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9983Y1 - 화상 출력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출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9983Y1
KR0129983Y1 KR2019980001833U KR19980001833U KR0129983Y1 KR 0129983 Y1 KR0129983 Y1 KR 0129983Y1 KR 2019980001833 U KR2019980001833 U KR 2019980001833U KR 19980001833 U KR19980001833 U KR 19980001833U KR 0129983 Y1 KR0129983 Y1 KR 01299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ink
carriage
head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18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요시 다까하시
쇼지 고이께
다까시 와따나베
히로시 엔도
도시유끼 야나까
마사또시 이까따이
야스시 미우라
야스유끼 다까나까
에이이찌 다까기
요시꼬 미야시따
Original Assignee
미라따이 하지메
캐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5040187A external-priority patent/JP314024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4092793A external-priority patent/JP322666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839629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248582A/ja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30026334A external-priority patent/KR940013827A/ko
Application filed by 미라따이 하지메, 캐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라따이 하지메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99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99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1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 B41J2/04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 B41J2/04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by pressure, e.g.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 B41J2/04501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 B41J2/0458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controlling heads based on heating elements forming bub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1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 B41J2/04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 B41J2/04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by pressure, e.g.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 B41J2/04501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 B41J2/04571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detecting visco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43Cartridge presence detection or type identification
    • B41J2/17546Cartridge presence detection or type identification electro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21Ink jet for multi-colour printing
    • B41J2/2107Ink jet for multi-colour printing characterised by the ink properties

Abstract

본 고안은 날염 매체에 대해 설정 방향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날염 헤드를 갖는 캐리지를 주사함으로써 날염을 수행하여, 작업 처리량이 감소됨이 없이 요구되는 칼라 톤 및 농도를 갖는 화상이 형성되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칼라 톤을 재생하기 위한 변환 데이타 및 캐리지의 주사 범위는 설치된 헤드 중에서 사용된 헤드에 따라 변화된다. 또한, 교체성이 증진될 수 있고, 설치된 헤드를 그룹으로 만듦으로써 각 그룹에 대하여 더 긴 수명이 성취된다. 게다가, 기록용 주사 범위 및 회복용 주사 범위는 기록 모드에 따라 사용할 그룹을 선택함으로써 변환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 출력 장치
본 고안은 화상 데이타가 공급되어 날염 매체에 칼라 화상을 출력하는 칼라 화상 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날염 매체에 대해 소정 방향을 따라 날염 헤드를 주사하면서 화상을 출력하는 형태의 소위 시리얼 스캔형 화상 출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급된 화상 데이타를 가지고 날염 매체 상에 칼라 화상을 출력하는 칼라 화상 출력 장치는 원색, 즉 청색(C), 자홍색(M), 및 황색(Y)과 흑색(Bk)의 네 가지 색으로 된 날염 재료(칼라 토너, 칼라 잉크)를 사용하여 날염을 수행함으로써 기초 삼원색이나 흑색을 두드러지게 한다.
또, 어떤 경우에는 화상 출력 장치는 상기 C, M, Y 및 Bk 이외의 칼라 날염 재료(이하 특수 칼라라 함. 예를 들어 금속색, 또는 코발트 블루)도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는 출력 화상에 C, M, Y, Bk으로는 표현하기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색을 표현해야 하는 경우에, 또는 이런 잉크나 토너 등의 착색제의 사용을 줄여야 하는 경우에 발생한다.
특히, 포스터용의 직물 또는 그라비아 날염 등의 직물 날염 분야에서는 디자이너가 고안한 디자인을 만족스럽게 표현해 주어야 하며, 따라서 C, M, Y, Bk으로는 표현할 수 없는 특정 칼라를 가진 날염 재료를 사용해야 한다.
한편, 날염 농도 또는 날염 계조를 높여야 하는 일도 자주 일어난다.
또, 어떤 화상은 날염 칼라를 모두 사용하지 않고 일부만 사용하여 날염할 수도 있다.
이런 방법으로 화상 출력 장치의 보급과 응용 분야의 확장에 따라 화상 출력 장치에 대한 각종 요구가 증가되고 있고, 따라서 처리량을 저감시키지 않고 이런 요구들을 확실히 만족시켜 줄 만한 화상 출력 장치의 제공에 대한 요구가 갈망되고 있다.
예를 들어, 잉크 제트 시스템에 의존하여 고농도 직물 날염을 하고 싶은 경우에 직물 날염용 잉크는 이미 색 농도가 높고 이런 농도의 상승은 곧 잉크 점도의 상승으로 이어져서 잉크 토출에 있어서 문제를 야기할 위험이 있다. 또, 도트 직경을 크게 하여 광학 밀도를 증가시키려면 토출할 잉크 포트의 크기 및 중량이 균일하지 않게 되어 결국 발사 위치의 어긋남이 발생하게 되고, 화상의 연결 부분에서 줄무늬나 불균일 현상이 일어나거나 균일 농도는 기대할 수 있다 하더라도 흰 줄무늬가 부분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또, 고농도 날염을 수행하기 위해 동일 날염면을 여러 번 날염 헤드가 지나가게 주사하는 장치는 날염 속도의 저하를 피할 수 없다.
종래의 전형적인 착색 방법은 직물에 직접 날염하기 위해 실크 스크린 보드를 이용하여 스크린 직물 날염을 행하는 방법이다. 스크린 직물 날염은 날염할 원래 화상을 위해 원래 화상에 사용되는 각 칼라마다 실크 스크린 보드를 준비해 놓고 잉크를 직물 상에 실크 메쉬를 통해 직접 전사시켜 착색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런 스크린 직물 날염 방법은 스크린 보드의 제조에 수많은 공정과 시간을 요하며, 날염에 요하는 칼라 잉크의 배합, 칼라 잉크마다의 스크린 보드의 배열 등의 작업이 필요하다. 게다가, 장치 크기가 대형화되고, 사용되는 칼라의 수가 많아지면 장비 설치 공간이 커져야 하며, 또 제조된 실크 스크린 보드의 저장 공간도 따라서 커져야 한다.
한편, 잉크 제트 기록 장치는 실제로 프린터, 복사기 또는 팩시밀리 장치의 기능을 하며, 컴퓨터나 워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복잡한 전자 장비 또는 워크 스테이션의 출력 유니트로 사용되며,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런 잉크 제트 기록 장치에는 직물에 잉크를 직접 토출하는 칼라 날염용 잉크 제트 기록 장치를 채택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이런 방법으로, 스크린 직물 날염시에 보드를 전혀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직물에 날염이 되기 전까지의 시간이 상당히 단축되며, 장치의 크기도 소형화된다. 자연적으로, 날염용 화상 정보는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의 매체에 기억될 수 있고 완벽한 저장 및 보존 능력을 얻을 수 있다. 또, 착색의 변화, 레이 아웃의 변화, 원래 화상의 확대 및 축소의 실행이 간단해 진다.
특히, 열 에너지를 이용하여 잉크를 토출할 수 있는 잉크 제트 기록 장치(기록 헤드)는 에칭, 증착, 스퍼터링 등의 반도체 제조 공정을 통하여 전기-열 변환체, 전극, 액체 통로 벽 및 기판 상에 형성된 천정판을 가진 고농도의 액체 통로 배열(토출 포트 또는 오리피스의 배열)을 가지도록 제조하는 것이 용이하여 더욱 밀집화된 구조, 높은 기록 속도, 높은 화질 해상도를 얻을 수 있으므로 이 방법은 잉크 제트 날염 시스템의 착색 방법의 하나로 기대할 만하다.
직물 날염 등과 같이 특수한 잉크 제트 날염 방법에 사용되는 잉크는 다음과 같이 종이 등의 기록 매체에 행하던 종래의 잉크 제트 기록의 경우보다 훨씬 엄한 조건을 적용받는다.
- 착색을 위한 충분한 농도.
- 잉크 토출 오리피스나 헤드의 잉크 채널에 막힘이 없을 것.
- 천에 불규칙한 얼룩이 없을 것.
- 장기간 사용에도 불구하고 토출 특성에 변동이 없을 것. 특히 열 에너지를 가하는 히터 상에 이물질이 부착하지 않을 것과 열 에너지를 이용하여 잉크를 토출하는 형식에서 거품의 소멸에 따른 공동화로 인한 히터 파손이 없을 것.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잉크는 일본국 공개 특허 공보(소)62-57750호와 일본국 공개 특허 공보(소)61-179269호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기술 분야에서, 이들 성능을 각각 일부 정도는 만족시키지만 동시에 모두 만족하는 잉크 제트 날염 방법은 제안된 바 없다.
게다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잉크 제트 날염 방법을 실제로 사용하는 데 새로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잉크 제트 날염 장치 중에서, 시리얼 타입의 장치는 기록 매체의 반송 방향(부 주사 방향)에 대해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주사하는 시리얼 스캔 방식에 의존하는 것이 있다. 이 장치에서, 기록 매체에 전체 화상을 날염하는 것은 기록 매체상에 걸쳐 주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캐리지 상에 설치된 기록 장치에 의해 한 줄의 화상을 날염하고 이 한 줄의 화상을 기록한 후, 부 주사 방향으로 소정량 만큼 시트를 반송(피치 반송)하고 나서 위치된 기록 매체 상에 다음 줄의 화상을 날염하는 방법을 반복하는 동작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런 잉크 제트 기록 장치를 칼라 날염에 실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제조 속도 및 직물 등의 최종 제품에 있어서의 요구 조건으로 인해 연속 피치 길이(주사 길이)가 프린터 등의 보통 잉크 제트 기록 장치보다는 휠씬(약 0.6m 이상 길어야 한다. 이런 이유로, 구동 신호 인가시에 헤드의 발열 소자에 의해 발생된 열 에너지를 사용하여 헤드로부터 잉크를 토출하는 잉크 제트 날염 방법에서, 한 번에 보다 긴 거리에 걸쳐 주사를 수행해야 하므로 헤드의 온도가 올라가서 잉크의 점도가 크게 변동하여 1회의 주사 동안에 안정된 토출을 얻을 수 없다. 결국, 잉크는 균일하게 토출되지 못한다.
