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716B1 - 브러시레스모터구동회로 - Google Patents

브러시레스모터구동회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716B1
KR0130716B1 KR1019950009912A KR19950009912A KR0130716B1 KR 0130716 B1 KR0130716 B1 KR 0130716B1 KR 1019950009912 A KR1019950009912 A KR 1019950009912A KR 19950009912 A KR19950009912 A KR 19950009912A KR 0130716 B1 KR0130716 B1 KR 0130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utput
level
brushless motor
wave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9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우이찌 나나에
히데오 니이꾸라
Original Assignee
오오가 노리오
쏘니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020814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36713B2/ja
Application filed by 오오가 노리오, 쏘니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오오가 노리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716B1/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러시레스모터, 특히 그 구동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브러시레스모터의 회전자마그네트의 자계(磁界)변화를 검출하는 복수의 홀소자와, 상기 홀소자의 출력을 증폭하는 수단과, 상기 증폭수단의 출력의 최대 및 최소레벨의 각각을 소정 레벨로 규정하는 클램프수단과, 상기 클램프수단의서로 상이한 상(相)의 출력신호를 가산하여, 최대레벨, 최소레벨에 평탄부를 가지는 동시에,중간레벨에 대략 평탄부를 가지고, 또한 각 평탄부 사이에 경사부를 가지는 신호를 생성하는 가산수단을 가짐으로써, 상전환시의 전류변화가 완만하게 되고, 스위칭방식에 있어서의 음향노이즈의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모터효율을 저하시키지 않는 동시에, 홀소자의 검출신호가 갖고 있는 경사파형을 통전파형의 경사부로 하는 것이므로, 콘덴서를 필요없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브러시레스모터구동회로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홀소자의 출력신호의 파형정형회로의 접속도.
제2도는 홀소자의 출력파형을 나타낸 파형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통전파형생성회로의 접속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스위칭펄스발생회로의 접속도.
제5도는 스위칭펄스발생동작의 설명을 위한 파형도.
제6도는 통전파형의 생성동작의 설명을 위한 파형도.
제7도 및 제8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접속도.
제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의 통전파형의 생성동작의 설명을 위한 파형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통전파형의 생성동작의 설명을 위한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L[L1, L2, L3] : 고정자코일 (1)[1a, 1b, 1c] : 홀소자
(6)[6a, 6b, 6c](7)[7a, 7b, 7c] : 다이오드클램프회로
(12)[12a, 12b, 12c], (13)[13a, 13b, 13c] : 비가산합성회로
(20)[20a, 20b, 20c], (21)[21a, 21b, 21c]: (24)[24a, 24b, 24c] :
(25)[25a, 25b, 25c] : 아날로그스위치
(30)[30a, 30b, 30c] : 출력단자.
본 발명은 브러시레스모터, 특히 그 구동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3상 양방향 120° 통전방식의 브러시레스모터에있어서, 위치검출용의 홀(Hall)소자의 출력신호를 사용하여, 이 출력신호의 에지부의 경사파형과 같은 에지부를 갖는 통전신호를 고정자코일에공급함으로써, 스위칭드라이브방식과 동등한 효율로, 스위칭에 수반하는 음향노이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브러시레스모터구동회로이다.
종래의 브러시레스모터의 구동방식의 하나로서, 스위칭트랜지스터에의하여 통전의 전환(상전환)을 행하는 스위칭방식이 알려져 있다. 이 스위칭방식은 상(相)전환시의 급격한 전류변화, 특히 전류의 상승에 의하여 고정자(固定子) 및 회전(回轉子)의 진동이 높은 주파수에서 발생하고, 이로써 커다란 음향노이즈가 발생한다.
이 음향노이즈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서로의 일단이 공통접속된 고정자코일에 전해(電解)콘덴서와 같은 비교적 용량이 큰 콘덴서를 병렬로 접속함으로써, 전류파형을 완만해지도록 하고 있었다.
종래와 같이, 콘덴서를 사용하는 방법은 모터의 회전수가 낮을때에 효과적이 아니고, 또 모터의 회전수가 높을 때에는 통전전류의 위상지연이 생기고, 무효전류가 흘러서, 모터의 효율이 저하하는 결점이 있었다.
