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405B1 - Treatment of light weight foam concrete panel - Google Patents

Treatment of light weight foam concrete panel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405B1
KR0130405B1 KR1019950000625A KR19950000625A KR0130405B1 KR 0130405 B1 KR0130405 B1 KR 0130405B1 KR 1019950000625 A KR1019950000625 A KR 1019950000625A KR 19950000625 A KR19950000625 A KR 19950000625A KR 0130405 B1 KR0130405 B1 KR 0130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rtar
concrete panel
mold
reinforcing ba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06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60029273A (en
Inventor
하쓰끼 오니쓰까
유지 고바야시
다까오 히로따
시게오 시이하시
미찌아끼 가네다
Original Assignee
유미꾸라 레이찌
아사하기세이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미꾸라 레이찌, 아사하기세이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유미꾸라 레이찌
Priority to KR1019950000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405B1/en
Publication of KR960029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92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405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2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herein the elements are reinforcing members
    • B28B23/022Means for inserting reinforcing members into the mould or for supporting them in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08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made from two or more materials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8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 B28B1/08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the vibrating moulds or cores being moved horizontally for making strands of moul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3/00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Discharging shaped articles from such moulds or apparatus
    • B28B13/02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 B28B13/0215Feeding the moulding material in measured quantities from a container or sil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shaping the material; Auxiliary measures taken in connection with such shaping
    • B28B17/02Conditioning the material prior to sha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Tubular Articles Or Embedded Moulded Articles (AREA)
  • 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없음No content

Description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과 그 제조방법 및 기포제거장치Lightweight foam concrete panel, manufacturing method and bubble removing device

제1도는 (A), (B), (C)는 각각 본 발명에 관한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의 요부의 단면설명도.1: (A), (B), (C) is sectional explanatory drawing of the principal part of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respectively.

제1도 (D)는 보강심의 상태를 나타내는 판넬 결이방향에 따른 설명도·1 (D) is an explanatory diagram according to the panel transition direction showing the state of the reinforcement core

제2도는 형틀내에 복수의 보강심을 배치한 상태의 사시설명도.2 is the name of the private facility with a plurality of reinforcing cores arranged in the mold.

제3도는 형틀내에 유지구를 통하여 다수의 보강근을 고정한 상태의 측면도.3 is a side view of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are fixed through the holding tool in the mold.

제4도는 형틀내에 충전된 모르타르내에, 탈가스용 삽입체인 물을 주입하는 주입기구를 삽입한 상태의 사시설명도.4 is a drawing of the office facility in a state where an injection mechanism for injecting water, which is a degassing insert, is inserted into a mortar filled in a mold.

제5도는 주입기구의 선단부의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stal end of the injection device.

제6도 (A), (B), (C)는 주입 파이프의 선단부를 보강근의 최상부의 주근(主筋)에 인정하여 물을 배출하는 상태의 설명도.6 (A), 6 (B) and 6 (C) are explanatory diagrams of a state in which water is discharged by recognizing the leading end of the injection pipe as the main root of the reinforcing bar.

제7도는 제1도와는 다른 상태의 본 발명에 관한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의 요부의 단면설명도.7 is a cross-sectional explanatory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lightweight foam concrete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different from that of FIG.

제8도는 제5도와는 다른 형상의 탈가스용 삽입체인 주입기구를 나타내는 설명도.FIG. 8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n injection mechanism which is a degassing insert having a shape different from that of FIG.

제9도는 제8도의 주입기구의 주입 파이프의 선단부를 보강근의 최상부의 주근에 인정하여 물의 주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FIG. 9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water is injected by acknowledging the leading end of the injection pipe of the injection mechanism of FIG.

제10도는 상기 예와는 다른 탈가스용 삽입체를 사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10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degassing insert different from the above example is used.

제11도는 (A), (B)는 제10도에 었어서의 주근과 탈가스용 삽입체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FIG. 11 is a diagram show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root and the degassing insert as shown in FIG. 10 in FIG.

제12도는 제10도에 사용한 탈가스용 삽입체의 확대사시도.1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degassing insert used in FIG.

제13도는 제 2 제조방법에 의한 물 등의 산포(散布)상태를 나타내는 도면,13 is a view showing a scattered state of water or the like according to the second manufacturing method,

제14도는 탈가스용 삽입체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14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degassing insert.

제15도는 봉형 회전체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1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rod-shaped rotating body.

제16도는 종형 회전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16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vertical rotary body.

제17도는 봉형 진동체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17 shows an example of a rod-shaped vibrating body.

제18도는 봉형 진동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18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rod-shaped vibrating body.

제19도는 주수할 수 있는 봉형 회전체의 일예를 나타내는 측면도.19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rod-shaped rotating body that can be poured.

제20도는 제19도의 하면도.FIG. 20 is a bottom view of FIG. 19. FIG.

제21도는 제15도의 봉형 회전체와 물 등을 주입할 수 있는 주입기구와의 병용예를 나타내는 도면.FIG. 21 is a view showing a combination example of the rod-shaped rotary body of FIG. 15 with an injection mechanism capable of injecting water and the like.

제22도는 기포제거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측면도.22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bubble removing device.

제23도는 제22도의 장치의 다른 작동상태 때의 측면도.FIG. 23 is a side view of another operating state of the apparatus of FIG. 22. FIG.

제24도는 부근(副筋)의 길이가 다른 보강재가 배치된 형틀의 단면도.2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old in which reinforcing materials having different lengths are disposed.

제25도는 보조승강수단 및 조정수단의 확대도.25 is an enlarged view of the auxiliary lifting means and the adjusting means.

제26도는 주입 파이프 피치 변경부의 홈 캠의 구조도.26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groove cam of the injection pipe pitch change unit.

제27도는 제23도의 상태의 기포제거장치의 정면도.27 is a front view of the bubble removing device in the state of FIG.

제28도는 제27도의 입부를 나타내며, 제26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확대도.FIG. 28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entrance of FIG. 27 and showing the relationship with FIG.

제29도는 제28도의 측면도.29 is a side view of FIG. 28;

제30도는 보강근 유지틀의 종동 가이드의 상면 구조설명도.30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riven guide of the reinforcing bar retaining frame.

제31도는 종래의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의 요부의 단면설명도.Figure 3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of a conventional lightweight foam concrete panel.

제32도는 형틀에 주입된 모르타르의 탈포율과 시간의 관계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FIG. 3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ortar defoaming rate and time injected into a mold.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종래의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 2 : 보강근의 주근1: Conventional lightweight foam concrete panel 2: Reinforcement bar

3 : 거칠고 큰 공극 4 : 작은 공극3: rough and large voids 4: small voids

5 : 외주 무근부 10 : 본 발명에 관한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5: outer peripheral root portion 10: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 보강근 1la : 주근11: reinforcing bar 1la: main bar

1lb : 부근 12 : 외주 무근부1lb: nearby 12: outer periphery root area

13 : 중질화부로 이루어지는 보강심 14 : 경장기포 콘크리트 기질부13: reinforcing core consisting of neutralized part 14: light-bubble concrete substrate part

15 : 형틀 16 : 보강근 유지구15: mold 16: reinforcing bar retainer

17 : 보강근 유지틀 18 : 모르타르17: reinforcing bar retaining frame 18: mortar

19 : 급수 호스 20 : 주입 파이프19: water supply hose 20: injection pipe

21 : 주입기구 30 : 본 발명에 관한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21: injection mechanism 30: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1 : 보강심 32 : 급수 호스31: reinforcement core 32: water supply hose

33 : 주입 파이프 34 : 주입기구33: injection pipe 34: injection mechanism

42 : 급수 호스 43 : 주입 파이프42: water supply hose 43: injection pipe

44 : 구멍 46 : 산포 수단44: hole 46: scattering means

47 : 물 등의 층 48 : 탈가스용 삽입체47: layer of water, etc. 48: insert for degassing

49 : 선단부 51 : 봉형 회전체49: tip 51: rod-shaped rotating body

52 : 교반 날개 53 : 봉형 회전체52: stirring blade 53: rod-shaped rotating body

55 : 봉형 진동체 55a : 진동 아암55 bar-shaped vibrating body 55a vibration arm

56 : 기진기(起振器) 57 : 봉형 진동체56: vibrator 57: rod-shaped vibrating body

57a : 진동 아암 58 : 기진기57a: vibrating arm 58: vibrator

60 : 교반 날개 61 : 축봉60: stirring blade 61: shaft

62 : 주수공 63 : 물 등을 주수할 수 있는 구멍62: water hole 63: a hole to pour water

64 : 주입 파이프 70 : 승강수단64: injection pipe 70: lifting means

71 : 주승강수단 72 : 보조승강수단71: main lifting means 72: auxiliary lifting means

73 : 지지체 74 : 지지 프레임73 support 74 support frame

75 : 유압 실린더 76 : 연결체75: hydraulic cylinder 76: connector

77 : 가이드 레일 78 : 지지체77: guide rail 78: support

79 : 가이드 레일 80 : 지지체79: guide rail 80: support

81 : 제1승강수단 82 : 제2승강수단81: first lifting means 82: second lifting means

83 : 출력 구동부 84 : 조정수단83: output drive unit 84: adjusting means

85 : 롤러 86 : 홈캠85: roller 86: home cam

86a : 홈 87 : 실린더86a: groove 87: cylinder

88 : 가이드 레일 89 : 지지 프레임88: guide rail 89: support frame

90 : 실린더 91 : 레일90 cylinder 91 rail

92 : 승강 가이드 93 : 송액배판92: lifting guide 93: liquid transfer

94 : 자동 액량조절 밸브 95 : 이동수단94: automatic liquid flow control valve 95: moving means

96 : 이동체 97 : 구동원96: moving body 97: driving source

98 : 피니언 기어 99 : 랙 기어98: Pinion Gear 99: Rack Gear

100 : 가대 101 : 레일100: mount 101: rail

102 : 지지체 103 : 종동장치102 support body 103 driven device

104 : 가이드 레일 105 : 가대104: guide rail 105: mount

106 : 연결체 107 : 실린더106: connector 107: cylinder

108 : 가이드 레일 109 : 이동가대108: guide rail 109: mobile stand

110 : 가이드 롤러 111 : 단부110: guide roller 111: end

본 발명은, 기포를 가진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에 관한 것이며, 특히 판넬의 단부를 보강한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과 그 제조방법 및 상기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을 제조하기 위한 기포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having bubbl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reinforced with an end portion of the panel,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a bubble removing device for manufacturing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종래의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은, 석회질 원료 및 규산질 원료에 금속 알루미늄 가루 혹은 계면활성제 등을 사용한 모르타르 슬러리를 보강근을 미리 소정의 위치에 세트한 형틀내에 주입하고, 필요하면 어느 정도 모르타르 슬러리가 경과된 후에 희망하는 판넬의 크기를 절단한 후, 오토크레이브 양생하여 만들수 있다.Conventional lightweight foam concrete panels inject mortar slurry using metal aluminum powder or surfactant into lime and siliceous materials into a frame in which a reinforcing bar is set in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if necessary, after the mortar slurry has passed to some extent, After cutting the desired panel size, it can be made by autoclaving curing.

이와 같이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은, 오토크레이브 양생된 경량기포 콘크리트 기질과, 판넬내로 배치된 보강근으로 구성되고, 보강근의 경량기포 콘크리트 기질의 강도를 보충하고, 전체로서 이용상에 필요한 강도를 갖는 구조로 되어 었다.Thus, the lightweight foam concrete panel is composed of an autoclave cured lightweight foamed concrete substrate and reinforcing bars arranged in the panel to supplement the strength of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substrate of the reinforcing bars, and have a structure having the necessary strength for use as a whole. It was.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보강근을 내부에 배치된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에 었어서, 판넬 주변부에는 보강근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 보강근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판넬 주변부(이하 외주 무근부라 칭함)는, 보강근이 배치되어 있는 내부에 비하여, 부서지기 쉬운 정등의 강도상의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reinforcement is in a lightweight foam concrete panel disposed therein, so that there is no reinforcement in the panel periphery. The panel periphery in which this reinforcing bar is not arrange | positioned (henceforth outer periphery root part) has the problem of strength, such as a brittleness, compared with the inside in which the reinforcing bar is arranged.

또, 상기한 종래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얻어진 종래의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은, 예를 들면, 제3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1)의 보강근의 최상부, 즉 보강근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주근(2)의 근방에, 특히 그 상방으로 향하여, 거칠고 큰 공극(3)이 생기기 쉬우며, 또 그 거칠고 큰 공극의 상방에도 다수의 작은 공극(4)이 다수 생기기 쉬웠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obtained by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manufacturing method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reinforcement of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1, that is, at the top of the reinforcement, as shown in FIG. 31, for example. In the vicinity of the main root 2, in particular, upward, rough and large voids 3 are likely to occur, and a large number of small voids 4 are also likely to occur above the rough and large voids.

이들의 공극(3), (4)이 생기는 원인은, 형틀내의 충전된 모르타르내에 생기는 기포가 괴는 것이 원인이다. 모르타르 내에 생기는 기포가 집합하여, 큰 기포로서 부상하고, 모르타르 점도가 낮은 동안은 그 일부는 표면까지 부상하여 소멸하지마, 모르타르 점도가 서서히 높아지기 때문에, 많은 기포는 보강근의 최상부의 주근(2)의 상방에 잔류하기 쉬워지며, 그대로 모르타르가 경화하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얻어진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에는, 공극(3), (4)이 존재하고,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의 외판을 나쁘게하는 동시에,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의 외주 무근부(5)의 강도를 현저하게 악화시킨다는 문제가 있었다.The cause of these voids 3 and 4 is that bubbles generated in the filled mortar in the mold collapse. Bubbles generated in the mortar gather and float as large bubbles, and while some of them have low mortar viscosity, some of them do not float to the surface and disappear. Since the mortar viscosity gradually increases, many bubbles are located above the uppermost root of the reinforcing bar 2. In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obtained as described above, voids (3) and (4) exist in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because the mortar hardens as it is, and the mortar hardens as it is.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strength of the outer peripheral root portion 5 of the panel was significantly deteriorated.

종래에도, 이러한 종류의 공극(3), (4)이 형성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 많이 공개되어 있다.Conventionally, many techniques for preventing the formation of these kinds of voids 3 and 4 in advance have been disclosed.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소64-9704호 공보에는, 형틀내에 충전된 경량기포 콘크리트용 모르타르를 상면으로부터 단순히 봉체를 찔렀다 뺏다함으로써, 모르타르내에 발생하는 기포의 굄을 없애고, 전술한 공극(3), (4)을 적게하는 것도 제안되어 있다.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64-9704 discloses that the air bubbles generated in the mortar are eliminated by simply piercing and extracting a ro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ortar for lightweight foamed concrete filled in the mold. ) And (4) are also proposed to be reduced.

또, 일본국 특허공개 소64-102467호 공보에는, 오토크레이브 양생하여 얻어진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에, 그 보강근의 주변에 형성된 공극에, 합성수지 에멀젼 용액 및 필요에 따라서 규산 알카리 용액을 혼합하여 주입하고, 그후에 또한 폴리머시멘트계 조성물의 슬러리를 주입하여 공극을 충전하는 기술도 제안되어 있다.In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64-102467, a synthetic resin emulsion solution and an alkali silicate solution are mixed and injected into a light-foamed concrete panel obtained by autoclaving curing, and a void formed around the reinforcing bar. Thereafter, a technique of filling the voids by injecting a slurry of the polymer cement composition is also proposed.

또한, 상기한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1)의 보강근의 최상부, 즉 보강근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주근(2)의 근방의 공극(3), (4)을 없애는 기술은 아니지만, 일본국 특허공개 소63-257605호 공보에서는, 경량기포 콘크리트용 원료슬러리의 안에 보강섬유를 혼입시킴으로써 판넬 단부의 결손을 방지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Moreover, although it is not a technique which removes the space | gap (3) and (4) of the upper part of the reinforcement of the light weight foam concrete panel (1) mentioned above, ie, the main bar (2) which is loc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reinforcement bar, it is Japanese Patent Laid-Open No. 63 In 257605, it is proposed to prevent panel end defects by incorporating reinforcing fibers in a raw material slurry for lightweight foamed concrete.

그러나, 전술한 일본국 특허공개 소64-9704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보강근의 최상부, 즉 보강근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주근(2)의 근방의 공극(3), (4)을 적게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판넬의 외주 무근부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며, 또, 오토크레이브 양생후에 공극에 충전재를 충전하는 방법에서는, 판넬 상면까지 공극이 연속하여 나있지 않으면 충전이 불가능해지며, 하방에 불연속으로 존재하는 공극부는 충전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technique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64-9704,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voids 3 and 4 near the top of the reinforcing bar, i.e., the main bar 2 located at the top of the reinforcing bar. However, it is impossible to improve the strength of the outer root portion of the panel, and in the method of filling the voids with the autoclave curing, if the voids are not continuous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anel, the filling becomes impossible and discontinuously downward. There existed a problem that an existing space | gap part cannot charge.

또, 섬유를 첨가하는 기술에서는, 판넬 단부를 강화할 수 있지만, 최상부에 위치하는 주근(2)의 근방의 공극(3), (4)을 없애는 것은 불가능하며, 또한 그 섬유의 존재에 의해,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의 제조에 종래 행해지고 었는 오토크레이브 양생전에 피아노선에 의한 절단이 불가능해진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in the technique of adding the fiber, the panel end portion can be strengthened, but it is impossible to eliminate the voids 3 and 4 in the vicinity of the main root 2 located at the uppermost part. There is a problem that cutting by the piano wire becomes impossible before autoclave curing, which has been conventionally performed in the production of aerated concrete panels.

본 발명의 목적은, 이들의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판넬의 외주 무근부의 강도가 향상되고, 그 위에 이 부분에 큰 공극이 존재하지 않는 신규한 구조를 가지는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을 제공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판넬을 제조하는 방법이나 상기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을 제조하기 위한 기포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se conventional problems, to provide a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having a novel structure in which the strength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root portion of the panel is improved and there are no large voids thereon.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panel or a bubble removing device for manufacturing the lightweight foam concrete panel.

본 발명에 관한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은, 보강근을 내부에 배치함으로써 보강된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에 었어서, 상기 보강근(11)의 근방으로부터 판넬의 단부를 향하여, 주위의 경량기포 콘크리트 기질부(14)의 밀도 보다도 높은 밀도를 갖는 연속한 중질화부로 이루어지는 보강심(13)을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reinforced by arranging the reinforcing bars therein, and from the vicinity of the reinforcing bar 11 toward the end of the panel, the surrounding lightweight foamed concrete substrate portion 14 The reinforcement core 13 which consists of continuous neutralization part which has a density higher than the density of this is formed and comprised,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즉, 보강근(11)근방으로부터 판넬 단부에 이루는 개소에 높은 밀도를 갖는 중질화부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 또한 이와 같이 형성된 중질화부가 보강심(13)으로 되어, 그 주위의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의 외주 무근부를 강고히 보강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른 것이다.That is, the neutralization part which has a high density is formed continuously in the location which consists of the panel end from the reinforcement bar 11 vicinity, and the neutralization part formed in this way becomes the reinforcement core 13, and the lightweight foam concrete panel around it It has been found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root portion of can be firmly reinforced,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mpleted.

본 발명에서 말하는 중질화부는, 당해 중질화부 근방의 거칠고 큰 기포를 포함하지 않는 경량기포 콘크리트 기질부(보강근을 제외한 경량기포 콘크리트의 부분)의 일반의 밀도 0.45∼0.55(g/㎤)보다 높은 밀도를 갖는 부분이며, 바람직하게는 0.60∼0, 80(g/㎤)의 밀도로 되어 있는 부분이다. 이 중질화부로 이루어진 보강심으로서는, 당해 경량기포 콘크리트와 동일한 조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판넬내의 위치(예를 들면 형틀 상하방향의 위치)에 의해, 경량기포 콘크리트 기질에 밀도차가 었는 경우에는, 밀도가 보다 작은 단부측(형틀의 상부측)에 보강심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neutralizing part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ensity higher than the general density of 0.45 to 0.55 (g / cm 3) of the light-bubble concrete substrate part (part of the light-bubble concrete except the reinforcing bar) which does not contain rough and large bubbles near the neutralizing part. It is a part which has, and is a part which becomes a density of 0.60-0, 80 (g / cm <3>) preferably. As a reinforcing core which consists of this neutralization part, it is preferable that it is the same composition as the said lightweight foam concrete. In particular, when the density difference is caused in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substrate by the position in the panel (for example, the position in the mold up and down direction), it is preferable to arrange the reinforcement core on the end side (the upper side of the mold) having a smaller density.

도면에 따라 본 발명에 관한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도의 (A), (B), (C)는 각각 본 발명에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의 요부의 확대단면도이다. 즉, 제1도의 (A), (B), (C)에 나타내는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10)은, 보강근(11)의 중의 최상부의 주근(11a)으로부터 판넬의 외주 무근부(12)를 거쳐서 단부로 향하여 연속한 중질화부로 이루어지는 보강심(13)을 각각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이들 판넬(10)의 중질화부로 이루어지는 보강심(13)은 제1도(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넬의 길이방향에 따라서 존재하고 있다.According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lightweight foam concrete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 and (C) of FIG. 1 are enlarged sectional views of the main part of the lightweight foam concrete panel, respective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10 shown in (A), (B), and (C) of FIG. 1 passes from the uppermost major root 11a of the reinforcing bar 11 through the outer peripheral root portion 12 of the panel. The reinforcement cores 13 which consist of continuous neutralization part toward the edge part are formed, respectively. And the reinforcement core 13 which consists of the neutralization part of these panels 10 exist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 panel, as shown in FIG. 1 (D).