게다가, 한 번에 긴 거리를 주사함으로써 헤드 오리피스면 상에 잉크 연무늬 부착량이 과대해져서 노즐 오리피스를 막게 되고 결국 불토출 상태(습윤 불토출 상태)가 된다. 게다가, 직물 표면에 있는 보푸라기나 잉여사로 노즐 헤드 주변에 부착된 잉크 연무를 닦아 내더라도 노즐은 또 막히게 되어 잉크가 토출되지 못하게 된다. 또, 상술한 잉여사 자체가 노즐 개구와 다시 접촉하거나 부착할 기회를 주게 되어 노즐 개구를 막게 되어 역시 불토출 상태로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는 헤드의 적어도 하나의 노즐당 한번의 주사시에 5×103번의 구동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잉크를 토출하는 형태의, 날염 길이가 긴 경우에 특히 두드러진다
전술한 종래의 직물 날염 방법 대신에, 상술한 잉크 제트 기록 장치에 의해 직물 상에 화상을 직접 형성할 수 있다면, 스크린의 제조를 생략할 수 있어 직물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데 필요한 처리 단계 및 시간이 단축되고 장치도 소형화된다. 그러나, 직물을 기록 매체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종이에 기록하는 경우와는 달리 착색 능력 및 화상 농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보통 네 가지 칼라(청색, 자홍색, 황색, 및 흑색)로 구성되는 기준 칼라만을 종이 상에 전색 기록하는 데 사용하는 것은 직물 상에 날염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에 충분한 색 재현 범위를 커버할 수 없다. 이리하여, 네 개의 기준 칼라 이외의 칼라를 특수 칼라로서 사용하고 기준 칼라 잉크와 함께 사용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특수 칼라 잉크를 기준 잉크에 추가하여 사용하려면 사용된 잉크의 종류에 따라 기록 헤드의 수를 늘려야 하고, 기록 헤드를 유지하는 헤드 홀더의 수가 많아져야 한다. 결국, 특수 칼라용의 기록 헤드를 제공한다 하더라도 사용하지 않게 되면 잉크 제트 기록 시스템에서 중요한 날염 동작 또는 회복 동작(세척 및 공전 토출)을 수행하는 데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되어 차후에 기록 속도 저하 문제를 일으킨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날염 매체 상에 각각 대응 칼라를 날염하는 복수개의 날염 헤드와, 상기 복수개의 날염 헤드를 설치할 수 있는 캐리지와, 상기 복수개의 날염 헤드에 의해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날염 매체에 대해 캐리지를 주사하는 주사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출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 상에 설치된 상기 복수개의 날염 헤드 중에 화상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날염 헤드에 따라 상기 주사 수단의 주사 범위를 변경하는 주사 범위 변경 수단도 포함하는 상술한 형태의 화상 출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또, 본 고안은 날염 칼라를 나타내는 변환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복수개의 날염 헤드 각각에 대응하여 제공된 기억 수단과, 상기 기억 수단 내에 기억된 상기 변환 데이타를 변경하기 위한 변환 데이타 변경 수단도 포함하는 상술한 형태의 화상 출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은 장기 주사 범위 변경 수단 및/또는 상기 변환 데이터 변경 수단은 상기 캐리지 상에 설치된 날염 헤드에 대응하는 날염 칼라와 설치된 날염 헤드의 수, 그리고 그 설치 위치에 따른 상기 범위 및/또한 변환 데이타를 변경하는 상술한 형태의 화상 출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특수 칼라용 기록 헤드가 제공되더라도 잉크 제트 기록 장치의 기록 속도가 저하되지 않는 잉크 제트 기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잉크 제트 기록 장치는 잉크를 토출함으로써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기록 헤드를 사용하며, 상기 기록 헤드는 기록 매체 상에 몇개의 잉크 도트로 구성되는 화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기록 매체에 대해 주 주사 방향으로 주사되는 상기 기록 매체와 대면하며 복수개의 기록 헤드를 설치하는 헤드 설치 수단과, 상기 헤드 설치 수단 상에 설치된 상기 복수개의 기록 헤드 중에서 기록 모드에 따라 기록하는 데 사용될 기록 헤드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기록 헤드만을 위해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 제어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선택된 기록 헤드는 각 기록 모드에 대해 연속적으로 주 주사 방향을 따라 상기 헤드 설치 수단 상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수개의 기록 헤드가 헤드 설치 수단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록용으로 사용할 기록 헤드는 복수개의 기록 헤드 중에서 기록 모드에 따라 선택되고, 기록 모드에 따라 선택된 기록 헤드는 연속적으로 배열되고, 양호한 화상 기록이 가능하고 결함 없이 충분한 속도로 필요한 기록 헤드만 선택함으로써 잉크 제트 기록의 폭 넓은 색 재현이 가능하다 또, 전기적 화상 처리 시스템의 유니트 구조로 기록 헤드의 수명의 연장이 사용하지 않을 기록 헤드의 접근을 방해함으로써 성취되며, 결국 제조 단가도 낮아지고 장치 자체의 비용도 절감된다. 또, 기록 모드에 따라 선택될 기록 헤드는 단일화할 수 있어서 헤드의 교환이 용이해진다.
본 명세서에서 날염라는 용어는 직물 날염을 포함하며, 넓게는 천이나 종이와 같은 날염 매체 상에 화상을 인가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또, 날염 매체의 예로는 천, 벽지, 종이, OHP 필름 등을 포함한다. 특히, 본 고안은 천이나 벽지와 같은 흡습성이 낮은 기록 재료에 적합하다.
본 고안에서, 직물은 재료나 직조 또는 편직 방법에 관계없이 모든 종류의 직포 또는 부직포를 포함한다.
또, 본 고안에서 벽지는 종이, 천, 또는 폴리비닐 염화물로 된 합성 수지 시트로 구성된 벽을 위한, 풀로 바르는 시트를 포함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프린터의 기계적 구성의 측단면도.
제2도는 프린터 헤드 주변의 구조적 예를 도시하는 블럭 다이어그램.
제3도는 제1도에 도시한 프린터의 전기적 구조를 도시한 블럭 다이어그램.
제4도는 블럭 다이어그램.
제5도는 제3도의 제어 보드 내의 구조의 일부를 통과하는 데이타 흐름을 도시하는 설명도.
제6도 및 제7도는 블럭 다이어그램.
제8도는 제1도에 도시한 헤드의 회복 수단을 도시한 설명도.
제9도는 헤드가 설치된 캐리지의 이동 범위를 설명하는 도면.
제10도는 다른 헤드가 설치된 상하 캐리지를 설명하는 도면.
제11도는 캐리지 상에 설치된 헤드에 따른 처리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제12도는 잉크 발사량에 대한 각 색에 잉크의 표준 농도를 설명하는 다이어그램.
제13도는 캐리지 상에 고농도의 색을 가진 헤드가 설치된 경우의 설명도.
제14도는 잉크 발사량에 대한 각 색의 잉크의 표준 농도를 설명하는 다이어그램.
제1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잉크 제트 날염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도면.
제16도는 제3 실시예에서의 각 잉크와 그 표본 날염 결과 및 비교예를 도시하는 도표.
제17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잉크 제트 기록 장치의 요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18도는 기록 헤드의 배열을 도시하는 정면도.
제19도는 기록 헤드를 위한 구동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다이어그램.
제20도는 블레이드의 세척 범위를 설명하는 도면.
제21a도 및 제21b도는 헤드 홀더의 이동 범위를 설명하는 도면.
제22도는 유니트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11' : 날염 유니트 13 : 잉크 제트 헤드
24, 24' : 캐리지 57 : 세척 부재
102 : 제어 보드 506, 508 : 변환 제어기
이하에 본 고안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직물 상에 날염하기 위한 직물 날염 장치의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프린터를 포함하는 각종 형태에도 구체화될 수 있다.
[제1 실시예]
제1도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직물 날염 장치로서 잉크 제트 프린터의 구조적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제2도는 그 주요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직물 날염 장치는 크게, 롤 형태로 감긴 직물 날염용으로 예비 처리된 직물을 운반하는 직물 공급 유니트 B와, 운반된 직물을 정확히 이송하면서 잉크 제트 헤드를 사용하여 날염을 수행하는 주 유니트 A, 그리고 건조후 날염 직물을 감는 권취 유니트 C로 구성된다.
그리고, 주 유니트 A는 플래튼을 포함하는 직물용 정밀 공급 유니트 A-1과 날염 유니트 A-2도 포함한다.
예비 처리된 롤형 직물(3)은 직물 공급 유니트로부터 운반되고 주 유니트 A에 단계적으로 공급된다.
단계적으로 공급된 직물(3)은 날염면이 배면측의 플래튼(12)에 의해 편평 상태로 유지된 채 제1 날염 유니트(11)내에 유지되고 전방측에서 잉크 제트 헤드(13)에 의해 날염된다. 한 줄의 날염이 완료되면 직물은 소정 단계만큼 이송되고 그 후 가열판(14)의 가열 및 고온 공기 도관(15)에 의해 공급/배출된 표면으로부터의 고온 공기에 의해 건조된다. 그 후, 제2날염 유니트(11')에서 제1날염 유니트와 같은 방법으로 덧 날염이 수행된다.
날염된 직물은 가열판 및 히터(또는 고온 공기)로 이루어지는 후속 건조 유니트(16)에 의해 다시 건조되고, 안내 롤(17)에 의해 안내되고 권취 롤(18)에 의해 권취된다. 그리고 권취된 직물은 주 장치로부터 제거되고, 착색, 세척, 건조 등의 일괄 처리를 거쳐 최종 제품이 제공된다.
