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841B1 - 탈취겸 방취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탈취겸 방취제의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841B1
KR0130841B1 KR1019940023403A KR19940023403A KR0130841B1 KR 0130841 B1 KR0130841 B1 KR 0130841B1 KR 1019940023403 A KR1019940023403 A KR 1019940023403A KR 19940023403 A KR19940023403 A KR 19940023403A KR 0130841 B1 KR0130841 B1 KR 0130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odorant
deodorizing
present
zeolite
deodor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3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0066A (ko
Inventor
이영환
홍사영
Original Assignee
이영환
홍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환, 홍사영 filed Critical 이영환
Priority to KR1019940023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841B1/ko
Publication of KR960010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8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078Thermal treatment, e.g. calcining or pyroliz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1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 B01J20/16Alumino-silic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비석, 맥반석 및 운모를 일정크기로 분쇄하여 약 1000-1200℃의 가열 소성로에서 소성시켜 냉각 여과시킨 것에 키톤산의 초산 수용액을 분사하여 탈취겸 방취제를 얻는 것으로서 흡착, 탈취, 흡수, 건조 및 항균작용을 겸한 탈취 및 방취제이다.

Description

탈취겸 방취제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탈취제겸 방취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비석, 맥반석 및 운모석을 주재로 하여 냉장고나 김치독용 탈취제겸 방취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나 김치독의 탈취제로는 엑티브 카본(활성탄)이나 탈취겸 건조제로서 실리카겔 또는 활성백토 등과 같은 화학물질들을 사용하여 왔으므로 식품에 직접 접촉에 따른 약해를 없애기 위하여 탈취제겸 방취제의 포장에 많은 신경을 쓰지 않으면 안되었다.
더구나 김치독과 같은 식품용기 내에는 탈취제를 넣을 경우 식품과 직접 접촉하게 되거나 포장된 것이라도 식품내에 직접 침투하기 때문에 용기내에 직접 넣을 수가 없었다. 다만 냉장고 등에서 식품과 직접 닿지 않게 포장하여 식품용기와 떨어진 위치에 놓아 두어 탈취 또는 방취하도록 하여 왔으므로 사용상 상당한 불편과 비위생적이고 유해성의 위험이 뒤따랐다.
본원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냉장고나 김치독등의 탈취겸 방취제의 결점을 개량 보완한 것으로서 이를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올라이트(비석), 맥반석 및 운모를 소정의 굵기로 보통 콩알만한 크기로 분쇄한 다음 각각 동일 양이나 임의의 비율로 혼합하여 약 1000-1200℃의 소성로에서 약 4시간 동안 가열 소성한 후 냉각수에 담궈 급냉시킨 다음, 세척 및 여과하여 소성에 의하여 발생된 작은 입자나 불순물들은 제거하고 대기중에서 건조하고 거기에 0.5% 키톤산(chitonic acid)의 식초산 수용액을 분무하여 다시 건조하여 본 발명 탈취겸 방취제를 얻는다.
이상과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 탈취제겸 방취제는 그 조성성분인 제올라이트(비석)는 함수규산염이 주성분으로서 이것은 공지되어 있는 바와같이 흡수, 탈취 및 흡착작용이 강하여 악취의 흡착 및 탈취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맥반석에 의하여는 예로부터 정수(淨水)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냉장고나 김치독의 수분중의 악취를 제거 흡수하는 성질이 우수하여 상기 제올라이트의 흡착 탈취효과와 함께 주로 수분에 의하여 발생되는 악취를 이온교환, 여과, 흡수 및 건조작용에 의한 정수작용으로 냉장고나 김치독등의 악취를 탈취 또는 예방하는 효과를 주는 작용이 탁월하며, 운모 역시 규산염이 주성분인 광물이어서 상기 함수 알루미늄 규산염이 주성분인 비석과 함께 정수, 탈수 및 탈취작용이 우수함은 물론 과열 과냉 분위기에서도 변질되거나 작용이 중단됨이 없이 흡착, 탈취작용이 원활하여 상기 제올라이트 및 맥반석과 함께 이온교환, 탈취, 방취 및 공기건조 작용을 상승시켜 주는 탁월한 효과가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3가지 조성물질이 약 1000-1200℃까지 가열 소성됨으로서, 광물들속의 잡다한 물질들 중 상기 가열온도에서 견딜 수 없는 것들은 소성되어 제거됨으로 그 자리에 많은 기공이 발생되어 흡착, 탈수, 탈취작용을 발휘함은 물론이고 고온에서 가열된 광물질들을 냉각수에 급냉각시킴에 따라 광물질들의 일반적 속성인 가열 급냉에 따른 경도가 훨씬 강하게 되어 잘 부서지지 않아서 취급이 용이하고 사용시에도 파열 분쇄에 따른 식품과의 혼합 염려가 없게 되며,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광물질은 고온 소성하면 원적외선 방출량이 증가되고 원적외선의 파장이 길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이 원적외선에 의한 방취 및 탈취효과가 우수하고 따라 식품이나 냉장고 및 김치독등의 식품용기에 신선도를 높혀주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 발명 조성물 중에서 키토산에의 초산수용액은 키토산의 유해한 대장균(0.02%의 키토산 수용액으로 저지시킴)이나 곰팡이와 같은 유해세균의 생육을 저해하면서 항균성이 우수한 반면 방선균이나 유산균과 같은 유용한 미생물의 증식은 높혀주면서 응집성 및 피막형성 효과가 있음으로 이 키토산의 초산수용액에 의하여 상기 각 광물질들의 표면에 얇은 피막을 형성시켜 각 입자의 파손을 방지하여 본 발명 방취제겸 탈취제가 포장지에서 흘러내리거나 음식물과 접촉시에도 입자가 부서져서 식품과 혼용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효과가 있으며 그러면서도 키토산의 초산수용액은 유해성이 전혀 없으면서 상기 키토산의 피막이 상기 광물질입자에 형성되더라도 키토산 피막은 투광성이 우수하여 흡습성과 탈취, 탈기성을 우수하게 발휘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 탈취겸방취는 물론 항균 흡습작용도 겸한 우수한 제품이다.
본 발명의 목적인 본 발명 제품의 탈취겸 방취 효과를 실제로 입증하기 위하여 한국건자재 시험연구소에 시험 의뢰한 결과 아래의 표 및 그라프에 나타난 것과 같은 시험 결과에 의해서 본 발명품이 탈취 및 원적외선 방사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별첨 시험 성적서의 표1과 그라프1에 의하면 시료 즉 본 발명품을 사용하지 않았을때와 사용 했을때를 비교시험한 결과 시료를 넣지 않았을때는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암모니아가스의 농도가 별로 줄어들지 않았으나 본 발명 시료를 넣었을때에는 암모니아가스의 농도가 현저히 줄어들었고 따라서 탈취율도 현저히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어서, 본 발명 제품은 현저한 탈취 및 방취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고 또한 표2에서 나타난 바와같이 원적외선 방사량도 현저함을 알 수 있었다.
별지의 그래프는 상기 탈취 시험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주) Blank : 시료를 넣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한 것임. 끝.
그라프1. 표1의 결과를 그라프로 나타낸 것임