브러시레스모터의 다른 구동방식으로서, 정현파형(正弦波形)의통전전류를 사용하는 리니어드라이브방식이 알려져 있다. 이 리니어드 라이브방식은 음향노이즈가 발생하지 않지만, 모터효율이 스위칭방식에 비하여 현저하게 저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위칭드라이브방식과 동등한 모터효율이며, 상전환에 수반하는 음향노이즈가저감된 브러시레스모터구동회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모터의 기계적인 구조를 변경할 필요가 없고,구동 회로만의 치환으로 실현할 수 있는 브러시레스모터구동회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브러시레스모터구동회로는 브러시레스모터의 회전자마그네트의 자게(磁界)변화를검출하는 복수의 홀소자와, 상기 홀소자의 추력을 증폭하는 수단과, 상기 증폭수단의 출력의 최대 및 최소레벨의 각각을 소정 레벨로 규정하는 클램프수단과 상기 클램프수단의 서로 상이한 상(相 )의 출력신호를 가산하여, 최대레벨, 최소레벨에 평탄부를 가지는 동시에, 중간레벨에 대략 평탄부를 가지고, 또한 각 평탄부 사이에 경사부를 가지는 신호를 생성하는 가산수단을 가지도록 한 것이다.
홀소자의 출력신호의 파형은 회전자마그네트로부터의 자속(磁束)변화에 따른 파형으로 된다. 회전자마그네트와 홀소자와의 사이의 거리, 회전자마그네트의 무착자(無着磁)부분의 영역의 위치 또는 크기 등에 따라서, 홀소자의 출력신호의 파형은 대략 대형 파형(臺形波形)으로 된다. 이 홀소자의 출력신호의 에지부를 레벨시프트 또는 증폭한 파형을 취출함으로써 통전신호의 에지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통전신호의 에지부는 스위칭방식과 같이 급격하게 되지 않고, 음향노이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또, 홀소자의 출력파형을 이용하므로, 회전수가 변화해도,구동신호의 위상의 변화가 생기지 않고, 또한 대형파형의 구동신호이므로, 모터의 효율의 저하가 생기지 않는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a. 홀(Hall)소자의 출력신호의 파형정형(波形整形)
제1도는 홀소자의 출력신호의 파형정형회로를 나타내고, (1)[1a, 1b, 1c]의 각각은 回轉子) 마그네트로부터의 자속(磁束)에 비례한 출력전압을 발생하는 홀소자를 나타낸다. 홀소자(1a, 1b, 1c)에는, 전원단자(2)로부터의 전원전압 Vs 및 저항(3)에 의하여 형성된 구동전압이 공통으로 공급된다. 이 예에서는, 전압 Vs이 고정자(固定子)코일에 공급되는 전압과 같게 되어 있다.
홀소자(1)[1a, 1b, 1c]의 각각의 출력신호가 연산증폭기(4a, 5a, 4b, 5b, 4c 5c)에 의하여 증폭된다. 연산증폭기(4a, 4b, 4c)에 의하여 차동(差動)의 신호가 싱글엔드의 신호로 변환되고, 연산증폭기(5a, 5b, 5c)에 의하여 신호가 반전된다, 연산증폭기(4a)로부터 검출신호 A가 얻어지고, 연산증폭기(5 a)로부터 검출신호 A가 얻어진다. 검출신호 A 및 OVERLINEA는역상(逆相)의신호이다.연산증폭기(4b)및(4c)로부터 검출신호B및C가각각 얻어지고,연산증폭기(5b)및5c)로부터검출신호B 및C와역상의검출신호B및 C가각각얻어진다.
제2도 A는 검출신호 A, B, C의 각각을 나타낸다. 실선의파형이검출신호 A이고, 1점쇄선의 파형이 검출신고 B이고, 파선의 파형이 검출신호 C이다. 이들검출신호는 Vs/2를 중심레벨로 하는 대형파형(臺形波形)의 것이며, 전기각으로 120°씩 위상이 상이한 신호이다. 또, 이들 검출신호의 에지부의경사파형은 회전자마그네트의 무착자(無着磁)영역의 크기나, 회전자마그네트와 홀소자와의 갭 등에 대응한 파형으로 된다.