제2도에서, 날염 매체의 직물(3)은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방으로 단계적으로 공급된다. 도면의 하방에 도시된 제1 날염 유니트(11)에는 Y, M, C, Bk 및 특정 칼라(S1내지 S4)용 잉크 제트 헤드, 즉 총 8개의 잉크 제트 헤드를 설치할 수 있는 제1 캐리지가 제공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잉크 제트 헤드(날염 헤드)는 잉크 토출시에 사용되는 에너지와 같이 잉크 내에 막비등을 일으키도록 열 에너치를 발생하는 요소를 사용한다. 각 헤드는 4000 DPI(dots/inch)의 밀도로 배치된 256개의 토출 오리피스를 갖는다.
제1 날염 유니트의 하류측에는 배면측으로부터 가열하는 가열판(14)과 정면측으로부터 건조시키는 고온 공기 도관(15)이 제공되어 있다. 가열판(14)의 전열면은 내부 중공부를 통과하는 고온 고압의 증기로 배면측으로부터 강한 가열을 제공한다. 가열판 내면측에서는 열 수집용 핀(14')이 제공되어 열을 직물(3)의 배면측 상에 집중시킨다. 가열판의 직물(3)에 반대되는 쪽 면은 열 방사로 인한 열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단열 재료(26)로 피복되어 있다.
전방면에서는, 건조할 직물에 저습 공기를 적용하기 위해 하류측에 배열된 공급 도관(27)으로부터 건조 고온 공기를 불어 댐으로써 건조 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그리고, 충분한 수분을 함유하며 직물 반송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는 취입량보다 약간 많게 상류측에 배치된 흡입 도관(28)을 거쳐 흡인되어 증발된 수분이 다시 묻거나 기계 부품들을 적시는 일은 방지된다. 고온 공기 공급원은 제2도의 후방측에 제공되어 있고, 흡입은 전방측에서부터 수행되며, 직물 양편에 배치된 취입 개구(29)와 흡입 개구(30) 사이의 압력차는 길이 방향으로 전체 면적에 걸쳐 균일해진다. 공기 취입/흡입 유니트는 배면측에 제공된 가열판의 중심에 대해 하류측으로 치우쳐 있어서 공기는 충분히 가열된 부분으로 보내지게 된다. 따라서, 제1 날염 유니트(11)는 직물에 흡수되어 있던 잔량을 포함하는 잉크 내에 함유된 일정량의 수분을 강력히 건조시킬 수 있다.
그 하류측(상부측)에는 제1 캐리지와 구조가 같은 제2 캐리지(24')으로 구성되는 제2 날염 유니트(11')이 제공되어 있다. 제1 캐리지(24)와 제2 캐리지(24')는 미리 일체화시키거나 적당한 연결 부재를 거쳐 연결되며, 이를 구동하는 구동원과 전동 기어는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제2도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잉크를 수용하고 소정량의 잉크를 헤드에 공급하는 잉크 공급 유니트가 제공되어 있는데, 이 잉크 공급 유니트는 잉크 탱크와 잉크 펌프를 포함한다. 그 본체와 헤드는 잉크 공급 튜브 등을 거쳐 연결되어 보통은 헤드로부터 토출된 것과 같은 양의 잉크가 모세관 작용에 의해 자동으로 공급된다. 또, 헤드 회복 동작 중에, 잉크는 잉크 펌프에 의해 간헐적으로 헤드로 공급된다. 그리고, 헤드와 잉크 공급 유니트는 별도로 제공되어 도시하지 않은 구동 유니트에 의해 제2도에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으로 왕복하는 캐리지 상에 설치된다.
또, 원래 위치(대기 위치)에서 헤드 반대쪽 위치에는 헤드의 잉크 토출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제2도에 도시하지 않은 헤드 회복 유니트가 제공되어 있어서 이 유니트가 후술하는 바와 같은 작동을 수행한다. 즉, 헤드를 원래 위치(대기 위치)에 구속(캡핑)하여 작동하지 않을 때(캡핑 동작시)에 헤드(9)의 노즐 내측으로부터 잉크의 증발을방지하도록 한다. 그렇지 않으면, 화상 기록을 개시하기 전에 노즐내의 잉크 유동 채널 상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노즐을 통하여 잉크를 간헐적으로 토출하는 동작(압력 회복 동작)이나 노즐을 통하여 잉크를 간헐적으로 흡입 및 토출하는 동작을 수행할 때 토출된 잉크를 인출하는 기능(흡입 회복 동작)을 수행한다.
이하에 이 장치의 제어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3도 및 제4도는 이 실시예의 잉크 제트 프린터의 구조와 그 작동 유니트의 구성예를 각각 도시한 것이며, 제5도 및 제7도는 데이타의 흐름에 따라 제3도에 도시한 주사 범위 변경 수단 및 변환 데이타 변경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제어 보드(102)의 내부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고안자가 선택한 칼라를 양호하게 재현하기 위해 Y, M, C 또는 특수 칼라의 배합 비율을 결정하기 위한 칼라 팔레트 데이타는 물론 날염용 화상 데이타는 일본국 특허 출원(평)4-203973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제어 보드(102)에 인터페이스(여기서는 GPIB라 함)를 거쳐 주 컴퓨터로부터 보내진다.
화상 데이타를 보내기 위한 장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반송 형태는 네트워크나 자기 테이프를 거쳐 오프-라인 형태로 할 수 있다. 제어 보드(102)는 전체 장치를 제어하며, CPU(102A)와 각종 프로그램이 저장된 ROM(102B)및 각종 레지스터 구역 및 작업 구역과 제5도 내지 제7도 및 다른 도면에 도시한 부분을 갖는 RAM(102C)으로 구성된다. 103은 조작자에게 메시지를 표시해 주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프린터(P)에 적합한 지시를 행하도록 조작자측 작업반을 갖는 작동/디스플레이 유니트이다. 104는 직물 같은 날염 매체를 반송하기 위한 모터를 구비한 직물 공급 장치이다. 105는 제4도에 도시한 각종 모터(M으로 표시)및 각종 솔레노이드를 구동하는 구동 유니트 입/출력 유니트이다. 107은 제어 보드(102)에 각 헤드에 관련한 정보(예를 들어 헤드의 압력이나 존재 여부 또는 헤드가 제공하는 칼라 등)를 수용하고 공급하며 각 헤드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릴레이 보드이다. 이 정보는 사용할 칼라를 위한 칼라 팔레트 데이타의 전달을 요구하도록 주 컴퓨터(H)로 전달되고 또 캐리지(24, 24')상에 헤드를 설치하는 범위의 확인 및 주사 범위의 설정에 사용된다. 또, 111은 캐리지(24, 24')이 주사를 행하기 위한 모터 같은 주사 수단으로서의 구동 유니트이다.
이제, 날염할 화상 데이타는 주 컴퓨터(H)로부터 받아들여져 그 화상 데이타는 GPIB 인터페이스(501)와 프레임 메모리 제어기(504)를 거쳐 화상 메모리(505)에 저장된다(제5도). 이 실시예의 화상 메모리는 124Mbyte 의 용량을 갖고 A1 사이즈의 데이타는 8비트의 팔레트 데이타로 구성된다. 즉, 한 화소(pixel)는 8비트로 구성된다. 503은 메모리 전달을 가속시키기 위한 DMA 제어기이다. 주 컴퓨터(H)로부터의 전송이 종료된 후 날염은 예정 처리 과정을 거쳐 개시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프린터에 연결된 주 컴퓨터는 주 화상으로서 화상 데이타를 전달한다. 각 프린트 헤드는 종방향으로 복수개의 잉크 토출 노즐을 가지므로, 화상 데이타의 배열은 날염 헤드와 결합할 수 있게 변환된다. 이 데이타의 변환은 라스터 ⓐ BJ 변환 제어기(506)에 의해 변환된다. 라스터 ⓐ BJ 변환 데이타는 팔레트 변환 제어기(508)로 가는 화상 데이타를 가변적으로 확대시키기 위해 차후 확대 제어기(507)의 확대 구조를 통해 공급된다. 확대 제어기(507)를 통과하기 전의 데이타는 주 컴퓨터로부터 전달되며 이 실시예에서는 8-비트 팔레트 신호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 팔레트 데이타는 보통 각 날염 헤드용의 처리기(후술함)로 통과되며 그 안에서 처리된다.
황색, 자홍색, 청색, 흑색 및 특수 칼라(S1내지 S4)의 날염 헤드는 제5도 내지 제7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제, 팔레트 변환 제어기(508)는 팔레트 데이타를 공급하고 주 컴퓨터(H)로부터 기억 수단으로서의 변환 테이블 메모리(509)로 칼라 입력에 대응하는 팔레트 데이타와 변환 테이블을 공급한다.
8-비트 팔레트에서, 재현 가능한 칼라 형태의 수는 256개, 즉 0부터 255까지 이며, 적당한 테이블은 각 칼라에 대응하는 테이블 메모리(509)내로 연장한다.
8-비트 팔레트에서 0부터 255까지의 재현 가능한 칼라 형태의 수는 256개 이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처리된다.
입력이 0일 때 연회색으로 날염
입력이 1일 때 특수 칼라 1로 진하게 날염
입력이 2일 때 특수 칼라 2로 진하게 날염
입력이 3일 때 청색과 자홍색의 혼합물로 구성된 청색 계열 칼라로 날염
입력이 4일 때 청색으로 진하게 날염
입력이 5일 때 자홍색과 황색의 혼합물로 구성된 적색 계열 칼라로 날염
입력이 254일 때 황색으로 진하게 날염
입력이 255일 때 날염 중지
특수 회로 구조에서, 팔레트 변환 테이블 메모리(509)는 팔레트 데이타용의 어드레스 위치에서 기입한 변환 데이타로 그 기능을 수행한다. 즉, 팔레트 데이타가 어드레스에 따라 공급되면 메모리에의 액세스는 판독 모드에서 이루어진다. 팔레트 변환 제어기(508)는 팔레트 변환 테이블 메모리(509)의 관리를 수행하며 제어 보드(102)와 팔레트 변환 테이블 메모리(509)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또, 특수 칼라에 대해 혼합할 특수 칼라의 양을 설정하는 회로(0에서 1배만큼 출력을 가산하는 회로)가 그 사이에 삽입되고 다음 스텝의 HS 시스템은 HS 제어기(510)와 HS 변환 테이블 메모리(511)로 구성되며 그 설정량은 가변적이다.
