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584Y1 -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584Y1
KR0130584Y1 KR2019950021320U KR19950021320U KR0130584Y1 KR 0130584 Y1 KR0130584 Y1 KR 0130584Y1 KR 2019950021320 U KR2019950021320 U KR 2019950021320U KR 19950021320 U KR19950021320 U KR 19950021320U KR 0130584 Y1 KR0130584 Y1 KR 01305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refrigerator
pipe
beverage container
connection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13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0633U (ko
Inventor
오길수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500213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584Y1/ko
Publication of KR9700106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06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5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5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3Valves
    • B67D2001/0094Valve mountings in disp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1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filter for the water/ice dispen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2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tank for the water/ice dispen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6Disp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에 고나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음료통을 펌프측과 용이하게 착,탈 할 수 있고 또 정수기능이 구비된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냉장고 본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도아, 상기 도아의 전면에 내곡, 형성된 컵수납부, 상기 도아의 배면에 설치되며 분획판에 의해 개방실과 밀폐실로 구획된 음료통케이스, 상기 밀폐실에 내장되고 일측에는 상기 분획판에 결합되는 유입관, 타측에는 유출관이 구비되어 음료통의 음료를 펌핑하는 펌프, 상기 개방실에 삽,탈되며 상기 유입관에 착,탈되는 흡입관이 마련된 음료통, 일측은 상기 유출관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컵수납부로 연장되어 음료를 공급받는 음료공급관을 구비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냉장고의 컵수납부를 보인 냉장고의 사시도.
제2도는 종래 음료공급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보인 냉장고 도아의 일부 절개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음료통케이스의 사시도.
제4도(a)는 본 고안에 따른 음료통 및 정수기의 사시도.
(b)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의 단면도.
제5도는 제3도의 A부로서 연결호스에 음료통의 흡입관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음료공급장치의 결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도아 41 : 컵수납부
42 : 음료공급관 50 : 음료통
52 : 덮개 56 : 하부케이스
60 : 정수기 70 : 음료통케이스
71 : 개방실 72 : 밀폐실
73 : 분획판 75 : 연결호스
80 : 펌프 90 : 회로부
본 고안은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음료통을 펌프측과 용이하게 착,탈 할 수 있고 또 정수기능이 구비된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일반적인 냉장고의 음료공급부를 보인 냉장고의 사시로서, 냉장고본체(10)의 개방된 일면에 도아(20)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도아(20)의 전면에 컴수납부(21)가 내곡, 형성된다.
종래 음료공급장치는 제2도에 도시하듯이, 도아(20)의 배면에는 음료통(30)이 컵수납부(21)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음료통(30)은 마개(33)를 매체로 음료공급관(31)의 일측과 결합된다. 상기 음료공급관(31)의 타측은 상기 컵수납부(21)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음료공급관(31)은 피스톤(32) 및 밸브(미도시)등이 내장된 밸브체로, 상기 피스톤(32)을 누르면 밸브가 개방되어 자연낙수에 의해 물이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 구조의 종래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는, 첫째, 음료통이 음료공급관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자연낙수에 의해 음료를 긍급하는 방식이므로 음료통을 설치할 수 있는 위치 및 음료통의 용적이 제한적이며, 둘째, 음료통을 음료공급관과 분리하려면 음료통과 음료공급관을 연결하는 마개를 회전시켜야 하므로 음료통을 분리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이로인해 음료통 및 음료공급관을 청소하기가 불편하여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첫째, 음료통의 설치 위치 및 음료통의 용적에 제한을 받지 않는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 둘째, 음료통을 음료공급관에서 용이하게 분해, 결합할 수 있어 음료통 및 음료공급관의 청결유지에 유리한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 셋째, 음료의 정화기능이 구비된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냉장고 본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도아, 상기 도아의 전면에 내곡, 형성된 컵수납부, 상기 도아의 배면에 설치되며 분획판에 의해 개방실과 밀폐실로 구획된 음료통케이스, 상기 밀폐실에 내장되고 일측에는 상기 분획판에 결합되는 유입관, 타측에는 유출관이 구비되어 음료통의 음료를 펌핑하는 펌프, 상기 개방실에 삽,탈되며 상기 유입관에 착,탈되는 흡입관이 마련된 음료통, 일측은 상기 유출관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컵수납부로 연장되어 음료를 공급받는 음료공급관을 구비하는 구성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는 냉장고 본체(100)의 일면에 개,폐가능하도록 도아(40)가 설치되고, 상기 도아의 전면에 냉장고 본체 내부에 설치된 음료통에서 공급되는 음료를 받는 컵수납부(41)가 내곡, 형성된다. 상기 내곡부(41)의 배면 일측에는 음료공급관(42)이 설치되고, 또 다른 일측에는 스위치(43)가 설치된다. 상기 도아의 배면에는 음료통이 삽,탈되는 음료통케이스가 설치된다.(제5도참조)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음료통케이스(70)는 제3도에 도시하듯이, 도아(40)의 배면 적당한 곳에 결합되고, 분획판(73)에 의해 일측은 개구부가 있는 개방실(71)로 타측은 밀폐실(72)로 마련된다. 상기 개방실(71)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음료통(50)이 삽,탈되며, 상기 밀폐실(72)에는 상기 음료통의 음료를 펌핑하여 상기 컵수납부에 있는 음료공급관으로 공급하는 펌프(80)와 상기 펌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로부(90)가 내장된다. 상기 펌프(80)의 일측에는 상기 음료통(50)측과 연결되는 유입관(81), 타측에는 상기 컵수납부(41)의 음료공급관(42)측과 연결되는 유출관(82)이 마련된다. 상기 회로부(90)는 상기 컵수납부(41)에 설치된 스위치(43)와 전기,접속되는데, 상기 스위치(43)를 누르면 그 신호를 회로부(90)에서 전달받아 상기 펌프(80)의 구동을 명령하고, 펌프가 구동되면 음료통의 음료가 펌핑되어 컵수납부의 음료공급관(42)으로 전달되는 것이다.