검출신호 A가 다이오드클램프회로(6a)에 공급되는 동시에, 검출신호 OVERLINEA가다이오드 클램프회로(7a)에공급된다. 마찬가지로, 검출신호 B, OVERLINEB,C,OVERLINEC 의 각각이 다이오드클램프회로(6)[6b, 7b,6c, 7c]에 공급된다. 이들 다이오드클램프회로(6a, 6b, 6c)는 검출신호의 최대레벨을 단자(8)로부터의 클램프전압으로 규정하고, 다이오드클램프회로(7)[7a, 7b, 7c]는 검출신호의 최소레벨을 단자(9)로부터의 클램프전압으로 규정한다. 단자(8)에는 (3/4·Vs-Vf)(단, Vf는 다이오드의 순방향 전압강하)의 클램프전압이 공급되고, 단자(9)에는 (1/4·Vs+Vf)의 클램프전압이 공급된다. 이 클램프회로(6a, 7a, …7c)의 각각의 출력신호가 버퍼앰프로서의 연산증폭기(10, 11)[10a, 11a, 10b, 11b, 10c, 11c]에 공급된다.
따라서, 연산증폭기(10a)의 출력에는 제2도 B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Vs/2를 중심레벨로 하고, 최대치가 (3/4·Vs)이고, 최소치가(1/4·Vs)의 대형파형의 검출신호a가 발생한다. 연산증폭기(10b)및 (10c)의 각각의 출력에는, 동일한 중심레벨, 최대치 및 최소치를 갖는 대형파형의 검출신호 b 및 c가 발생한다.
검출신호 a, b, c와 역상의 검출신호 a, b, c가 연산증폭기(11)[11a, 11b, 11c]의 각각으로부터 출력된다.
이들 검출신호 a, b, c 및 OVERLINEa, overlineb~, overlinec로부터 고정자코일의 통전파형이 생성된다. 또, 검출신호 A,overlineA, B,OVERLINEB, C, OVERLINEC로부터 스위칭펄스가 형서된다.
B. 통전파형생성회로
제3도는 이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통전파형생성회로를 나타낸다. 제3도에있어서, L[L1, L2, L3]은 고정자코일을 각각 나타낸다.이 일실시예는 3상 양방향 통전의 구성이고, 고정자코일 L1, L2, L3의 각각의 일단이 서로 접속되고, 각각의 타단이 출력단자 (30a,30b,30c)와 접속되어 있다. 이 3개의 고정자코일 L1,L2, L3의 각각의 통전파형을 생성하기 위한 회로구성이 3조 배설되어 있다. 최초에 고정자코일 L1의 통전파형을 생성하기 위한 회로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홀소자(1a)의 검출신호 a 및 홀소자(1b)의 검출신호 b의 반전된 신호 b의각각이 다이오드 및 저항으로 이루어지는 신호합성회로인비가산합성회로(non-addermixing circuit)(12a)에 공급된다.비가산합성회로(12a)로부터 신호 a 및 신호 하여 보다 큰 레벨쪽의 신호가 출력된다. 이 비가산합성회로(12a)의 출력신호가 버퍼용 및 다이오드 순방향전압(Vf) 캡슐용의 연산증폭기(14a)에 공급된다.
검출신호 a가 반전된신호 overlinea 및 검출신호 b의 각각이 다이오드 및 저항으로 이루어지는 비가산합성회로(13a)에 공급된다. 비가산합성회로(13a)로부터 신호 overlinea 및 신호 b에 대하여 보다 작은 레벨쪽의 신호가 출력된다. 이 비가산합성회로(13a)의 출력신호가 버퍼용및 다이오드순방향전압 캔슐용의 연산증폭기(15a)에 공급된다.
연산증폭기(14a)의 출력신호가 연산증폭기(16a)에 공급되는 동시에, 연산증폭기(15a)의 출력신호가 연산증폭기(17a)에 공급된다. 연산증폭기(16a) 및 (17a)는 레벨시프트용의반전엠프이다. 연산증폭기(16a)의 입력신호에 단자(18)로부터 Vs/4의 직류전압이 가산되고, 연산증폭기(17a)의 입력신호에 단자(19)로부터(3/4)Vs의 직류전압이 가산된다. 연산증폭기(16a)의 출력신호가 아날로그스위치(20a)에 공급되고, 연산증폭기(17a)의출력신호가 아날로그스위치(21a)에 공급된다. 상기 다이오드클램프회로(6, 7), 비가산합성회로(12, 13) 및 아날로그스위치(20, 21)는 구동신호발생회로를 구성한다.