이들 보강심(13)은,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10)의 중에서 벨트형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특히 제1도(A)는 주근(11a)의 외주부를 둘러싸는 위치로부터 단부까지 중질화부의 보강심(13)을 형성한 것이며, 제1도(B)는 주근(11a)의 상표면으로부터 단부까지 접속하도록 보강심(13)을 형성한 것이며, 제1도는 주근(11a)보다 약간 상방으로부터 단부까지 보강심을 형성하는 것이다.These reinforcement cores 13 are continuously formed in the belt form among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s 10. In particular, FIG. 1A forms the reinforcing core 13 of the neutralization part from the position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part of the main root 11a to the end, and FIG. 1B shows the end from the trademark surface of the main root 11a. The reinforcement core 13 is formed so that it may connect to and the reinforcement core is formed in FIG. 1 from the upper part to the edge part rather than the main root 11a.

제1의(A)∼(C)에 있어서의 보강심의 평균 단면폭(13)은, 주근(11a)의 직경 또는 그 보다 큰 치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그 1.0∼3.0배 정도가 된다. 또 이 보강심(13)은 주근(11a)의 길이방향에 따라서 연속에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단속적(斷續的)으로 연장하여도 좋다.The average cross-sectional width 13 of the reinforcing cores in the first (A) to (C) is preferably the diameter of the main root 11a or larger than that, and is about 1.0 to 3.0 times the size thereof. . The reinforcing core 13 is preferably extended continuous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root 11a, but may be extended intermittently.

제1도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강심(13)을 주근(11a)의 외주부를 둘러싸도록한 구조가 다른 실시예의 경우 보다도 강도적으로 유효하다. 어느것이라도 제1도의 (A), (B), (C)에 나타내는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10)의 보강심(13)은,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주위의 경량기포 콘크리트 기질부(14)보다 높은 밀도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으며, 이 보강심(13)에 의해서 외주 무근부(12)를 보강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A, the structure in which the reinforcing core 13 is surrounded by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main root 11a is more effective in strength than in the other embodiments. Any of the reinforcement cores 13 of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10 shown in Figs. 1A, 1B, and 1C is, as described above, compared to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substrate 14 around it. It is comprised with high density, and the reinforcement core 13 reinforces the outer periphery root part 12. As shown in FIG.

이와 같은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의 원료 모르타르로서 사용되는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용 조성물질로서는, 통상의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의 제조에 이용되는 것이라도 좋으며, 예를 들면, 그 조성은 시멘트, 생석회 등의 석회질 원료와 분쇄된 규석 등의 규산실 원료를 주성분으로 배합되고 이에 필요에 따라서 석고, 경량기포 콘크리트 해쇄(解碎)가루 등을 첨가하고, 물을 더하여 섞어 개고, 기포형성을 위하여 발포제로서 금속 알루미늄 분말을 첨가하여도 좋다. 또, 금속 알루미늄 분말 등의 발포제 대신에 계면활성제 등에 의한 기포제를 사용한 모르타르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As a composition material for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s used as a raw material mortar of such a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it may be used for the manufacture of a normal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For example, the composition is a lime-based raw material such as cement or quicklime. And silicate raw materials such as pulverized silica and the like as a main component, and if necessary, gypsum,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ulverized powder, and the like are added, mixed with water, and the metal aluminum powder is used as a foaming agent to form bubbles. You may add. Moreover, this invention is applicable also to the mortar which used the foaming agent by surfactant etc. instead of foaming agents, such as a metal aluminum powder.

그리고,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을 제조하는 제1의 방법으로서는, 복수의 보강근(11)이 배치된 형틀(15)에 모르타르를 주입하고, 경과시키는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10)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모르타르 주입후, 모르타르의 점도상승을 늦추기 위한 물 또는 수용액을 보강근(11)의 근방 또는 상부에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의 제조방법을 들 수 있다.As a first method of manufacturing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duction of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10 in which mortar is injected into the mold 15 on which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11 are arranged and passed. In the method, after the mortar is injected, water or an aqueous solution for slowing the viscosity rise of the mortar is injected into the vicinity or the upper part of the reinforcing bar 11.

제1의 제조방법의 보다 바람직한 형태로서, 상기 제1제조방법에 있어서, 탈가스용 상입체를 보강근(11)의 근방 또는 상부에 미리 배치한 후에, 모르타르를 주입하고, 모르타르가 소정의 높이에 달한 후, 모르타르의 점도상승을 늦추기 위한 물 또는 수용액을 이 탈가스용 삽입체로부터의 모르타르중에 주입하는 제조방법이며, 또 상기의 제1의 방법에 있어서, 모르타르가 소정의 높이에 달한 후, 탈가스용 삽입체를 보강근(11)의 근방 또는 상부에 삽입하고, 모르타르의 점도상승을 늦추기 위한 물 또는 수용액을 이 탈가스용 삽입체로부터의 모르타르 중에 주입하는 제조방법이다.As a more preferable aspect of the first manufacturing method, in the first manufacturing method, after arranging the degassing adsorbent in the vicinity or the upper part of the reinforcing bar 11 in advance, mortar is injected and the mortar is at a predetermined height. It is a manufacturing method which inject | pours water or aqueous solution for slowing the viscosity rise of mortar into mortar from this degassing insert, and in the said 1st method, after mortar reaches predetermined height, A gas insert is inserted into or near the reinforcing bar 11, and water or an aqueous solution for slowing the increase of the mortar viscosity is injected into the mortar from the degassing insert.

후자의 제조방법은 탈가스용 삽입체를 콤팩트한 장치로 하기 쉽다. 또, 후자에 있어서, 이 탈가스용 삽입체로부터 모르타르의 점도상승을 늦추기 위한 물 또는 수용액을 모르타르중에 주입하면서, 이 탈가스용 삽입체를 수평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한 형태이다.The latter manufacturing method tends to make the degassing insert a compact device. In the latter case, it is preferable to horizontally move the degassing insert while injecting water or an aqueous solution into the mortar to slow the increase of the mortar viscosity from the degassing insert.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을 제조하는 제2의 방법으로서, 복수의 보강근(11)이 배치된 형틀(15)에 모르타르를 주입하고, 경과시키는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10)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모르타르 주입후, 모르타르의 점도상승을 늦추기 위한 물 또는 수용액을 모르타르 표면에 산포하고, 모르타르를 소정의 높이까지 발포시킨 후, 탈가스용 삽입체를 모르타르 중의 보강근(11)의 근방 또는 상부에 삽입하고, 수평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의 제조방법이 있으며, 제3의 방법으로서, 복수의 보강근(11)이 배치된 형틀(15)에 모르타르를 주입하고, 발포시킨 후, 봉형 회전체를 모르타르중의 보강근(11)의 근방 또는 상부에 삽입하고, 회전운동을 가하면서 수평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의 제조방법이 있으며 제4방으로서, 복수의 보강근(11)이 배치된 형틀(15)에 모르타르를 주입하고, 발포시킨 후, 봉형 진동체를 모르타르중의 보강근(11)의 근방 또는 상부에 삽입하고, 수평진동 및 수직진동의 적어도 한쪽을 가하면서 수평이동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의 제조방법이 있다.As a seco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10 in which mortar is injected into the mold 15 on which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11 are arranged and passed. After the mortar is injected, water or an aqueous solution for slowing the viscosity rise of the mortar is dispersed on the surface of the mortar, the mortar is foamed to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n the degassing insert is placed near or on the reinforcing bar 11 in the mortar. There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weight foam concrete panel,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and horizontal movement, and as a third method, after the mortar is injected into the mold 15 in which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11 are arranged, and foamed, Lightweight foam concrete panel,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ng body is inserted into the vicinity or the upper portion of the reinforcing bar 11 in the mortar, and moved horizontally while applying a rotary motion There is a manufacturing method, and as a fourth method, mortar is injected into the mold 15 on which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11 are arranged and foamed, and then a rod-shaped vibrating body is inserted into or near the reinforcing bar 11 in the mortar. There i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ightweight foam concrete panel, characterized in that the horizontal movement while applying at least one of horizontal vibration and vertical vibration.

상기 제3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봉형 회전체(51), (53)를 삽입함과 동시에 모르타르의 점도상승을 늦추기 위한 물 또는 수용액을 이 봉형 회전체(51), (53)로부터 모르타르중에 주입하면서 회전운등을 가하면서 수평이동시키는 것이 중질화부의 밀도가 보다 커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며, 상기 제4의 방법에 있어서, 봉형 진동체(55), (57)를 삽입함과 동시에, 모르타르의 점도상승을 늦추기 위한 물 또는 수용액을 이 봉형 진동체(55), (57)로부터 모르타르 중에 주입하면서 수평진동 및 수직진동의 적어도 한쪽을 가하면서 수평이동시키는 것이 중질화부의 밀도가 보다 커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In the third manufacturing method, water or an aqueous solution is injected into the mortar from the rod-shaped rotors 51 and 53 to insert the rod-shaped rotors 51 and 53 and at the same time to slow the increase of the mortar viscosity. It is preferable to move horizontally while applying rotation clouds while increasing the density of the neutralization portion, and in the fourth method, the rod-shaped vibrators 55 and 57 are inserted and the viscosity of the mortar increases. It is preferable to horizontally move while applying at least one of horizontal vibration and vertical vibration while injecting water or an aqueous solution for slowing down into the mortar from the rod-shaped vibrators 55 and 57, since the density of the neutralizing portion becomes larger.

상기 본 발명의 어느 제조방법에 있어서도, 그 제조방법은, 종래의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의 제조방법과 마찬가지로, 우선, 제2도나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보강근(11)이 배치된 상태를 형틀(15)내에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용의 모르타르를 주입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In any of the manufacturing method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ufacturing method is similar to the conventional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ightweight foam concrete panel. First, as shown in FIG. 2 and FIG. 3,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11 are arranged. Starts by injecting mortar for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s into the mold 15.

본 발명에 관한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10)을 제조함에 있어서는, 제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형틀(15)내에 복수의 보강근(11)을 병렬로 하여 배치하고, 또한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보강근(11)은 보강근 유지구(16)를 통하여, 형틀(15)의 상방에 형성된 보강근 유지틀(17)에 유지된다. 각 보강근(11)은 판넬의 장축방향에 배근(配筋)된 복수의 주근(11a)과 이들의 주근(11a)과 교차하는 복수의 부근(11b), 예를 들면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U자형의 부근(11b)의 외주에 따라서 복수의 주근(11a)을 용착함으로써 박스형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주근(11a)도 부근(11b)도 철근이다.In manufacturing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11 are arranged in parallel in the mold 15, and as shown in FIG. Each reinforcing bar 11 is held in the reinforcing bar retaining frame 17 formed above the mold 15 via the reinforcing bar holder 16. Each reinforcing bar 11 has a plurality of main roots 11a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axis direction of the panel and a plurality of neighborhoods 11b intersecting with these main roots 11a, for example, as shown in FIG. A plurality of main roots 11a are weld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U-shaped vicinity 11b to form a box. The main rod 11a and the vicinity 11b are also steel bars.

전술한 보강근(11)은 여러가지 형상 혹은 여러가지의 구조의 것이 사용가능함으로써, 예를 들면, 주근(11a)과 부근(11b)을 격자형으로 용접하여 이루어지는 1장의 것으로도, 제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근(11a)과 부근(11b)을 격자형으로 용접하여 이루어지는 1장을 U자형으로 벤딩한 것이라도, 주근(11a)과 부근(11b)을 격자형으로 용접하여 이루어지는 2장의 사이에 스페이서를 넣어서 용접한 박스형의 것이라도, 또는 라스망과 같은 망사체 등(즉, 메탈라스(METAL Lath))도 사용할 수 있다.As the reinforcing bar 11 described above can be used in various shapes or in various structures, for example, one of the reinforcing bars 11 formed by welding the main bar 11a and the vicinity 11b in a lattice form, as shown in FIG. Similarly, even if one sheet formed by welding the main root 11a and the vicinity 11b in a lattice shape is U-shaped, a spacer is formed between two sheets formed by welding the main root 11a and the neighborhood 11b in a lattice shape. Even if it is a box-shaped thing welded by putting in, or a mesh body such as a lath net (that is, metal lath) can be used.

그리고, 제2도에 나타낸 U자형이나 2장의 용접 철망을 박스형으로 용접한 것은 스페이서를 갖는 구조로 되어 었으며, 이 스페이서에 보강근 유지구(16)를 걸어맞춤으로써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형틀(15)내 소정의 위치에 유지된다.The U-shaped or two welded wire meshes shown in FIG. 2 were welded in a box shape to form a structure having a spacer, and as shown in FIG. 3, the reinforcing bar holder 16 was engaged with the spacer. 15) in a predetermined position.

또, 전술한 제조방법에 있어서 사용되는 수용액의 구체예로서는, 하기의 것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이온계의 기포안정제의 폴리옥시에틸렌솔비턴에스테르(예를들면, 닛뽕뉴우까자이(日本乳化劑)(주)의 상품명 : 마이티 150, 마이티 V2), 멜라민수지 술콘산염계(예를 들면, 닛뽕고우세이(日本合成)고무(주)의 상품명 : 다이나플로-G2), 폴리이소플렌술폰산염산제(예를 들면, 닛뽕고우세이고무(주) 상품명 : 다이나플로 Z105), 리그닝술폰산염계(예를 들면, 닛뽕세이시(日本製紙)(주)의 상픔명 : 다이나물로 P), 폴리칼본산염계(예를 들면, 닛뽕고우세이고무(주)의 상품명 : 다이나들로 P)등의 시멘트계용 감수제라는 여러가지의 계면활성제의 수용액이 모르타르의 점도상승을 늦어지게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물 대신에 사용할 수 있다.Moreover, the following are mentioned as a specific example of the aqueous solution used in the manufacturing method mentioned above. For example, polyoxyethylene sorbitan esters of nonionic bubble stabilizers (e.g., Nippon Nyukazai Co., Ltd. product name: Mighty 150, Mighty V2), melamine resin sulfonate-based For example, Nippon Gosei Rubber Co., Ltd. brand name: dynaflo-G2, a polyisoprene sulfonate (For example, Nippon Gouse rubber Co., Ltd. brand name: dynaflo Z105), ligning Sulfonate-based (for example, Nippon Seishi Co., Ltd. name: Dynamul P), polycarbonate-based (for example, Nippon Kousego Co., Ltd. product name: Dinahro P) Since aqueous solutions of various surfactants, such as cement-based water reducing agents, can slow the viscosity rise of mortar, they can be used in place of water.

또, 상기 수용액 외에 파포(破泡)효과에 따라서 탈포(脫泡)를 촉진시키는 것으로서 실리콘 등의 소포제(消泡劑)수용액(예를 들면, 가오(주)의 안티폼 E-200)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 aqueous solution, a defoaming agent aqueous solution such as silicone (for example, Gao Co., Ltd. Antifoam E-200) may be used as a defoamer to promote defoaming according to the defoaming effect. Can be.

또한 다른 수용액으로서는 아크릴 수지 등의 수지의 수계 에멀젼(예를 들면, 아사히가세이(旭化成) (주)의 모르탁크)등도 파포효과에 의해서 탈포를 촉진시키기 때문에 사용할 수 있다.As another aqueous solution, an aqueous emulsion of a resin such as an acrylic resin (for example, Mortax, manufactured by Asahi Chemical Co., Ltd.) may be used because it promotes defoaming by the foaming effect.

이상에 각종의 것을 예시 했지만, 이들의 것을 사용한 경우도 본 발명의 판넬이 얻어진다. 그러나, 물의 사용이 값이 싸며, 중질화부에 여분의 성분을 함유하지 않으면 가장 바람직한 것이다.Although various things were illustrated above, the panel of this invention is obtained also when these are used. However, the use of water is inexpensive and most desirable if it does not contain extra components in the neutralization section.

전술한 제조방법에 있어서 보강근(11)의 근방 또는 상부에 주수하는 모르타르의 점도상승을 늦추기 위한 물 또는 수용액의 양은, 최상부의 1개의 주근(11a)의 상부에 위치하는 모르타르(18)(이 주근으로 부터 모르타르 표면까지의 이 주근 투영부에 위치하는 모르타르를 말한다. 이와 같음)의 체적 1ml당 0.005∼0.5ml의 범위에서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0.005∼0.3ml가 바람직하다. 물 등의 주입량이 모르타르(18)의 체적 1ml당 0.5ml를 넘으면 반대로 보강근(11)의 상부에 거칠고 큰 공극이 생기거나, 부피감소의 정도가 심해지고 판넬의 상단부에서 외관이 보기싫어진다는 문제를 발생한다.In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method, the amount of water or an aqueous solution for slowing the viscosity increase of the mortar poured in the vicinity or the upper part of the reinforcing bar 11 is determined by the mortar 18 (the main root of the main bar 11a located at the top). It is preferable to inject | pour in the range of 0.005 to 0.5 ml per volume of 1 volume of the volume of this main root projection to the surface of this mortar from the mortar surface, and 0.005 to 0.3 ml are especially preferable. If the injection amount of water exceeds 0.5 ml per 1 ml of the mortar 18, on the contrary, rough and large voids may occur on the upper part of the reinforcing bar 11, or the volume decreases and the appearance of the panel may be unsightly seen. Occurs.

그리고, 수용액 등을 사용하는 경우는, 1∼20wt% 농도(고형분 농도)에 조절한 것을 상기 양을 사용하면 좋다. 제32도는 알루미늄 가루를 발포제로서 사용한 모르타르를 형틀에 주입하였을 때의 발포율과 시간의 관계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포율의 커브는 일반적으로 초기에 급격하게 올라가고, 점차로 완만해져 포화한다.And when using aqueous solution etc., what was just adjusted to 1-20 wt% concentration (solid content concentration) may use the said quantity. 3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aming rate and time when the mortar using aluminum powder as the blowing agent is injected into the mold. The curve of the foaming rate generally rises rapidly initially and gradually becomes saturated and saturated.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물 또는 수용액의 주입시기는, 형틀내의 모르타르의 발포가 거의 완료된 시점, 즉 발포율 커브로부터 포화영역에 달하는 시점(제32도의 예에서는 A점 부근)으로부터 모르타르가 유동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동안까지가 바람직하다.The injection time of the water or the aqueous solu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the mortar is in a flow state from the time when the foaming of the mortar in the mold is almost completed, that is, the time when it reaches the saturation region from the foaming rate curve (in the example of FIG. 32). It is preferable until it is holding.

모르타르 발포가 거의 완료하는 시점은 발포제로서의 알루미늄 가루의 입경, 형상 등으로 의해 대폭으로 변화하지만, 통상 코르타르를 형틀에 주입하고 나서부터 5분∼40분 정도이다. 또, 모르타르가 유동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기간은 모르타르 조성에 의해서 변화하지만, 통상 모르타르를 형틀에 주입하고 나서 부터 30분∼70분 정도이다.The time when the mortar foaming is almost completed varies greatly depending on the particle size, shape, and the like of the aluminum powder as the blowing agent, but it is usually about 5 to 40 minutes after injecting the cortar into the mold. Moreover, although the mortar maintains a fluid state, it changes with mortar composition, but it is about 30 to 70 minutes after injecting mortar into a mold normally.

상기 모르타르가 거의 완료하는 시점 및 유동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기간은 사용하는 알루미늄 가루, 모르타르 조성이 정해지면 실험에 의해 간단히 구할 수 있다. 그리고 유동상태인지의 여부는 예들 들면 모르타르 중에 봉형회전체 또는 봉형 진동체를 삽입하여 수평으로 이동시키고, 그 궤적이 바로 소멸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time point at which the mortar is almost completed and the period for maintaining the flow state can be obtained simply by experiment once the aluminum powder and mortar composition to be used are determined. And whether or not the flow state is, for example, by inserting a rod-shaped rotating body or a rod-shaped vibrating body in the mortar to move horizontally,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trajectory immediately disappears.

상기와 같이 물 또는 수용액의 주입시기는 모르타르 탈포가 거의 완료된 시점으로부터 모르타르의 유동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사이에 행할 수 있지만, 물 또는 수용액의 주입개시 시점을 모르타르 발포가 거의 완료된 시점 보다 전, 예를 들면 형틀 내에 모르타르를 주입한 시점으로 할 수도 있다. 그 경우에 물 또는 수용액의 주입정지 시점은 모르타르 발포가 거의 완료된 시점으로부터 단 시간에 이루어지는 것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njection timing of water or aqueous solution can be performed from the time when the mortar degassing is almost completed, while the flow state of the mortar is maintained. For example, it can be set as the time when mortar was injected into the mold. In that case, the injection stop time of water or aqueous solution may be made in a short time from the time when the mortar foaming is nearly completed.

그리고, 탈가스용 삽입체를 삽입하는 위치는, 보강근의 주근의 중심에 대해서 ±5mm 이내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 삽입하는 탈가스용 삽입체의 삽입 깊이는, 그 선단이 보강근의 주근의 중심으로부터 상방에 20mm이하에 도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position at which the degassing insert is inserted is most preferably within ± 5 mm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reinforcement bar. Moreover, as for the insertion depth of the degassing insert to insert,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front-end | tip reaches 20 mm or less from the center of the main root of a reinforcement bar.

