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365Y1 - 통신설비용 래크 도어의 래치장치 - Google Patents

통신설비용 래크 도어의 래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365Y1
KR0130365Y1 KR2019940037590U KR19940037590U KR0130365Y1 KR 0130365 Y1 KR0130365 Y1 KR 0130365Y1 KR 2019940037590 U KR2019940037590 U KR 2019940037590U KR 19940037590 U KR19940037590 U KR 19940037590U KR 0130365 Y1 KR0130365 Y1 KR 01303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shaft
center
communication equipment
door
lower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75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6358U (ko
Inventor
주재훈
Original Assignee
김주용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용,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주용
Priority to KR20199400375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365Y1/ko
Publication of KR9600263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63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3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3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1Locks; Latch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통신설비용 래크 도어의 래치장치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체부의 상.하프레임상의 상.하부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되게 형성된 고정편의 걸림에 따른 작업의 불편성 및 비효율성을 해결하려고 하는 것임.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체부(10)의 상.하프레임(11)(11A)의 중간부에 상.하 소정길이 돌출되게 고정편(31)이 스크류(100)체결되고, 도어(21)의 내측면 상하부에는 상기 고정편(31)에 부착되는 자석편(32)이 구비됨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의 상.하프레임(11)(11A) 중간부를 절개하여 내측으로 절곡시켜 형성한 설치구멍(50)과, 상기 설치구멍(5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일정폭을 가지는 금속편의 양측을 일측으로 평행하게 절곡시켜 형성하고 상면에는 고정편(31)이 고정 설치된 몸체부(60)와, 상기 몸체부(60)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중심을 잡아주는 회전중심부(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통신설비용 래크 도어의 래치장치에 적용되는 것임.

