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257Y1 - 형광등용 입력전원의 접지장치 - Google Patents

형광등용 입력전원의 접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257Y1
KR0130257Y1 KR2019960023699U KR19960023699U KR0130257Y1 KR 0130257 Y1 KR0130257 Y1 KR 0130257Y1 KR 2019960023699 U KR2019960023699 U KR 2019960023699U KR 19960023699 U KR19960023699 U KR 19960023699U KR 0130257 Y1 KR0130257 Y1 KR 01302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crew
ground
terminal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36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0305U (ko
Inventor
계승택
Original Assignee
계승택
중일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승택, 중일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계승택
Priority to KR20199600236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257Y1/ko
Publication of KR199800103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03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2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2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4Connections between or with conductive parts having primarily a non-electric function, e.g. frame, casing, ra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형광등의 전원입력용 단자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감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단자에 고정되는 접지선을 보다 간편하게 형광등 본체에 접지(earth)시킬 수 있도록 한 형광등용 입력전원의 접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하우징(3)내에 한쌍의 단자핀(8)과 1개의 접지 단자핀(11)을 내장하여 상기 단자핀에 제1, 2 전원선(4)(6)을 고정하고 접지 단자핀의 일측에는 제1 접지선(9)을 고정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본체(1)에 형성된 체결공(18)을 통해 스크류(19)를 체결하여 상기 스크류가 하우징(3)에 고정된 접지 단자핀(11)과 접속되도록 하우징(3)에 스크류 체결공(20)을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형광등용 입력전원의 접지장치
본 고안은 형광등의 전원입력용 단자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감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단자에 고정되는 접지선을 보다 간편하게 형광등 본체에 접지(earth)시킬 수 있도록 한 형광등용 입력전원의 접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제품에는 전류의 누설로 인해 사용자가 감전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접지선을 고정하여 이를 지면과 연결된 금속체에 접지시킨다.
종래에는 형광등에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접지선을 고정하기 위한 단자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에 스크류(2)에 의해 고정되는 하우징(3)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어 일단에 외부의 제1 전원선(4)이 고정되고, 다른 일단에는 본체내의 부품과 연결된 제2 전원선(6)에 스크류(7)에 의해 연결되는 한쌍의 단자핀(8)과, 상기 단자핀 사이에 위치되게 하우징에 고정되어 일단에 제1 접지선(9)이 고정되는 접지 단자핀(11)과, 상기 접지 단자핀의 다른 일단에 스크류(12)로 고정되어 본체(1)상에 별도의 스크류(13)로 고정되는 제2 접지선(14)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우징(3)을 형광등의 본체(1)에 고정한 다음 제2 접지선(14)을 본체(1)상에 접지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하우징(3)을 별도의 스크류(2)를 이용하여 본체(1)에 고정시킨다.
그후, 하우징(3)으로부터 전원선을 고정시키기 위한 스크류(7)를 약간 푼 상태에서 제1, 2 전원선(4)(6)을 단자핀(8)의 양측을 통해 끼우고 풀어 놓았던 스크류(7)를 다시 조여 주므로써, 안정기(15)에 외부전원이 공급된다.
이와 같이 하우징(3)의 단자핀(8)에 제1, 2 전원선(4)(6)을 고정하고 나면 접지 단자핀(11)을 누르는 스크류(12)를 약간 푼 다음 제 1, 2 접지선(9)(14)을 접지 단자핀(11)에 끼우고 풀어 놓았던 스크류(12)를 조여 주므로 하우징(3)에 접지선의 고정작업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작업에서 제 1, 2 접지선(9)(14)의 고정작업이 완료되고 나면 제2 접지선(14)의 끝단에 고정된 단자고리(16)에 준비된 스크류(13)를 끼운 다음 이를 형광등의 본체(1)에 나사 결합하므로서, 접지선의 접지작업이 완료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제1 접지선(9)을 형광등의 본체(1)상에 접지시키기 위해 하우징(3)에 별도의 제2 접지선(14)을 고정한 다음 별도의 스크류(13)를 이용하여야 되었으므로 부품수가 많아져 부품의 관리가 곤란하였음은 물론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하우징(3)을 본체(1)에 고정하기 위한 스크류 체결공(17)을 단자핀(8) 및 접지 단자핀(11)과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우징에 형성하여야 되었으므로 하우징의 크기가 커지게 되었음은 물론 구조가 복잡하므로 금형의 설계에 따른 제작비가 상승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그 구조를 개선하여 하우징을 본체에 스크류로 고정과 동시에 접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하우징내에 한쌍의 단자핀과 1개의 접지 단자핀을 내장하여 상기 단자핀에 제1, 2 전원선을 고정하고 접지 단자핀의 일측에는 제1 접지선을 고정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본체에 형성된 체결공을 통해 스크류를 체결하여 상기 스크류가 하우징에 고정된 접지 단자핀과 접속되도록 하우징에 스크류 체결공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용 입력전원의 접지장치가 제공된다.
제1도는 종래의 단자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결합상태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단자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4도는 제3의 결합상태를 일부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3 : 하우징
4 : 제1 전원선 6 : 제2 전원선
8 : 단자핀 9 : 제1 접지선
11 : 접지 단자핀 18 : 체결공
19 : 스크류 20 : 스크류 체결공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면 제3 및 제4도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의 단자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제4도는 제3도의 결합상태 일부 종단면도로써, 본 고안의 구성중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하우징(3)내에 한쌍의 단자핀(8)과 1개의 접지 단자핀(11)이 내장되어 상기 각 단자핀에 제1, 2 전원선(4)(6)을 고정하도록 되어 있고 접지 단자핀(11)의 일측에는 제1 접지선(9)만을 고정하도록 되어 있으며 하우징(3)에는 본체(1)에 형성된 체결공(18)을 통해 스크류(19)를 체결, 상기 스크류가 하우징(3)에 고정된 접지 단자핀(11)과 접속되도록 스크류 체결공(20)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하우징(3)에 내장된 한쌍의 단자핀(8)에 제1, 2 전원선(4)(6)을 고정하는 작업과, 접지 단자핀(11)의 일측에 제1 접지선(9)을 고정하는 작업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하우징(3)에 제1, 2 전원선(4)(6)과 제1접지선(9)을 고정하고 나면 하우징(3)의 저면을 본체(1)의 바닥면에 밀착시켜 본체(1)에 형성된 체결공(18)과 하우징(3)에 형성된 스크류 체결공(20)을 일치시킨다.
이와 같이 본체(1)에 형성된 체결공(18)과 하우징(3)에 형성된 스크류 체결공(20)을 일치시키고 나면 체결공(18)을 통해 스크류(19)를 삽입하여 체결하여 주면 상기 스크류(19)가 하우징(3)을 본체(1)에 고정시켜 줌과 동시에 계속해서 삽입되어 그 끝단에 하우징(3)내의 고정된 접지 단자핀(11)과 접속되므로 제1 접지선(9)이 본체(1)에 접지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하우징(3)의 구조을 개선하여 1개의 스크류(19)로 하우징(3)을 본체(1)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접지 단자핀(11)과 접속되도록 하여 제1 접지선(9)이 본체(1)에 접지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그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에 따른 작업시간을 대폭 줄이게 됨은 물론 부품수가 줄어 들게 되므로 부품관리가 편리해지게 된다.
또한, 금형의 구조가 간단해지게 되므로 금형설계에 따른 제작비도 절감하게 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1)

