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890B1 - 자동판매기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890B1
KR0130890B1 KR1019920003157A KR920003157A KR0130890B1 KR 0130890 B1 KR0130890 B1 KR 0130890B1 KR 1019920003157 A KR1019920003157 A KR 1019920003157A KR 920003157 A KR920003157 A KR 920003157A KR 0130890 B1 KR0130890 B1 KR 0130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ods
product
storage
box
vend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3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8438A (ko
Inventor
쇼오조 이와모또
유끼오 기무라
고오조 마쯔시마
고오지 가와까미
Original Assignee
나까오 다께시
후지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까오 다께시, 후지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나까오 다께시
Priority to KR1019920003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890B1/ko
Publication of KR930018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8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8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2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inclin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캔 및 병입제품을 판매하는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으로써, 다수의 상품을 그대로 쌓는 식으로 일괄 수납하는 상자형 상품수납고와, 상품반출기구와, 상품 교반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로써 상품수납고에 상품을 보급하는 로딩성이 우수하고, 상품출구가 자동판매기 중단부분에 위치하여 이용자가 안락한 자세로 상품을 꺼낼수 있고, 상품종류의 다양화를 기할수 있다.

Description

자동판매기
제1도 내지 제4도는 각각 다른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상품 출구4 : 상품 수납고
6 : 상품7 : 상품 반출구
8 : 상품 반출 기구9 : 상품 이송 기구(상품 교반 수단)
11 : 상품 수납고(상단)12 : 상품 수납고(하단)
13 : 상품 반출로14 : 상품 반출 기구
15 : 파상식 상품 수납고16 : 예비 보관실
본 발명은 캔·병 제품을 판매하는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캔·병 제품을 판매하는 자동판매기에서는 일반적으로 상품 수납고로써 파상식 수납고가 채용되고 있다. 이 파상식 수납고는 파상형의 상품 안내 통로로 상품을 일렬로 수납하고, 판매 지령에 따라 상품반출 기구의 작동을 상품을 1개씩 떨어지도록 반출하여 상품 출구로 송출하도로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파상식 수납고를 포함하여, 캔·병 제품을 취급하는 종래의 상품 수납고에 상품을 보급하기 위해서는 배달용 포장 상자(일정수의 상품을 넣은 골판지 상자)로부터 상품을 1개씩 끄집어내어 상기 상품 수납고의 투입구에 투입해야 하기 때문에, 그 로딩 작업에 시간이 많이 걸리고 손이 많이 가므로 그 개선책이 요망되고 있다.
또한, 파상식 수납고를 채용한 자동판매기에서는 상품 출구가 낮은 위치에 있게 되므로 상품 출구로 부터 상품을 끄집어낼 때에 사람이 허리를 굽혀야 하는 등의 무리한 자세가 요구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상품 수납고에 상품을 보금하는 로딩성이 우수하고, 사람이 안락한 자세로 상품을 상품 출구로부터 끄집어낼 수 있으며, 상품, 종류의 다양화에도 대응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 특히 상품 수납고(병렬 수납고를 포함한)가 정교하게 배치된 자동판매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자동판매기는 하기와 같이 구성한다.
(1) 다수의 상품을 그대로 쌓는 식으로 일괄 수납하는 상자형 상품수납고와 ; 상기 상자형 상품 수납고의 바닥부에 설치되고 상품 반출구를 갖추고 있는 상품 반출 기구와 ; 상기 상품 반출 기구의 상방에 설치되고 판매작동에 맞추어 수납 상품을 상기 상자형 상품 수납고내에서 교반하기 위해 상하의 스프로킷 사이에 핑거가 부착된 벨트가 걸려 있는 상품 교반 수단을 갖추고 있다.
(2) 상기 상품 교반 기구는 반송면을 수납고내로 향하게 하여 상품반출 기구의 윗쪽에 설치한 벨트반송식 상품 이송 기구이다.
(3) 상하단으로 나누어 각각에 다수의 상품을 그대로 쌓는 식으로 일괄 수납하는 2개의 상자형 상품 수납고와 ; 상단의 상품 수납고와 하단의 상품 수납고 사이에 형성된 상품 반출로와 ; 상품 반출로 접해 그 전방에 설치된 상품 출구와 ; 상하 각단의 상품 수납고에 설치되어 수납 상품을 수납고로부터 상기 상품 반출로로 반출하는 상품 반출 기구를 갖추고 있다.