전술한 바와 같이 모르타르(18)에 물 등을 주입하여 처리한 후는, 형틀(15)내에서 모르타르(18)의 예비 양생을 수시간 행하고, 모르타르(18)가 어느 정도 경과된 후, 모르타르(18)를 형틀로부터 떼어내고, 이 모르타르(18)를 피아노선 커터 등으로 소정의 폭(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의 폭)으로 절단한다. 소정의 폭으로 절단된 판넬을 오토크레이브로 수시간 양생함으로써 본 발명에 관한 상기 제1도의 (A), (B),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10)을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도의 (A), (B), (C)의 사이의 중질화부로 이루어지는 보강심(13)의 하방부의 차이는 각각 탈가스용 삽입체인 주입기구의 선단과 주근(11a)의 위치의 차나 주수량의 차에 의거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after injecting water or the like into the mortar 18 and treating the mortar 18, preliminary curing of the mortar 18 is performed for several hours in the mold 15, and after the mortar 18 has passed to some extent, the mortar ( 18) is removed from the mold, and the mortar 18 is cut into a predetermined width (width of the light foam concrete panel) with a piano wire cutter or the like. By curing the panel cut to a predetermined width with an autoclave for several hours,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10 can be manufactured as shown in (A), (B), and (C) of FIG.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And the difference of the lower part of the reinforcement core 13 which consists of a neutralization part between (A), (B), (C) of FIG. 1 is the difference of the position of the front end of the injection mechanism which is a degassing insert, and the position of the main root 11a, respectively. It is based on the car of the car and the main quantity of water.

또한, 상기 제1의 제조방법중에서 후단에 기술한 제조방법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보강근(11)을 갖는 다수의 중량기포콘크리트 판넬(10)을 형틀(15)로 형성할 때의 보강근(11)상부의 기포를 제거하는 장치로서, 승강수단(70)과 이 승강수단(70)에 의해 승강되는 복수의 주입 파이프(20)와 상기 승강수단(7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95)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기포 콘크리트용 모르타르의 기포제거장치의 사용이 바람직하며, 특히, 이 장치에 있어서, 승강수단(70)이 주승강수단(71)과 이승강수단(70)에 의해서 승강되는 복수의 보조승강수단(72)을 포함하고, 상기 각 보조승강수단(72)에 주입 파이프(20)가 각각 승강되도록 되어 있는 경량기포 콘크리트용 모르타르가 기포 제거장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order to implement the manufacturing method described later in the first manufacturing method, the upper part of the reinforcing bar 11 when forming a plurality of heavy-weight foamed concrete panel 10 having a reinforcing bar 11 into the mold 15 As a device for removing bubbles, the elevating means (70), the plurality of injection pipes 20 lifted by the elevating means (70) and the moving means (95) for moving the elevating means (7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is preferable to use an air bubble removing device of a mortar for lightweight foamed concrete, in particular, in this device, the elevating means 70 is elevated by the main elevating means 71 and the elevating means 70 It is more preferable that a mortar for light-weight foamed concrete including a plurality of auxiliary lifting means 72 and allowing the injection pipes 20 to be lifted to each of the auxiliary lifting means 72 as a bubble removing device.

상기 어느것의 제조방법을 사용하여도, 또 이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의 장치를 사용하여도,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 성형용의 형틀(15)내에 원료 모르타르를 주입한 후, 보강근(11)의 근방 또는 그 상부에 물 등이 주입되는 모양으로 되고, 이 물 등으로 이 부근의 모르타르의 점도가 저하되는가, 혹은 거품을 파괴하고, 이 때문에 보강근(11)의 상부에 괴는 기포를 상면으로부터 발산할 수 있을 것, 및 물 등이 주입되어서 기포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보강근(11)근방으로부터 판넬 단부에 이르는 개소에 높은 밀도를 갖는 중질화부가 연속하여 형성되고, 또한 이와 같이하여 형성된 중질화부가 보강심(13)으로 되어서, 그 주위의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의 무근부를 강고히 보강할 수 있는 것이다.Using either of the above manufacturing methods or the above apparatus in this manufacturing method, after injecting the raw material mortar into the mold 15 for forming a lightweight foam concrete panel, the vicinity of the reinforcing bar 11 or Water or the like is injected into the upper portion, and the viscosity of the mortar in the vicinity of the water or the like decreases, or bubbles are broken, and thus bubbles bubble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reinforcing bar 11 can be released from the upper surface. Water, water, and the like are injected to move the bubbles upward, and a neutralization portion having a high density is continuously formed at a portion from the vicinity of the reinforcing bar 11 to the panel end, and the neutralization part thus formed is provided with a reinforcing core ( 13), it is possible to firmly reinforce the root portion of the lightweight foam concrete panel around it.

이하에, 도면에 의해 전술한 제1도의 (A), (B), (C)에 나타내는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10)의 제조공정 및 제조원리에 대해서 물을 주수하는 예를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an example of water injec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manufacturing principle of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10 shown in Figs. 1A, 1B, and 3C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제2도는 형틀내에 복수의 보강근을 배열한 상태의 사시설명도, 제3도는 형틀내에 유지구를 통하여 다수의 보강근을 고정한 상태의 측면도, 제4도는 형틀내에 충전된 모르타르 내에 물 등을 주입하는 주입기구(즉 탈가스용 삽입체)를 삽입한 상태의 사시설명도, 제5도는 그 주입기구(즉 탈가스용 삽입체)의 선단부의 사시도, 제6도의 (A), (B), (C)는 그 주입기구(즉 탈가스용 삽입체)의 선단부를 보강근의 최상부의 주근에 이접하여 물 등을 주출하는 상태의 설명도이다.FIG. 2 is a facility name with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arranged in a mold. The facility name with the mechanism (i.e., the degassing insert) inserte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stal end of the injection mechanism (i.e., the degassing insert), (A), (B), (C) of FIG. )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state in which the tip portion of the injection mechanism (that is, the degassing insert)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main root of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reinforcing bar to extract water or the like.

본 발명에 관한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10)을 제조함에 있어서는, 제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형틀(15)내에 복수의 보강근(11)을 병렬로 배치하고, 또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보강근(11)은 보강근유지구(16)를 통하여, 형틀(15)의 상방에 형성된 보강근유지틀(17)에 유지된다.In manufacturing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11 are arranged in parallel in the mold 15, and as shown in FIG. The reinforcing bar 11 is held in the reinforcing bar retaining frame 17 formed above the mold 15 through the reinforcing bar retaining strip 16.

전술한 바와 같이, 형틀(15)내에 복수의 보강근(11)을 배열한 후, 형틀(15)내에 경량기포 콘크리트용의 모르타르를 주입한다. 모르타르(18)를 형틀(15)내에 주입한 후, 제4도 내지 제5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탈가스용 삽입체인 주입기구(21), 즉 급수호스(19)의 선단에 2개의 주입 파이프(20)를 부착한 주입기구(21)를 모르타르(18)내에 삽입하고, 또 제6도 (A), (B),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입 파이프(20)의 선단부를 최상부의 주근(11a)에 접근시키고, 모르타르(18)내에 물 등을 주입시키면서 주근(11a)에 따라서 수평으로 이동시킨다.As described above, after arranging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11 in the mold 15, mortar for lightweight foamed concrete is injected into the mold 15. After injecting the mortar 18 into the mold 15, two injection pipes are provided at the tip of the injection mechanism 21, that is, the degassing insert as shown in Figs. The injection mechanism 21 with 20 is inserted into the mortar 18, and as shown in FIG. 6 (A), (B), (C), the tip of the injection pipe 20 is formed at the uppermost main root ( 11a) is moved horizontally along the main root 11a while injecting water or the like into the mortar 18.

그리고 이 주입은 주근(11a)의 열마다, 또는 임의의 열에 따라서 행할 수 있다. 또한 주근(11q)에 따라서 형틀(15)의 전 길이에 주입할 수 있지만, 간헐적 예를 들면 주근(11a)의 존재하는 부분만 주입할 수 있다. 그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보강심(13)의 평균 단면폭은, 망상체의 두께의 약 5∼20배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is injection can be performed for each column of the main root 11a or along any column. Moreover, although it can inject into the full length of the mold 15 according to the main root 11q, only the part which exists intermittently, for example, the main root 11a can be injected. In that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average cross-sectional width of the reinforcement core 13 is about 5 to 20 times the thickness of the network.

이 주수에 의해서 주근(11q)의 상방의 모르타르(18)의 점도를 저하시키고, 또 모르타르(18)의 정도의 저하와 주입기구(21)의 통과감소에 의해 최상부의 주근(11a)의 근방에 괴는 대기포를 모르타르(18)의 상표면으로부터 없앨 수 있으며, 괴인 대기포의 탈기(脫氣)에 의해 모르타르(18)내에 거칠고 큰 공극 혹은 작은 공극의 형성이 방지되고, 제1도의 (A), (B),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밀도가 높은 중질화부로 이루어지는 보강심(13)을 주근(11a)에 따라서 소정 개수의 연속한 상태에서 형성시킬 수 있다.This water content decreases the viscosity of the mortar 18 above the main root 11q, and decreases the degree of the mortar 18 and decreases the passage of the injection mechanism 21 in the vicinity of the uppermost main root 11a. The ingot can remove the air bubble from the trademark surface of the mortar 18, and the degassing of the ingot air bubble prevents the formation of coarse and large voids or small voids in the mortar 18, and FIG. , (B) and (C), the reinforcement core 13 which consists of a high density neutralization part can be formed in a predetermined number of continuous states according to the main root 11a.

상기 예에 있어서는, 제1도의 (A), (B), (C)에 각각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강근(11)의 최상부의 주근(11a)의 상방의 모르타르(18)내에 수직형으로 형성된 중질화부로 이루어지는 보강심(13)이 형성되어 있지만, 제7도에 나타내는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30)과 같이, 상부가 수직이며 그 하부가 단부의 주근(11a)으로 향하여 두갈래형으로 벌린 중질화부로 이루어지는 보강심(13)을 모르타르(18)내에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제8도 및 제9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수호스(32)의 선단에, 하부를 두갈래형으로 벌린 주입 파이프(33)를 부착한 주입기구(34)(즉 탈가스용 삽입체)를 사용하여, 이 주입기구(34)를 모르타르(18)내에 삽입하고, 제9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근(11a)에 근접하여 모르타르(18)내에 물을 주입하면서 주근(11a)에 따라서 이동시킴으로써 제7도와 같은 중질화부로 이루어지는 보강심(31)을 갖는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above example, as shown in (A), (B), and (C) of FIG. 1, the neutralizing portion formed vertically in the mortar 18 above the main root 11a of the uppermost part of the reinforcing bar 11. Although the reinforcement core 13 which consists of these is formed, like the lightweight foam concrete panel 30 shown in FIG. 7, the upper part is vertical, and the lower part is a bifurcated neutralization part toward the main root 11a of the edge part. It is also possible to comprise the reinforcing core 13 which is made in the mortar 18.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8 and FIG. 9, the injection mechanism 34 (namely, degassing insertion) which attached the injection pipe 33 which opened the lower part at the tip of the water supply hose 32 in two ways. Using the sieve), the injection mechanism 34 is inserted into the mortar 18, and as shown in FIG. 9, water is injected into the mortar 18 in close proximity to the main root 11a, and thus, along the main root 11a. By moving, it is possible to make a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having a reinforcement core 31 made of a neutralizing portion as shown in FIG.

또, 이 탈가스용 삽입체인 주입기구(34)를 전술한 바와 같은, 모르타르가 소정의 높이에 달한 후, 탈가스용 삽입체를 보강근(11)의 근방 또는 상부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대신에, 제10도나 제1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탈가스용 삽입체인 주입 파이프(43)를 보강근(11)의 근방 또는 상부에 미리 배치한 후에, 모르타르를 주입하고, 모르타르가 소정의 높이에 달한 후, 물 등을 이 주입 파이프(43)로부터 모르타르 중에 주입하는 타입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 타입의 주입기구(43)는 제12도에 나타내는 것이며, 주입 파이프(43)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급수 호스(42)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 등의 출구의 구멍(44)이 파이프(43)의 상측에 다수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주액파이프(43)의 형상은 원통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구멍은 하향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이 주입 파이프(43)(즉 탈가스용 삽입체)는 소정의 처리가 종료하면, 바로 모르타르 중으로부터 꺼내진다. 이때 모르타르는 아직 유동성을 가지고 있으므르, 이 주입 파이프(43)가 빠진 극간이 중지화한 모르타르로 메워지고, 모르타르 중에 극간은 발생하지 않는다.After the mortar reaches the predetermined height as described above, the injection mechanism 34, which is the degassing insert, is used instead of inserting the degassing insert in the vicinity or the upper portion of the reinforcing bar 11, As shown in FIG. 10 or FIG. 11, after arranging the injection pipe 43 which is a degassing insert in the vicinity or upper part of the reinforcing bar 11, mortar is inject | poured, and after a mortar reaches the predetermined height, water The type of inject | pouring etc. in mortar from this injection pipe 43 can be used. The injection mechanism 43 of this type is shown in FIG. 12, and the injection pipe 43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hole 44 of the outlet, such as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hose 42 is provided with the pipe 43. Many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However, the shape of the injection pipe 43 is not limited to a cylindrical shape, and the hole may be formed downward. The injection pipe 43 (that is, the degassing insert) is taken out from the mortar immediately after the predetermined processing is completed. At this time, the mortar still has fluidity, and the gap in which the injection pipe 43 is omitted is filled with the mortar that is stopped, and no gap is generated in the mortar.

또한, 본 발명의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을 제조하는 전술한 제2의 방법은, 예를 들면 제1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형틀(15)에 모르타르(18)를 주입후, 산포수단(46)을 사용하여 모르타르의 점도상승을 늦추기 위한 물 또는 수용액을 모르타르 표면에 산포하고, 제1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르타르를 소정의 높이까지 발포시킨 후, 탈가스용 삽입체(48)의 선단부(49)를 모르타르(18)중의 보간근(11)의 근방 또는 상부에 삽입하고, 수평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의 제조방법이다. 그리고 제13도에는 모르타르(18)의 표면에 산포한 물 등의 층(47)이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이 층(47)의 존재를 모식적으로 강조하여 나타내고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mentioned 2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of this invention, as shown, for example in FIG. 13, after the mortar 18 is inject | poured into the mold 15, the spreading means 46 is made into a. Water or an aqueous solution for slowing the increase of the mortar viscosity on the mortar surface, and as shown in FIG. 14, after the mortar is foamed to a predetermined height, the tip 49 of the degassing insert 48 is used. Is inserted into or near the interpolation root 11 of the mortar 18, and is a method for producing a lightweight foam concrete panel, characterized in that the horizontal movement. And in FIG. 13, the presence of this layer 47 is typically emphasized in order to show that the layer 47, such as water scattered on the surface of the mortar 18, exists.

이 경우의 탈가스용 삽입체(48)의 선단부(49)의 삽입위치는 상기한 제1의 방법의 경우와 동일한 위치라면 좋으며, 보강근(11)의 외상부의 주근(11q)의 주변이라면 좋고, 주근(11a)의 상부뿐만 아니라, 그 조금 측방이라도 좋다.In this case,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distal end portion 49 of the degassing insert 48 may be the same position as that of the first method described above, and may be around the main root 11q of the outer upper part of the reinforcing bar 11, Not only the upper part of the main root 11a but a little side may be sufficient as it.

이 제2제조방법에 사용하는 탈가스용 삽입체(48)로서는, 모르타르의 점도를 저하시키는 형상의 것이라면 좋고, 봉재(棒材)또는 봉형 회전체 또는 봉형 진동체를 사용할 수 있다. 봉재라는 것은 단면이 원형, 장방형, 다각형이 가늘고 긴 봉형태 또는 그에 교반 날개 등을 부착한 것을 의미하고, 형틀에 설치되어 었는 보강근의 주근 상부에 발생한 기포를 파괴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나 두께의 것이며, 또한 바람직한 것은 표면에 요철을 갖는 것이다. 직경으로서는 2∼15mm정도가 바람직하며, 7∼11mm가 특히 바람직하다. 재질은, 발포한 모르타르 슬러리의 점도에 견뎌, 변형하지 않는 것이라면 좋다. 또한, 상기 봉재는, 제3의 방법과 같이, 상기 봉형체는 진동수단에 의해 진동하는 봉형 진동체라도 좋다.As the degassing insert 48 to be used in this second manufacturing method, any material having a shape of lowering the viscosity of the mortar may be used, and a rod, a rod-shaped rotating body, or a rod-shaped vibrating body can be used. A rod means a round, rectangular, polygonal thin elongated rod, or agitated blades attached thereto, and is sized or thick enough to destroy bubbles gener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reinforcement of the reinforcement installed in the mold. It is also preferable to have irregularities on the surface. As diameter, about 2-15 mm is preferable, and 7-11 mm is especially preferable. The material may be a material that does not deform and withstands the viscosity of the mortar slurry foamed. The rod may be a rod-shaped vibrating body which vibrates by vibrating means as in the third method.

상기 봉형 회전체라는 것은, 표면이 요철이면서 가스를 모르타르 상면으로 이동하기 쉽게 하는 것이며, 제15도와 같은 홈형 나선을 갖는 봉형 회전체인(51)인 드릴 비트형 회전체나, 제16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교반 날개(52)부착의 봉형 회전체(53)인 스크류형 회전체 등이 바람직하다. 또, 이들의 회전체는, 그 회전축의 단부에 구동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전동기, 엔진 등이 부착되어 있으며, 회전축을 통하여 봉형 선단에 회전운등을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od-shaped rotating body is a drill bit rotating body which is a rod-shaped rotating body 51 which has a groove-shaped spiral as shown in FIG. 15 and easily moves gas to the mortar upper surface while having an uneven surface. Screw-like rotating body which is the rod-shaped rotating body 53 with stirring blade 52 as mentioned above is preferable. In addition, for example, an electric motor, an engine, etc. are attached to the edge part of this rotating body as a drive means, and it is preferable to transmit a rotating cloud to the rod-shaped tip through a rotating shaft.

봉형 회전체의 직경으로서는 3∼15mm정도가 바람직하며, 특히 직경 7∼11mm가 바람직하다. 재질은 발포한 모르타르 슬러리의 점도에 견디며, 변형하지 않는 것이라면 좋다.The diameter of the rod-shaped rotating body is preferably about 3 to 15 mm, particularly preferably 7 to 11 mm in diameter. The material can withstand the viscosity of the mortar slurry foamed and does not deform.

봉형 회전체의 회전수의 범위는, 200∼2000rpm이 바람직하며, 특히 500∼1300rpm이 바람직하다. 봉형 회전체의 회전수가 낮으면 모르타르의 점도의 저하가 충분하지 않고 거칠고 큰 기포가 모르타르 중에 약간 잔존하고, 또 회전수가 높아지면 모르타르 상부로부터의 공기의 휘말림이 있고, 역시 모르타르 중에 거칠고 큰 기포가 잔존하게 된다. 그리고, 봉형 회전체의 회전방향은 시계방향 흑은 반시계 방향의 어느쪽이라도 좋지만, 거칠고 큰 기포의 감아올림효과가 큰 쪽이 바람직하다.The range of the rotation speed of the rod-shaped rotating body is preferably 200 to 2000 rpm, and particularly preferably 500 to 1300 rpm. If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d-shaped rotating body is low, the viscosity of the mortar is not sufficiently reduced, and a rough and large bubble remains slightly in the mortar, and if the rotational speed is high, the air from the upper part of the mortar is curled. It remains.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rod-shaped rotating body may be either clockwise black or counterclockwise,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winding effect of the rough and large bubbles is larger.

또한, 상기 봉형 진동체로서는, 진동축에 대해서 수직진동 또는 수평진동을 행할 때에 가스가 모르타르 상면으로 이동하기 쉽게 되는 형상의 겻이면 좋으며, 봉형 혹은 봉형 진동축 측면에 진동 아암을 부착한 구조의 것이 바람직하다. 이 진동 아암의 형상으로서는 평판, 곡판(曲板), 봉, 주판알 등의 형상이라면 좋으면, 평판으로서는 장방형, 정방형, 마름모꼴 등이 바람직하다. 또, 봉형 진동체의 수직진동으로서는, 진동방향이 진동축에 의해서 수직방향이고, 그 진폭, 진동수는, 주근부분으로부터 거칠고 큰 기포의 탈포가 인정되는 범위가 적당하며, 진폭으로서는 0.1∼10.0mm가 바람직하머, 특히 0.5∼5.0mm가 바람직하다. 진동수의 범위는 매초 10회∼매초 200회가 바람직하며, 특히 매초 30회∼매초 100회가 바람직하다. 수직진동을 부여하는 구동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봉형 회전체의 진동 발생부에 진동을 부여하는 기진기가 내장되어 있으며, 진동 발생부가 원통형이며, 그 진동 발생방식이 편심층추방식, 유성운동방식 등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수직진동을 행하는 진동체의 예를 제17도에 나타낸다. 도면에 있어서, 봉형의 축에 복수의 진동 아암(55a)을 갖는 봉형 진동체(55)는 기진기(56)에 의해서 수직진동을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이와 같은 진동 아암(55a)은 반경방향으로 밸런스가 좋게 2이상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d-shaped vibrating body may have a shape in which a gas is easily mov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ortar when vertical or horizontal vibration is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vibration axis, and the structure having a vibration arm attached to the side of the rod-shaped or rod-shaped vibration shaft. desirable. As the shape of this vibrating arm, as long as it is a shape, such as a flat plate, a curved board, a rod, and an abacus egg, as a flat plate, a rectangle, a square, a lozenge, etc. are preferable. In addition, as the vertical vibration of the bar-shaped vibrating body, the vibration direction is perpendicular to the vibration axis, and the amplitude and frequency thereof are within a range in which degassing of coarse and large bubbles from the main root portion is acceptable, and the amplitude is 0.1 to 10.0 mm. Preference is given to hammers, in particular 0.5 to 5.0 mm. The frequency range is preferably 10 times per second to 200 times per second, and particularly preferably 30 times per second to 100 times per second. As a driving method for imparting vertical vibration, for example, a vibrator for imparting vibration to a vibration generating part of a rod-shaped rotating body is incorporated, the vibration generating part is cylindrical, and the vibration generating method is an eccentric layer weight method and a planetary motion method. It is preferable that it is made. 17 shows an example of the vibrating body that performs this vertical vibration. In the figure, the bar-shaped vibrating body 55 having a plurality of vibrating arms 55a on the rod-shaped shaf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vibrator 56 vibrates vertically. In addition, two or more such vibration arms 55a can be provided with a good balance in the radial direction.

