13a and 13b are rotatably supported by a common pin 31, as shown in FIGS. The cam 44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installed support shaft 42. The support shaft 42 is supported at the tip of the support plate 46 fixed to the lifter 16. The cam 44 is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pin 43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each part of the tilting part 13a, and as shown in FIG. 13 according to the inclined movement of the tilting part 13a, to the cam 44. The remaining portion (divided bucket) 13b is pushed up from the attached roller 45 so as to incline and move larger than the tilting portion 13a.

상기 실시예에서는 반출 컨베이어(15)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으나, 종래예에서 설명한 반출 슈터(5)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응용할 수 있다.Although the case where the carrying out conveyor 15 was used was demonstrated in the said Example, it is applicable also when using the carrying out shooter 5 demonstrated by the prior art example.

또한, 제8도, 제10도, 제11도 및 제13도에 있어서, 도면이 번잡해지는 것을 피하고 본원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부호 18 및 25가 생략되었다.In addition, in FIG. 8, FIG. 10, FIG. 11, and FIG. 13, the code | symbol 18 and 25 are abbreviate | omitted in order to avoid the drawing clutter and to make understanding of this invention easy.

본 발명에 의하면 상하에 다단의 래크가 있는 자동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에 있어, 상하로 이동 가능한 L자형 단면의 상품 반출용 버킷을 좌우 균등하게 경사이동 가능한 지레로 지지하여, 이 지레의 선단부가 본체내의 가이드 부재에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어느 방향에서 접촉해도 버킷을 경사이동시켜 상품을 송출 가능하게 했기 때문에, 상품 꺼내는 곳을 전면 중앙부에 설치하여 상품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버킷을 2분할하여 형성함과 동시에 병 상품의 목부 등을 로딩하는 분할 버킷의 경사이동 각도를 다른 것보다 크게 함으로써 상품을 좌우향으로 옆으로 쓰러뜨린 자세에서 병목부를 자기 앞으로 한 전후 방향으로 회전시켜 송출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product dispensing device of a vending machine having a rack of multiple stages up and down, the product discharging bucket of an L-shaped cross section which can be moved up and down is supported by a lever that can be tilted and moved equally to the left and right, and the tip of the lever is the main body. Since the bucket is tilted to allow the product to be sent out even if the guide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guide member in the upward or downward direction, the product takeout point can be provided at the front center to easily take out the product. Furthermore, the bucket is divided into two parts, and the tilting angle of the split bucket which loads the neck of the bottle goods and the like is made larger than the other, so that the bottle neck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in the posture of dropping the goods laterally from side to side. It can also be rotated and sent out.

Claims (4)