(4)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품 반출로로 상품을 반출하는 파상식 상품 수납고는 상단의 상품 수납고의 뒤쪽에 설치된다.
(5)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단의 상품 수납고의 윗면쪽에 수납고내에 수납하지 못한 여분의 상품을 수용하는 예비 보관실을 설치한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상품을 그대로 쌓은 식으로 수납하는 상자형 수납고에서는 상품 로딩시에 배달 상자로부터 상품을 한개씩 끄집어내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고, 포장 상자로부터 상품을 한꺼번에 수납고내로 투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품 교반 수단인 상품 이송 기구는 상품의 판매작동에 맞추어 수초 정도 작동하여 수납고내에 그대로 쌓여 있는 상품을 교반한다. 따라서, 판매 대기중에 상품 반출구의 근처에서 상품들이 걸려 있어도 상기의 교반 과정에 의해 상품의 걸림 상태가 제거되기 때문에 상품이 반출구로 원활하게 공급된다.
한편, 상품 수납고를 상하단으로 나누어 그 사이에 상품 반출로를 만든 구성에 있어서는 상품 반출기구의 작동에 의해 상하 각단의 수납고로부터 반출된 상품이 공통의 상품 반출로를 경우하여 그 전방에 설치된 상품출구로 송출된다. 따라서, 상품 출구는 상품을 끄집어내기 쉬운 중간 위치에 설치할 수가 있다.
또한, 상단 수납고의 뒷쪽에 배치한 파상식 상품 수납고는 상하단의 수납고에 수납한 상품과 다른 종류의 상품을 수납하여, 이들 상품이 상하단의 수납고의 공동 상품 반출로를 통해 반출되도록 작동된다.
또한, 상단 수납고의 윗면에 만들어진 예비 보관실은 상품 로딩시에 상품 수납고에 수용하지 못한 여분의 상품을 수용하며, 수납고내의 수납 상품과 길이 보관중에 상품이 냉각(냉음료)내지 가열(뜨거운음료)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제1도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 제1항 및 제2항에 대응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도면 부호 1은 자동판매기의 본체 케이스, 도면부호 2는 전면판, 도면부호 3은 상품 출구, 도면부호 4는 상품 수납고, 도면부호 5는 상품 수납고(4)와 상품 출구(3)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이다. 여기서, 상품 수납고(4)는 다수의 상품(6)(캔제품)을 그대로 쌓는 식으로 일괄 수납하는 상자형 용기로써, 그 전면 바닥부에 상품 반출구(7)를 갖추고, 여기에 상품 반출 기구(8)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 상품 반출 기구(8)와 나란히 그 위쪽에는 상품 교반 수단으로써 벨트 반송식의 상품 이상 기구(9)를 갖춘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품 이송 기구(9)는 상하의 스프로킷 사이에 핑커가 부착된 벨트가 걸려 있는 것으로써, 도시되어 있지 않은 모터에 의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상품 이송 기구(9)는 하부 스프로킷을 지지점으로 수납고의 전방으로 기울일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상품 수납고(4)에 상품을 로딩할 때에는 먼저 전면판(2)을 열고, 상기한 상품 이송 기구(9)를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으로 기울인 상태에서 포장상자(10)로부터 직접 수납고내로 상품(6)을 일괄하여 투입한다.