또한, 봉형 진동체의 수평진동이라는 것은, 진동방향이 진동 전달축의 길이방향이며, 그 진폭, 진동수의 범위는, 진폭이 0.1mm∼3.0mm, 진동수가 매초 1회∼50회가 바람직하며, 특히 진폭이 0.5mm∼2.0mm, 진동수가 매초 10회∼30회가 바람직하다. 수평진동을 행하는 진동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진동 절단부가 타단에 기진기를 부착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 수평진동을 행하는 진동체의 예를 제18도에 나타낸다. 도면에 있어서, 봉형 진동체(57)에는 길이방향에 복수의 원반형의 형상을 갖는 진동 아암(57a)이 반경방향으로 설치되고, 기진기(58)에 의해 수평진동을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vibration of the rod-shaped vibrating body is that the vibration direction 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ibration transmission shaft, and the amplitude and frequency range are preferably 0.1 mm to 3.0 mm in amplitude and 1 to 50 times per second. Preferably, the amplitude is 0.5 mm to 2.0 mm and the frequency is 10 to 30 times per second. As the vibrating device for performing horizontal vibration, for example, the vibrating cutting portion preferably has a structure in which a vibrator is attached to the other end. 18 shows an example of the vibrating body that performs this horizontal vibration. In the figure, the vibrating arm 57a having a plurality of disk-like shap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provided in the bar-shaped vibrating body 57 in a radial direction, and has a structure that vibrates horizontally by the vibrator 58.

그리고, 상기한 제2발명에 었어서, 모르타르를 형틀에 주입후, 산포하는 것으로서는, 전술한 모르타르 중에 주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 예를 들면, 물이나, 시멘트계용의 감수제 등의 계면활성제의 수용액이나, 실리콘 등의 소포제 수용액이나, 아크릴 수지 등의 수지의 수계 에멀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사용량도 상술한 모르타르중에 주입하여 사용할 때와 대략 동량을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mortar is injected into the mold and dispersed, it can be injected and used in the mortar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a surfactant such as water or a water reducing agent for cement-based materials. An aqueous solution, an antifoaming agent aqueous solution such as silicone, an aqueous emulsion of a resin such as an acrylic resin, or the like can be used, and the amount thereof can also be used in substantially the same amount as that used when injected into the mortar described above.

또, 모르타르의 위에 산포하는 시기로서는, 모르타르를 형틀에 주입하고 나서 약 10분 이내가 바람직하며, 특히 5분이내가 바람직하다. 물론 모르타르를 주입후, 즉시 상기의 물 등을 산포하여도 좋다.Moreover, as a time to spread | disperse on mortar, about 10 minutes are preferable after injecting mortar into a mold, and especially within 5 minutes is preferable. Of course, after the mortar is injected, the above water and the like may be dispersed immediately.

또, 탈가스용 삽입체를 삽입하는 시기로서는, 모르타르를 발포하고 소정의 높이에 달한 시기, 즉 형틀 중에 모르타르가 주입시의 대략 2배의 체적에 달하고, 팽창한 슬러리에 의해서 상부 주근이 충분히 덮힌 상태로 된 시기인 형틀 중으로서의 슬러리 주입후 약 20분∼60분 경과하고, 반경화 상태로 된 시기가 바람직하며, 특히 현츨중으로서의 슬러리 주입후 약 30분∼40분 경과한 시기가 바람직하다.As the insertion time of the degassing insert, when the mortar is foamed and reaches a predetermined height, that is, the mortar reaches approximately twice the volume at the time of injection, and the upper main root is sufficiently covered by the expanded slurry. About 20 minutes to 60 minutes have elapsed after the injection of the slurry into the mold, which is the timing at which it is brought into a state, and a period of semi-cured state is preferable, and particularly preferably about 30 to 40 minutes have elapsed after the injection of the slurry at the present time. .

상기와 같이하여 탈가스용 삽입체를 최상부의 주근의 소정의 위치, 예를 들면, 최상부의 주근의 바로 위에 삽입한 후, 탈가스용 삽입체를 주근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수평이동함으로써, 주근의 바로 위에 생성한 기포 덩어리 중의 가스를 상방으로 내보내고, 희망한 거칠고 기포가 없어진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을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fter the degassing insert is inserted in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uppermost main root, for example, just above the uppermost main root, the degassing insert is moved horizontal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root. The gas in the bubble mass created immediately above can be discharged upwards to obtain the desired coarse, bubble-free lightweight concrete panel.

탈가스용 삽입체는, 주근열마다 주근의 간격에 맞추어서 1개의 탈가스용 삽입체를 지지편에 부착하여 실시하여도 좋지만, 다수의 탈가스용 삽입체를 지지편에 부착하여 형틀중의 전부에 주근열의 위를 한번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처리를 완료시키도록 하여도 좋다.The degassing insert may be carried out by attaching one degassing insert to the support piece in accordance with the spacing of the main roots for each column of the freckles. The processing may be completed by only moving the main root fever once.

다음에 상기한 제3의 방법은, 모르타르를 형틀(15)에 주입하고, 탈포 시킨후, 봉형 회전체를 모르타르중의 보강근(11)의, 특히 주근(11a)의 근방 또는 상부에 삽입하고, 회전운동을 가하면서 수평이동시키는 방법이며, 이 봉형 회전체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상기한 바와 같다. 그리고, 이 봉형 회전체로 부터 물 등을 모르타르중에 주입할 수 있도록, 예를 들면, 제19도와 제20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교반 날개(60)부착의 축봉(61)의 중심에 주수공(62)을 구비한 구조로 할 수도 있다.Next, in the third method described above, after the mortar is injected into the mold 15 and degassed, the rod-shaped rotating body is inserted into the reinforcing bar 11 in the mortar, particularly near or above the main bar 11a, It is a method of horizontal movement, applying a rotational movement, and what can be used as this rod-shaped rotating body is as above-mentioned. Then, in order to inject water or the like into the mortar from the rod-shaped rotating body,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9 and FIG. 20, the casting hole 62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shaft rod 61 with the stirring blade 60. It can also be set as a structure provided.

이와 같이, 제3의 방법은, 물 등을 모르타르중에 주수하지 않으면,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소정 구조의 보강심을 갖는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이 얻어지지만, 보강심의 부분의 밀도를 높이는 것은, 제1의 방법과 동일하게 물 등을 주입하면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third method, when water or the like is not poured into the mortar, a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having a reinforcement core having a predetermined structure f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btained, but the density of the portion of the reinforcement core is increased. Water and the like may be inject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method.

이 물 등의 주입시기나 봉형 회전체의 모르타르로의 삽입시기도 제1의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면 된다.The injection timing of water or the like and the insertion timing of the rod-shaped rotating body into the mortar may b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method.

그리고, 상기 제19도나 제20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형 회전체로부터 물 등을 주입하도록 하여도 좋지만, 제2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형 회전체인 드릴 비트형 회전체(51)와 함께, 물 등을 주입할 수 있는 구멍(63)을 갖는 봉형체(64)를 병행하여도 좋다.And as shown in FIG. 19 and FIG. 20, although water etc. may be inject | poured from a rod-shaped rotation body, as shown in FIG. 21, with the drill bit type | mold rotating body 51 which is a rod-shaped rotation body, The bar 64 which has the hole 63 which can inject water etc. may be parallel.

또한, 상기한 제4의 방법은, 모르타르를 형틀(15)에 주입하고, 발포시킨후, 봉형 진동체(55), (57)를 모르타르중의 보강근(11)의, 특히 주근(11a)의 근방 또는 상부에 삽입하고, 회전운동을 가하면서 수평 이동시키는 방법이며, 이 봉형 진동체(55), (57)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상기한 바와 같다. 그리고, 이 봉형 진동체(55), (57)를 사용하여, 물 등을 모르타르중에 주수하지 않아도, 본 발명이 목적하는 소정구조의 보강심을 갖는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을 얻을 수 있지만, 보강심의 부분의 밀도를 높이는 것은 제1의 방법과 동일한 물 등을 주입하면 된다. 이 물 동의 주입시나 봉형 회전체의 모르타르로의 삽입시기도 제1의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면 된다.In addition, in the fourth method described above, after the mortar is injected into the mold 15 and foamed, the rod-shaped vibrators 55 and 57 are moved to the reinforcing bar 11 in the mortar, in particular, the main root 11a. It is a method of horizontally moving while inserting in the vicinity or upper part, and applying a rotational movement, and it can use it as the rod-shaped vibrators 55 and 57 as mentioned above. The rod-shaped vibrators 55 and 57 can be used to obtain a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having a reinforcement core having a predetermined structure, which is desired even if water or the like is not poured into the mortar.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inject | pour water etc. which are the same as a 1st method to raise a density. The injection timing of the water or the insertion time of the rod-shaped rotating body into the mortar may b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method.

그리고, 봉형 회전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봉형 진동체로부터 물 등을 주입하도록 하여도 좋지만, 봉형 진동체와 함께, 물 등을 주입할 수 있는 구멍을 갖는 봉형체를 병용하도록 좋다.As in the case of the rod-shaped rotating body, water or the like may be injected from the rod-shaped vibrating body, but together with the rod-shaped vibrating body, a rod-shaped body having a hole into which water or the like can be injected may be used together.

이하에, 보강근 상부의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탈가스삽입체를 모르타르중으로 삽입시키는 작업을 사람 손에 의한 삽입작업이 아니라, 기계적으로 삽입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a device for inserting the degassing insert for removing bubbles in the upper portion of the reinforcing bar into the mortar is mechanically inserted instead of the inserting work by human hands.

이 장치는, 승강수단(70)과 이 승강수단(70)에 의해 승강되는 복수의 주입 파이프(20)와 상기 승강수단(70)을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95)을 갖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승강수단(70)이 주승강수단(71)과 이 승강수단(70)에 의해 승강되는 복수의 보조승강수단(72)을 포함하고, 상기 각 보조승강수단(72)에 주입 파이프(20)가 각각 승강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The apparatus has an elevating means (70), a plurality of injection pipes (20) elevating by the elevating means (70) and a moving means (95) for horizontally moving the elevating means (70). The elevating means 70 includes a main elevating means 71 and a plurality of auxiliary elevating means 72 which are elevated by the elevating means 70, and the injection pipe 20 is connected to each of the auxiliary elevating means 72. ) Is to be elevated respectively.

이와 같은 장치에 의하면, 승강수단(70)에 의해 보강근(11)상부의 주근(11a)부에서의 기포 덩어리에 정밀도 좋게 주입 파이프(20)를 삽입할 수 있고, 주입 파이프(20)에 의해서 보강근(11)상부의 기포 덩어리에 주액하면서 이동수단(95)에 의해 수평이동되기 때문에 기포 덩어리의 가스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 보조승강수단(95)을 주입 파이프(20)마다 형성하여 별개로 승강할 수 있도록 하면, 보강근(11)의 부근(11a)의 질이가 다르기 때문에 높이가 다른 보강근(11)이 형틀(15)내에 섞여 있는 경우라도, 삽입깊이를 각 주입 파이프(20)마다 바꾸어 삽입할 수 있으며, 보강근(11)상부의 주근부에서의 기포 덩어리를 효율 좋게 제거할 수 있다.According to such an apparatus, the injection pipe 20 can be accurately inserted into the bubble mass in the main root 11a of the upper part of the reinforcement 11 by the elevating means 70, and the reinforcement muscle is made by the injection pipe 20. (11) Since it is horizontally moved by the moving means 95 while pouring into the bubble mass of the upper part, the gas of a bubble mass can be removed efficiently. In addition, if the auxiliary lifting means 95 is formed for each of the injection pipes 20 and can be lifted separately, since the quality of the vicinity 11a of the reinforcing bar 11 is different, the reinforcing bar 11 having different heights is formed into a mold ( Even in the case of mixing in 15), the insertion depth can be changed for each injection pipe 20 so that the bubble lump at the main root of the reinforcing bar 11 can be efficiently removed.

다음에 이들의 장치의 예를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22도는 상기 장치의 일예의 측면도이며, 제23도는 제22도의 장치의 다른 작동상태의 때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제22도에서는 후술하는 주입 파이프(20)가 하강 위치에 있을 때를 나타내고, 제23도에서는 상승위치에 있을 때를 나타내고 있다. 제24도는 부근의 길이가 다른 보강근이 배치된 형틀의 단면도이다. 제25도는 보조승강수단 및 조정수단의 확대도, 제26도는 주입 파이프 피치의 병경부의 홈 캠의 구조도, 제27도는 제23도의 상태의 장치의 정면도, 제28도는 제27도의 일부를 나타내고, 제26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확대도, 제29도는 제28도의 측면도, 제30도는 보강근 유지틀의 종동 가이드의 상면 구조설명이며, 앞에서 나타낸 제6도(C)에 본 장치의 주입 파이프의 삽입 위치를 확대도로 나타내고 있다. 제22도나 제23도에서도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승강수단은(70)은 주승강수단(71)수단과 주승강수단(71)에 의해 승강되는 보조승강수단(72)을 갖고 있다. 주승강수단(71)은 지지체(73)로부터 돌출한 지지 프레임(74)에 핀고정하여 부착한 유압 실린더(75)와 그에 의해서 구동되는 연결체(76)를 갖고 있다. 이 연결체(76)는, 지지체(73)에 절치된 가이드 레일(77)에 의해 안정하게 가이드되어서 승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연결체(76)에 지지체(78)가 부착되고, 지지체(78)에 가이드 레일(79)이 부착되어 있다.Next, examples of these device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IG. 22 is a side view of an example of the device, and FIG. 23 is a side view of another device in the operating state of FIG. In addition, in FIG. 22, when the injection pipe 20 mentioned later is in a descending position, FIG. 23 shows when it is in a raise position. 2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ld on which reinforcing bars having different lengths are disposed. FIG. 25 is an enlarged view of the auxiliary lifting and adjusting means, FIG. 26 is a structural diagram of the groove cam of the bottle diameter portion of the injection pipe pitch, FIG. 27 is a front view of the apparatus in the state of FIG. 23, and FIG. 28 is a part of FIG. And FIG. 29 is a side view of FIG. 28, and FIG. 30 is a structural descrip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riven guide of the reinforcing bar retaining frame, and FIG. 6 (C) shows the injection pipe of the apparatus. The insertion position is shown in an enlarged view. As can also be seen in FIG. 22 and FIG. 23, the elevating means 70 has a main elevating means 71 and an auxiliary elevating means 72 which is elevated by the main elevating means 71. As shown in FIG. The main lifting means 71 has a hydraulic cylinder 75 pinned to and attached to a support frame 74 protruding from the support 73, and a connecting body 76 driven by the hydraulic cylinder 75. This connecting body 76 is guided stably by the guide rail 77 cut in the support body 73, and it can go up and down. The support body 78 is attached to the connecting body 76, and the guide rail 79 is attached to the support body 78.

보조승강수단(72)은 지지체(80)와 제1승강수단(81)과 제2승강수단을 갖고 있다. 지지체(80)는 가이드 레일(79)에 지지되어서 부착되어 있다. 또 제2승강수단(82)은 제1승강수단(81)의 출력 구동부(83)에 부착되어 있다.The auxiliary lifting means 72 has a support 80, a first lifting means 81, and a second lifting means. The support 80 is supported by the guide rail 79 and is attached. The second lifting means 82 is attached to the output driver 83 of the first lifting means 81.

제27도나 제28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승강수단(81)과 제2승강수단(82)은 쌍으로 된 상태에서 복수개 구비되어 있으며, 제22도에 나타내는 각 지지체(80)에 각각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보조승강수단(72)및 조정수단(84)의 확대도인 제25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지지체(80)가 지지체(78)에 대해서 횡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79)이 설치되어 있다. 제2승강수단(82)은 그 출력 구동축의 스트로크가 비교적 짧게 미조정 가능한 실린더를 이용할 수 있으며, 제1승강수단(81)과는 무관계로 작동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7 and FIG. 28, the 1st lifting means 81 and the 2nd lifting means 82 are provided in plural in pair form, and are respectively supported by each support body 80 shown in FIG. have. And as shown in FIG. 25 which is an enlarged view of the auxiliary lifting means 72 and the adjustment means 84, the guide rail 79 is provided so that the some support body 80 may laterally mov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body 78, and have. The second lifting means 82 may use a cylinder whose stroke of the output drive shaft is relatively short and can operate independently of the first lifting means 81.

제25도및 제26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정수단(84)은 제1승강수단(81)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롤러(85)와 홈 캠(86)을 갖고 있다. 롤러(85)는 지지체(80)에 부착 고정되고, 홈 캠(86)의 홈(86a)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홈 캠(86)에 실린더(87)(상세함은 후술한다)의 출력부와 가이드 레일(88)이 부착되어 있다. 또 가이드 레일(88)에 지지 프레임(89)이 부착되고, 지지 프레임(89)에 실린더(90)가 부착되어 있다. 이 실린더(90)의 출력부에 지지체(78)가 고정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5 and FIG. 26, the adjustment means 84 has the roller 85 and the groove | channel cam 86 provided in the 1st lifting means 81, respectively. The roller 85 is attached to and fixed to the support 80, and is inserted into the groove 86a of the groove cam 86. An output portion of the cylinder 87 (detailed later) and a guide rail 88 are attached to the groove cam 86. The support frame 89 is attached to the guide rail 88, and the cylinder 90 is attached to the support frame 89. The support body 78 is fixed to the output part of this cylinder 90.

홈 캠(86)의 피치 설정은, 다음과 같이 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레일(91)의 위를 실린더(90)가 승강함으로써 지지 프레임(89)이 상하로 이동하고, 홈 캠(86)이 상하로 이동한다. 홈 캠(86)은 평판에 꼬불꼬불 구부러진 가늘고 긴 홈이 가공되어 있으며, 제1승강수단(81)에 대응한 롤러(85)가 각각의 홈(86a)에 따라서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하여 실린더(90)가 승강함으로써, 롤러(85)의 위치를 임으로 선택한다. 그리고 롤러(85)의 위치에 따라서 롤러(85)가 부착되어 있는 지지체(80)가 가이드 레일(79)에 따라서 횡이동한다. 따라서, 제2승강수단(82)을 갖는 각 제1승강수단(81)의 각 간격이 설정된다. 즉, 제26도(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 캠(86)의 위치(다)가 선택되면, 각 제1승강수단(81) 사이는 αβγ…의 피치로 설정된다. 또 제26도(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치(나)가 선택되면 각 제1승강수단(81)의 사이는 A B C…의 피치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롤러(85)에 대해서 홈캠(86)을 상하로 함으로써 제1승강수단(81)의 사이의 피치가 변경되고, 주입 파이프(20)가 목적으로 하는 주근(11a)의 피치에 적합하도록 변경된다. 그리고, 상술한 레일은 모두 리니어모션베어링의 의해 접속되어 있다.The pitch setting of the groove cam 86 is performed as follows. First, as the cylinder 90 moves up and down on the rail 91, the support frame 89 moves up and down, and the groove cam 86 moves up and down. The groove cam 86 is processed with an elongate groove bent in a flat plate, and the roller 85 corresponding to the first lifting means 81 moves along each groove 86a. In this way, the cylinder 90 moves up and down to select the position of the roller 85 arbitrarily. And the support body 80 with the roller 85 attach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roller 85 transversely moves along the guide rail 79. As shown in FIG. Therefore, each interval of each first lifting means 81 having the second lifting means 82 is set. That is, as shown in Fig. 26A, when the position C of the groove cam 86 is selected, the? Is set to the pitch of. As shown in Fig. 26 (b), when the position (b) is selected,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elevating means 81 is A B C... Is set to the pitch of. The pitch between the first lifting means 81 is changed by turning the groove cam 86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roller 85 in this way, and the injection pipe 20 is changed so as to suit the pitch of the main root 11a. do. The rails described above are all connected by linear motion bearings.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승강수단(82)은 복수개 존재하기 때문에, 그에 따라서 주입 파이프(20)가 복수개 설치되고, 각 주입 파이프(20)는 각각 승강 가이드(92)에 가이드되어서 제2승강수단(82)의 출력 구동부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었다. 이 주입 파이프(20)는 판형체나 봉형체라도 좋지만, 일반적으로 봉형체의 쪽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봉형체는 각주체나 판봉이라도 좋다. 판형체나 각주체의 두께나 환봉의 직경은 3∼8mm가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re are a plurality of second lifting means 82, a plurality of injection pipes 20 are installed accordingly, and each injection pipe 20 is guided to the lifting guide 92, so that the second lifting means ( It was detachably attached to the output drive part of 82). The injection pipe 20 may be a plate or rod, but generally, the rod is preferably used. The rod-shaped body may be a main body or a plate rod. The thickness of the plate-shaped body or the main body and the diameter of the round bar are preferably 3 to 8 mm.