병 등의 상품을 좌우 방향으로 옆으로 쓰러진 자세로 수납된 상하에 다단의 컨베이어 래크로부터 상기 상품을 상하 이동이 가능한 리포터상에 경사이동 가능하게 지지한 L자형 단면의 버킷에 로딩하여 반출 컨베이어상에 송출하는 자동자판기의 상품 반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출 컨베이어를 상기 컨베이어 래크의 중단부에 설치하고, 상기 리프터에 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균등히 경사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지레의 상면에서 버킷의 각부 하면을 지지하여, 상기 지레의 선단부가 본체내에 설치된 가이드 부재에 윗쪽 또는 아래쪽 어느쪽 방향에서 접촉해도 지레를 통하여 버킷을 경사이동시켜 상품을 송출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The goods such as bottles are stor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re loaded onto an L-shaped bucket that is supported by the conveyor rack which is capable of tilting up and down on a reporter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from the conveyor rack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In the product dispensing apparatus of the automatic vending machine to send to the, the dispensing conveyor is installed in the middle part of the conveyor rack, the lower surface of each part of the bucke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ever installed on the lifter so as to be able to incline left and right evenly around the axis. The product dispensing apparatus of the automatic vending machine which makes it possible to carry out goods by tilting a bucket through a lever, even if it supports the guide member provided in the main body in the upward or downward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을 지레에 의한 경동부와 잔여부로 분할하여 형성함과 동시에, 이분할 버킷의 선단부를 공통의 핀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로 결합하여, 병 상품의 목부 등을 로딩하는 상기 버킷의 잔여부의 경사이동 각도가 지레에 의한 경동부보다 크게 되는 각각의 회전 중심을 별개의 핀으로 지지하여 버킷으로부터의 상품 송출시에 병목부를 자기 앞쪽으로 한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ucket is formed by dividing the bucket into a tilting part and a remaining part, and at the same time, the front end of the dividing bucket is rotatably coupled with a hinge so as to load the neck of the bottle product or the like. Supporting each center of rotation in which the inclination movement angle of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bucket is larger than the tilting portion by the lever with a separate pin so that the bottleneck portion can be rotat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when the product is discharged from the bucket. A product taking out device of the vending machine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을 지레에 의한 경동부와 잔여부로 분할하여 형성함과 동시에, 이분할 버킷의 선단부를 공통의 핀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이 회전 중심과 상이한 위치에 리프터를 지지한 지축과 상기 지레에 의한 경동부의 각부 하면에 설치되어 버킷의 잔여부까지 연장된 핀에 걸쳐 경동부의 경사이동에 따라 절곡된 힌지를 설치하여 병 상품의 목부 등을 로딩하는 상기 잔여부를 힌지의 절곡부를 위로 가압하여 경동부보다 크게 경사이동시켜 버킷으로부터의 상품 송출시에 병목부를 자기 앞쪽으로한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상품반출 장치.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ucket is formed by dividing the bucket into a tilting part and a remaining part, and at the same time, the tip of the two-split bucket is rotatably supported by a common pin to support the lifter at a position different from the center of rotation. The remaining portion for loading the neck and the like of the bottle is installed by installing a hinge bent in accordance with the inclined movement of the tilting portion over a pin that is installed on one of the shaft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tilting portion by the lever and extends to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bucket. The product dispensing apparatus of the vending machine characterized by pressing the part upward and inclining more than the tilting part so that the bottleneck part can be rotat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toward the front when the product is discharged from the buck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을 지레에 의한 경동부와 잔여부로 분할하여 형성함과 동시에, 이분할 버킷의 선단부를 공통의 핀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이 회전 중심과 상이한 위치에 리프터로 지지한 지축으로 상기 지레에 의한 경동부의 각부 하면에 설치된 핀의 선단부의 결합하는 캠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경동부의 경사이동에 따라 병 상품의 목부 등을 로딩하는 상기 버킷의 잔여부를 캠에 설치한 로울러로 밀어올림으로써 경동부보다 크게 경사이동시켜 버킷으로부터의 상품 송출시에 병목부를 자기 앞쪽으로 한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ucket is formed by dividing the bucket into a tilting part and a remaining part, and at the same time, the tip of the two-split bucket is rotatably supported by a common pin, and is supported by a lifter at a position different from the center of rotation. One shaft is rotatably supported by a cam coupled to the distal end of the pin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ilting portion of the tilting portion by the lever, and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bucket for loading the neck of the bottle goods, etc. in accordance with the tilting movement of the tilting portion is installed on the cam A product dispensing apparatus for a vending machine characterized by being moved inclined larger than a tilting portion by being pushed up by a roller, so that the bottleneck portion can be rota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t the time of discharging the product from the bucket.
KR1019920003158A 1991-03-07 1992-02-28 Article delivery device for automatic vending machine KR013096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040337 1991-03-07
JP4033791 1991-03-07
JP3118931A JP2943392B2 (en) 1991-03-07 1991-05-24 Vending machine product unloading device
JP91-118931 1991-05-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8619A KR920018619A (en) 1992-10-22
KR0130964B1 true KR0130964B1 (en) 1998-10-01

Family

ID=26379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3158A KR0130964B1 (en) 1991-03-07 1992-02-28 Article delivery device for automatic vending machin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943392B2 (en)
KR (1) KR013096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0017A (en) * 2009-08-06 2011-02-24 Bld Oriental Co Ltd Vending-machine integrated type table
CN105217206B (en) * 2015-11-02 2017-11-28 天津雷云峰科技有限公司 The shipment running gear of automatic selling coun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8619A (en) 1992-10-22
JPH05174240A (en) 1993-07-13
JP2943392B2 (en) 1999-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02549Y2 (en) First-in first-out storage rack device
US5421685A (en) Vacuum-type gripping apparatus
JP4675002B2 (en) Warehousing / exiting control device for automatic warehouse
KR20020077153A (en) Transfusion bottle feed apparatus
ZA200504153B (en) Article carrier for a grading apparatus
JPH03238225A (en) Space automatic classifying device
KR0130964B1 (en) Article delivery device for automatic vending machine
JPH07267351A (en) Conveyor in/out device
CN116919097A (en) Shelf with bidirectional sliding and tilting mechanism
JP6157127B2 (en) Article moving device
JP2594150B2 (en) Vending machine product unloading device
JPH08268542A (en) Carrying-in device
JP6536218B2 (en) Lifting and conveying device
US5682816A (en) Two stage fee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feeding articles to a printing machine
KR100189463B1 (en) Article conveying device of automatic vending machine
JP7298589B2 (en) Goods storage facility
KR0133820B1 (en) Article carrying apparatus of a vending machine
JPH09319959A (en) Carrying-out mechanism for automatic vending machine
JPS59153702A (en) Storehouse in which picking is allowed
JPS6121884B2 (en)
JPH0640505A (en) Panel stocker
SU1636304A1 (en) Mechanized rack
JP3719072B2 (en) Vending machine product storage equipment
JP3701146B2 (en) Storage device
JPH06171761A (en) Pick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