HS 변환 제어기(510)와 HS 변환 테이블 메모리(511)는 적정 농도 불균일 보정 유니트를 포함하는 헤드 특성 계측기(108)에 의해 계측된 데이타를 기초로 하여 각 헤드의 각 토출 오리피스에 대응하는 날염 농도의 분산을 보정한다. 예를 들어, 데이타 변환은 저농도(토출량이 적은)토출 오리피스를 더욱 진하게 해주고 고농도(토출량이 많은)토출 오리피스를 엷게 해 주며 중농도 오리피스에 대해서는 데이타 변환을 수행하지 않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이런 처리 과정은 후술하기로 한다.
차후에 제공된 γ-변환 제어기(512)와 γ-변환 테이블 메모리(513)는 각 칼라의 전체 농도를 진하게 또는 엷게 하는 테이블 변환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선형 테이블로서,
입력이 0 이면 출력은 0 이고
입력이 100 이면 출력이 100 이고
입력이 210 이면 출력이 210 이고
입력이 255 이면 출력이 255 이다.
다음 단계에서의 이원화 제어기(514)는 의사 계조(pseudo gradation) 기능을 가지며, 거기서 8-비트 계조 데이타를 입력하고 1비트로 구성된 이원화된 의사 계조 데이타를 출력한다. 다수값 데이타를 이원 데이타로 변환하는 것은 이 실시예에서는 디터 매트릭스 또는 오차 분산법(error diffusion method)에 따라 수행되며, 어떤 경우에도, 상세하지는 않더라도 단위 면적당 도트 수에 의해 계조 재현이 가능한 한은 다른 방법도 채택할 수 있다.
이로써 이원화된 데이타는 버퍼 헤모리(515)내에 기억되며, 각 날염 헤드를 위한 구동 데이타로서 사용된다. 각 버퍼 메모리로부터 나오는 이원 데이타 출력은 C, M, Y, Bk 및 S1내지 S4형태이다. 각 칼라를 위한 이원화된 신호가 유사한 처리 과정을 거치는 경우, 그 이원 데이타(C)를 제7도에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동일한 도면은 날염 칼라 청색을 도시하지만 각 색마다 같은 구조가 적용된다. 제7도는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버퍼 메모리(515)를 따르는 회로 구조를 도시하는 블럭 다이어그램이다.
이원화된 신호는 연속적인 다중 주사 발생기(522)(이하에는 SMS 발생기라함)로 출력되지만, 단일 장치에 대한 시험 날염은 패턴 발생기(517, 518)에 의해 수행할 수도 있다. 물론 이런 절환은 제어 보드(102)의 CPU에 의해 제어되어 이원 패턴 제어기(517)로부터의 데이타는 작동 유니트(103)상에서 예정된 동작을 수행할 때 시험 날염을 실시하도록 선택된다(제3도). 따라서, 이원 제어기(514)로부터의 데이타(버퍼 매모리(516))가 보통 선택된다. 520은 선택기(519) 및 SMS 발생기(522)사이에 삽입된 로고 입력부인데, 직물 날염의 경우 마커와 같은 로고 마크나 디자이너의 표지가 직물의 단부에 부착되는 것이 보통이므로 이를 위한 것이다. 그 구조는 예를 들어 날염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와 로고 데이타를 위한 메모리를 포함한다.
SMS 발생기(522)는 각 노즐에 가는 토출량을 변경함으로써 화상의 농도 불균일을 방지한다. 예를 들어 일본국 특허 출원(평)4-79858 호에는 다중 주사에 대해 기술되어 있다. 화질은 다중 주사 또는 한 화소당 복수의 토출 오리퍼스를 통하여 잉크를 토출함으로써 비례적으로 수행되며 이런 다중 주사를 수행하지 않고 고속이 얻어지며, 이런 설계는 예를 들어 작동/디스플레이 유니트(103) 또는 주컴퓨터(H)를 통하여 적당한 입력 장치에 의해 수행된다.
버퍼 메모리(524)는 헤드의 물리적 위치, 즉 상하부 날염 유니트간 혹은 제2도의 각 헤드간의 배치를 보정해 주는 메모리로서, 이 메모리에 화상 데이타가 일단 들어가면 헤드의 물리적 위치에 따른 타이밍에 출력한다. 따라서, 이 버퍼 메모리(524)는 각 날염 칼라마다 용량이 다르게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타를 처리한 후에 데이타는 헤드 릴레이 보드(107)를 거쳐 보내진다.
상기 구성과 함께 설명한 이 실시예의 주요 부분을 이하에 제8도 내지 제11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8도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헤드를 위한 더욱 양호한 토출 조건을 만들기 위한 처리 과정을 실시하는 소위 회복 수단을 도시하고 있다. 캡핑 부재(51)는 비날염 또는 대기 상태(이하 캡핑이라 한다)에서 캡핑 부재(51)로 헤드의 토출 면을 덮어 헤드의 토출면이 말라붙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 공전 토출 박스(53)에는 헤드의 토출 오리피스 내부에 잔류하는 진한 잉크가 토출되며, 캐리지(24 또는 24')가 축(55)을 따라 이동하면서 S4헤드로부터 C 헤드까지 연속적으로 토출된다. 세척 부재(57)는 헤드의 토출면상에 부착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다공성 부재 또는 탄성 부재로서, 캐리지(24, 24')의 운동 중에 S4헤드로부터 C 헤드까지 연속적으로 헤드의 토출면과 결합하여 이를 세척해 낸다.
직물 날염시에, 날염의 기본 칼라인 청색, 자홍색, 황색, 및 흑색의 네 가지 주 칼라 이외에 이들의 혼합으로는 재현하기 어려운 칼라가 특수 칼라 형태로 추가된다. 예를 들어, 선명한 코발트 블루, 금색 또는 은색 등이 있다. 이들 칼라는 디자인 원도의 요구대로 특수 칼라로서 추가되며, 이로써 날염시마다 날염 디자인에 따라 특수 칼라가 변한다. 그러나, 최대한 네 개의 특수 칼라가 제공되면 장치는 모든 디자인을 취급할 수 있으므로 이 실시예에서는 특수 칼라 헤드를 설치하기 위한 네 개의 구역을 설정한 것으로 한다.
제9도의(i)는 날염용 기본 칼라 이외에 특수 칼라를 위해 네 개의 헤드를 추가하면 공전 토출 박스로 토출 동작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캐리지 이동 범위를, 그리고 제9도의(ii)는 특수 칼라를 사용하지 않고 청색용 헤드 두 개가 설치된 경우의 캐리지 이동 범위를 표시하는 것이다. 이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속 날염에서는 설치된 헤드 수와 설치 범위를 확인하여 캐리지의 이동 거리를 절환하는 것이 좋으며, 이동 거리 L1은 8개의 헤드가 설치된 경우에 필요하고, L2는 다섯 개의 헤드가 설치된 경우에 필요하다.
물론, 이는 공전 토출 작동기뿐만 아니라 세척 동작 및 날염 동작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직물 날염시에, 사용된 잉크는 직물 처리 후 용도에 따라 디자인의 형상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변경하는 데 필요하다.
수영복이나 스키복을 직물 날염하는 경우에는 상당히 고농도의 날염이 요구된다. 이 경우, 농도를 높이기 위해 동일 날염면을 복수회 주사하여 덧 날염이 수행되지만, 날염 속도가 저하되고 만다. 이리하여, 제9도의 경우에, 캐리지 상에 칼라를 특정하기 위한 헤드 설치 영역은 진한 날염 칼라에 대응하는 복수의 헤드를 설치하는 데 사용된다.
이 경우, 제5도 내지 제7도에 도시한 화상 처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즉, 제6도의 팔레트 변환 테이블(508)에서, C변환 테이블은 그대로 두고, M 변환 테이블을 C 변환 테이블로 교체하고, Y 변환 테이블은 M 변환 테이블로 교체하고, Bk 변환 테이블은 Y 변환 테이블로 교체하고, S1변환 테이블은 K 변환 테이블로 교체한다. 또, S2내지 S4변환 테이블은 출력을 억제하도록 0으로 설정된다. 또, 다음 스텝의 HS 변환 테이블과 γ 변환 테이블도 마찬가지로 교체된다.