한편, 판매작동시에는 판매 지령을 받으면 상품 이송 기구(9)가 수초정도 작동하여 상품 반출 기구(8)의 상품 반출구(7)를 통해 상품(6)을 한개식 배출하고, 통로(5)를 거쳐 상품 출구(3)로 송출한다. 여기서 상품 이송 기구(9)가 작동하면 수납 상품(6)이 반송 벨트의 핑거에 끌리어 걸쳐저 윗쪽으로 교반된다. 이것에 의해 , 만약 판매 대기중에 상품 반출구 부근에서 상품들이 걸려 있어도 이 걸림 상태는 교반 과정에서 방지되므로 상품(6)은 상품 반출구(7)로 원활하게 이송된다. 따라서, 상품의 걸림에 의한 반출 고정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2
제2도는 청구범위 제3장에 대응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기기내에 2개의 상품 수납고(11,12)가 상하단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고, 상단 상품 수납고(11)와 하단 상품 수납고(12)사이에는 전면판(2)의 중간 위치에 상품 출구(3)로 통하는 공통의 상품 반출로(13)가 형성되고 있다. 여기서, 상단 상품 수납고(11)는 실시예 1과 같은 구조이고, 그 바닥부에 상기의 상품 반출로(13)를 향해 상품 반출구(7) 및 상품 반출 기구(8)를 갖춤과 동시에, 그 내부에 상품 교반 수단으로서 상품 이송기구(9)를 갖추고 있다.
한편, 하단 상품 수납고(12)는 상단 상품 수납고(11)와 같이 다수의 상품(6)을 그대로 쌓는 식으로 일괄 수납하는 상자형 수납고이고, 뒷쪽에는 상기한 상품 이송 기구(9)와 거의 같은 기구인 상품 이송식 상품 반출 기구(14)를 갖추고 있다. 또한, 이 상품 반출 기구(14)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에 의해 이미 제안된 바 있는 일본특허 출원 제89-232314호에 개시된 수납고를 채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판매시에 상단 상품 수납고(11)에 수납된 상품을 선택하면, 수납고(11)로부터 아랫쪽으로 떨어져 반출된 상품(6)이 상품 반출로(13)를 경유하여 상품 출구(3)로 송출된다. 또한, 하단 상품 수납고(12)에 수납된 상품을 선택하면, 수납고(12)로부터 윗쪽으로 상승하여 반출된 상품(6)이 상품 반출로(13)를 거쳐 상품 출구(3)로 송출된다. 여기서, 상기 상품 반출로(13)는 상단 상품 수납고(1)와 하단 상품 수납고(12)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상품 반출로(13)로 통하는 상품 출구(3)를 전면판(2)의 중간 위치에 설치하였으므로 이용하는 사람이 편한 자세로 상품을 꺼낼 수 있다.
실시예 3
제3도는 청구범위 제4항에 대응하는 실시예 2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단 상품수납고(11)의 뒤쪽에 파상식 상품 수납고(15)를 추가로 장착하여 판매상품을 다양화시킨 것이다. 여기서, 파상식수납고(15)는 그 상품 투입구가 상단 상품 수납고(11)의 윗면에 설치된 투입접시를 통해 앞쪽으로 개구되어 있고, 하부의 상품 반출구가 상하단의 상품수납고(11,12) 사이에 형성된 공통의 상품반출로(13)로 통해 있다. 또한, 파상식 수납고(15)는 자동판매기의 폭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칼럼으로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판매시에 파상식 수납고(15)의 상품이 선택되면, 수납고(15)로부터 아래쪽으로 떨어져 반출된 상품(6)이 상품 반출로(15)를 거쳐 앞쪽이 상품 출구(3)로 송출된다.
실시예 4
제4도는 청구범위 제5항에 대응하는 실시예 2의 응용 실시예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실시예3에 있어서의 파상식 상품 수납고(15) 대신에 상단 수납고(4)의 윗면 공간을 활용하여, 여기에 상품예비 보관실(16)을 설치한 것이다. 이 예비 보관실(16)은 상품 적재시에 수납고(11,12)에 수납하지 못한 여분의 상품(상품 적재는 배달용 상자를 단위로서 행함)을 수용하며, 보관 중에는 수납고내의 수납상품과 마찬가지로 냉각 내지 가열된다. 따라서, 다음의 로딩 작업시에 예비 보관실(16)에서 보관하고 있던 상품을 종류별로 나누어 상단 수납고(11)내지는 하단 수납고(12)에 옮겨 놓으면 판매시에 적절한 온도의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판매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어 하기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청구범위 제1항의 구성에 의하면, 상품 수납고에 상품을 적재할 때 배달용 포장상자로부터 일괄하여 상품을 수납고에 투입하는 것이 가능하여 적재 작업을 단시간에 능률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품 수납고에 상품 교반 수단을 설치하여 상품의 걸림을 방지하였기 때문에 수납로로부터 원활하게 상품을 반출할 수가 있다.