제4도에 도시하듯이 본 고안에 따른 음료통(50)은 하부케이스(56)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덮개(52)로 마련되고, 하부케이스 내부에는 정수기(60)가 설치된다.
상기 하부케이스(50)의 측면 일측에는, 음료통을 음료통케이스(70)에 용이하게 삽,탈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51)가 형성된다.
상기 덮개(52)에는, 일측은 상기 정수기측과 연결되고 타측은 펌프의 유입관(81)측과 연결되는 흡입관(53)이 상기 덮개(52)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덮개의 외측으로 연장된 흡입관(53)의 외주연에는 음료통의 음료가 흡입관을 통하여 펌프측으로 전달될 때, 연결부위로 음료가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누설방지링(54)이 끼워지는 삽입홈(53a)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53a)의 전방측의 흡입관 외경은 견고한 밀봉을 위해 다소 작게 형성된다.
상기 정수기(60)는 제4도(a)에 도시하듯이, 상기 정수기(60)에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제1필터(61a),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전기석(61b), 미세물질을 걸러주는 제2필터(61c)가 내장된 정수기이다. 상기 정수기(60)의 상면에는 정수기를 통과한 음료를 배출하는 배출관(62)의 일단이 연통,설치되고, 상기 배출관(62)은 상기 흡입관(53)과 연결된다. 또 하면은 개방되게 마련되되, 상기 개방된 하면에는 음료통 내의 음료가 정수기로 유입되도록 하는 음료흡입케이스(63)가 마련된다.
제5도에 도시하듯이, 상기 음료통케이스(70)는 분획판(73)에 의해 밀폐실(72)과 개방실(71)로 구획되고, 상기 분획판(73)에는 연결부(77)가 마련된다.
상기 연결부(77)는 밀폐실 측으로 돌출 마련되되, 그 돌출면에는 상기 음료통측과 펌프측을 연결하는 연결공(74)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74)에는 연결호스(75)가 결합된다.
상기 연결공(74)이 형성된 분획판에는 연결공의 내경보다 조금 큰 고정리브(73a)가 분획판에 일체로 연결공과 동심원을 이루며 개방실측으로 돌출,형성된다. 또 상기 연결공(74)의 내주연과 일체로 밀폐실측으로 지지관(73b)이 돌출,형성된다. 상기 연결공(74)에 결합된 연결호스(75)는 일측은 상기 펌프의 유입관(81)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덮개의 흡입관(53)과 연결된다. 상기 연결호스(75)의 몸체외측에는 상기 고정리브(73a)가 끼워져 상기 연결호스가 상기 분획판(73) 내,외로 유동됨을 방지하는 고정홈(75a)이 형성되고, 음료통측의 몸체 내주연에는 상기 흡입관(53)의 누설방지링(54)이 끼워져 음료가 누설됨을 방지하는 밀봉홈(75b) 및 밀봉돌기(75c)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호스(75)와 유입관(81)은 견고하게 결합되고, 연결호스와 흡입관(53)은 용이하게 분해,결합되는 구조인 것이다.
상기 구조로 된 본 고안에 따른 음료공급장치의 결합방법 및 작동을 제6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펌프(80) 및 회로부(90)가 내장된 음료통케이스(70)를 도아(40)의 배면 적소에 설치하고 연결공(74)에 연결호스(75)를 결합한 후, 펌프의 유입관(81)과 연결호스를 견고하게 결합한다. 그리고 펌프의 유출관(82)과 음료공급관(42)을 연결하고, 회로부(90)와 스위치(43)을 전기,접속한다. 상기 음료통케이스의 개방실에 음료통을 삽입하고 상기 연결호스(75)와 음료통의 흡입관을 연결한다. 그리고 컵수납부(41)에 컵들 재치하고 스위치(43)를 누르면 회로부(90)에서 이 신호를 전달받아 펌프(80)의 구동을 명령한다. 상기 펌프(80)가 작도오디면 음료통(50)내의 음료가 정수기(60), 연결호스(75), 유입관(81), 유출관(82)을 거쳐 컵수납부(41)의 음료공급관(42)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사용중 청소를 하여야 할 경우에는, 흡입관(53)과 연결호스(75)를 분리하고 음료통을 음료통케이스에서 꺼내어 청소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하듯이, 본 고안은 펌프에 의해 음료통의 음료가 강제로 공급되므로 음료통을 어느곳에나 설치할 수 있고, 이로인해 넓은 공간만 제공되면 그 용적도 크게 할 수 있는 특징이 있고, 음료통을 음료공급관측과 용이하게 분해, 결합할 수 있음은 물론 음료를 정화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되어 대단히 위생적인 특징이 있다.