  1. 하우징(3)내에 한쌍의 단자핀(8)과 1개의 접지 단자핀(11)을 내장하여 상기 단자핀에 제1, 2 전원선(4)(6)을 고정하고 접지 단자핀의 일측에는 제1 접지선(9)을 고정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본체(1)에 형성된 체결공(18)을 통해 스크류(19)를 체결하여 상기 스크류가 하우징(3)에 고정된 접지 단자핀(11)과 접속되도록 하우징(3)에 스크류 체결공(20)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용 입력전원의 접지장치.
KR2019960023699U 1996-08-05 1996-08-05 형광등용 입력전원의 접지장치 KR01302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3699U KR0130257Y1 (ko) 1996-08-05 1996-08-05 형광등용 입력전원의 접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3699U KR0130257Y1 (ko) 1996-08-05 1996-08-05 형광등용 입력전원의 접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0305U KR19980010305U (ko) 1998-05-15
KR0130257Y1 true KR0130257Y1 (ko) 1998-12-15

Family

ID=19463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3699U KR0130257Y1 (ko) 1996-08-05 1996-08-05 형광등용 입력전원의 접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25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0305U (ko) 199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PA04012928A (es) Aislador compuesto.
SE0100562L (ko)
TR199700045A2 (tr) Ilave islevlere mahsus bir modülü iceren priz.
KR0130257Y1 (ko) 형광등용 입력전원의 접지장치
KR200231238Y1 (ko) 포지션 램프용 벌브 홀더
US5836778A (en) Lamp connector
KR200142688Y1 (ko) 전원 분배 콘넥터
KR100349489B1 (ko) 형광등용 다용도 소켓
ES2156809A1 (es) Faro en especial para vehiculo automovil que comprende un portalamparas de conexion simplificada.
KR200227789Y1 (ko) 백열전구 직렬연결용 소켓
KR200248226Y1 (ko) 220v용 접지 콘센트의 접지단자 결선구조
KR19980067539U (ko) 냉장고
JP2000173311A (ja) 車両用前照灯
KR200142058Y1 (ko) 헤드램프 배선콘넥터
KR200304818Y1 (ko) 형광등기구용 소켓
KR200334743Y1 (ko) 110볼트와 220볼트를 동시에 사용가능한 멀티탭
KR200186999Y1 (ko) 튜너의 핀블럭 결합구조
KR100239663B1 (ko) 진공 청소기의 파워코드 체결구조
JP4627594B2 (ja) 端子台
KR950000918Y1 (ko) 어스링 터미널이 설치된 발브홀더
KR0131528Y1 (ko) 전기계전기의 단자대 구조
JPH06203890A (ja) 電源端子装置
KR200282529Y1 (ko) 형광등 소켓과 스타트램프 소켓의 결합구조
ATE456874T1 (de) Elektrisches hilfsmittel
KR940005274Y1 (ko) 전기 플러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28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