상기 처리 과정에 의해, 제6도에 도시한 이원 출력(516)은 C, C, M, Y 및 Bk으로 된다. 여기서, 청색만이 농도가 배이고 이 농도를 약간 더 저하시킬 필요가 있을 때에는 청색용 γ 변환 테이블의 기울기를 약간 낮추어 농도를 소망하는 정도로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이런 방법으로, 특수 칼라 구역에서 고농도가 요구되는 칼라의 헤드를 배열함으로써 칼라의 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날염 헤드의 순서와 칼라의 혼합은 변경되지 않으며, 칼라의 농담도 변하지 않는다. 제10도는 두 개의 자홍색 헤드가 상부 캐리지 상에 설치되고 두 개의 특수 칼라 헤드가 하부 캐리지 상에 설치된 경우를 도시하는 것이다. 화상 처리 시스템용 테이블은 상하부 캐리지 상에 다른 헤드가 설치되더라도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제11도는 변환 테이블의 내용을 설정하는 처리 공정과 캐리지 상에 설치된 헤드에 따른 주사 범위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스텝 S1에서, 캐리지 상에 설치된 헤드는 그 칼라, 수효 및 헤드 설치 범위가 확인된다. 예를 들어, 설치된 헤드의 수효 또는 범위를 확인하는 수단은 릴레이 보드와 제3도의 헤드 사이의 신호선에서의 헤드의 행간 임피던스를 측정하고, CPU(102A)를 통한 확인 또는 캐리지 상의 헤드 설치 위치에 배치된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을 통하여 판단을 내리는 데 이용된다. 또, 일본국 공개 특허 공보 평 2-187343 호에 기술된 고안은 프린터의 날염 헤드가 그 자체 정보(패턴 절단)를 표시하고 프린터 본체측에서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을 갖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이런 정보를 표시하는 수단은 EPROM 또는 DIP 스위치의 사용에 의존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적용하기 위해 그 정보는 프린터 헤드에 사용할 잉크 칼라일 수 있으며, 이로써 칼라와 수효와 범위가 그 정보를 읽는 프린터에 의해 확인된다. 또, 조작자는 작동/디스플레이 유니트(103)를 사용하여 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렇게 확인된 결과를 가지고, 제어 보드(102)는 그에 대한 응답으로 변환 테이블(509, 511, 513)로 변환 데이타를 확장시킨다. 또, 설치된 헤드의 수효나 범위에 따라 공전 토출, 세척, 및 날염 데이타를 설정한다(스텝 S5).
본 고안은 날염 헤드의 전부 또는 일부를 캐리지로부터 분리 가능한 경우 또는 모든 헤드들이 분리를 고려하지 않고 고정된 경우의 모든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헤드의 수효에 대한 정보만을 기초로 하여 주사 범위의 설정을 가능하게 하려면, 분리 가능한 형식의 경우 캐리지 상의 헤드 설치 부분 내에 간극을 형성하지 않도록 배치하여야 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 모든 헤드들이 고정되거나 설치된 헤드의 일부만이 날염에 사용된다고 하면, 사용된 헤드에 대한 정보는 윈도의 칼라를 분석하여 그에 따라 주사 범위를 설정할 수 있는 주 컴퓨터에 의해 입력 또는 확인된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를 특히 날염 농도 향상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서 채택한 것과 동일한 장치 및 처리 공정을 채택할 수 있으나 이 실시예는 특히 직물 상에 날염할 때 소망 날염 농도를 얻는 데 적합하다.
제12도는 잉크 발사량과 칼라 농도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 가로 좌표축은 잉크 발사량을 표시하며 단위 면적당 최대 발사량은 100이다. 수직 좌표축은 K/S값(B는 흡수 계수, S는 분산 계수)으로 표시되는 육안으로 관찰한 색농도의 적정치를 표시하며, 이는 식
K/S =(1-R)2/2R
로서 표시되는 날염후의 착색 공정과 세척 공정을 행하는 직물의 착색된 제품의 반사율 R의 함수이다.
이 도면에서, 청색의 최대치가 100으로 정의되는 것에 의해 값이 정규화되며 값이 클수록 농도가 높다. 또, 동일 도면은 황색, 자홍색, 청색 및 흑색의 표준 칼라와 특수 칼라 블루를 포함하는 다섯 개의 칼라의 특성을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동일 발사량을 가지고 흑색과 특수 칼라 블루의 농도는 황색, 자홍색 및 청색의 약 절반이 된다.
그러나, 수영복이나 스키복의 경우에는 직물 날염에서 보다 높은 농도가 요구되는 일이 흔하다. 이런 경우에, 농도를 디자인대로 얻기 힘든 흑색이나 특수 칼라 블루를 사용해야 한다면, 이런 칼라의 염료 농도를 높이고 잉크 액적의 크기를 조절하고 또는 동일 날염 표면을 복수회 겹쳐 주사하여 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지만 토출에 있어서의 문제, 줄무늬의 발생 또는 저속 날염으로 인한 저질 날염이 이루어지는 일이 많다.
이리하여, 이 실시예에서, 흑색 및 블루용의 두 헤드가 필요하면,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캐리지 상의 헤드 설치 구역에 고농도용 헤드가 복수개 설치된다.
이 경우에, 제5도 및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화상 처리 시스템에서, 다음과 같은 계측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6도의 팔레트 변환 테이블(508)내에서, C, M, Y 및 Bk 용 변환 테이블은 그대로 두고 S1변환 테이블은 Bk 변환 테이블로 교체되고 S2및 S3변환 테이블은 BL(블루) 변환 테이블로 교체된다. 그리고 S4변환 테이블은 출력을 억제하도록 0으로 설정된다. 또 다음 스텝 이후에 HS 변환 테이블과 γ 변환 테이블도 마찬가지로 교체된다.
상기와 같은 처리 과정에 의해, 제6도의 이원 출력(516)은 C, M, Y, Bk가 된다. 여기서, 흑색과 블루만이 2배의 농도를 가지고, 농도를 약간 저하시키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에, 흑색의 블루의 γ 변환 테이블의 기울기는 농도를 바람직하게 저감할 수 있는 정도로 약간만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제14도는 흑색과 블루용의 두 헤드가 설치되었을 때의 농도를 제12도와 비교하여 도시하고 있다. 흑색과 블루는 다른 세 가지 칼라와 같은 농도로 재현할 수 있다.
이런 방법으로, 특수 칼라 구역 상에 고농도로 해야 할 칼라의 헤드를 배열함으로써, 칼라의 농도는 향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날염 헤드의 순서와 칼라의 배합은 변동되지 않으며, 칼라 농담의 변화도 없다.
이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1도에 도시한 처리 과정을 사용하여 캐리지 상에 설치된 헤드에 따라 변환 테이블의 내용을 설정할 수 있다.
먼저, 스텝 S1에서, 캐리지 상에 설치된 헤드를 그 설치된 헤드의 칼라, 수효 및 설치 범위에 관하여 확인한다. 이런 확인된 결과를 근거로 하여 제어 보드(102)는 주 컴퓨터(H)에 지시를 발하고, 그에 응답하여 보내진 변환 데이타를 변환 테이블(509, 511, 513)로 확장한다(스텝 S3). 게다가, 제9도 및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된 헤드의 수효와 범위에 따라 주사 범위를 공전 토출, 세척 및 날염 구역 범위로 설정하면 스텝 S5의 처리가 실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스텝 S5의 처리가 삭제 또는 생략된다.
이 실시예를 흑색과 블루의 두 가지 헤드를 설치하여 소망하는 농도를 얻으려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디자인이나 농도, 나아가서는 화상 처리 시스템의 적절한 설정에 따라 적정 칼라의 헤드를 적정 수만큼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적정 칼라 농담의 잉크용의 적정수의 헤드를 설치할 수 있고, 변환 데이타 확장을 위해 테이블 내용을 재기록하여 설치된 헤드의 칼라 농담에 따라 칼라 농담을 재현하거나 주사 범위, 즉 설치된 헤드의 수효 및 범위에 따라 날염 영역이나 공전 토출 영역이나 세척 영역에서 개시 위치와 정지 위치를 절환하므로 사용된 칼라의 농담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구역 내의 처리나 고농도 날염을 효율적으로 수행하여 처리량을 개선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고안을 잉크 제트 기록 시스템의 직물 날염 장치를 구체화하는 제1 및 제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잉크 제트 날염 시스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종 날염 시스템에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특히, 잉크 제트 날염 시스템을 사용할 때 본 고안은 각종 잉크 제트 시스템에 있어서 잉크의 토출이나 열 에너지로 잉크의 상태 변화를 일으키는 데 사용하는 가열에너지를 발생하는 수단을 갖는 시스템(예를 들어 전기-열 변환체나 레이저 비임 같은)의 날염 헤드나 날염 장치에 특히 적합하다. 이런 시스템으로, 고농도 및 고정밀 날염이 가능하다.
그 대표적인 구조에 관해서는 예를 들어 미합중국 특허 제4,723,129 및 4,740,796호에 기술된 기본 원리를 사용하여 실시한 것이 적합하다. 이런 시스템은 소위 온-디맨드형 또는 연속형 모두에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온-디맨드형의 경우는 액체(잉크)를 유지하는 시트나 액체 채널에 대응하여 배치된 전기-열 변환체 상의 기록 정보에 대응하는 핵비등을 초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신호를 적용함으로써 열 에너지가 기록 헤드의 열 작용 표면에서 막비등을 일으키도록 전기-열변환체에서 발생하고, 결국 구동 신호마다 대응하여 액체(잉크)내에 기포가 하나씩 하나씩 발생한다. 기포의 성장 및 수축에 따라 토출 개구를 통하여 액체(잉크)를 토출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액적이 형성된다. 구동 신호를 펄스 파형으로 함으로써 기포의 성장 및 수축은 순간적으로 적절히 발생되어 응답 특성이 특히 우수한 액체(잉크)의 토출을 보다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다. 구동 신호가 펄스형으로 하는 경우는 미합중국 특허 제4,463,359호 및 제4,345,262호에 기술된 형태로 하는 것이 좋다. 상술한 열 작용면의 온도 상승 비율에 관한 본 고안의 미합중국 특허 제4,313,124호에 기술된 조건을 채택하면 보다 양호한 기록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각 명세서에 기술된 토출 오리피스, 액체 채널 및 전기-열 변환체(선형 액체 채널 또는 직각 액체 채널)이외에 기록 헤드의 구성에 대하여, 관절 부위에 배치된 열 작용 부분을 가진 구성을 설명하는 미합중국 특허 제4,558,333호 또는 제4,459,600호를 사용한 구성도 본 고안의 범주 내에 든다. 또, 본 고안은 전기-열 변환체의 토출 부분과 같은 복수개의 전기-열 변환체에 공통하는 하나의 슬릿을 사용하는 일본국 특허 공개(소)59-123670호에 기술된 구성이나 토출 부분에 대응하는 열 에너지의 압력파를 흡수하는 개구를 갖는 구성을 설명하는 일본국 특허 공개(소)59-138461호의 구성으로 하여도 효과적이다. 즉, 본 고안에 따르면, 날염은 날염 헤드를 어떤 형태로 만들든지 신뢰성 있고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게다가, 상술한 각종 형태의 시리얼형 날염 헤드 중에서, 본 고안은 주 장치에 고정된 날염 헤드나, 주 장치에의 전기적 연결 또는 주 장치에 설치되어 주 장치로부터 잉크의 공급을 가능케 하는 칩 자유 교환형 날염 헤드나 날염 헤드 자체에 일체로 마련된 잉크 탱크를 갖는 카트리지형의 날염 헤드에 대해 효과적이다.