아날로그스위치(20a)의 출력신호가 버퍼앰프로서의 연산증폭기(22a)를 통하여 아날로그스위치(24a)에 공급된다. 이 아날로그스위치(24a)의 출력신호가 출력단(出力段)을 구성하는 npn형 트랜지스터(26a)의베이스에 공급된다. 마찬가지로, 아날로그스위치(21a)의 출력신호가 연산증폭기(23a) 및 아날로그스위치(25a)를 통하여 출력단의 pnp형 트랜지스터(28a)의 베이스에 공급된다. 아날로그스위치(20a) 및 (24a)의 양자는 단자(31)로부터의 스위칭펄스가 하이레벨일 때에 온하고, 아날로그스위치(21a) 및 (25a)의 양자는단자(32)로부터의 스위칭펄스가 하이레벨일 때에 온한다.
트랜지스터(26a)의 에미터가 npn형 트랜지스터(27a)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트랜지스터(28a)의에미터가 pnp형 트랜지스터(29a)의 베이스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27a)의 콜렉터가 전원전압 Vs의 전원단자에 접속되고, 트랜지스터(29a)의 콜렉터가 접지된다. 트랜지스터(27a)의 에미터 및 트랜지스터(29a)의 에미터가 서로접속되어, 출력단자(30a)로서도출된다. 이 출력단자(30a)와 연산증폭기(22a) 및 (23a)의 입력단자가 접속된 부귀환로(負歸還路)가 배설되어 있다. 따라서, 출력단자(30a)에는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미터간전압강하를 포함하지 않으며, 연산증폭기(22a) 및 23a)의 입력전압과 같은 출력전압이 발생한다. 상기 트랜지스터(26∼29)는 출력증폭기를 구성한다.
전술한 출력단자(30a)에 발생하는출력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회로구성과 동일한 회로구성이 출력단자(30b) 및 (30c))의 각각과 관련하여 배설되어 있다.
출력단자(30b)에 취출되는 출력전압은 신호 b, 신호 overlinec , 신호overlineb , 신호 c로부터형성된다. 또,출력단자(30c)에 취출되는 출력전압은신호 c,신호 overlinea , 신호overlinec ,신호 a로부터형성된다.이들 출력전압을형성하기위한 각회로부분에대하여, b,c의각각의 부호가부가된참조번호를붙이고, 그설명에대하여는 생략한다.
단 (33)은 아날로그스위치(20b) 및 (24b)를 제어하는 스위칭펄스의 입력단자를 나타내고, (34)은 아날로그스위치(21b) 및 (25b)를 제어하는 스위칭펄스의 입력단자를 나타내고, (35)은 아날로그스위치(20c) 및 (24c)를 제어하는 스위칭펄스의 입력단자를 나타내고, (36)은 아날로그스위치(21c) 및 (25c를 제어하는 스위칭펄스의 입력단자를 나타낸다c. 스위칭펄스의 발생
전술한 단자(31∼36)의 각각에 공급되는 스위칭펄스는 제4도에 나타낸스위칭펄스 발생회로에 의하여 형성된다. 제4도에 있어서(4, 42, 43, 44, 45, 46, 51, 52, 53, 54, 55, 56)이 레벨콤퍼레이터를 각각 나타낸다.
레벨콤퍼레이터(41∼46)의 한쪽의 입력단자에 기준전압(3/4)Vs이 공급된다.이들 레벨콤퍼레이터(41∼46)는 다른 쪽의 입력단자에 공급되는 입력전압의 레벨이(3/4)Vs보다 낮을 때에 하이레벨의 출력을발생하고, 역의 경우에 로레벨의 출력을 발생한다.
레벨콤퍼레이터(51∼56)의 다른 쪽의 입력단자에 기준전압(1/4Vs이 공급된다. 이들 레벨콜퍼레이터(51∼56)는 한쪽의 입력단자에 공급되는 입력전압의 레벨이 (1/4Vs 보다 높을 때에 하이레벨의 출력을 발생하고,역의 경우에 로레벨의 출력을 발생한다.