주입 파이프(20)에는 다수의 소공이 형성되어 있다. 소공의 직경은 0.1∼2mm의 범위가 바람직하며, 또한 선단으로터 100∼200mm의 길이가지 소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Many small holes are formed in the injection pipe 20. The diameter of the small pores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0.1 to 2 mm, and it is preferable that small holes having a length of 100 to 200 mm are formed from the tip.

주입 파이프(20)는 송액배판(93)이 접속되어 있으며, 자동 액량조절 밸브(94)를 열으므로써 모르타르의 점도상승을 늦추기 위한 물 또는 수용액을 주입 파이프(20)의 소공으로부터 소정량 분출시킬 수 있다. 송액배판(93)은 예를 들면 정유량 펌프에 접속되어, 송액되도록 되어 있다.The injection pipe 20 is connected to the liquid feeding plate 93, and by opening the automatic liquid flow control valve 94,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or an aqueous solution for slowing the viscosity increase of the mortar can be ejected from the small holes of the injection pipe 20. Can be. The liquid feeding plate 93 is connected to, for example, a constant flow pump so as to feed liquid.

제2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수단(95)은 이동체(96)에 설치된 변속기부착 모터와 같은 구동원(97)과 그 출력축에 결합된 피니언 기어(98), 피니언 기어(98)와 맞물리는 랙 기어(99)를 갖고 있다. 제27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랙 기어(99)는 가대(100)의 상부 하측의 레일(101)에 의해 가대(100)에 따라서 수평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승강수단(70)은 제22도나 제2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체(96)에 부착된 지지체(102)에 설치되어 었다.As shown in FIG. 23, the moving means 95 is a rack engaged with a pinion gear 98 and a pinion gear 98 coupled to a drive source 97 such as a transmission-mounted motor provided on the movable body 96, and an output shaft thereof. It has a gear 99. As shown in FIG. 27, the rack gear 99 is horizontally moved along the mount 100 by the rail 101 of the upper lower side of the mount 100. As shown in FIG. And the lifting means 70 was provided in the support body 102 attached to the moving body 96, as shown in FIG. 22 or FIG.

다음에 주입 파이프(20)를 보강근의 주근 상부에 위치결정하기 위한 보강근 유지틀(17)의 종동장치(103)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7도∼제29도에 있어서, 지지체(102)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104)에 지지되어서 보강근 유지틀(17)의 종동장치(103)의 가대(105)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대(105)는 홈 캠(86)에 연결체(106)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가대(105)에는 실린더(107), 가이드 레일(108)이 설치되어 있으며, 실린더(107)의 출력축에 이동가대(109), 그 선단에 가이드 롤러(110)가 축 지지되어 있다. 제30도에 있어서, 상기이동가대(109)에 축지지된 복수의 가이드 롤러(110)가 일렬로 늘어서 있다. 가이드 롤러(110)는 보강근 유지틀(17)의 한쪽의 단부(11)가 일렬로 늘어서 있다. 가이들롤러(110)는 보강근 유지틀(17)의 한쪽의 단부(111)에 밀어부쳐진다.Next, the follower 103 of the reinforcing bar holding frame 17 for positioning the injection pipe 20 in the upper part of the reinforcing bar will be described. In FIGS. 27-29, the mount 105 of the driven device 103 of the reinforcing bar support frame 17 is supported by the guide rail 104 provided in the support body 102, and is provided. This mount 105 is connected to the home cam 86 via the connecting body 106. The mount 105 is provided with a cylinder 107 and a guide rail 108. The movable mount 109 is supported on the output shaft of the cylinder 107, and the guide roller 110 is axially supported at the tip thereof. In FIG. 30, a plurality of guide rollers 110 axially supported by the movable stand 109 are lined up in a row. As for the guide roller 110, the one end part 11 of the reinforcing bar holding frame 17 is lined up in a line. The guide roller 110 is pushed against one end 111 of the reinforcing bar holding frame 17.

다음에 전술한 기포제거장치의 작동상항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제23도의 상태로부터 유압 실린더(75)를 조작하여 그 출력출을 형틀(15)내에 배치된 모르타르(18)중의 보강근(11)에 향하여 제2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살표(D)의 방향으로 하강한다. 다음에 제 1 승강수단(81)을 조작하여, 예를 들면 제2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근(11b)의 길이가 다른 경우, 부근(11b)이 가장 긴 보강근(11)의 외상부의 주근(11a)의 바로 위 부근까지 복수의 주입 파이프(20)의 선단을 각각 단독으로 화살표(C)의 방향으로 하강시킨다. 다음에 제2승강수단(82)을 조작하여 복수의 주입 파이프(20)를 각각 이 부근(11b)의 길이에 대응한 위치의 최상부 주근(11a)의 바로 위 부근까지 화살표(B)의 방향으로 하강한다. 이 상태에서 제2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입 파이프(20)의 선단위치는 제6도(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된다. 그리고 제6도(C)에 나타낸 주근(11a)의 중심과 주입 파이프(20)의 선단위치와의 간극(B)은 미리 기계적으로 규정하도록 하여도 좋다.Next, operation conditions of the bubble removing apparatu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First, as shown in FIG. 22, the direction of the arrow D is directed toward the reinforcing bar 11 in the mortar 18 disposed in the mold 15 by operating the hydraulic cylinder 75 from the state of FIG. Descends. Next, when the first elevating means 81 is operated and the length of the vicinity 11b is differen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4, the main root 11a of the outer portion of the reinforcing bar 11 having the longest vicinity 11b is the longest. Each tip of the plurality of injection pipes 20 is independently lower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C to the immediate vicinity of the above. Next, the second lifting means 82 is operated to move the plurality of injection pipes 20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B to the immediate vicinity of the uppermost major root 11a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vicinity 11b, respectively. Descend. 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22, the line unit value of the injection pipe 20 is as shown in FIG. The gap B between the center of the main rod 11a and the distal end position of the injection pipe 20 shown in FIG. 6C may be mechanically defined in advance.

이 제22도에 나타낸 상태에서 또한 자동 액량조절밸브(94)를 열어 주액을 개시한다. 동시에 이동수단(95)에 의해 주근 길이방향, 즉 제22도에 나타낸 화살표(E)의 방향에 승강수단(70)을 보강근 유지를(17)사이까지 이동수단(95)에 의해서 수평이동시킨다. 다음에, 자동 액량조절밸브(94)를 닫고 주액을 정지한다.In the state shown in FIG. 22, the automatic liquid amount regulating valve 94 is opened to start pouring. At the same time, the moving means 95 moves the lifting means 70 horizontally by the moving means 95 between the reinforcing bar retainers 17 in the main length direction, that i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E shown in FIG. Next, the automatic liquid amount regulating valve 94 is closed to stop the pouring.

다음에 제2승강수단(82)의 출력부를 상승시킴으로써, 그 출력부에 부착된 복수의 주액파이프(20)를 화살표(B)의 방향으로 상승시킴과 동시에, 제1승강수단(81)의 출력구동부(83)를 상승시킴으로써, 출력구동부(83)에 부착된 제2승강수단(82)을 화살표(C)의 방향으로 상승시킨다. 다음에 유압 실린더(75)를 상승시킴으로써, 유압 실린더(75)에 의해 구동되는 연결체(76)를 상승시켜, 연결체(76)에 연결된 보조승강수단(72)등을 화살표(D)의 방향으로 상승시켜 제23도의 상태까지 되돌린다. 또한 이동수단(95)에 의해 상기 보강근 유지틀(17)을 통하여 지나간 위치까지 화살표(E)의 방향으로 승강수단(70)을 수평이동시킨다.Next, by raising the output part of the second lifting means 82, the plurality of injection pipes 20 attached to the output part is rais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B, and at the same time, the output of the first lifting means 81 is increased. By raising the drive part 83, the 2nd lifting means 82 attached to the output drive part 83 is rais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C. As shown in FIG. Next, by raising the hydraulic cylinder 75, the connecting body 76 driven by the hydraulic cylinder 75 is raised, and the auxiliary lifting means 72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body 76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D. To the state of FIG. 23. In addition, the lifting means (70) horizontally moves the lifting means (70)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E) to the position passed through the reinforcing bar retaining frame (17).

상기와 같은 조작을 반복함으로서 제22도의 화살표(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입 파이프(20)를 하강하여 모르타르 슬러리(18)에 삽입하는 주근(11a)상부 근방에 주액하면서 수평주행하고 상승하는 동작을 반복한다.By repeating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as shown by arrow A in FIG. 22, the lowering of the injection pipe 20 and injec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root 11a into which the mortar slurry 18 is inserted is carried out horizontally and ascending. Repeat.

그리고, 부근(11b)의 길이가 전부 같은 보강근(11)이 형틀(15)내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는, 보다 조작을 간결하게 할 수 있다. 즉, 유압 실린더(75)를 조작하여 화살표(D)의 방향으로 상승시키고, 이동수단(95)에 의해서 화살표(E)의 방향으로 희망하는 위치까지 승강수단(70)을 수평이동시킨다. 이어서 유압 실린더(75)를 조작하여 화살표(D)의 방향으로 하강시킨다. 이 때, 제2승강수단(82)의 조작을 행하는 일 없이, 제1승강수단만의 조작으로 주입 파이프(20)의 선단을 희망하는 위치로 하강할 수 있도록 미리 세트하여 둔다. 이와 같은 유압 실린더(75)의 조작으로 주입 파이프(20)의 선단을 희망하는 위치로 하강시켜, 주액하면서 수평이동시키고, 이하 제22도의 화살표(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75)와 이동수단(95)의 조작을 반복함으로써 기포의 제거가 행해진다.And when the reinforcing bar 11 with the same length of the vicinity 11b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mold 15, operation can be made simpler. That is, the hydraulic cylinder 75 is operated to ascen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D, and the lifting means 70 is horizontally moved to the desired position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E by the moving means 95. Next, the hydraulic cylinder 75 is operated to lower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D. FIG. At this time, the tip of the injection pipe 20 is set in advance so that the tip of the injection pipe 20 can be lowered to a desired position without the operation of the second lifting means 82. By operating the hydraulic cylinder 75 as described above, the tip of the injection pipe 20 is lowered to a desired position and horizontally moved while pouring. As shown by arrow A in FIG. 22, the hydraulic cylinder 75 and Bubbles are removed by repeating the operation of the moving means 95.

그리고, 복수의 주입 파이프(20)의 약 반수를 예를 들면 제22도에 나타내는 화살표(E)의 우방향으로 이동중에 화살표(A)의 화강, 주행, 상승시에 조작하도록 세트하고, 남은 반수를 화살표(E)d의 좌방향의 이동중에 조작하도록 제어하도록 하여도 좋다.Then, about half of the plurality of injection pipes 20 are set to be operated at the time of granulation, travel, and ascending of arrow A while moving in the right direction of arrow E shown in FIG. 22, for example. The control may be performed to operate during the movement of the arrow Ed in the left direction.

다음에 주입 파이프(20)의 위치결정을 행하는 작동에 의해서 설명한다. 제23도 및 제29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대(105)에 설치된 실린더(107)와 가이드 레일(108)에 의해 실린더(107)의 출력부인 이동가대(109)와 그 선단의 가이드 롤러(110)가 승강하도록 되어 있다. 또 가이드 롤러(110)는 단부(111)에 설치되어 있다.Next, the operation of positioning the injection pipe 20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23 and FIG. 29, the movable mount 109 which is an output part of the cylinder 107 by the cylinder 107 and the guide rail 108 provided in the mount 105, and the guide roller 110 of the front-end | tip are shown. Is supposed to ascend. In addition, the guide roller 110 is provided in the edge part 111. As shown in FIG.

승강수단(70)을 하강시켜, 가이드 롤러(110)를 하강시키고, 장치를 수평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형틀(15)에 따라서 가이드 롤러(110)를 맞닿게 하여 주근(11a)에 대한 주입 파이프(20)의 위치결정을 행한다. 즉, 실린더(107)를 하강시켜 가이드 롤러(110)가 보강근 유지를(17)의 위치까지 하강시켜, 지지프레임(89)에 고정된 실린더(87)에 의해, 홈 캠(86)을 가이드 레일(104)의 위에 종동장치(103)를 화살표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서 가이드 롤러(110)가 보강근 유지틀(17)에 밀어부쳐지고, 홈 캠(86)의 설정위치에 따라서 주입 화살표(20)가 주근(11a)를 작동시켜서 종동장치(103)를 상승시켜 승강수단(70)을 상승시킨 후, 기포제거장치를 소정위치에 퇴거시킨다.The lifting means 70 is lowered, the guide roller 110 is lowered, and the device is moved horizontally so that the guide roller 11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mold 15 so as to contact the injection pipe 20 with respect to the main root 11a. Positioning is performed. That is, the cylinder 107 is lowered, the guide roller 110 lowers the reinforcing bar holding to the position of 17, and the groove cam 86 is guided by the cylinder 87 fixed to the support frame 89. The follower 103 is moved above the 104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s a result, the guide roller 110 is pushed against the reinforcing bar retaining frame 17, and the injection arrow 20 operates the main root 11a according to the set position of the groove cam 86 to raise the driven device 103. After raising the elevating means 70, the bubble removing apparatus is evic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또, 형틀(15)내에 배치되는 보강근(11)의 크기나 폭이 여러가지 것이 있으므로, 주입 파이프(20)의 배치 피치를 사용하고 있는 보강근(11)의 주근(11a)위치에 맞추어서 변경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5도에 나타낸 실린더(90)를 작동시켜서 홈 캠(86)의 홈(86a)중의 롤러(85)의 높이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주입 파이프(20)를 갖는 제2승강수단(82)의 상호의 간격으로 조정하고, 주입 파이프(20)의 삽입위치가 항상 주근(11a)의 상부에 오도록 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size and width of the reinforcing bar 11 arrange | positioned in the mold 15 may be various, it is necessary to change i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ain root 11a of the reinforcing bar 11 which uses the arrangement pitch of the injection pipe 20. . In this case, as mentioned above, by operating the cylinder 90 shown in FIG. 25 and adjusting the height position of the roller 85 in the groove 86a of the groove cam 86, the 2nd which has the injection pipe 20 is provided. It is possible to adjust to the mutual interval of the lifting means 82, so that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injection pipe 20 is always at the top of the main root (11a).

제30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롤러(110)의 부분은 보강근 유지틀(17)의 단부(111)에 따라서 화살표 (A), (B)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제30도에 있어서, 가, 나는 보강근 유지틀(17)의 단부(111)의 단차를 나타내지만, 가이드 롤러(110)는 단부(111)에 따라 이동하고, 그 단차에 순응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As shown in FIG. 30, the part of the guide roller 110 can move to the direction of arrow (A), (B) according to the edge part 111 of the reinforcing bar holding frame 17. In FIG. , I show a step of the end 111 of the reinforcing bar retaining frame 17, but the guide roller 110 moves along the end 111 and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compliance with the step.

그리고, 도면에 나타낸 예에서는 승강수단에 실린더를 사용하지만, 예를 들면 전동식으로 하여도 좋다. 또 상기 기포제거장치는 마이크로컴퓨터, 시퀀서 등에 의해서 프로그램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보강근의 종류나 크기 등이 입력됨으로써 자동적으로 주입 파이프(20)의 삽입깊이나 피치를 변경할 수 있으며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의 제조방법 공정 전체의 자동화가 가능하다.Incidentally, in the example shown in the drawings, a cylinder is used for the lifting means, but for example, may be electric. The bubble removing device can be program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a sequencer, or the like. In this case, by inserting the type or size of the reinforcing bar can be automatically changed the insertion depth or pitch of the injection pipe 20, it is possible to automate the entir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lightweight foam concrete panel.

상기에 상세하게 나타낸 장치예에서는, 보조승강수탄(72)에 조정수탄(84)부착의 제1승강수단(81)등이 구비된 장치이지만, 보강근(11)의 간격이 항상 일정한 경우에는, 보조승강수단(72)에 제2승강수단(82)을 구비하면 좋다.In the example of the apparatus shown in detail above, although the auxiliary elevator grenade 72 is equipped with the 1st lifting means 81 with the adjustment grenade 84, etc., when the spacing of the reinforcing bar 11 is always constant, The second lifting means 82 may be provided in the lifting means 72.

이상에 설명한 기포제거장치에 의하면, 주입 파이프(20)를 슬러리(18)중에 삽입하거나, 삽입후 형틀(15)의 길이방향으로 수평이동하는 등의 조작을 행하기 위하여, 실린더로 주입 파이프(20)를 상승시켜, 모터로 수평이동을 행하고, 주입 파이프(20)의 하강, 수평이동, 상승의 동작을 기계적으로 반복하는 장치로 했기 때문에, 점성이 큰 모르타르 슬러리(18) 중에서 다수의 주입 파이프(20)를 주액 하면서 신속하게 이동시키고, 거칠고 큰 기포를 효율 좋게 제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bubble removing apparatus described above, the injection pipe 20 is inserted into the cylinder in order to insert the injection pipe 20 into the slurry 18 or to horizontally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ld 15 after insertion. ), The horizontal movement is performed by a motor, and the apparatus for repeating the operation of lowering, horizontally moving, and raising the injection pipe 20 is used. Therefore, many injection pipes ( 20) can be moved quickly while pouring, and coarse and large bubbles can be efficiently removed.

또, 보조승강수단(72)을 주입 파이프(20)마다 별개의 승강할 수 있기 때문에, 형틀(15)내에서 부근(11b)의 길이가 다른 보강근(11)이 존재하여도, 각보강근(11)의 상부 주근(11a)의 바로 위 부근에 발생한 기포 덩어리에 정밀도 좋게 주입 파이프(20)를 삽입할 수 있으며, 소기의 목적인 각 보강근(11)의 상부 주근(11a)의 바로 위 부근에 발행하는 기포덩어리를 제거하고, 판넬내에 거칠고 큰 기포를 없애며, 목적으로 하는 보강심(13)을 갖는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uxiliary lifting means 72 can be lifted separately for each injection pipe 20, even if there is a reinforcing bar 11 having a different length of the vicinity 11b in the mold 15, the angle reinforcing bar 11 The injection pipe 20 can be precisely inserted into the bubble lump generated near the upper circumference 11a of the upper circumference 11a, and issued near the upper rim 11a of each reinforcement 11, which is the intended purpose. It is possible to make a lightweight foam concrete panel having a bubble reinforcement, removing rough and large bubbles in the panel, and having a reinforcing core 13 as a target.

또한 조정수단(84)을 구비한 장치로 한 경우는, 보강근(11)의 주근(11a)사이의 간격이 다른 경우라도, 형틀(15)내에 배치된 보강근(11)의 상호간격에 따라서, 각 주근(11a)의 위치에 주입 파이프(20)를 하강시킬 수 있다.Moreover, in the case of using the apparatus provided with the adjustment means 84, even if the space | interval between the main bars 11a of the reinforcing bar 11 differs, according to the mutual space | interval of the reinforcing bar 11 arrange | positioned in the mold 15, The injection pipe 20 can be lowered in the position of the main root 11a.

본 발명에 관한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은, 앞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보강근(11)으로 보강된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10), (30)의 내부의 보강근(11)의 최상부의 주근(11a)으로부터 판넬의 외주 무근부(12)에 외주로 향하여 중질화부로 이루어지는 보강심(13), (3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판넬의 외주무근부(12)에 큰 공극을 확인할수 없음과 동시에 판넬 단부의 외주무근부(12)를 보강할 수 있다.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from the main root 11a of the uppermost part of the reinforced foam 11 inside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s 10 and 30 reinforced with the reinforced bars 11. Since the reinforcement cores 13 and 31 which consist of a neutralization part are formed in the outer periphery root part 12 of a panel toward the outer periphery, a large space | gap cannot be confirmed at the outer periphery root part 12 of this panel, and at the same time The outer circumferential root portion 12 of the end can be reinforced.

또,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기 구성을 갖는 경량기포 콘크리드 판넬을 제조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포제거장치를 사용하면, 다수의 주입 파이프를 동시에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사람 손에 의한 주입 파이프의 이동작업을 필요로하지 않는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lightweight foam concrete panel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by using the bubble remov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ove a large number of injection pipes at the same time quickly, and to the human hand No movement of the injection pipe is required.

(실시예 1)(Example 1)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용의 모르타르(18)의 조성물은 시멘트 27중량%, 생석회 6.2중량, 규석 38중량%, 경량기포 콘크리트의 해쇄가루 27중량%의 비율로 이루어지는 혼합물 100 중량부에 물 74 중량부와 금속 알루미늄가루상 물질 0.07 중량부를 더하여 섞어 갠것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사용한 알루미늄 가루 및 모르타르 조성에 대해서 실험한 결과, 모르타르 형틀에 주입 후, 모르타르 발포가 거의 완료하는 시점은 약 20분후, 모르타르가 유동성이 유지되어 있는 기간은 대략 40분후 였다.The composition of the mortar (18) for light foam concrete panels is 74 parts by weight of water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mixture consisting of 27% by weight of cement, 6.2% by weight of quicklime, 38% by weight of silica, 27% by weight of crushed powder of light foamed concrete. 0.07 parts by weight of the metal aluminum powdery substance was added and mixed. As a result of experimenting with the used aluminum powder and mortar composition, after injection into the mortar mold, the time when the mortar foaming was almost completed was about 20 minutes, and the period during which mortar maintained fluidity was about 40 minutes.