또, 기록 헤드 회복 수단 이외에 본 고안의 기록 장치의 구성을 갖는 예비 보조 수단을 갖는다면 본 고안의 효과를 더욱 살릴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적합하다. 이들 특정 예는 기록 헤드를 위해 캡핑 수단, 세척 수단, 가압 또는 흡입 수단, 전기-열 변환체 또는 기타 형태의 가열 수단, 이들의 조합에 따른 예비 가열 수단 및 날염과는 별도의 토출을 수행하는 예비 토출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게다가, 상술한 바와 같이 액체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잉크인 것을 고려하였지만, 실온 이하에서 고상이고 실온 또는 실온 이상에서 연화 또는 액화되거나 잉크 온도를 30℃ 내지 70℃의 범위 내에서 조절함으로써 안정된 토출을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잉크 점도를 유지하도록 조절하기 위해 잉크 제트 장치에서와 같이 사용 날염 신호가 나오면 액화되는 다른 잉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 고상에서 액상으로 상변화시키기 위해 에너지로서 열 에너지를 사용함으로써 열 에너지로 인한 승온을 안정적으로 회피하고 잉크의 증발을 방지하기 위해 대륙붕 모양으로 굳어지고 가열에 의해 액화되는 잉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어떤 경우에도, 액체 잉크가 토출되도록 날염 신호에 따라 열 에너지를 적용하여 액화되거나 날염 매체에 도달 즉시 이미 고화되기 시작하는 형태의, 열 에너지를 가해야만 액화되는 성질을 갖는 잉크의 사용은 본 고안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잉크는 일본국 특허 공개 소 54-56847호 또는 소 60-71260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전기-열 변환체에 대향하여 배치된 다공성 시트의 요홈이나 관통 구멍 내에서 액체 또는 고체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잉크에 가장 유효한 방법은 막비등 원리에 기초를 둔 것이다.
또, 본 고안은 컴퓨터 같은 정보 처리 장치, 판독기와 조합된 복사기나 전송 및 수신 기능을 갖춘 팩시밀리 전송 장비 등에 사용하는 화상 출력 터미널 형태에도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3]
이하에 날염 길이가 긴 잉크 제트 날염시에 불토출을 일으키지 않고 안정된 토출을 수행하여 화상에 결함 없이 양호한 착색물을 제공하는 잉크 제트 날염 방법의 적합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사용하는 잉크는 착색제, 물, 유기 용제 및 첨가제로 구성된다.
착색제는 염료가 좋은데, 날염 매체 상에 착색 가능해야 한다. 예로서 산성 염료, 직접 염료, 양이온 염료, 분산 염료, 배트 염료 및 가용성 배트 염료를 포함한다. 이런 염료 중 하나 이상은 잉크 속에 들어 있으며, 다른 색조의 염료와 함께 사용할 수도 있으며, 날염 매체 상에 충분한 착색을 얻기 위해 그 사용량은 적합하게는 잉크 총량의 3.5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 그리고 특히 흑색 잉크는 5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로 한다.
잉크의 주성분으로 적합한 물의 양은 잉크 총량의 10 중량부 내지 93 중량부, 적합하게는 25 내지 87 중량부, 더욱 적합하게는 30 내지 80 중량부인 것이 좋다.
유기 용제의 예로는 예를 들어 아세톤과 디아세톤 알콜 같은 케톤이나 케톤알콜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옥산 등의 에테르류;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옥시에틸렌이나 옥시프로필렌부가 중합체; 에티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부티렌 글리콜, 1,2,6-헥산트리올, 헥실렌글리콜 등 알킬렌기가 두 개 내지 여섯 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킬렌글리콜류; 티오디글리콜,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또는 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또는 에틸)에테르, 트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또는 에틸)에테르 등의 다가 알콜의 저급 알킬에테르류;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틸(또는 에틸)에테르,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디메틸(또는 에틸)에테르 같은 다가 알콜 저급 디알킬 에테르류; 설포란, N-메틸-2-하이프롤리돈, 및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유기 용제의 함량은 잉크 총 중량의 2 내지 50 중량부가 보통이며, 적합하게는 5 내지 50 중량부이다.
상술한 매체는 단독으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가장 적합한 액상 매체의 조성은 적어도 한 종류의 폴리하이드릭 알콜을 포함하는 용제이다. 특히, 티오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또는 디에틸렌 글리콜과 티오글리콜의 혼합물이 아주 적합하다.
분산제, 계면 활성제, 점도 조절제, 표면 장력 조절제, 형광 증백제 등의 각종 공지의 제재를 필요에 따라 첨가할 수 있지만, 본 고안에서 사용하는 잉크의 주 성분은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콜, 셀룰로오스 같은 점도 조절제와 수용성 수지, 양이온이나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디에탄올아민과 트리에탄올아민같은 표면 장력 조절제, 완충액을 가진 pH 조절제, 그리고 곰팡이 방지제 등이 있다.
잉크 제트 날염에서 특히 중요한 점은, 잉크 점도가 1.5cP 내지 4cP, 적합하게는 2.0cP 내지 3.8cP의 범위에서 조절되고, 표면 장력은 35dyn/cm 내지 65dyn/cm, 적합하게는 35dyn/cm 내지 62dyn/cm의 범위에서 조절된다. 이런 범위에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달성된다.
즉, 날염 길이가 긴 잉크 제트 날염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잉크 제트 날염 방법과 같이, 잉크 재료를 종래의 기록에서 사용되던 잉크보다 더욱 엄격한 조건에서 제어해야 한다.
본 고안의 잉크 제트 날염 방법에서 사용된 잉크의 점도가 4cP를 초과하면 가열에 의한 점도 증가로 불토출이 급격히 증가하거나 안정된 토출이 이루어질 수 없다. 점도가 1.5cP 이하로 낮아지면 얼룩이 많아지거나 토출이 불안정해진다(새털라이트 출현).
잉크의 점도가 이 실시예의 범위 내에 있다 하더라도 불토출 길이(직물 상의 공백이 생기는 길이)는 불토출시에 수십 센티미터에 걸쳐 연장되며, 표면 장력은 35dyn/cm 또는 그 미만이 된다. 즉, 불토출의 회복은 원활하게 허용되지 않는다.
수십 cm에 걸쳐 연장하는 하나의 불토출이 있다면, 직물은 사용 불가능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반대로, 표면 장력이 65 dyn/cm를 넘으면, 주파수 반응이 감소하여 불안정한 토출을 초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긴 날염 길이를 갖는 잉크 제트 날염 방법에서의 본 고안의 효과는 점도 및 표면 장력 모두가 본 고안의 범위 내에 있게 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으며, 만약 그들 중 어느 하나가 이 범위를 벗어나면 본 고안의 효과를 달성할 수가 없다.
본 고안에 사용되는 잉크의 점도 및 표면 장력은 사용되는 염료 및 유기 용제의 종류나 양을 적절히 조합하여 선택하거나 다양한 종류의 첨가제들을 부가해 줌으로써 본 기술 분야의 숙련 기술자들에 의해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사용되는 날염 매체로는 천(cloth)이 바람직하며, 천을 만드는 재료는 특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천연 섬유, 재생 섬유, 반합성 섬유, 및 코튼, 실크, 나일론, 폴리에스터, 레이온 및 아세테이트와 같은 합성 섬유들을 포함한다.
보다 나은 착색물을 얻기 위해서는 상기 직물에 통상의 예비 처리를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천은 반응성 염료를 함유하는 잉크를 사용하는 경우에 0.0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의 알칼리 물질을 내포하고 있으며, 또는 일반적으로 보푸라기나 얼룩을 방지하고자 하는 견지에서 천은 수용성 금속염, 수용성 중합체, 요소 및 티오요소를 함유한 그룹에서 선택된 0.0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의 물질을 갖는다.
알칼리 물질의 예로는 수산화나트륨 및 수산화칼륨과 같은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또는 트리에탄올아민과 같은 아민, 및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및 탄산수소나트륨과 같은 알칼리금속 탄산염 또는 탄산수소염이 있다. 또한, 이들은 칼슘 아세테이트 및 바륨 아세테이트와 같은 유기산 금속염, 암모니아 및 암모늄 합성물을 포함한다. 게다가, 스팀 및 건조하에서 알칼리 물질이 되는 소듐 트리클로로아세테이트가 사용될 수도 있다. 특히 양호한 알칼리 물질로는 반응성 염료의 착색에 사용되는 탄산나트륨 및 중탄산나트륨이 있다.
수용성 중합체의 예로는 옥수수 및 밀가루와 같은 전분 물질,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메틸 셀를로오스 및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 물질, 소듐 알기네이트, 아라비아 고무, 로커스트 콩 고무, 트라가산트 고무, 구아 고무 및 타라린드 열매와 같은 다당류, 젤라틴 및 카세인과 같은 단백질 물질, 및 탄닌형 물질 및 리그닌형 물질과 같은 천연의 수용성 중합체들이 있다.