레벨콤퍼레이터(41, 42, 43)의 각각의 다른 쪽의 입력단자와 레벨콤퍼레이터(51, 52, 53)의 각각의 한쪽의입력단자에, 홀소자(1a, 1b, 1c)로부터의 검출신호 A,B,C가 공급된다. 또, 레벨콤퍼레이터(44, 45, 46)의 각각의 다른 쪽의 입력단자와 레벨콤퍼레이터(54, 55, 56)의 각각의 한쪽의 입력단자에 반전된 검출신호 A,B,C가 공급된다.
AND게이트(61)에 레벨콤퍼레이터(51)의 출력 및레벨콤퍼레이터(55)의 출력이 공급된다.다른 and게이트(62,63,64,65,66)의 각각에는, 다음과 같이 레벨콤퍼레이터의 출력이 공급된다.
AND게이트(62) : 레벨콤퍼레이터(41) 및 (45)의 출력
AND게이트(63) : 레벨콤퍼레이터(52) 및 (56)의 출력
AND게이트(64) : 레벨콤퍼레이터(42) 및 (46)의 출력
AND게이트(65) : 레벨콤퍼레이터(53) 및 (54)의 출력
AND게이트(66) : 레벨콤퍼레이터(43) 및 (44)의 출력
AND게이트(61,62,63,64,65,66)의 각각으로부터 스위칭펄스가 발생하는단자(31,32,33,34,35,36)가도출된다.
전술한 스위칭펄스발생회로에 대하여, 단자(31) 및 (32)에 취출되는 스위칭펄스의 생성에 대하여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호 A(실선으로 나타냄) 및 신호B(1점쇄선으로 나타냄)의 각각과 기준전압 (1/4)Vs 및 (3/4)Vs과의 레벨관계에 따라서, 레벨콤퍼레이터(41)의 출력은 (A,(3/4)Vs)에서 하이레벨로 되고, 레벨콤퍼레이터(45)의 출력은 (B(3/4)Vs에서 하이레벨로 되고, 레벨콤퍼레이터(51)의 출력은 (A,(1/4)Vs)에서 하이레벨로 되고, 레벨콤퍼레이터(55)의 출력은 (B(1/4)Vs에서 하이레벨로 된다. 따라서, AND게이트(61)에 의하여 형성되고, 단자(31)에 발생하는 스위칭펄스 및 AND게이트(62)에 의하여 형성되고,단자(32)에 발생하는 스위칭펄스는 각각 제5도에 나타낸 것으로 된다. 이들 스위칭펄스가 하이레벨의 기간에서 아날로그스위치(20a, 24a)와 아날로그스위치(21a 25a)가 온한다.
d. 통전파형의 생성동작제6도를 참조하여, 출력단자(30a)에 발생하는 출력전압 즉 통전파형의 생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신호 a 및 신호 overlineb가 비가산합성회로(12a)에 공급되어,양자의신호에서 보다큰레벨을 갖는제6도A에나타낸 신호가연산증폭기(14a)의출력에발생한다. 또,신호overlinea 및신호 b가비가산합성회로(13a)에공급되고, 양자의신호에서보다 작은레벨을갖는 제6도 B에나타낸신호가연산증폭기(15a)의 출력에발생한다.연산증폭기(14a)의 출력신호(제6도 A)는(1/2)Vs를중심레벨로 하고,최대치를(3/4)Vs, 최소치를(1/4)Vs로하는 신호이다.연산증폭기(15a)의출력신호(제6도B)는 같은레벨의신호이다.
연산증폭기(16a)의 출력에는, 제6도A에 나타낸신호가 (1/4)VS의 레벨, 상승방향으로 시프트되는 동시에 반전됨으로써, 제6도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1/2)Vs∼Vs]의 레벨의 신호가발생한다. 연산증폭기(17a)의 출력에는, 제6도 B에 나타낸 신호가 (1/4)Vs의 레벨, 감소방향으로 시프트되는 동시에 반전됨으로써,제6도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0∼(1/2)Vs]의 레벨의 신호가 발생한다.
단자(31)로부터의 제6도 E에 나타낸 스위칭펄스에 의하여,제6도 C에 나타낸 신호의 대략 이레벨의 구간이 아날로그스위치(20a)(24a)의 출력에 취출된다. 단자(32)로부터의 제6도 F에 나타낸 스위칭펄스에 의하여 제6도 D에 나타낸 신호의 대략 로레벨의 구간이 아날로그스위치(21a, 25a)의 출력에 취출된다. 따라서, 출력단자(30a)에는 아날로그스위치에 의하여 게이트된 2개의 신호파형을 합성한 제6도 G에 나타낸 출력전압이 발생한다.