Description

통신설비용 래크 도어의 래치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통신설비용 래크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통신설비용 래크 도어의 래치장치를 보인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결합구성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설치구멍 60 : 몸체부
70 : 회전중심부 71 : 제1중심돌기부
71A :제2중심돌기부 72 : 회전축공A
72A : 회전축공B 711 : 고정구
712 : 회전축 712A : 삽입홈
712B : 가이드면 713 : 이탈방지부
713A ; 고정홈 713B : E링
714 : 스프링 715 : 브라켓트
본 고안은 통신을 위한 각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여러장의 인쇄회로기판이 장착되는 통신설비용 래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래크의 전면부에 구비되는 도어의 열림을 방지해줄 수 있도록 한 통신설비용 래크 도어의 래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설비용 래크(RACK)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면부가 개방된 함체 형상의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전면부를 사용자의 회전조작에 의해서 개폐시킬 수 있도록 본체부(10)의 양측에 판상의 도어(21)가 힌지결합된 개폐부(20)와, 상기 개폐부(20)의 도어(21) 열림을 방지해줄 수 있도록 본체부(10)의 상.하프레임(11)(11A) 중간부에 소정길이 상.하돌출되게 고정편(31)이 설치되고 도어(21)의 내측면 상.하부에는 상기 고정편(31)에 부착되는 자석편(32)이 설치된 래치부(30)와, 상기 래치부(30)의 고정편(31)이 설치된 상.하프레임(11)(11A)의 양측에 종방향으로 구비되는 인쇄회로기관 장착부(40)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통신설비용 래크에 있어, 종래의 래치부구조를 살펴보면,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도어(21)의 내측면에 구비된 자석편(32)이 부착될 수 있도록 본체부(10)의 상.하프레임(11)(11A) 중간부에 상.하돌출되게 형성된 고정편(31)이 상기 상.하부프레임(11)(11A)에 스크류(100)로 고정되어 상기 자석편(32)의 자력에 의해서 도어(21)의 열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므로 인쇄회로기판이 실장되는 서브래크를 상기 본체부(10) 내에 적충식으로 장착시 상.하프레임(11)(11A)의 상하부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되게 스크류(100) 체결된 본체부(10)의 고정편(31)에 자주 걸려 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하여 작업시간의 낭비 및 비효율성을 유발시키게 되는 결함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통신설비용 래크 내부에 서브래크를 적충식으로 장착시 발생되는 래치부의 고정편 걸림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통신설비용 래크 도어의 래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상기 통신설비용 래크 도어의 래치장치는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자체 자력에 의해서 도어의 열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서브래크의 장착을 위해서 도어가 열려진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상.하부로 소정길이 돌출되게 형성된 고정편을 회전시켜 상.하프레임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일반적인 통신설비용 래크를 보인 사시도이고, 제2도는 종래의 통신설비용 래크 도어의 래치장치를 보인 단면도이며, 제3도는 본 고안의 결합구성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이다.
이 통신설비용 래크의 도어 래치장치는 통상에서와 같이 본체부(10)의 상.하프레임(11)(11A)의 중간부에 상.하 소정길이 돌출되게 스크류(100) 체결되는 고정편(31)과, 상기 고정편(31)에 부착되어 도어(21)의 열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도어(21)와 내측면 상.하부에 구비되는 자석편(32)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통신설비용 래크의 도어 래치장치에 있어, 본 고안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체부(10)의 상.하프레임(11)(11A) 중간부를 절개하여 내측으로 절곡시켜 형성한 설치구멍(50)과, 상기 설치구멍(5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일정폭을 가지는 금속편의 양측을 일측으로 평행하게 절곡시켜 형성하고 상면에는 고정편(31)이 고정 설치된 몸체부(60)와, 상기 몸체부(60)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중심을 잡아주는 회전중심부(70)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중심부(70)는 설치구멍(50)의 내측면(51)(51A) 중앙부에 소정길이 돌출되게 스크류(100) 체결되는 제1중심돌기부(71) 및 제2중심돌기부(71A)와, 상기 제1중심돌기부(71) 및 제2중심돌기부(71A)의 외측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몸체부(60)의 양측편(61)(61A) 중심부에 형성되는 회전축공A(72) 및 회전축공B(72A)로 구성된다.
제1중심돌기부(71)는 설치구멍(50)의 내측편(51)(51A)체 고정되는 고정구(711)와, 상기 고정구(711)의 외측에 삽입될 수 있도록 머리부에 삽입홈(712A)이 형성되고 몸체는 상기 회전축공A(72)에 삽입된 회전축(712)과, 상기 회전축(712)이 회전축공A(7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712)에 환형의 고정홈(713A)을 형성하고 이 고정홈(713A)에는 E링(713B)을 끼워 설치한 이탈방지부(713)와, 상기 이탈방지부(713)와 머리부 사이의 회전축(712)상에 탄력설치되고 자체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몸체부(60)가 일정힘 이상의 가압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한 스프링(714)과, 상기 스프링(714)에 의해서 탄력설치되고 회전축공A(72)에 삽입된 회전축(712)이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브라켓트(715)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712)의 머리부에 형성된 삽입홈(712A)에는 고정구(711)로의 삽입을 안내할 수 있도록 내측 외곽 주연부를 따라 내측방향으로 경사진 가이드면(712B)이 형성된다.
다음은 상기에서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관계 및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가 본체부(10)의 전면부에 구비된 도어(21)를 열게 되면,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체부(10)의 상.하프레임(11)(11A)상에 구비된 래치부(30)의 고정편(31)이 상시 상.하부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된 상태로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본체부(10) 내부로 인쇄회로기관이 실장된 서브래크를 적충식으로 장착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서브래크가 상.하프레임(11)(11A)의 중간부 상.하부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된 고정편(31)에 걸리지 않도록 상기 고정편(31)을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상.하프레임(11)(11A) 내측으로 밀어 넣게 되는 것으로, 이렇게 작업자가 상기 고정편(31)을 상.하프레임(11)(11A) 내측으로 밀게 되면, 상기 고정편(31)이 고정되고 설치구멍(50)의 내측편(51)(51A)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된 몸체부(60)가 회전중심부(7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하프레임(11)(11A) 내측으로 인입되므로서 서브래크의 장착시 고정편(31)의 걸림을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같은 상태에서 서브래크의 장착 완료후에는, 상기 회전중심부(70)를 중심으로 상.하프레임(11)(11A) 내부로 인입된 몸체부(60)를 다시 원상태로 회전시키게 되므로서 상기 몸체부(60)의 방면에 고정설치된 고정편(31)이 출몰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도어(21)를 닫아 자석편(32)의 자력에 의한 부착력으로 도어(21)의 열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몸체부(60)의 회전은 회전중심부(70)의 회전축(712)상에 탄력설치된 스프링(714)의 탄성력에 의해서 작업자의 일정힘 이상의 가압에 의해서만 회전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본체부의 상.하프레임의 상.하부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되게 형성되는 고정편을 작업자의 회전조작에 의해서 인입 또는 출몰 되도록 하므로서 서브래크의 장착시 발생되는 고정편의 걸림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의 단축 및 효율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Claims (4)