또한, 합성 중합체의 예로는 폴리비닐 알콜 합성물, 폴리에틸렌 산화물 합성물, 아크릴산형 수용성 중합체, 및 무수말레인산 수용성 중합체가 있다. 이들 가운데, 다당류 중합체 및 셀룰로오스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수용성 금속염의 예로는 4 내지 10의 pH를 갖고 알칼리 금속과 알칼리 토금속의 할로겐 화합물과 같은 전형적인 이온 결정을 만드는 합성물이 있다.
이러한 합성물의 대표적인 예로는 NaCl, Na2SO4, KCl 및 CH3COONa와 같은 알칼리 금속, 및 CaCl2및 MgCl2와 같은 알칼리토금속이 있다. 이들 가운데, Na, K 및 Ca의 염들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상술한 잉크를 사용하는 본 고안의 잉크 제트 날염 방법에 사용되는 장치를 예로써 설명한다.
이 장치는 크게 디자이너에 의해 창조된 초기 화상을 판독하는 판독유니트와, 판독된 초기 화상 데이타를 입력 및 처리하는 화상 처리 유니트, 및 화상 처리 유니트에 의해 만들어진 화상 데이타에 의거하여 직물에 날염을 수행하는 화상 날염 유니트로 구성된다.
화상 판독 유니트는 화상 처리 유니트에 전기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CCD 화상 센서로 초기 화상을 판독한다. 화상 처리 유니트는 입력 초기 데이타로부터 후술하는 바와 같은 자홍색, 청색, 황색 및 흑색의 4색 잉크를 토출하는 잉크 제트 날염 유니트를 구동하기 위한 데이타를 만들어 낸다. 생성 데이타로는 잉크 도트로 초기 화상을 재생하기 위한 화상 처리, 칼라 톤을 결정하기 위한 착색, 윤곽선(layout)의 변경, 및 확대나 축소와 같은 디자인 크기의 조정/선택이 있다.
제15도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잉크 제트 날염 장치의 일례로써 화상 기록 유니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잉크 제트 날염 유니트(1501)는 크게 프레임(1506)과, 두개의 안내 레일(1507, 1508)과, 잉크 제트 헤드(1509) 및 이를 이동시키기 위한 캐리지(1510), 잉크 공급 장치(1511)및 이를 이동시키기 위한 캐리지(1512), 헤드 회복 장치(1513), 및 전기 시스템(1505)으로 구성된다. 잉크 제트 헤드(1509, 이후 간단히 헤드라 칭함)는 다수열의 토출 오리피스 및 전기 신호를 잉크 토출 에너지로 바꿔 주는 변환체를 포함하며, (도시되지 않은)화상 처리 유니트로부터와 화상 신호에 따라 토출 오리피스의 열을 통해 잉크를 선택적으로 토출해주는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헤드는 열 에너지를 사용하여 잉크를 토출하는 프린트 헤드일 수도 있으며, 이는 잉크에 공급하는 열 에너지를 발생시켜주는 전기-열 변환체(열 발생 소자)를 포함하는 헤드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럼으로써 전기-열 변환체에 의해 가해진 열 에너지로 인해 잉크에 상변화를 일으켜서 이 상변화에 의거하여 토출 오리피스를 통해 잉크를 토출하게 된다.
잉크 공급 장치(1511)는 잉크를 저장하여 헤드에 필요한 양의 잉크를 공급해주는 역할을 하며, 도시되지 않은 잉크 탱크와 잉크 펌프로 이루어진다. 이 주 장치와 헤드(1509)는 잉크 공급관(1515)을 거쳐 연결됨으로써, 잉크는 통상 모세관 작용으로 헤드로부터 토출된 양만큼 헤드(1509)에 자동 공급된다. 후술하는 헤드 회복 작동에서는 잉크가 잉크 펌프를 사용하여 헤드(1509)에 강제로 공급된다.
헤드(1509)와 잉크 공급 장치(1511)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 장치에 의해 안내 레일(1507, 1508)을 따라 왕복 운동하기 위해 각각 캐리지(1510)띤 캐리지(1512) 상에 장착된다.
헤드 회복 장치(1513)는 헤드의 잉크 토출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헤드(1509)의 홈 위치(대기 위치)에서 헤드(1509)에 대향한 장소에 제공되며, 특히 다음에 기술되는 바와 같은 작동을 수행하기 위해 화살표 A 방향으로 전후 이동할 수 있다.
먼저, 비작동시에, 헤드 회복 장치(1513)는 헤드(1509)의 노즐 내부에서 잉크가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홈 위치에서 헤드를 덮어 준다[캡핑(capping) 작동]. 또한, 화상 기록을 개시하기 전에 노즐 내부의 기포나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잉크 펌프를 사용하여 헤드 내의 잉크 유동 채널을 가압해줌으로써 노즐을 통해 잉크를 강제로 토출하는 작동, 또는 노즐을 통해 잉크를 강제로 흡입 및 토출하는 작동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토출될 잉크를 회복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흡입 회복 작동).
전기 시스템(1505)은 동력 공급 유니트와, 전체 잉크 제트 기록 유니트의 순차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구동 제어 유니트를 포함한다. 직물(1516)은 헤드(1509)가 안내 레일(1507)을 따라 주 주사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예정된 길이를 기록할 때마다 도시되지 않은 운송 장치에 의해 부 주사 방향(또는 화살표 B 방향)으로 예정된 거리만큼 운반되며, 그럼으로써 화상의 형성을 달성하게 된다. 도면에서는 사선 부분(1517)이 기록 부분을 나타낸다.
기록 헤드(1509)는 단색 날염용의 잉크 제트 기록 헤드, 상이한 칼라의 잉크를 갖는 칼라 기록용의 복수의 기록 헤드, 또는 농도가 상이한 동일 칼라의 계조(gradation)기록용의 복수의 기록 헤드일 수도 있다.
또한, 이 장치는 기록 헤드와 잉크 탱크가 일체로 된 카트리지형뿐 아니라, 기록 수단과 잉크 탱크의 구성에 관계없이 기록 헤드와 잉크 탱크가 별도로 제공되어 잉크 공급관을 통해 연결되는 다른 형태의 것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고안에서 사용된 열 에너지를 이용하여 잉크를 토출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보다 더 조밀하고 정밀하게 기록이 수행될 수가 있다.
상기 방법에서, 잉크가 가해진 직물은 직물에 염료를 부착시키기 위해 열 처리를 받는다. 열 처리는 종래의 공지된 방법, 즉 예를 들어 스팀 방법, HT 스팀 방법, 또는 열고착 방법, 및 알칼리 용제가 고착을 위해 요구되는 경우 알칼리로 예비 처리된 직물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알칼리 패드 스팀 방법, 알칼리 블로치(blotch)스팀 방법, 및 알칼리 쇼크(shock)방법 중의 어느 하나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처리를 행한 직물을 세척하고 종래의 공지된 방법으로 비반응 염료를 제거해 줌으로써, 착색물을 얻을 수가 있다.
본 고안의 날염 방법은 사무용 또는 개인용에 적용 가능하며, 특히 사무용을 제외한 산업용으로, 즉 산업 실무에 있어서 적합하다.
얻어진 착색물은 다음에 원하는 크기로 잘려지고, 잘려진 조각들은 스티칭, 결합(bonding)및 접착(welding)과 같은 최종 제품을 마련하기 위한 공정을 거쳐서 넥타이나 손수건 같은 제품으로 완성된다.
다음에, 몇 가지 예와 비교예들을 이용하여 아래에 특정 잉크 조성이 주어질 것이다. 여기서, 명세서 내의 부와 %는 중량에 관한 기준값이다.
잉크 A 내지 D는 본 고안의 실시예이고, 잉크 E 내지 H는 비교예이다.
1. 잉크 준비
다음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이 혼합 용액을 수산화나트륨으로 pH 8.4까지 조정한 뒤, 두 시간 동안 교반한 후, 플로로포어(Floropore)필터 FP-100(스미또모 덴끼 고교 가부시끼가이샤제의 상표명)을 통해 여과시켜, 다음에 표시한 바와 같은 물-칼라 잉크 A 내지 H를 얻었다.
각 잉크의 점도 및 표면 장력은 제16도에 도시한 표를 사용하여 후술한다.
또한 다음의 성분들은 혼합하고, 이 혼합 용액을 초산으로 pH 8.4까지 조정한 뒤, 두 시간 동안 교반한 후, 플로로포어 필터 FP-100(스미또모 덴끼 고교 가부시끼가이샤제의 상표명)을 통해 여과시켜, 다음에 표시한 바와 같은 물-칼라 잉크 I, J를 얻었다.
상기 잉크를 사용하여, 다음의 기록 조건하에서 제15도에 도시한 장치로 기록을 수행하였다(장치 a).
또한, 상기와 동일한 기록 조건하에서, 장치 a 보다 짧은 310mm의 날염 길이를 갖는 장치 b로 기록을 수행했다.
날염용으로 다음의 두 종류의 직물들이 사용되었다. 10 % 수산화나트륨 용액에 직물 a를 침지시킨 다음 건조시켰다. 직물 b는 15% 요소 용액에 침지된 다음 건조되었다.
직물 a : 플랫 시팅(sheeting)(코튼 100%)
직물 b : 8 모멘의 하부타에(habutae)(실크 100%)
상기한 장치 a, b를 사용하여 직물 a, b 상에 A 내지 J의 각 잉크를 써서 연속 30 주사로써 전면(solid)기록을 수행하였다.
장치 a는 전면 기록의 경우 1 주사에 대해 노즐 당 1.8×104펄스로 구동되는 반면, 장치 b는 전면 기록의 경우 1 주사에 대해 노즐 당 4.0×103펄스로 구동되었다. 기록의 결과, 불토출의 발생 빈도와 불토출의 평균 길이가 검사되었다. 또한, 스팀 처리(104℃, 10분)를 통해 날염물을 정착시킨 후, 천연 세제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다음에, 얻어진 착색물의 얼룩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날염후의 헤드 오리피스 면을 관찰하였다. 이들 결과가 제16도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1로 표시된 불토출의 평균 길이는 Σ1/n(cm)에 따라 얻어질 수 있는데, 여기서 1은 불토출의 길이이고, n은 불토출의 횟수이다.