이 모르타르 슬러리를 소정의 위치에 복수의 박스형의 보강근(주근과 부근용의 철근으로서 직경 2∼5mm의 것을 사용하여 격자형으로 용접되어 있는 것 2장을 그 사이에 스페이서를 넣어서 용접하고, 박스형으로 한것)을 배치된 형틀(15)내에 주입하고, 모르타르 슬러리 주입으로부터 35분 경과후, 제5도에 나타내는 주입기구(21)의 주입 파이프(20)(다수의 소공을 뚫은 길이 125mm의 것)을 보강근(11)의 수만큼 사용하여, 각 주입 파이프(20)는, 제4도 및 제6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르타르(18)의 중의 주근(11a)의 상부에 삽입하고, 또 최상부의 1개의 주근(11a)의 상부에 위치하는 모르타르(18)의 체적 1ml당 0.28ml의 물을 주수한다는 조건에서, 물을 주입하면서 주근(11a)에 따라서 수평으로 이동시키고, 주입기구(21)를 모르타르(18)로부터 빼고, 모든 주근(11a)에 따른 주수작업을 종료하였다. 최초의 주수개시로부터 최후의 주수완료까지의 시간은 약 20초간 이었다. 주입기구(21)를 형틀(15)로부터 멀리하고, 약3시간의 예비양생을 행하였다. 이어서 경과된 모르타르(18)를 형틀(15)로부터 떼어내고, 피아노선 커터로 소정의 판넬의 크기(각 1장의 판넬에 박스형의 보강근(11)이 1개 배치되어서 판넬로 되는 크기)로 절단한 후, 180℃에서 4시간의 오토크레이브 양생을 행하여 두께 100mm, 폭 600mm의 길이 2000mm의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10)을 얻었다.Two mortar slurries were welded in a lattice form using a plurality of box-shaped reinforcement bars (2-5 mm in diameter as main bars and neighboring bars) at a predetermined position, with a spacer inserted therebetween, The injection pipe 20 of the injection mechanism 21 shown in FIG. 5 (of 125 mm in length through which a large number of small pores) was injected into the mold 15 placed therein and after 35 minutes from the injection of the mortar slurry. By using the number of reinforcing bars 11, each injection pipe 20 is inserted into the upper part of the main root 11a in the mortar 18, as shown in Figs. Under the condition that 0.28 ml of water is pumped per 1 ml of the mortar 18 located above the one main root 11a, the water is injected horizontally along the main root 11a, and the injection mechanism 21 is moved. Note along all the main roots 11a, except from the mortar (18) The manual work was finished. The time from the start of the first douche to the last douche was about 20 seconds. The injection mechanism 21 was removed from the mold 15 and preliminary curing was performed for about 3 hours. Subsequently, the elapsed mortar 18 is removed from the mold 15 and cut into pieces of predetermined panel size (that is, one box-shaped reinforcing bar 11 is arranged on each panel to form a panel) with a piano wire cutter. Thereafter, autoclave curing was performed at 180 ° C. for 4 hours to obtain a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10 having a thickness of 100 mm and a length of 2000 mm of 600 mm in width.

얻어진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10)을 절단하고, 그 최상부의 주근(11a)의 부근을 관찰한 바, 제1도(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속한 중질화부로 이루어지는 평군 단면폭 7mm의 보강심(13)이 형성되고, 동시에 이 부근에는 거칠고 큰 공극 및 작은 다수의 공극을 거의 확인할 수 없었다. 또, 중질화부로 이루어지는 보강심(13)은, 기포 등의 존래량의 차 이외에는 경량기포 콘크리트 기질부(14)와 동일한 조성이었다.When the obtained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10 was cut and observed in the vicinity of the uppermost root 11a of the uppermost part, as shown in FIG. ), And at the same time, rough and large voids and many small voids could hardly be confirmed in this vicinity. In addition, the reinforcement core 13 which consists of a neutralization part was the same composition as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substrate part 14 except the difference of the amount of existence of foam etc ..

다음에 이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10)의 중질화부의 보강심(13)과 기질부(14)의 압축강도와 기건비중(家乾比重)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기질부(14)의 압축 강도는 45.0kgf/㎠이며, 기건비중 0.498이다. 이에 대해서 중질화부의 보강심(13)의 압축강도는 105.8kgf/㎠이며, 기건비중 0.780이다.Next,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dry weight of the reinforcing core 13 and the substrate portion 14 of the neutralized portion of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10 were measured. As a result,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substrate portion 14 was 45.0 kgf / cm 2, and the specific gravity was 0.498. On the other hand,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reinforcement core 13 of the neutralization part is 105.8 kgf / cm <2>, and the dry weight is 0.780.

또,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보강심(13)을 갖는 경량기포로 콘크리트 판넬과 본 발명의 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제조된 종래의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과의 테두리 강도를 측정한 결과, 종래폼이 3.90kgf/㎠인 것에 대해서, 본 발명의 보강심(13)을 갖는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에서는 4.93kgf/㎠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In addition,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edge strength between the concrete panel with the lightweight foam having the reinforcement core 13 obtained in Example 1 and the conventional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manufactured without carrying out the treat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ntional foam was 3.90 kgf. For the / cm 2, in the lightweight foam concrete panel having the reinforcement core 13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igh value was 4.93 kgf / cm 2.

그리고, 압축강도의 측정은, 최상부의 주근(11a)의 부근의 중질화부로 이루어지는 보강심(13)이나 기질부(14)로부터, 각각 세로 20mm, 가로 10mm, 길이 30mm의 시험제공체를 잘라내어, 기건상태로 조정후에 압축방향에 하중을 걸어서 측정하였다.The compressive strength was measured by cutting out a test provider having a length of 20 mm, a width of 10 mm, and a length of 30 mm, respectively, from the reinforcing core 13 and the substrate part 14 formed of the neutralizing part near the uppermost root 11a. After adjusting to air condition, the load was measured in the compression direction.

또, 테두리 강도는, 판넬 기질부(14)와 최상부의 주근(11a)의 박리강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보강근의 근방에 연속한 공극을 갖는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에서는, 그 값이 낮아진다. 실제의 측정방법은, 보강심(13)을 갖는 단면에 100mm×100mm의 금구를 정착제로 불이고, 금구의 양사이드의 위치에서 양사이드의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의 단면으로부터 최상부의 주근(11a)의 상단까지 절입을 한 후, 금구를 상방으로 감아당겨, 금구를 부착한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의 테두리부가 최상부의 주근(11a)으로부터 박리하였을때의 하중을 측정하고, 그 때의 하중을 금구 부착부의 면적으로 나눈 값을 테두리 강도로 하였다. 그리고, 금구표면에는 인장시험용의 링이 부착되어 있다.In addition, the edge strength indicates the peeling strength between the panel substrate portion 14 and the uppermost root 11a of the uppermost portion, and the value is lowered in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having a continuous void in the vicinity of the reinforcing bar. The actual measuring method is a 100 mm x 100 mm metal fitting on a cross section having a reinforcement core 13, and the uppermost main root 11a is formed from the cross section of the lightweight foam concrete panel on both sides at the positions of both sides of the bracket. After cutting to the upper end, wind the bracket upward and measure the load when the edge of the lightweight foam concrete panel with bracket is peeled off from the uppermost root 11a, and the load at that time is the area of the bracket attachment part. The value divided by was taken as the edge strength. On the surface of the metal fittings, a ring for tensile test is attached.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1과 같은 모르타르 슬러리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복수의 보강근(11)이 배열된 형틀(15)중에 주입하고, 모르타르 슬러리 주입으로부터 25분 경과후, 실시예 1과 같은 주입기구(21)를 사용하고, 최상부의 1개의 주근(11a)의 상부에 위치하는 모르타르(18)의 체적 1ml당 0.20ml의 물을 주수하면서 수평이동시켰다. 주수개시로부터 주수종료까지의 주수처리기간은 약 20초간이었다. 주수처리후는 주입기구(21)를 형틀(18)로부터 빼내고, 약 3시간의 예비양생을 행하였다. 다음에 경화된 모르타르(18)를 형틀(15)로부터 떼어내고, 피아노선 커터로 소정의 판넬의 크기(각 1장의 판넬에 박스형의 보강근(11)이 1개 배치되어서 판넬로 되는 크기)로 절단한 후, 180℃에서 4시간의 오토크레이브 양생을 행하여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10)을 입었다.Using the same mortar slurry as in Example 1, injection was carried out in the mold 15 in which a plurality of reinforcing rods 11 were arrang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nd 25 minutes after the mortar slurry was injected, the same injection mechanism as in Example 1 was used. (21) was used and horizontal movement was carried out while pouring 0.20 ml of water per 1 ml of the mortar 18 loc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upper one main root 11a. The duration of water treatment from the start of the water to the end of the water was about 20 seconds. After the main water treatment, the injection mechanism 21 was removed from the mold 18 and preliminarily cured for about 3 hours. Next, the hardened mortar 18 is removed from the mold 15 and cut into a predetermined size of a panel (the size of a panel-shaped reinforcing bar 11 arranged on each one panel to form a panel) with a piano wire cutter. After that, autoclave curing was performed at 180 ° C. for 4 hours, and a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10 was worn.

얻어진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10)을 절단하고, 최상부의 주근(11a)의 부근을 관찰한 바, 제1도(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속한 중질화부로 이루어지는 보강심(13)이 형성되고, 동시에 거칠고 큰 공극이 감소해 있었다. 또, 이 중질화부로 이루어지는 보강심(13)은, 기포 등의 존재량의 차 이외에는 경량기포 콘크리트 기질부(14)와 동일한 구성이었다.When the obtained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10 was cut and the vicinity of the uppermost main root 11a was observed, as shown in FIG. 1B, a reinforcing core 13 made of continuous neutralizing portions was formed. At the same time, rough and large voids were reduced. In addition, the reinforcement core 13 which consists of this neutralization part was the same structure as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substrate part 14 except the difference of the quantity of abundances, such as foam.

다음에 이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10)의 중질호부의 보강심(13)과 기질부(14)의 압축강도와 기건비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기질부(14)의 압축강도는 45.0kgf/㎠이며, 기건비중 0.505이다. 이에 대하여 중질화부의 보강심(13)의 압축강도는 76, 5kgf/㎠이며, 기건비중 0.684이다.Next,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dry weight of the reinforcement core 13 and the substrate portion 14 of the heavy arc of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10 were measured. As a result,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substrate portion 14 was 45.0 kgf / cm 2 and the dry weight ratio was 0.505. On the other hand,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reinforcement core 13 of the neutralization part is 76, 5 kgf / cm <2>, and the dry weight ratio is 0.684.

또, 실시예 2에서 얻어진 평균 단면폭 6mm의 보강심(13)을 갖는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과 본 발명의 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제조된 종래의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과 테두리 강도를 측정한 바, 종래품이 3.90kgf/㎠인 것에 대해서, 본 발명의 보강심(13)을 갖는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에서는 4.80kgf/㎠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In addition, a light foamed concrete panel having a reinforcement core 13 having an average cross section width of 6 mm obtained in Example 2 and a conventional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manufactured without carrying out the treat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dge strength were measured. In the light weight foam concrete panel having the reinforcement core 13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lue was 3.90 kgf / cm 2, and was high as 4.80 kgf / cm 2.

(실시예 3)(Example 3)

실시예 1과 같은 모르타르 슬러리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복수의 보강근(11)이 배열된 형틀(15)중에 주입하고, 모르타르 슬러리 주입으로 부터 30분 경과후, 실시예 1과 같은 주입기구(21)를 사용하고, 이 주입기구(21)의 선단위치를 실시예 1이나 실시예 2의 경우 보다도 조금 알게 삽입하고, 외상부의 1개의 주근(11a)의 상부에 위치하는 모르타르(18)의 체적 1ml당 0.20ml의 물을 주수하면서 수평이동시켰다. 주수개시로부터 주수종료까지의 주수처리시간은 약 20초간이었다. 주수처리후는 주입기구(21)를 형틀(15)로부터 빼내고, 약 3시간의 예비양생을 행하였다. 다음에 경화된 모르타르(18)를 형틀(15)로부터 떼어내고, 피아노선 커터로 소정의 판넬의 크기(각 1장의 판넬에 박스형의 보강근(11)이 1개 배치되어서 판넬로 되는 크기)로 절단한 후, 180℃에서 4시간의 오토크레이브 양생을 행하여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10)을 얻었다.Using the same mortar slurry as in Example 1, injection was carried out in the mold 15 in which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11 were arrang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nd after 30 minutes from the injection of the mortar slurry, injection was performed as in Example 1. The mortar 18 which uses the mechanism 21, inserts the line unit value of this injection mechanism 21 a little earlier than in the case of Example 1 or Example 2, and is located in the upper part of one main root 11a of the outer wound part. 0.20 ml of water per 1 ml of volume was transferred horizontally. The water treatment time from the start of the water to the end of the water was about 20 seconds. After the main water treatment, the injection mechanism 21 was removed from the mold 15 and preliminarily cured for about 3 hours. Next, the hardened mortar 18 is removed from the mold 15 and cut into a predetermined size of a panel (the size of a panel-shaped reinforcing bar 11 arranged on each one panel to form a panel) with a piano wire cutter. After that, autoclave curing was performed at 180 ° C. for 4 hours to obtain a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10.

얻어진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10)을 절단하고, 최상부의 주근(11a)의 부근을 관찰한 바, 제1도(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속한 중질화부로 이루어지는 평균 단면폭 6mm의 보강심(13)이 형성되고, 동시에 거칠고 큰 공극이 감소해 있었다. 또, 이 중질화부로 이루어지는 보강심(13)은, 기포 등의 존재량의 차 이외에는 경량기포 콘크리트 기질부(14)와 동일한 조성이었다.When the obtained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10 was cut and the vicinity of the uppermost main root 11a was observed, as shown in FIG. 1C, a reinforcement core 13 having an average cross-sectional width of 6 mm consisting of continuous neutralizing portions was shown. Was formed, and at the same time, rough and large voids were reduced. In addition, the reinforcement core 13 which consists of this neutralization part was the same composition as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substrate part 14 except the difference of the quantity of abundances, such as foam.

다음에 이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10)의 중질화부의 보강심(13)과 기질부(14)의 압축강도와 기건비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기질부(14)의 압축강도는 44.8kgf/㎠이며, 기건비중 0.51이다. 이에 대해서 중질화부의 보강심(13)의 압축강도는 75, 3kgf/㎠이며, 기건비중 0.681이다.Next,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dry weight of the reinforcing core 13 and the substrate portion 14 of the neutralized portion of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10 were measured. As a result,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substrate portion 14 was 44.8 kgf / cm 2, and the dry weight ratio was 0.51. On the other hand,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reinforcement core 13 of the neutralization part is 75 and 3 kgf / cm <2>, and the dry weight ratio is 0.681.

또, 실시예 3에서 얻어진 보강심(13)을 갖는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과 본 발명의 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제조된 종래의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과의 테두리 강도를 측정한 바, 종래품이 3.90kgf/㎠인 것에 대해서, 본 발명의 보강심(13)을 갖는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에서는 4.75kgf/㎠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In addition, when the edge strength between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having the reinforcement core 13 obtained in Example 3 and the conventional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manufactured without performing the treat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measured, the conventional product was 3.90kgf / In the case of cm 2,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having the reinforcement core 13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ed a high value of 4.75 kgf / cm 2.

[실시예 4]Example 4

실시예 1과 같은 모르타르 슬러리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특수의 보강근이 배열된 형틀(15)중에 주입하고, 모르타르 슬러리 주입으로부터 30분 경과후, 실시예 1의 주입기구(21)대신에, 제8도에 나타내는 주입기구(34)를 사용하고, 이 주입기구(34)의 주입 파이프(33)의 주수위치를 제9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하고, 외상부의 1개의 주근(11a)의 상부에 위치하는 모르타르(18)의 체적 1ml당 0.30ml의 물을 주수하면서 수평이동시켰다. 수평이동의 종료후는 주입기구(34)용 형틀로부터 빼냈다. 주수개시로부터 주수종료까지의 주수처리시간은 약 20초간이었다. 그후 약 3시간의 예비양생을 행하였다. 다음에 경과된 모르타르(18)를 형틀(15)로부터 떼어내고, 피아노선 커터로 소정의 판넬의 크기(각 1장의 판넬에 박스형의 보강근(11)이 1개 배치되어서 판넬의 되는 크기)로 절단한 후, 180℃에서 4시간의 오토크레이브 양행을 행하여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10)을 입었다.Using the same mortar slurry as Example 1, it injected into the mold 15 in which the special reinforcing bar was arrange | positioned similarly to Example 1, and after 30 minutes after the mortar slurry injection, it replaces the injection mechanism 21 of Example 1 Using the injection mechanism 34 shown in FIG. 8, the water injection position of the injection pipe 33 of this injection mechanism 34 is inserted as shown in FIG. 9, and the one main root 11a of the outer wound part is shown. 0.30 ml of water per 1 ml of the mortar 18 located at the top of the tank was horizontally transported. After completion of the horizontal movement, the mold was removed from the mold for the injection mechanism 34. The water treatment time from the start of the water to the end of the water was about 20 seconds. Thereafter, preliminary curing was performed for about 3 hours. Next, the mortar 18 that has passed through is removed from the mold 15 and cut into a predetermined panel size (one size of box-shaped reinforcing bar 11 is arranged on each panel with a piano wire cutter). After that, autoclaving was carried out for 4 hours at 180 ° C., and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10 was worn.

얻어진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10)을 절단하고, 최상부의 주근(11a)의 부근을 관찰한 바, 제7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속한 중질화부로 이루어지는 평균 단면폭 6mm의 보강심(13)이 균일하게 형성되고, 동시에 거칠고 큰 공극이 감소해 있었다. 또, 이 중질화부로 이루어지는 보강심(13)은, 기포등의 존재량의 차 이외에는 경량기포 콘크리트 기질부(14)와 동일한 조성이었다.As a result of cutting the obtained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10 and observing the vicinity of the uppermost main root 11a, as shown in FIG. 7, the reinforcement core 13 having an average cross-sectional width of 6 mm consisting of continuous neutralizing portions was uniformly formed. Formed, and at the same time, the coarse and large voids were reduced. In addition, the reinforcement core 13 which consists of this neutralization part was the same composition as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substrate part 14 except the difference of the quantity of abundance, such as foam.

다음에 이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10)의 중질화부의 보강심(13)과 기질부(14)의 압축강도와 기건비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기질부(14)의 압축강도는 45.1kgf/㎠이며, 기건비중 0.503이다. 이에 대해서 중질화부의 보강심(31)의 압축강도는 95, 8kgf/㎠이며, 기건비중 0.689이다.Next,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dry weight of the reinforcing core 13 and the substrate portion 14 of the neutralized portion of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10 were measured. As a result,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substrate portion 14 was 45.1 kgf / cm 2, and the dry weight was 0.503. On the other hand,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reinforcement core 31 of the neutralization part is 95 and 8 kgf / cm <2>, and the dry weight is 0.689.

또, 실시예 4에서 얻어진 보강심(31)을 갖는 경향기포 콘크리트 판넬과 본 발명의 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제조된 종래의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과의 테두리 강도를 측정한 바, 종래물이 3.90kgf/㎠인 것에 대해서, 본 발명의 보강심(31)을 갖는 경향기포 콘크리트 판넬에서는 4.91kgf/㎠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In addition, when the edge strength between the tendency bubble concrete panel having the reinforcement core 31 obtained in Example 4 and the conventional lightweight bubble concrete panel manufactured without the treat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measured, the conventional material was 3.90 kgf / In the case of cm 2, in the tendency bubble concrete panel having the reinforcement core 31 of the present invention, a high value of 4.91 kgf / cm 2 was shown.

(실시예 5)(Example 5)

경량기포 콘크리트용의 모르타르(18)의 조정물은, 시멘트 27.0중량, 행석회 62.중량%, 규석 분쇄물 41.0중량%, 석고 1.8중량%, 경량기포 콘크리트의 해쇄가루 24.0중량%의 비율로 이루어지는 혼합물 100 중량부, 물 73.0중량부와 금속 알루미늄 가루상 물질 0.07 중량부를 더하여 섞어 갠 것을 사용하였다. 주입 파이프(43)로서 제1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다수의 소공(44)이 뚫려있는 길이 500mm의 것을 사용하였다. 이 파이프(43)를 제10도 및 제1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상부 주근(11a)에 따라서 배치하였다.The mortar 18 for lightweight foamed concrete is composed of a ratio of 27.0 weight of cement, 62. weight of lime and lime, 41.0 weight of silica powder, 1.8 weight of gypsum and 24.0 weight of crushed powder of light foam concrete. A mixture of 100 parts by weight of the mixture, 73.0 parts by weight of water, and 0.07 parts by weight of the metal aluminum powdery substance was used. As the injection pipe 43, a one having a length of 500 mm through which many small holes 44 as shown in FIG. 12 were drilled was used. This pipe 43 was arrange | positioned along the uppermost main root 11a as shown to FIG. 10 and FIG.