전술한 출력전압과 마찬가지로 하여 형성된 출력전압이 출력단자(30b,30c)의 각각에 취출된다. 제6도 H에 있어서, 실선의 파형이 출력단자(30a)에발생하는 출력전압을 나타내고, 파선의파형이 출력단자(30b)에 발생하는 출력전압을 나타내고, 1점쇄선의 파형이 출력단자(30c)에발생하는 출력전압을 나타낸다. 이 제6도 H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자코일 L1, L2, L3에 각각 120°보다 약간 큰 통전구간씩 순차 통전이 행해진다.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자코일 L1 및 L2을 흐르는 전류를 I1로 나타내고, 고정자코일 L1 및 L3을 흐르는 전류를 12로 나타내면, 출력단자(30a)가 Vs이고, 출력단자(30b)가 (1/2)Vs이고, 출력단자(30c)가0의 전압구간에서는 (1112)로 된다. 이 다음에, 11이 서서히 감소하고, 12가 서서히 증대하여, 출력단자(30b)의전압과 출력단자(30c)의 전압이 같게 (1/2)Vs로 될 때에 (11-12)로 된다. 그리고, 11이 더 감소하는 동시에, 12가 더 증대하여, (1112)로 된다. 즉, 상전환이 서서히 이루어지고, 상전환시의 급격한 전류변화에 의하여 음향노이즈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 120°마다의상전환시점에서 통전구간이 오버랩함으로써, 성전환에 수반하는 토크의 저하를 캔슐할 수 있다.
제6도 H에서는, 통전파형은 (3/4)Vs 및 (1/4)Vs의 점에서, 크로스오버하고 있지만, 토크를 보다 작게 하기 위하여 (3/4)Vs 보다 높은 점 및 (1/4)Vs 보다 낮은 점에서 크로스오버하도록 설계할 경우도 있다. 또한, 통전파형이 (1/2)Vs의 일정한 레벨로 되는 구간에서는, 고정자코일 L1, L2, L3 중에서, 1개의 고정자코일에 전혀 전류가 흐르지 않으며, 모터의 효율의 향상 및 토크불균일의 발생이 방지되고 이다.
전술한 일실시예에서는, 고정자코일 L1, L2, L3에 인가되는 전압 Vs에 대하여,(1/2)Vs.의 진폭의 검출신호 a, b, c를 형성하고 있다.그러나 검출신호 a, b, c의 진폭을 V1로 나타내면, (V1=Vs/2n) (n: 정수)진폭의 검출신호를 사용하고, 이 검출신호를 증폭하여 통전용의 신홀르 형성해도 된다.
그리고, 실제의 회로에서는, 제6도 H의 사선으로 나타낸 영역이 전기각으로 2°∼30°의 범위에서 가변할 수 있도록 통전파형의 경사부의 경사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e. 다른 실시예
제7도 및 제8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다른 실시예는 3개의 홀소자의 검출신호 A, B 및 C(제2도 A 참조)의 2개의 검출신호끼리를 감산함으로써 형성된 제9도 A에 나타낸 신호 α,β,γ를 사용하여 통전파형을 생성하는 것이다. 즉, 신호 α는 (A-B)에의하여 형성되고, 신호 β는 (B-C)에 의하여 형성되고, 신호 γ는 (C-A)에 의하여 형성된다. 1상의 통전파형의 생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7도는 신호 α를 생성하는 가산회로의 일예를 나타낸다. 이 가산회로는 연산증폭기(70)에 의하여 구성된 것이고, 입력신호로서, 검출신호 A와 검출신호 B가 반전된 신호 B가 공급된다. 따라서,이 가산회로에 의하여 신호 α(A+B=A-B)가 형성된다. 이 신호 α는 다른 신호 β 및 γ와 마찬가지로 (1/2)Vs의 중심레벨을 갖는다.제8도에 있어서, (71)로 나타낸 입력단자에 신호 α가 공급된다. 이 신호 α가 연산증폭기(72) 및 연산증폭기(73)에 공급된다. 연산증폭기(72)는 (+V2/2) 레벨시프트되는 동시에, 반전된 신호 α1를 발생한다. 연산증폭기(73)는 (-V2/2) 레벨시프트되는 동시에, 반전된 신호 α1를 발생한다. 제9도 B에는, V2의 레벨만큼 상이한 신호 α1 및 신호 α2의 파형이도시되어 있다.