  1. 본체부(10)의 상.하프레임(11)(11A)의 중간부에 상.하 소정길이 돌출되게 고정편(31)이 스크류(100) 체결되고, 도어(21)의 내측면 상.하부에는 상기 고정편(31)에 부착되는 자석편(32)이 구비됨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의 상.하프레임(11)(11A) 중간부를 절개하여 내측으로 절곡시켜 형성한 설치구멍(50)과; 상기 설치구멍(5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일정폭을 가지는 금속편의 양측을 일측으로 평행하게 절곡시켜 형성하고 상면에는 고정편(31)이 고정 설치된 몸체부(60)와; 상기 몸체부(60)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중심을 잡아주는 회전중심부(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통신설비용 래크 도어의 래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중심부(70)는, 설치구멍(50)의 내측편(51)(51A) 중앙부에 소정길이 돌출되게 스크류(100) 체결되는 제1중심돌기부(71) 및 제2중심돌기부(71A)와, 상기 제1중심돌기부(71) 및 제2중심돌기부(71A)의 외측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몸체부(60)의 양측편(61)(61A) 중심부에 형성되는 회전축공A(72) 및 회전축공B(72A)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통신설비용 래크 도어의 래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심돌기부(71)는, 설치구멍(50)의 내측편(51)(51A)에 고정되는 고정구(711)와; 상기 고정구(711)의 외측에 삽입될 수 있도록 머리부에 삽입홈(712A)이 형성되고 몸체는 상기 회전축공A(72)에 삽입된 회전축(712)과; 상기 회전축(712)이 회전축공A(7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712)에 환형의 고정홈(713A)을 형성하고 이 고정홈(713A)에는 E링(713B)을 끼워 설치한 이탈방지부(713)와; 상기 이탈방지부(713)와 머리부 사이의 회전축(712)상에 탄력설치되고 자체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몸체부(60)가 일정힘 이상의 가압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한 스프링(714)과; 상기 스프링(714)에 의해서 탄력설치되고 회전축공A(72)에 삽입된 회전축(712)이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브라켓트(71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통신설비용 래크 도어의 래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712)의 머리부에 형성된 삽입홈(712A)에는 고정구(711)로의 삽입을 안내할 수 있도록 내측 외곽 주연부를 따라 일측으로 경사진 가이드면(712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통신설비용 래트 도어의 래치장치.
KR2019940037590U 1994-12-29 1994-12-29 통신설비용 래크 도어의 래치장치 KR01303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7590U KR0130365Y1 (ko) 1994-12-29 1994-12-29 통신설비용 래크 도어의 래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7590U KR0130365Y1 (ko) 1994-12-29 1994-12-29 통신설비용 래크 도어의 래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6358U KR960026358U (ko) 1996-07-22
KR0130365Y1 true KR0130365Y1 (ko) 1998-12-15

Family

ID=19404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7590U KR0130365Y1 (ko) 1994-12-29 1994-12-29 통신설비용 래크 도어의 래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36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6358U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9789A (en) Mounting apparatus for auxiliary storage device of computer
JPH04369014A (ja) ハードディスクパックの脱着機構
US5831822A (en) Personal computer having quick-release cooling fan
US6038125A (en) Electronic device with interlocking feature for mounting a removable electronic package
JPH03150896A (ja) 電子機器の筐体構造
KR0130365Y1 (ko) 통신설비용 래크 도어의 래치장치
JP3280697B2 (ja) 電子機器
US6301123B1 (en) Board extractor catch for a card module
US6592195B2 (en) Combination computer access cover and component removal tool
JPH05261227A (ja) 電子機器のフィルタ保持装置
CN215499207U (zh) 摄像机壳体及具有其的摄像机
CN216210402U (zh) 一种相机保护装置
CN217206948U (zh) 一种风扇机身壳体
JP2586864B2 (ja) 電源装置
KR0127847Y1 (ko) 광 케이블 커넥터 고정장치
JPH0241246Y2 (ko)
KR0120504Y1 (ko) 벽걸이, 탁상 겸용 송수화기 고정장치
JPH02290108A (ja) 配電盤
JPH01112798A (ja) 盲蓋取付具
JPH10299736A (ja) 開閉部機構
KR100228692B1 (ko) 캠코더의 로터리 노브 고정 장치
KR200172881Y1 (ko) 인쇄회로기판의 착탈장치
KR0128432Y1 (ko) 통신기기용 전면도어 착탈장치
KR970002686Y1 (ko) 무선 호출 수신기의 액정디스플레이(lcd) 보호장치
CN118008069A (zh) 铰链组件以及衣物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