그후, 상기 조정의 섞어갠 모르타르 슬러리(18)를 형틀(15)에 주입하고, 모르타르 슬러리 주입 종료후부터 7분 경과한 후, 형틀중의 최상부 주근(11a)의 1개의 상부에 위치하는 모르타르 체적 1ml당 0.28ml의 물을 송수 튜브로부터 송수하고, 파이프(43)의 소공(44)으로부터 모르타르(18)중에 주입하였다. 이 물의 주입은 23분 걸려서 행했다. 물의 주입이 종료했으면 파이프를 형틀(15)로부터 빼내고, 약 3시간의 예비양행을 행하였다. 이어서 경과된 모르타르를 형틀로부터 떼어내고, 피아노선 커터를 사용하여 소정의 판넬의 크기를 절단한 후, 180℃에서 4시간의 오토크레이브 양생을 행하여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10)을 입었다.Thereafter, the mixed mortar slurry 18 of the above adjustment is injected into the mold 15, and after 7 minutes have elapsed since the end of the mortar slurry injection, 1 ml of the mortar volume located at one upper part of the uppermost root 11a in the mold. 0.28 ml of water was sent from the water feed tube and injected into the mortar 18 from the pores 44 of the pipe 43. This water injection took 23 minutes. When the injection of water was completed, the pipe was removed from the mold 15 and preliminary running for about 3 hours was performed. Subsequently, the elapsed mortar was removed from the mold, and the predetermined size of the panel was cut using a piano wire cutter, followed by autoclave curing at 180 ° C. for 4 hours to wear a light foamed concrete panel 10.

얻어진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은 전술의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이며, 주근 상부에 거칠고 큰 기포는 거의 확인할 수 없었다.The obtained lightweight foam concrete panel had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rough and large bubbles were hardly confi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root.

(실시예 6)(Example 6)

규석 50중량%,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35중량%, 생석회 10중량%, 석고 5중량%로 한 것을 100 중량부에, 물 70 중량부, 알루미늄 0.06중량부를 섞어 갠, 모르타르 슬러리를 만들었다.50% by weight of silica, 35% by weight of Portland cement, 10% by weight of quicklime, and 5% by weight of gypsum were mixed with 100 parts by weight of 70 parts by weight of water and 0.06 parts by weight of aluminum to form a mortar slurry.

이 모르타르 슬러리를 폭 600mm, 길이 600mm, 높이 600mm의 형틀에 주입하고, 3분후에 폴리알킬술폰산나트륨(상품명:마이티 150, 가오(주)제)의 1.1% 수용액 1.5 중량부(이 양은 형틀중의 최상부 주근(11a)의 1개의 상부에 위치하는 모르타르의 체적 1ml 당 0.015ml의 수용액에 상당한다.)를 산포한다. 모르타르용 형틀에 주입후 30분 경과하였을 때에, 제15, 16도의 봉형 회절체(51), (53)를 주근에 평행하게 직선이동시키고, 주근 상부의 기포덩어리를 제거하고, 모르타르가 유동성을 유지하고 있는 34분후까지 종료하였다. 상기 모르타르가 소정의 경도에 도달한 후, 피아노선으로 절단하고, 오토크레이브 양생하였다.This mortar slurry was poured into a mold having a width of 600 mm, a length of 600 mm, and a height of 600 mm, and after 3 minutes, 1.5 parts by weight of a 1.1% aqueous solution of sodium polyalkyl sulfonate (trade name: Mighty 150, manufactured by Gao Co., Ltd.). (Corresponding to 0.015 ml of an aqueous solution per 1 ml of mortar located at one upper part of the uppermost root 11a). When 30 minutes have elapsed after the injection into the mortar mold, the rod diffractive bodies 51 and 53 of FIGS. 15 and 16 are linearly moved in parallel to the main root, and the bubble mass at the upper part of the main root is removed, and the mortar maintains fluidity. It was finished until after 34 minutes. After the said mortar reached predetermined hardness, it cut | disconnected with the piano wire and autoclave hardened.

얻어진 ALC 표면에는 거칠고 큰 기포의 노출은 불 수 없었으며, 바람직한 것이었다. 이 ALC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절단하고, 절단면을 관찰한 바, 내부에도 거칠고 큰 기포는 생성되어 있지 않았다.Rough and large bubble exposure could not be blown on the obtained ALC surface, and it was preferable. This ALC was cut | disconnected similarly to Example 1, and when the cut surface was observed, the coarse and big bubble was not produced also inside.

(실시예 7)(Example 7)

실시예 5와 같은 모르타르 슬러리(18)를 다수의 보강근(11)의 배치된 형틀(15)에 주입하고, 모르타르 슬러리 주입으로부터 30분 경과후, 실시예 1과 같이 제5도에 나타내는 주입기구(21)의 주입 파이프(20)(다수의 소공을 뚫은 길이 125mm의 것)를 보강근(11)의 수만큼 사용하고, 각 주입 파이프(20)는, 제4도 및 제6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르타르(18)중의 주근(11a)의 상부에 삽입하고, 10중량%(고형분의 농도)의 POE솔비턴에스레르(상품명:닛뽕뉴우까자이(주)Newcol-82)수용액을 형틀중의 최상부의 1개의 주근(11a)의 상부에 위치하는 모르타르(18)의 체척 1ml당 0.24ml의 조건에서 수용액을 송수 튜브(19)에 의해 송수하고, 파이프의 소공으로부터 모르타르(18)중에 수용액을 주입하면서 주근(11a)에 따라서 수평으로 이동시키고, 주입기구(21)를 모르타르(18)로부터 빼내고, 모든 주근(11a)에 따른 주입작업을 종료하였다. 최초의 주입개시로부터 최후의 주입완료까지의 시간은 약 20초간 이었다. 주입기구(21)를 형틀(15)로부터 빼내어 멀리하고, 약 3시간의 예비 양생을 행하였다. 이어서 경화된 모르타르(18)를 형틀(15)로부터 떼어내고, 피아노선 커터로 소정의 판넬의 크기(각 1매의 판넬에 박스형의 보강근(11)이 1개 배치되어서 판넬로 되는 크기)로 절단한 후, 180℃에서 4시간의 오토크레이브 양생을 행하여 두께 100mm, 폭 600mm, 길이 2000mm의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을 얻었다.The same mortar slurry 18 as in Example 5 was injected into the placed mold 15 of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11, and 30 minutes after the mortar slurry was injected, the injection mechanism shown in FIG. The injection pipe 20 (the thing of 125 mm in length through which many small holes) of 21 is used for the number of reinforcing bars 11, and each injection pipe 20 is shown in FIG. 4 and FIG. It is inserted in the upper part of the main root 11a in the mortar 18, and 10 weight% (concentration of solid content) POE sorbitan sler (brand name: Nippon New Kazai Co. Newcol-82) aqueous solution is the uppermost part of the mold Aqueous solution is fed by the water supply tube 19 under 0.24 ml of condition per 1 ml of mortar 18 located on the top of one main root 11a, and the aqueous root is injected into the mortar 18 from the pores of the pipe. Move horizontally in accordance with (11a), remove the injection mechanism (21) from the mortar (18), and An injection operation according to the main bars (11a) was terminated. The time from the start of the first injection to the completion of the last injection was about 20 seconds. The injection mechanism 21 was removed from the mold 15 and separated, and preliminary curing for about 3 hours was performed. Subsequently, the hardened mortar 18 is removed from the mold 15, and the piano wire cutter is cut into a predetermined panel size (the size of the panel having one box-shaped reinforcing bar 11 arranged on each panel). After that, autoclave curing was performed at 180 ° C. for 4 hours to obtain a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having a thickness of 100 mm, a width of 600 mm, and a length of 2000 mm.

얻어진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은 전술의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이며, 주근 상부에 거칠고 큰 기포는 거의 확인할 수 없었다.The obtained lightweight foam concrete panel had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rough and large bubbles were hardly confi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root.

(실시예 8)(Example 8)

다수의 보강근(11)이 등간격으로 배치된 형틀(15)중에, 규석 분쇄물 35중량%, 보통 토플랜드 시멘트 30중량%, 생석회 8중량%, 석고 2중량%, 경량기포 콘크리트 해쇄가루 25중량%를 배합한 것을 100 중량부에 대해서 물 70중량부, 금속 알루미늄분말 0.06 중량부를 섞어개어 이루어지는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용의 모르타르 슬러리를 주입하고, 1분후에 모르타르 표면에 물을 2.5중량부(이 양은 형틀중에서 발포한 모르타르의 체적 1ml당 0.025ml의 물에 상당한다.)를 산포한다. 모르타르를 형틀에 주입후 30분 경과하였을 때에, 제15도에 나타내는 봉형 회전체(51)를 주근(11a)의 바로 위에 삽입하고, 주근에 평행하게 직선이동시키고, 주근 상부의 기포덩어리를 제거하고, 모르타르가 유동성을 유지하고 있는 33분후 까지 종료하였다. 봉형 회전체(51)를 형틀(15)로부터 빼내어 멀리하고, 약 3시간의 예비양생을 행하였다. 이어서 경화된 모르타르(18)를 형틀(15)로부터 떼어내고, 피아노선 커터로 소정의 판넬의 크기를 절단한 후, 오토크레이브 양생을 행하여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을 얻었다.In the mold 15 in which a plurality of reinforcing rods 11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35% by weight of silica grinding, 30% by weight of topland cement, 8% by weight of quicklime, 2% by weight of gypsum, 25% by weight of light foam concrete crushed powder A mortar slurry for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s comprising 70% by weight of water and 0.06 parts by weight of metal aluminum powder was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mixture, and 2.5 parts by weight of water was added to the mortar surface in one minute. (Approximately 0.025 ml of water per 1 ml of the mortar foamed in the mold). When 30 minutes have elapsed after the mortar is injected into the mold, the rod-shaped rotary body 51 shown in FIG. 15 is inserted directly above the main root 11a, moved straight in parallel to the main root, and the bubble lump at the upper part of the main root is removed. The process was terminated until 33 minutes after the mortar maintained fluidity. The rod-shaped rotary body 51 was removed from the mold 15 and separated, and preliminary curing was performed for about 3 hours. Subsequently, the hardened mortar 18 was removed from the mold 15, and the predetermined size of the panel was cut with a piano wire cutter, followed by autoclave curing to obtain a lightweight foam concrete panel.

얻어진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의 상부 단면측에는 중질화 부분이 늘어서 있으며, 거칠고 큰 기포의 노출도 볼 수 없었으며, 제1도와 같이 절단하여 관찰한 바, 주근(11a)의 상부에 중질화된 부분이 확인되고, 거칠고 큰 기포는 관찰되지 않았다.The upper cross-sectional side of the obtained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was lined with neutralization, and no exposure to the coarse and large bubbles was observed. As a result of cutting and observing as shown in FIG. 1, the neutralized portion was confi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root 11a. And large, large bubbles were not observed.

(실시예 9)(Example 9)

다수의 보강근(11)이 등간격으로 배치된 폭 600mm, 길이 600mm, 높이 600mm의 소형의 형틀(15) 중에, 규석 분쇄물 35중량%, 보통 포틀렌드 시멘트 30중량%, 생석회 8중량%, 석고 2중량%, 경량기포 콘크리트 해쇄가루 25중량%를 배합한 것을 100 중량부에 대해서 물 70 중량부, 금속 알루미늄분말 0.06 중량부를 섞어개어 이루어지는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용의 모르타르슬러리를 주입하고, 1분후에 모르타르 표면에 물을 1.5중량부(이 양은 형틀중에서 발포한 모르타르의 체적 1ml당 0.01ml의 수용액에 상당하다)를 산포하였다. 모르타르를 형틀에 주입후 39분 경과하였을 때에 단순한 봉형체(55), (57)를 주근(11a)의 바로 위에 삽입하고, 주근에 평행하게 직선이동시키고, 주근 상부의 기포덩어리를 제거하고, 모르타르가 유동성을 유지하고 있는 33분후까지 봉형체를 형틀(15)로부터 빼내어 멀리하였다. 그후 약 3시간의 예비양생을 행하였다. 이어서 경과된 모르타르(18)를 형틀(15)로부터 떼어내고, 피아노선 커터로 소정의 판넬의 크기를 절단한 후, 오토크레이브 양생을 행하여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을 얻었다.In the compact frame 15 having a width of 600 mm, a length of 600 mm, and a height of 600 mm, in which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11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35% by weight of silica grinding material, 30% by weight of portland cement, 8% by weight of quicklime, and gypsum 2 minutes by weight, light weight foam concrete 25% by weight pulverized powder, 70 parts by weight of water and 0.06 parts by weight of metal aluminum powder are mixed with 100 parts by weight of mortar slurry for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s. 1.5 parts by weight of water was sprayed on the surface of the mortar (the amount corresponds to 0.01 ml of aqueous solution per 1 ml of the mortar foamed in the mold). When 39 minutes have passed since the mortar was injected into the mold, a simple rod (55) and (57) were inserted directly above the main root (11a), moved straight in parallel to the main root, and the bubble mass at the upper part of the main root was removed, and the mortar The rod-shaped body was removed from the mold 15 until 33 minutes after maintaining the fluidity. Thereafter, preliminary curing was performed for about 3 hours. Subsequently, the mortar 18 which passed was removed from the mold 15, the predetermined size of the panel was cut | disconnected with the piano wire cutter, and autoclave hardening was performed and the lightweight foam concrete panel was obtained.

얻어진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의 상부 단면측에는 중질화 부분이 늘어서 있으며, 거칠고 큰 기포의 노출도 볼 수 없었으며, 제1도와 같이 절단하여 관찰한 바, 주근(11a)의 상부에 중질화된 부분이 확인되고, 거칠고 큰 기포는 관찰되지 않았다.The upper cross-sectional side of the obtained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was lined with neutralization, and no exposure to the coarse and large bubbles was observed. As a result of cutting and observing as shown in FIG. 1, the neutralized portion was confi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root 11a. And large, large bubbles were not observed.

(실시예 10)(Example 10)

다수의 보강근(11)이 등간격으로 배치된 폭 600mm, 길이 600mm, 높이 600mm의 소형 형틀(15)중에, 규석 분쇄물 45중량%,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40중량%, 생석회 10중량%, 석고 5중량%를 배합한것을 100중량부에 대해서 물 70중량부, 금속 알루미늄분말 0.06 중량부를 섞어개어 이루어지는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용의 모르타르슬러리를 주입하고, 4분후에 모르타르 표면에 물을 2.0 중량부(이 양은 형틀중에서 발포한 체적 1ml당 0.015ml의 수용액에 상당하다.)를 산포하였다. 모르타르를 형틀(15)에 주입한 후 30분 경과하였을 때에 봉형 진동체(55), (57)를 주근(11a)의 바로 위에 삽입하고, 주근(11a)에 평행하게 직선이동시키고, 주근 상부의 기포덩어리를 제거하고, 모르타르가 유동성을 유지하고 있는 33분후까지 봉형 진동체(55), (57)를 형틀(15)로부터 빼내어 멀리하였다. 그후 약 3시간의 예비양생을 행하였다. 이어서 경과된 모르타르(18)를 형틀(15)로부터 떼어내고, 피아노선 커터로 소정의 판넬의 크기를 절단한 후, 오트크레이브 양생을 행하여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을 얻었다.In the small mold 15 having a width of 600 mm, a length of 600 mm, and a height of 600 mm in which a plurality of reinforcing rods 11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45% by weight of silica grinding, 40% by weight of Portland cement, 10% by weight of quicklime and 5% of gypsum. A mortar slurry for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s, in which 70% by weight of water and 0.06 parts by weight of metal aluminum powder are mixed with 100% by weight of the mixture, and 2.0 parts by weight of water is added to the mortar surface after 4 minutes. (Corresponding to 0.015 ml of aqueous solution per 1 ml of foamed foam). When 30 minutes have passed since the mortar was injected into the mold 15, the rod-shaped vibrators 55 and 57 were inserted directly above the main root 11a, and moved straight in parallel to the main root 11a. The bubble lump was removed, and the rod-shaped vibrators 55 and 57 were removed from the mold 15 until 33 minutes after the mortar maintained fluidity. Thereafter, preliminary curing was performed for about 3 hours. Subsequently, the elapsed mortar 18 was removed from the mold 15, and the predetermined size of the panel was cut by a piano wire cutter, followed by haute crab curing to obtain a lightweight foam concrete panel.

얻어진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의 상부 단면측에는 중질화 부분이 늘어서 있으며, 거질고 큰 기포의 노출도 볼 수 없었으며, 제1도와 같이 절단하여 관찰한 바, 주근(11a)의 상부에 중질화된 부분이 확인되고, 거칠고 큰 기포는 관찰되지 않았다.The upper cross-section side of the obtained lightweight foam concrete panel was lined with a neutralization portion, and exposed to large and large bubbles were not seen, and the cut portion was observed as shown in FIG. 1 and the neutralized portion wa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root 11a. A large, large bubble was not observed.

(실시예 11)(Example 11)

다수의 보강근(11)이 등간격으로 배치된 형틀(15)중에, 규석 분쇄물 35중량%,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30중량%, 생석회 8중량%, 석고 2중량%, 경량기포 콘크리트의 해쇄가루 25중량%를 배합한 것을 l00 중량부에 대해서 물 70중량부, 금속 알루미늄분말 0.06중량부를 섞어개어 이루어지는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용의 모르타르 슬러리를 주입하였다. 모르타르를 형틀에 주입후, 모르타르 발로가 거의 완료된 25분후에, 제15도에 나타내는 봉형 회전체(51)를 주근(11a)의 바로 위에 삽입하고, 봉형 회전체(51)에 회전운동을 가하면서 주근에 평행하게 직선이동시키고, 주근 상부의 기포덩어리를 제거하고, 모르타르가 유동성을 유지하고 있는 35분후까지 봉형 회전체(51)를 형틀(15)로부터 떼내어 멀리하였다. 그후, 약 3시간의 예비양생을 행하였다. 이어서 경과된 모르타르(18)를 형틀(15)로부터 떼어내고, 피아노선 커터로 소정의 판넬의 크기로 절단한 후, 오토크레이브 양생을 행하여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을 얻었다.In the mold 15 in which a plurality of reinforcing rods 11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35% by weight of silica grinding, 30% by weight of Portland cement, 8% by weight of quicklime, 2% by weight of gypsum, and 25% of crushed powder of light foamed concrete The mortar slurry for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s comprising 70% by weight of water and 0.06 parts by weight of metal aluminum powder was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100% by weight. After injection of the mortar into the mold, 25 minute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mortar kicking, the rod-shaped rotor 51 shown in FIG. 15 is inserted directly above the main root 11a, while the rod-shaped body 51 is subjected to rotational movement. The linear movement was performed parallel to the main root, the bubble lump at the upper part of the main root was removed, and the rod-shaped rotor 51 was removed from the mold 15 until 35 minutes after the mortar maintained fluidity. Thereafter, preliminary curing was performed for about 3 hours. Subsequently, the elapsed mortar 18 was removed from the mold 15, cut into a predetermined panel size with a piano wire cutter, and then autoclaved to obtain a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얻어진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의 상부 단면측에는 중질화 부분이 늘어서 있으며, 거칠고 큰 기포의 노출도 볼 수 없었으며, 제1도와 같이 절단하여 관찰한 바, 주근(11a)의 상부에 중질화된 부분이 확인되고, 거칠고 큰 기포는 관찰되지 않았다.The upper cross-sectional side of the obtained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was lined with neutralization, and no exposure to the coarse and large bubbles was observed. As a result of cutting and observing as shown in FIG. 1, the neutralized portion was confi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root 11a. And large, large bubbles were not observed.

(실시예 12)(Example 12)

다수의 보강근(11)이 등간격으로 배치된 폭 600mm, 길이 600mm, 높이 600mm의 소형의 형틀(15) 중에, 규석 분쇄물 40중량%,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25중량%, 생석회 8중량%, 석고 2중량%, 경량기포 콘크리트의 해쇄가루 26중량%를 배합한 것을 100 중량부에 대해서 물 70 중량부, 금속 알루미늄분말 0.06 중량부를 섞어개어 이루어지는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용의 모르타르슬러리를 주입하였다. 모르타르를 형틀(15)에 주입한 후 35분 경과하였을 때에 제2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형 회전체(51)와 단순한 봉형의 주입파이프(64)를 사용하여, 그것을 주근(11a)의 바로 위에 삽입하고, 즉시 주입 파이프(64)로부터 물을 주입하면서, 봉형 회전체(51)에 회전운동을 가하면서 주근에 평행하게 직선운동시키고, 주근 상부의 기포덩어리를 제거하고, 모르타르가 유동성을 유지하고 있는 39분후까지 봉형 회전체(51)와 주입 파이프(64)를 형틀(15)로부터 빼내어 멀리하였다. 그후 약 3시간의 예비양생을 행하였다. 이어서 경과된 모르타르(18)를 형틀(15)로부터 떼어내고, 피아노선 커터로 소정의 판넬의 크기로 절단한 후, 오토크레이브 양생을 행하여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을 얻었다.In the compact frame 15 having a width of 600 mm, a length of 600 mm, and a height of 600 mm in which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11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40% by weight of silica grinding, 25% by weight of Portland cement, 8% by weight of quicklime, and gypsum 2 A mortar slurry for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s, in which 70% by weight of water and 0.06 parts by weight of metal aluminum powder were mixed with 100% by weight of a mixture of 26% by weight of crushed powder of lightweight foamed concrete and 100% by weight, was injected. When 35 minutes have passed since the mortar was injected into the mold 15, a rod-shaped rotating body 51 and a simple rod-shaped injection pipe 64 were inserted as shown in FIG. 21, and inserted directly above the main root 11a. And, while immediately injecting water from the injection pipe 64, while applying a rotational motion to the rod-shaped rotating body 51 to move in a straight line parallel to the main root, remove the bubble mass of the upper part of the main root, the mortar is maintaining fluidity After 39 minutes, the rod-shaped rotor 51 and the injection pipe 64 were pulled away from the mold 15. Thereafter, preliminary curing was performed for about 3 hours. Subsequently, the elapsed mortar 18 was removed from the mold 15, cut into a predetermined panel size with a piano wire cutter, and then autoclaved to obtain a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그리고, 주입 파이프(64)로부터의 물의 주수량 2.0중량부(이 양은 형틀중의 최상부 주근(11a)의 1개의 상부에 위치하는 모르타르의 최적 1ml당 0.02ml의 수용액에 상당한다.)이었다. 얻어진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의 상부 단면측에는 중질화 부분이 늘어서 있으며, 거칠고 큰 기포의 노출도 볼 수 없었으며, 제 1도와 같이 절단하여 관찰한 바, 주근(11a)의 상부에 중질화된 부분이 확인되고, 거칠고 큰 기포는 관찰되지 않았다.Then, the amount of water to be fed from the injection pipe 64 was 2.0 parts by weight (this amount corresponds to an aqueous solution of 0.02 ml per optimal ml of mortar located at one upper portion of the uppermost root 11a in the mold). The upper cross-section side of the obtained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was lined with neutralization, and the exposure of the coarse and large bubbles could not be seen, and when cut and observed as shown in FIG. 1, the neutralized portion was confi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root 11a. And large, large bubbles were not observed.