청구범위 제2항의 상품 이송 기구에 의해, 수납고내에서의 상품 걸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3항의 구성에 있어서는 상품 수납고를 상하단으로 배열하여 그 사이에 상품 반출로를 형성하였으므로 상품 출구를 전면판의 중간위치에 설치할 수 있고, 이 때문에 이용하는 사람이 편한 자세로 상품을 꺼낼 수 있다.
청구범위 제4항의 구성에 있어서는 파상식 상품 수납고를 추가로 장착하여 판매 상품 종류의 다양화를 이룰 수 있다.
청구범위 제5항의 구성에 있어서는 상품의 예비 보관실을 설치하여 상품 로딩시에 수납고에 수납하지 못한 잔여 상품을 냉각 내지 가열 상태로 보관할 수 있어 상품 관리에 유용하다.

Claims (5)

  1. 다수의 상품을 그대로 쌓은 식으로 일괄 수납하는 상자형 상품 수납고(4)와 ; 상기 상자형 상품 수납고의 바닥부에 설치되고 상품 반출구(7)를 갖추고 있는 상품 반출 기구(8)와 ; 상기 상품 반출 기구(8)의 상방에 설치되고, 판매 작동에 맞추어 수납상품을 상기 상자형 상품 수납고(4)내에서 교반하기 위해 상하의 스프로킷사이에 핑거가 부착된 벨트가 걸려 있는 상품 교반 수단(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교반 수단(9)은 반송면을 수납고내로 향하게 하여 상품 반출 기구(8)의 윗쪽에 설치한 벨트 반송식의 상품 이송 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3. 상하단으로 나누어 각각에 다수의 상품을 그대로 쌓는 식으로 일괄 수납하는 2개의 상자형 상품수납고(11,12)와 ; 상기 상단 상품 수납고(11)와 상기 하단 상품 수납고(12)사이에 형성된 상품 반출로(13)와 ; 상기 상품 반출로(13)에 접해 그 전방에 설치된 상품 출구(3)와 ; 상기 상하 각단의 상품 수납고에 설치되어 수납 상품을 수납고로부터 상기 상품 반출로(13)로 반출하는 상품 반출 기구(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반출로(13)로 상품을 반출하는 파상식 상품 수납고(15)는 상기 상단 상품 수납고(11)의 뒤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상품 수납고(11)의 윗면에, 수납고내에 수납하지 못한 여분의 상품을 수용하는 예비 보관실(16)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KR1019920003157A 1992-02-28 1992-02-28 자동판매기 KR0130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3157A KR0130890B1 (ko) 1992-02-28 1992-02-28 자동판매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3157A KR0130890B1 (ko) 1992-02-28 1992-02-28 자동판매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8438A KR930018438A (ko) 1993-09-21
KR0130890B1 true KR0130890B1 (ko) 1998-04-23

Family

ID=19329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3157A KR0130890B1 (ko) 1992-02-28 1992-02-28 자동판매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89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8438A (ko) 1993-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3507B1 (ko) 캔, 병 따위의 상품 적재장치
JPH05174239A (ja) 自動販売機
KR0130890B1 (ko) 자동판매기
JPH11154266A (ja) 自動販売機
US3716165A (en) Merchandising dispensing module for vending machines
US3861562A (en) Universal vending means for packaged materials in a vending device
JP7420509B2 (ja) 物品収納庫
JP3468083B2 (ja) 自動販売機
JP2019021030A (ja) 商品払出装置
JPH04120689A (ja) 自動販売機
JP2505879B2 (ja) 自動販売機
KR0132046B1 (ko) 자동판매기
KR930005711B1 (ko) 자동 판매기
JP3156430B2 (ja) 自動販売機
KR20010095123A (ko)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
KR0130748B1 (ko) 자동판매기의 상품수납장치
JPH09305853A (ja) 自動販売機
JP2894369B2 (ja) 自動販売機
JPH04364811A (ja) 販売機
JP2594283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KR100348724B1 (ko)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
JPH06162340A (ja) 自動販売機
JPH07110886A (ja) 自動販売機
JP2896010B2 (ja) 自動販売機
JPH11232547A (ja) 自動販売機の商品投入通路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