Claims (5)

  1. 냉장고 본체(100)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도아(40), 상기 도아(40)의 전면에 내곡, 형성된 컵수납부(41) 상기 도아(40)의 배면에 설치되며 분획판(73)에 의해 개방실(71)과 밀폐실(72)로 구획된 음료통케이스(70), 상기 밀폐실(72)에 내장되고 일측에는 상기 분획판(73)에 결합되는 유입관(81), 타측에는 유출관(82)이 구비되어 음료통의 음료를 펌핑하는 펌프(80), 상기 개방실(71)에 삽,탈되며 상기 유입관(81)에 착,탈되는 흡입관(53)이 마련된 음료통(50), 일측은 상기 유출관(82)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컵수납부(41)로 연장되어 음료를 공급받는 음료공급관(4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81)의 단부에는 연결호스(75)가 결합되고, 상기 분획판(73)에는 상기 밀폐실(72)측으로 돌출,마련되어 상기 연결호스를 지지하는 지지관(73b)과 상기 개방실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호스의 유동을 방지하는 고정리브(73a)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호스(75)의 몸체 외측에는 상기 고정리브(73a)가 삽입되어 연결호스가 상기 분획판(73)내,외로 유동됨을 방지하는 고정홈(75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통(50)은 하부케이스(51)와 상기 하부케이스(51)를 엎어주는 덮개(52)로 마련되고, 상기 하부케이스(51)는 측면 일측에 마련된 손잡이(51)와 내부에 내장된 정수기(60)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52)에는 상기 흡입관(53)이 관통,설치되되, 상기 흡입관(53)은 그일측은 상기 정수기(60)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연결호스(75)와 연결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호스(75)와 연결되는 상기 흡입관(53)의 외주연에는 삽입홈(53a)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53a)에는 음료가 누설됨을 방지하는 누설방지링(54)이 상기 흡입관(53)이 결합되는 상기 연결호스(75)의 내주연에는 상기 흡입관(53)이 결합될 때 밀봉기능을 하는 밀폐돌기(75c) 및 상기 누설방지링(54)이 끼워지는 밀봉홈(75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60)는, 그 내부에 이물질을 걸러주는 제1필터(61a),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전기석(61b), 미세물질을 걸러주는 제2필터(61c)가 내장되고, 그 하면은 개방되어 상기 음료통(50)내의 음료가 흡입되도록 하는 음료흡입케이스(63)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
KR2019950021320U 1995-08-18 1995-08-18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 KR01305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1320U KR0130584Y1 (ko) 1995-08-18 1995-08-18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1320U KR0130584Y1 (ko) 1995-08-18 1995-08-18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633U KR970010633U (ko) 1997-03-29
KR0130584Y1 true KR0130584Y1 (ko) 1999-01-15

Family

ID=19420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1320U KR0130584Y1 (ko) 1995-08-18 1995-08-18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58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633U (ko) 199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99815B2 (ja) 自己排出型真空掃除機
TR199700189A2 (xx) Kimyevi maddeler i�in bo�altma tertibat�.
EP0679107B1 (en) Gas expelling device
US4749477A (en) Portable swimming pool filter
KR850006121A (ko) 건·습식 진공 소제기
KR0130584Y1 (ko)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
KR100686118B1 (ko)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
RU99105739A (ru) Вращающийся водоотделитель барабанного тип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здания вакуума
KR0115228Y1 (ko)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
KR200151726Y1 (ko) 진공청소기(버큠펌프)의 오물자동 배출장치
EP1162300A3 (en) Discharge unit for washing machine
JP3819320B2 (ja) 浄水器
KR0149846B1 (ko) 기구의 배수회로에서의 역류방지구조
KR0132919B1 (ko)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
CN214549329U (zh) 一种水阀集成组件及其洗碗机
CN216256945U (zh) 一种箱体及清洁设备
KR0115227Y1 (ko)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
JPH0346709Y2 (ko)
KR0160420B1 (ko)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
KR200176973Y1 (ko) 지하수 양수장치
KR100229083B1 (ko) 진공청소기용 부속품 보관장치
KR920008768Y1 (ko) 워터펌프
KR200239821Y1 (ko) 냉장고물디스펜서의착탈식수로연결장치
CN114250597A (zh) 上排水洗衣设备
KR910007080Y1 (ko) 튜우브형 치약 토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