그리고, 물 대신에 주수파이프로부터 폴리알킬술폰산 나트륨(상품명:마이티 150가오(주)제)의 2.0% 수용액을 1 중량부(이 양은 형틀 중의 최상부 주근(11a)의 1개의 상부에 위치하는 모르타르 최적 1ml당 0.0lml의 수용액에 상당한다.)를 사용하는 경우도, 폴리이소프렌술폰산(상품명:Z-105 닛뽕고우세이 고무(주)제)의 1.5% 수용액을 1.2중량부(이 양은 형틀중의 최상부 주근(11a)의 1개의 상부에 위치하는 모르타르의 체적 1ml당 0.02ml의 수용액에 상당하다.)를 사용한 경우도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Then, 1 part by weight of a 2.0% aqueous solution of sodium polyalkylsulfonic acid (trade name: manufactured by Mighty 150 Gao Co., Ltd.) from the main pipe instead of water was used. 1.2 ml of 1.5 parts by weight aqueous solution of polyisoprene sulfonic acid (trade name: Z-105 Nippon Gosei Rubber Co., Ltd.) is used (corresponding to 0.0 l ml of aqueous solution per 1 ml). The same result was obtained also when a 0.02 ml aqueous solution per volume of 1 ml of mortar located in one upper part of the main root 11a was used.

(실시예 13)(Example 13)

다수의 보강근(11)이 등간격으로 배치된 형틀(15)중에, 규석 분쇄물 30중량%,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30중량%, 생석회 6중량%, 석고 5중량%, 경량기포 콘크리트의 해쇄가루 29중량%를 배합한 것을 100중량부에 대해서 물 70중량부, 금속 알루미늄분말 0.06 중량부를 섞어개어 이루어지는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용의 모르타르 슬러리를 주입하였다. 주입후 35분 경과한 후, 제19도에 나타내는 교반 날개(60) 부착의 봉형 회전체를 주근(11a)d, 바로 위에 삽입하고, 봉형 회전체에 회전운동을 가하면서 주수공(62)의 선단으로부터 폴리알킬술폰산 나트륨(상품명:마이티 150가오(주)제)의 1.8% 수용액을 1중량부(이 양은 형틀 중의 최상부 주근(11a)의 1개의 상부에 위치하는 모르타르의 체적 1ml당 0.01ml의 수용액에 상당한다.)를 내면서 주근에 평행하게 직선 이동시키고, 주근 상부의 기포덩어리를 제거하고, 모르타르가 유동성을 유지하고 있는 40분후까지, 봉형 회전체를 형틀(15)로부터 빼내어 멀리하였다. 그후, 약 40분후까치, 봉형 회전체를 형틀(15)로부터 빼내어 멀리하였다. 그후, 약 3시간의 예비양생을 행하였다. 이어서 경과된 모르타르(18)를 형틀(15)로부터 떼어내고, 피아노선 커터로 소정의 판넬의 크기로 절단한 후, 오토크레이브 양생을 행하여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을 얻었다.In the mold 15 in which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11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30% by weight of silica grinding, 30% by weight of Portland cement, 6% by weight of quicklime, 5% by weight of gypsum, and 29% of lightly pulverized powder of concrete The mortar slurry for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s comprising 70% by weight of water and 0.06 parts by weight of metallic aluminum powder was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mixture of%. After 35 minutes of injection, the rod-shaped rotary body with the stirring blade 60 shown in FIG. 19 is inserted directly above the main root 11a, d, and the rotary motion of the cast hole 62 is applied to the rod-shaped rotary body. 1 part by weight of a 1.8% aqueous solution of sodium polyalkylsulfonate (trade name: manufactured by Mighty 150 Gao Co., Ltd.) from the tip (this amount is 0.01 ml per volume of 1 ml of mortar located at the top of one of the uppermost roots 11a in the mold). The rod-shaped rotary body was removed from the mold 15 and removed from the mold 15 until 40 minutes after the bubble mass at the upper part of the main root was removed, and the bubble mass at the upper part of the main root was removed. Then, about 40 minutes later, the rod-shaped rotating body was removed from the mold 15 and moved away. Thereafter, preliminary curing was performed for about 3 hours. Subsequently, the elapsed mortar 18 was removed from the mold 15, cut into a predetermined panel size with a piano wire cutter, and then autoclaved to obtain a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얻어진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의 상부 단면측에는 중질화 부분이 늘어서 있으며, 거칠고 큰 기포의 노출도 볼 수 없었으며, 제1도와 같이 절단하여 판단한 바, 주근(11a)의 상부에 중질화된 부분이 확인되고, 거칠고 큰 기포는 관찰되지 않았다.The upper cross-section side of the obtained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was lined with neutralization, and the exposure of the coarse and large bubbles could not be seen, and it was determined by cutting as shown in FIG. 1 that the neutralized portion was foun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root 11a. No large bubbles were observed.

(실시예 14)(Example 14)

다수의 보강근(11)이 등간격으로 배치된 형틀(15)중에, 규석 분쇄물 45중량%,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45중량%, 생석회 5중량%, 석고 5중량%를 배합한 것을 100 중량부에 대해서 물 70 중량부, 금속 알루미늄분말 0.06중량부를 섞어개어 이루어지는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용의 모르타르 슬러리를 주입하였다. 주입후, 30분 경과한 후, 제18도에 나타내는 봉형 진동체(57)를 주근(11a)의 바로 위에 삽입하고, 봉형 진동체에 수평진동을 가하면서 주근에 평행하게 직선이동시키고, 주근 상부의 기포덩어리를 제거하고, 모르타르가 유동성을 유지하고 있는 33분후까지 봉형 회전체(57)를 형틀(15)로부터 빼내어 멀리 하였다. 그후, 약 3시간의 예비양생을 행하였다. 이어서 경과된 모르타르(18)를 형틀(15)로부터 떼어내고, 피아노선 커터로 소정의 판넬의 크기로 절단한 후, 오토크레이브 양생을 행하여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을 얻었다.In the mold 15 having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11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 mixture of 45% by weight of silica grindstone, 45% by weight of Portland cement, 5% by weight of quicklime and 5% by weight of gypsum was used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Mortar slurry for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s comprising 70 parts by weight of water and 0.06 parts by weight of metallic aluminum powder was injected. 30 minutes after the injection, the rod-shaped vibrating body 57 shown in FIG. 18 is inserted directly above the main root 11a, and linearly moved parallel to the main root while applying horizontal vibration to the rod-shaped vibrating body. The bubble lump was removed, and the rod-shaped rotor 57 was removed from the mold 15 until 33 minutes after the mortar maintained fluidity. Thereafter, preliminary curing was performed for about 3 hours. Subsequently, the elapsed mortar 18 was removed from the mold 15, cut into a predetermined panel size with a piano wire cutter, and then autoclaved to obtain a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얻어진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의 상부 단면측에는 중질화 부분이 늘어서 있으며, 거칠고 큰 기포의 노출도 볼 수 없었으며, 제1도와 같이 절단하여 관찰한 바, 주근(11a)의 상부에 중질화된 부분이 확인되고, 거칠고 큰 기포는 관찰되지 않았다.The upper cross-sectional side of the obtained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was lined with neutralization, and no exposure to the coarse and large bubbles was observed. As a result of cutting and observing as shown in FIG. 1, the neutralized portion was confi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root 11a. And large, large bubbles were not observed.

그리고, 제18도에 나타대는 봉형 진동체(57)의 대신에 수직진동을 행하는 제17도의 봉형진동체(55)를 사용한 경우도 동일한 결과가 얻어졌다.The same result was obtained when the rod-shaped vibrator 55 of FIG. 17 performing vertical vibration instead of the rod-shaped vibrator 57 shown in FIG.

본 발명에 관한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은, 판넬면으로부터의 외관상은 통상의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과 같으면서, 그 단면에 있어서, 내부의 보강근의 근방으로부터 판넬단부에 향하여, 주위의 경량기포 콘크리트 기질부의 밀도보다 높은 밀도를 갖는 연속한 중질화부로 이루어지는 보강심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특히 외주 무근부의 강도가 현저하게 큰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을 얻을 수 있다.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appearance as that of a normal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from the panel surface, and in its cross section, from the vicinity of the internal reinforcement toward the panel end, than the density of the surrounding lightweight foamed concrete substrate portion. Since the reinforcement core which consists of continuous neutralization part which has a high density is provided, especially the lightweight foam concrete panel with remarkably large intensity | strength of the outer root part can be obtained.

또, 상기 중질화로 이루어지는 보강심의 주위에는 보통의 경량기포 콘크리트 기질부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 보강심만이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로부터 탈락할 염려는 없다.In addition, since there is a normal lightweight foamed concrete substrate portion around the reinforcing core made of the neutralization, only this reinforced core does not fall off from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또한, 종래의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에 있어서는 괴인 기포에 의한 대소의 공극이 생기기 쉬운 보강근의 근방으로부터 판넬 단부의 개소에 있어서, 본 발명의 판넬에서는 상술한 보강심이 설치되고, 이 부분에 괴인 기포에 의한 대소의 공극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다대한 효과를 발휘한다.In the conventional lightweight foam concrete panel, in the panel en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ing cores are provided in the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vicinity of the reinforcing bars where large and small voids are easily generated due to aggregated bubbles. Extensive effects such as the formation of large and small voids can be prevented.

또,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기의 구성을 갖는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을 제조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포제거장치를 사용하면, 다수의 주액파이프를 동시에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사람의 손에 의한 주입 파이프의 이동작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lightweight foam concrete panel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by using the bubble remov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ove a large number of liquid pipes at the same time quickly, the human hand No movement of the injection pipe by means of

Claims (12)

보강근(11)을 내부에 배치함으로써 보강된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10)에 있어서, 상기 보강근(11)의 근방으로부터 판넬의 단부에 향하여, 주위의 경량기포 콘크리트 기질부(14)의 밀도 보다도 높은 밀도를 갖는 연속한 중질화부로 이루어지는 보강심(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In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10 reinforced by arranging the reinforcing bar 11 therein, the density is higher than the density of the surrounding lightweight foamed concrete substrate 14 from the vicinity of the reinforcing bar 11 toward the end of the panel. Lightweight foam concrete pane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inforcement core (13) made of a continuous neutralization portion having a. 복수의 보강근(11)이 배치된 형틀(15)에 모르타르를 주입하고, 경화시키는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10)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모르타르 주입후, 모르타르의 점도상승을 늦추기 위한 물 또는 수용액을 보강근(11)의 근방 또는 상부에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의 제조방법.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10 in which mortar is injected and cured into the mold 15 on which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11 are disposed, after the mortar is injected, water or an aqueous solution for slowing the viscosity increase of the mortar is reinforced. Method for producing a lightweight foam concrete panel, characterized in that the injection into the vicinity or the upper part (11). 제2항에 었어서, 탈가스용 삽입체를 보강근(11)의 근방 또는 상부에 미리 배치한 후에, 모르타르를 주입하고, 모르타르가 소정의 높이에 달한 후, 모르타르의 점도상승을 늦추기 위한 물 또는 수용액을 탈 가스용 삽입체로부터 모르타르중에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의 제조방법.According to claim 2, after arranging the degassing insert in the vicinity or the upper part of the reinforcing bar 11 in advance, the mortar is injected, and after the mortar reaches a predetermined height, water for slowing the increase of the mortar viscosity or A method for producing a lightweight foam concrete panel, characterized in that the aqueous solution is injected into the mortar from the degassing insert. 제2항에 있어서, 모르타르가 소정의 높이에 달한 후, 탈가스용 삽입체를 보강근(11)의 근방 또는 상부에 삽입하고, 모르타르의 점도상승을 늦추기 위한 물 또는 수용액을 이 탈가스용 삽입체로부터 모르타르중에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의 제조방법.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fter the mortar reaches a predetermined height, a degassing insert is inserted into or near the reinforcing bar 11, and water or an aqueous solution for slowing the increase of the mortar's viscosity into the degassing insert. Method for producing a lightweight foam concrete panel, characterized in that the injection into the mortar. 제4항에 있어서, 이 탈가스용 삽입체로부러 모르타르의 점도상승을 늦추기 위한 물 또는 수용액을 이 탈가스용 삽입체로부터 모르타르중에 주입하면서 이 탈가스용 삽입체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의 제조방법.5. The degassing insert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degassing insert is moved horizontally while water or an aqueous solution is injected into the mortar from the degassing insert to slow the increase of the mortar viscosity. Method for manufacturing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s. 복수의 보강근(11)이 배치된 형틀(15)에 모르타르를 주입하고, 경과시키는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10)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모르타르 주입후, 모르타르의 점도상승을 늦추기 위한 물 또는 수용액을 모르타르 표면에 산포하고, 모르타르를 소정의 높이까지 발포시킨 후, 탈가스용 삽입체를 모르타르중의 보강근(11)의 근방 또는 상부에 삽입하고, 수평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의 제조방법.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panel 10 in which mortar is injected into the mold 15 in which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11 are disposed and passed, water or an aqueous solution for slowing the increase of the mortar viscosity after mortar injection is mortar. After spraying on the surface and foaming the mortar to a predetermined height, a method for producing a lightweight foam concrete panel, characterized by inserting the degassing insert into the vicinity or upper portion of the reinforcing bar 11 in the mortar and horizontally moving. . 복수의 보강근(11)이 배치된 형틀(15)에 모르타르를 주입하고, 발포 시킨 후, 봉형 회전체를 모르타르중의 보강근(11)의 근방 또는 상부에 삽입하고, 회전운동을 가하면서 수평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의 제조방법.After the mortar is injected into the mold 15 on which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11 are arranged and foamed, the rod-shaped rotating body is inserted into or near the reinforcing bar 11 in the mortar, and horizontally moved while applying a rotational motion. Method for producing a lightweight foam concrete panel, characterized in that. 제7항에 있어서, 봉형 회전체(51), (53)를 삽입함과 동시에, 모르타르의 점도상승을 늦추기 위한 물 수용액을 이 봉형 회전체(51), (53)로부터 모르타르중에 주입중에 회전운동을 가하면서 수평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의 제조방법.The water movement for inserting the rod-shaped rotors 51 and 53 and slowing the increase of the mortar viscosity into the mortar from the rod-shaped rotors 51 and 53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mortar.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weight foam concrete panel, characterized in that the horizontal movement while applying. 복수의 보강근(11)이 배치된 형틀(15)에 모르타르를 주입하고, 발포 시킨 후, 봉형 진동체(55), (57)를 모르타르중의 보강근(11)의 근방 또는 상부에 삽입하고, 수평진동 및 수직진동중 적어도 하나를 가하면서 수평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의 제조방법.Mortar is injected into the mold 15 on which the plurality of rebars 11 are arranged and foamed, and then rod-shaped vibrators 55 and 57 are inserted into or near the reinforcing bar 11 in the mortar, and horizontally.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weight foam concrete panel, characterized in that the horizontal movement while applying at least one of vibration and vertical vibration. 제9항에 있어서, 봉형 진동체(55), (57)를 삽입함과 동시에, 모르타르가 점도상승을 늦추기 위한 물 또는 수용액을 이 봉형 진동체(55), (57)로부터 모르타르중에 주입하면서 수평진동 및 수직진동중 적어도 하나를 가하면서 수평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의 제조방법.1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rod-shaped vibrators 55 and 57 are inserted, and at the same time, water or an aqueous solution for the mortar to slow the viscosity increase is injected into the mortar from the rod-shaped vibrators 55 and 57.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weight foam concrete panel, characterized in that the horizontal movement while applying at least one of vibration and vertical vibration. 보강근(11)을 갖는 다수의 경량기포 콘크리트 판넬(10)을 형틀(15)에서 형성할 때의 보강근(11) 상부의 기포를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승강수단(70)과 이 승강수단(70)에 의해 승강되는 복수의 주입 파이프(20)와 상기 승강수단(7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95)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기포 콘크리트용 모르타르의 기포제거장치.In the apparatus for removing bubbles in the upper part of the reinforcing bar 11 when forming a plurality of lightweight foam concrete panel 10 having a reinforcing bar 11 in the mold 15, the elevating means 70 and the elevating means 70 And a plurality of injection pipes (20) which are lifted and lowered by a) and a moving means (95) for moving the lifting means (70) in a horizontal direction. 제11항에 었어서, 승강수단(70)이 주승강수단(71)과 이 승강수단(70)에 의해 승강되는 복수의 보조승강수단(72)을 포함하고, 상기 각 보조승강수단(72)에 주입 파이프(20)가각각 승강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기포 콘크리트용 모르타르의 기포제거장치.According to claim 11, the elevating means (70) includes a main elevating means (71) and a plurality of auxiliary elevating means (72) to be elevated by the elevating means (70), each of the auxiliary elevating means (72) Injecting pipe 20 in each of the bubble removing device of the mortar for light-weight foam concrete, characterized in that the lifting.
KR1019950000625A 1995-01-16 1995-01-16 Treatment of light weight foam concrete panel KR01304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0625A KR0130405B1 (en) 1995-01-16 1995-01-16 Treatment of light weight foam concrete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0625A KR0130405B1 (en) 1995-01-16 1995-01-16 Treatment of light weight foam concrete pan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9273A KR960029273A (en) 1996-08-17
KR0130405B1 true KR0130405B1 (en) 1998-04-06

Family

ID=19406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0625A KR0130405B1 (en) 1995-01-16 1995-01-16 Treatment of light weight foam concrete pan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40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288B1 (en) * 2010-12-20 2013-03-25 한국세라믹기술원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utoclave lightweight concrete and autoclave lightweight concrete
KR20170033080A (en) 2015-09-16 2017-03-24 (주)계림건축사사무소 Foam type materials for reducing nois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floor system compris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288B1 (en) * 2010-12-20 2013-03-25 한국세라믹기술원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utoclave lightweight concrete and autoclave lightweight concrete
KR20170033080A (en) 2015-09-16 2017-03-24 (주)계림건축사사무소 Foam type materials for reducing nois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floor system compri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9273A (en) 199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9723426C1 (en) Lightweight open-porous mineral insulating board manufacture
CN1210472C (en) Concrete building construction form unit and manufacturing device therefor, and concrete building constructed by using concrete building construction form
CN110385774B (en) Production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of bidirectional core-pulling prefabricated hollow anti-seismic wallboard
EP0673733A2 (en) Process for making a light weight insulating panel from a porous mineral material
KR0130405B1 (en) Treatment of light weight foam concrete panel
CN210820109U (en) Device suitable for clear away aerated concrete block air bubble
CN110126059A (en) A kind of preparation process of precast concrete
CN106917469A (en) Steel plate concrete composite reinforcement reinforced beam anti-fatigue performance structure and method
CN216299602U (en) Scraping mechanism for aerated block pouring device
CN116330454A (en) Prefabricated building prefabricated wall pouring equipment and pouring construction process
CN213509654U (en) High-efficiency concrete vibrator
CN212397382U (en) A drill rod cleaning device for evaporating press aerated concrete slab after pulling out drill rod
JP3562872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lightweight cellular concrete
JP3585293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lightweight cellular concrete
CN107217865A (en) A kind of increasing reinforced construction method of the flat beam section of main body frame
CN107034890A (en) City integrated piping lane 3D printer
CN214091043U (en) Device is pour in housing construction main part construction
CN109356161B (en) Low-layer high-frequency inclined surface layered concrete pouring method for large-scale hydropower well bent pipe section
CN219316431U (en) Trolley for installing improved soil foam equipment
CN112267469A (en) Cement pouring equipment for building engineering
JP4083248B2 (en) Method for producing lightweight cellular concrete
CN220922799U (en) Concrete wallboard pouring equipment
DE10041834A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production of components from aerated concrete
CN213563525U (en) Stirring device for premixed mortar
CN219992472U (en) Water conservancy construction concrete anti-blocking pour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