Claims (1)

  1. 제올라이트, 맥반석 및 운모를 일정한 크기로 분쇄한 것을 동일 양이나 임의의 비율로 혼합하여 약 1000-1200℃의 가열 소성로에서 약 4시간 동안 가열 소성시켜 냉각수에 담궈 급냉시킨 다음 세척 및 여과하고 대기중에서 완전 건조하여 약 0∼5% 키토산의 초산수용액을 분무한 후 건조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겸 방취제의 제조방법.
KR1019940023403A 1994-09-15 1994-09-15 탈취겸 방취제의 제조방법 KR0130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3403A KR0130841B1 (ko) 1994-09-15 1994-09-15 탈취겸 방취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3403A KR0130841B1 (ko) 1994-09-15 1994-09-15 탈취겸 방취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066A KR960010066A (ko) 1996-04-20
KR0130841B1 true KR0130841B1 (ko) 1998-04-21

Family

ID=19392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3403A KR0130841B1 (ko) 1994-09-15 1994-09-15 탈취겸 방취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8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5191B1 (ko) * 1999-10-07 2002-10-09 솔라텍 주식회사 음용수(飮用水)에 적용되는 맥반석 조성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28248B1 (ko) * 2001-06-15 2004-04-28 (주) 베스트월드산업 세라믹 필터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세라믹 필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6643A (ko) * 2000-01-27 2001-08-16 한형수 음용수용 액체필터의 제조방법
KR100719857B1 (ko) * 2006-12-12 2007-05-18 (주)원일실업 탈취 조성물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5191B1 (ko) * 1999-10-07 2002-10-09 솔라텍 주식회사 음용수(飮用水)에 적용되는 맥반석 조성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28248B1 (ko) * 2001-06-15 2004-04-28 (주) 베스트월드산업 세라믹 필터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세라믹 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066A (ko) 199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9425B1 (ko) 미네랄 함유 복합 기능수를 이용한 탈취제의 제조 방법 및 그 탈취제
KR101508438B1 (ko) 친환경 기능성 도배풀 조성물
KR101759483B1 (ko) 항균 및 탈취기능성 합성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EP0376448B1 (en) Deodorizer composition
KR0130841B1 (ko) 탈취겸 방취제의 제조방법
KR100309182B1 (ko) 활성 기능을 갖는 다용도 자화소성 세라믹 분말의 제조 방법
KR20090115503A (ko) 자연향 발산 항균탈취 흡착제 조성물
KR102030318B1 (ko) 항균성능이 뛰어난 펄프성형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펄프성형체
KR20180077534A (ko) 수처리 세라믹 조성물 및 이 조성물에 의한 수처리제 제조 방법 그리고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한 수처리제
CA1335153C (en) Activating material composed mainly of animal bone, flocculating agent composed mainly of the material and processes for preparation thereof
KR102132978B1 (ko) 피톤치드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07376B1 (ko)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물 살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7138343A (ja) 天然物由来の抗菌剤の処理方法および抗菌性繊維素材
KR20040089250A (ko) 냉장고용 세라믹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355191B1 (ko) 음용수(飮用水)에 적용되는 맥반석 조성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23018B1 (ko) 혼합 담체를 이용한 식품의 미생물 억제 제형 및 그 제조방법
KR19990047975A (ko) 김치 신선도 유지의 제조방법
KR100727549B1 (ko) 탈취제
KR101646215B1 (ko) 건축용 파우더형 친환경 마감재 조성물
Astuti et al. Mixed characteristics of activated charcoal ori bamboo and red ginger as air purifier on food cabinets
JPH03120204A (ja) テクトケイ酸塩系抗菌剤
KR101274581B1 (ko) 세리사이트 성분을 함유하는 액상탈취제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액상탈취제
KR20190009114A (ko) 포장용 판지의 제조방법
KR102085771B1 (ko) 고기능성의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219298B1 (ko) 미생물 발효물, 레몬즙 및 숯을 이용한 친환경 탈취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