신호 α2가 아날로그스위치(74) 및 레벨콤퍼레이터(76)에 공급된다. 신호 α1가 아날로그스위치(75) 및 레벨콤퍼레이터(77)에 공급된다. 레벨콤퍼레이터(76)는신호 α2의 레벨이 기준레벨 (1/2)Vs 보다 큰기간에서 하이레벨로 되는 제9도C에 나타낸 스위칭펄스를 발생한다.레벨콤퍼레이터(77)는신호 α1의 레벨이 기준레벨 (1/2)Vs 보다 작은 기간에서 하이레벨로 되는 제9도 D에 나타낸 스위칭펄스를 발생한다. 레벨콤퍼레이터(76)로부터의 스위칭펄스가 하이레벨의 기간에서 아날로그스위치(74)가 온하고, 출력단자(78)에는 신호 α2의파형중에서 (1/2)Vs 보다 레벨이 큰 구간의 파형이취출된다. 레벨콤퍼에이터(77)로부터의 스위칭펄스가 하이레벨의 기간에서 아날로그스위치(75)가 온하고, 출력단자(79)에는 신호 α1의 파형중에서, (1/2)Vs 보다 레벨이 작은 구간의 파형이 취출된다.
이 출력단자(78) 및 (79)의 각각에는, 전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한 출력회로를통하여 고정자코일이 접속되어 있다 .출력회로에 의하여, 출력단자(78) 및 (79)의 각각에 발생하는 출력전압이 합성된 전압은 제9도 E에 나타낸 것으로 된다. 이 제9도E에 나타낸 통전파형은 전술한일실시예에 있어서의 통전파형(제6도 G)과 동일한 파형으로 된다. 따라서, 상환전시의 급결한 전류변화가 방지되고, 또 통전구간이 오버랩하고, 또한 1개의 고정자코일에 전혀 전류가 흐르지 않는 구간이 형성된다. 이밖의 실시예에서는, 통전파형의 경사각 및 통전각은 신호 α1 및 α2간의 오프세트의 양, 레벨콤퍼레이터의 기준레벨 등에 의하여 설정된다.
f. 변형예
본 발명은 3상 양방향 통전방식에 한하지 않고, 3상 편방향 120°통전방식, 2상 90°통전방식, 4상 90°통전방식의 각 통전방식의 브러시레스모터에 적용할 수 있다.
제10도는 2상 양방향 90°통전방식의 브러시레스모터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의 통전파형의 생성을 나태낸 파형도이다. 제10도A는 2개의 홀소자의 검출신호 A 및 B를나타낸다. 이 검출신호 A 및 B는 전술한 일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진폭이 Vs로 된다. 그리고, 검출신호 A 및 B의 양자의최대치가 검출되고, 제10도 B에 나타낸 신호가 형성되는 동시에, 양자의 최소치가 검출되어, 제10도C에 나타낸 신호가 형성된다.
홀소자의 검출신호 A 및 B로부터, 제10도D 및 제10도E에각각 나타낸 스위칭펄스가 발생된다. 제10도B에 나타낸 신호가 반전되는 동시에, 레벨시프트된 신호로부터 제10도D에 나타낸 스위칭펄스가 하이레벨의 기간의 파형이 취출된다. 마찬가지로, 제10도C에 나타낸 신호가 반전되는 동시에, 레벨시프트된 신호로부터 제10도E에 나타낸 스위칭펄스가 하이레벨의 기간의 파형이 취출된다. 스위칭된 2개의 파형을 합성함으로써, 제10도F에 나타낸 통전파형이 얻어진다. 제10도G에 있어서, 실선 및 파선의 각각으로 나타낸 통전파형이 고정자코일에 공급된다.
이 제10도F 및 제10도G에 나타낸 통전파형은 상전환시의 전류변화가 완만한 것이며, 전술한 일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와 같은 특징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전환시의 전류변화가 완만하게 되어, 스위칭방식에 있어서의 음향노이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홀소자의 검출신호가 갖고 있는 경사파형을 통전파형의 경사부로 하므로, 콘덴서를 필요없게 할 수 있고, 염가의 구성으로 할 수 있는 동시에, 기동시와 같이 모터의 회전수가낮을 때에도, 음향노이즈의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리니어드라이브방식과 같이 모터효율의 저하가 생기기 않는 이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은 브러시레스모터의 기게적 구조를 변경할 필요가없이, 구동회로만의 치환으로 실현할 수 있다.

Claims (4)

  1. 브러시레스모터의 회전자마그네트의 자계(磁界)변화를 검출하는 복수의 홀소자와, 상기 홀소자의 출력을증폭하는 수단과, 상기 증폭수단의 출력의 최대 및 최소레벨의 각각을 소정 레벨로 규정하는 클램프수단과, 상기 클램프수단의 서로 상이한 상(相)의 출력신호를 가산하여, 최대레벨, 최소레벨의 평단부를 가지는 동시에, 중간레벨에 대략 평탄부를 가지고, 또한 각 평탄부사이에 경사부를 가지는 신호를 생성하는 가산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레스모터구동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전기각으로 2∼30°의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브러시레스모터구동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구동신호발생회로는 또한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수단과, 구동신호를 생성할 때에 이용되는 스위칭펄스를 발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레스모터구동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구동신호발생회로는 상기 홀소자에 접속된 연산증폭기와, 신호합성회로와,아날로그스위치와, 직렬의 출력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레스모터구동회로
KR1019950009912A 1985-09-20 1995-04-26 브러시레스모터구동회로 KR01307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5-208148 1985-09-20
JP60208148A JPH0736713B2 (ja) 1985-09-20 1985-09-20 ブラシレスモ−タ
KR1019860007776A KR940009965B1 (ko) 1985-09-20 1986-09-16 브러시레스모터구동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30716B1 true KR0130716B1 (ko) 1998-04-09

Family

ID=26516677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9911A KR0130717B1 (ko) 1985-09-20 1995-04-26 브러시레스모터구동회로
KR1019950009912A KR0130716B1 (ko) 1985-09-20 1995-04-26 브러시레스모터구동회로
KR1019950009910A KR0130718B1 (ko) 1985-09-20 1995-04-26 브러시레스모터구동회로
KR1019950009909A KR0130719B1 (ko) 1985-09-20 1995-04-26 브러시레스모터구동회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9911A KR0130717B1 (ko) 1985-09-20 1995-04-26 브러시레스모터구동회로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9910A KR0130718B1 (ko) 1985-09-20 1995-04-26 브러시레스모터구동회로
KR1019950009909A KR0130719B1 (ko) 1985-09-20 1995-04-26 브러시레스모터구동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013071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30719B1 (ko) 1998-04-09
KR0130718B1 (ko) 1998-04-09
KR0130717B1 (ko) 1998-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9965B1 (ko) 브러시레스모터구동회로
US4491771A (en) Motor apparatus using PWM drive currents
US3769555A (en) Electronic control device in particular for use in a variable reluctance motor
US4066935A (en) Stator winding control circuit for a brushless d.c. motor
US5122715A (en) Drive device for a brushless motor
US4418303A (en) DC Motor control circuit
KR0130716B1 (ko) 브러시레스모터구동회로
US20050105897A1 (en) Motor control circuit
JPS6332038B2 (ko)
US5414331A (en) Drive circuit for brushless motor
JP2685046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
JP2685045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の駆動方法
GB2272807A (en) Motor control for a brushless motor
JPS6333395B2 (ko)
JP2646675B2 (ja) モータのスイツチング駆動回路
JP3300637B2 (ja) ブラシレス直流モータ
KR930005383B1 (ko) 2상 브러쉬모터 제어회로
JP3578903B2 (ja) ブラシレス直流モータ及びブラシレス直流モータの駆動制御方法
JP2541194B2 (ja) ブラシレスモ−タ
JPS6011758Y2 (ja) ブラシレスモ−タの正逆回転制御装置
CN1177803A (zh) 线圈负载驱动电路
JPH118991A (ja) 直流ブラシレスモータ駆動回路
JP2544582B2 (ja) モ―タ駆動回路
JPS6226274B2 (ko)
JPH01270792A (ja) リニアモータの電流検出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31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