도면에서, *2로 표시된 얼룩 항목은 입체 부분의 엣지의 선형 부분에서 일어나는 불규칙한 무질서 상태를 가시적으로 관찰하고 측정함으로써 얻어졌다. 얼룩도 항목에 표시된 바와 같은 기호들은 ○이 무질서하지 않은 상태이고, △가 약간 무질서한 상태이며, ×가 많이 무질서한 상태임을 의미하고 있다.
도면에서 *3으로 표시된 헤드 오리피스 면 항목은 불토출 능력과 헤드 오리피스 면을 관찰함으로써 얻어졌다. 헤드 오리피스 면의 항목에 표시된 바와 같은 기호들은 ○이 오리피스 면에 잉크 액적(droplets)이 전혀 부착되지 않은 상태이고, △가 오리피스 면에 약간의 잉크 액적이 별 문제없이 부착되어 있는 상태이며, ×가 오리피스 면에 많은 잉크 액적이 부착되어 어려운 토출을 초래하는 상태임을 의미하고 있다.
기록의 결과, 상기 언급한 잉크 A 내지 D 및 I, J를 사용하여 완전한 착색 날염을 수행함으로써 안정한 토출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우수한 칼라를 갖고 얼룩이 없는 착색물을 얻을 수가 있다.
긴 날염 길이를 갖는 잉크 제트 날염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칼은 본 고안의 날염 방법에 의해, 불토출을 초래함이 없이 안정한 토출을 이를 수 있고, 또한 고농도의 착색물을 얼룩없이 얻을 수가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잉크 제트 시스템을 사용하는 직물 날염 장치가 예시화되었지만, 본 고안은 잉크 제트 시스템뿐 아니라 다양한 날염 시스템들에서도 구체화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잉크 제트 시스템이 채택되는 경우, 본 고안은 다양한 잉크 제트 날염 시스템들 가운데 특히, 잉크를 토출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에너지로써 열 에너지(예를 들어, 전기-열 변환체 또는 레이저 빔)을 발생시키고 이 열 에너지로 인해 잉크에 상변화를 야기시키는 수단을 갖는 시스템의 날염 헤드 또는 날염 장치에 우수한 효과를 가져다준다. 이러한 시스템에 의해, 고농도 및 고정밀도의 날염이 얻어질 수 있다.
그 대표적인 구성과 원리는 실시예 1 및 2에서 이미 기술되었다. 또한, 잉크 제트 시스템에 채택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헤드, 잉크 탱크 및 회복 수단이 실시예 1 및 2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제4 실시예]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4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7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잉크 제트 기록 장치의 필수부[잉크 제트 날염 유니트(1701)]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잉크 제트 날염 유니트(1701)는 길게 연장하는 직물(1716)상에 날염을 수행하며, 크게 프레임(1706)과, 이 프레임(1076)에 부착된 전기 시스템(1705)과, 프레임(1706)에 부착된 두개의 안내 레일(1707, 1708)과, 후술하는 잉크 제트 헤드(2211, 내지 2218)를 저장하기 위한 헤드 홀더(1709)와, 헤드 홀더(1709)를 설치하기 위한 헤드 캐리지(1710)와, 각 잉크 제트 기록 헤드에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잉크 공급 장치(1711)및, 잉크 공급 장치(1711)를 설치하기 위한 잉크 캐리지(171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잉크 공급 장치(1711)로부터 각 기록 헤드에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잉크 공급관(1715)이 제공되어 있다.
안내 레일(1707, 1708)은 서로에 평행하며, 직물(1716)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다. 헤드 캐리지(1710)와 잉크 캐리지(1712)는 안내 레일(1707, 1708)의 길이 방향을 따라, 즉 직물(1716)의 횡방향에서 전체 폭에 걸쳐 자유 운동하기 위해 안주는 역할을 하며, 도시되지 않은 잉크 탱크와 잉크 펌프를 포함한다. 잉크 탱크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 기록 헤드에 대해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잉크는 헤드에서 토출된 양과 같은 양만큼 모세관 작용에 의해 잉크 공급관(1715)을 거쳐 잉크 탱크로부터 기록 헤드로 공급된다. 기록 헤드의 흡입 회복 작동에 있어서, 잉크는 잉크 공급 장치(1711)내의 잉크 펌프를 사용하여 기록 헤드에 강제로 공급된다.
다음에, 헤드 홀더(1709)내부에 수용된 잉크 제트 기록 헤드에 대해 설명한다. 제18도는 직물(1716)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헤드 홀더(1709)의 도면이다.
헤드 홀더(1709)는 총 8개의 기록 헤드(2211내지 2218)를 수용하고 있다.
각 기록 헤드(2211내지 2218)는 직물(1716)의 이송 방향에 평행한 직선을 따라 배치되며 직물(1716)에 대향하는 복수의 잉크 토출용 노즐을 갖고 있다. 여기서, 각 기록 헤드(2211내지 2215)에 대한 한 세트의 노즐을 노즐 열(a co1umn of nozz1es)로 부르기로 한다. 제18도에서, 8개의 기록 헤드(2211내지 2218)의 각각에 대해 8개의 노즐 열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각 기록 헤드(2211내지 2218)는 입력 전기 신호를 잉크 토출 에너지로 변환시키기 위한 변환 소자를 가지며, 각 변환 소자는 각각의 토출 오리피스(노즐)에 대응하고 있다. 따라서, 잉크는 도시되지 않은 화상 처리 유니트로부터의 화상 신호에 따라 노즐 열로부터 선택적으로 토출된다.
이 기록-헤드는 열 에너지를 사용하여 잉크를 토출하는 헤드인 것이 바람직하며, 잉크에 적용된 열 에너지로 인해 잉크에 상변화를 일으키고 이 상변화에 의거하여 잉크를 노즐을 통해 토출시키기 위해 잉크에 열 에너지를 가해 주기 위한 전기-열 변환체를 포함한다.
이하에 헤드 홀더(1709)내부에서의 기록 헤드(2211내지 2218)의 배열을 설명한다. 8개의 기록 헤드(2211내지 2218)는 헤드 캐리지(1710)의 주사 방향, 즉 직물(1716)의 폭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여기서, 제1 기록 헤드(2211), 제2 기록 헤드(2212)‥ 제8 기록 헤드(2218)는 홈 위치측의 대향측으로부터 순차로 배열되어 있다.
8개의 기록 헤드 가운데, 제1 내지 제4의 4개의 기록 헤드(2211내지 2214)는 기록용으로 표준 칼라 잉크(청색, 자홍색, 황색, 흑색의 4색)를 사용한다. 제1 기록 헤드(2211)는 청색 잉크에 대응하고, 제2 기록 헤드(2212)는 자홍색 잉크에, 제3 기록 헤드(2213)는 황색 잉크에, 그리고 제4 기록 헤드(2214)는 흑색 잉크에 각각 대응한다. 제5 및 제6 기록 헤드(2215, 2216)는 화상 형성을 위한 특수 칼라 잉크를 사용하며, 제7 및 제8 기록 헤드(2217, 2218)는 화상 형성을 위한 확대 칼라 잉크를 사용한다. 확대 칼라 잉크는 특수 칼라 잉크에 비해 화상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사용하기 위한 잉크, 예를 들어 밝은 칼라 잉크이다. 밝은 칼라 잉크는 예를 들어 표준 칼라 및 특수 칼라의 잉크들 가운데에서 필요한 잉크 염료를 선택하여 염료의 농도를 줄여 줌으로써 얻어진다.
다음에, 각 기록 헤드(2211내지 2218)에 대한 제어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제1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 헤드(2211내지 2218)는 표준 칼라, 특수 칼라 및 확대 칼라의 그룹으로 분류되며, 각 그룹에 대한 헤드 구동기(2221내지 2223)에 의해 구동된다. 표준 칼라 그룹의 기록 헤드(2211내지 2214)에 대한 헤드 구동기(2221)는 표준 칼라 화상 신호 처리부(223)에 의해 제어되고, 특수 칼라 그룹의 기록 헤드(2215, 2216)에 대한 헤드 구동기(2222)는 특수 칼라 화상 신호 처리부(224)에 의해 제어되며, 확대 칼라 그룹의 기록 헤드(2217, 2218)에 대한 헤드 구동기(2223)는 확대 칼라 화상 신호 처리부(225)에 의해 제어된다.
이하에, 이러한 잉크 제트 기록 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직물(1716)을 도시되지 않은 플래튼 아래에 유지시킨 다음에, 직물(1716)상의 예정된 기록 개시 위치가 헤드 홀더(1709)에 면할 수 있도록 잉크 제트 기록 유니트(1701)상에 직물을 장착시킨다. 그리고 각 기록 헤드(2211내지 2218)가 주사 중에 기록 신호에 따라 잉크를 토출시키도록 하기 위해 헤드 캐리지(1710)를 화살표 C로 도시된 방향으로 일방향(이 방향)주사시켜 직물(1716)상의 스트립형 영역에 화상을 형성해 준다. 다음에 기록 헤드(2211내지 2218)의 각각에 대한 회복 작동을 수행하는 헤드 회복 장치(1713)에 대항하는 위치로 헤드 캐리지(1710)를 복귀시키기 위해 헤드 캐리지(1710)를 복귀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어서 플래튼에 의해 화살표 B로 도시된 방향으로 직물(1716)을 한 단계[기록 헤드(2211내지 2218)의 한 기록 폭 또는 노즐 열 길이] 이동시켜서, 상기와 동일한 식으로 헤드 캐리지(1710)를 왕복적으로 주사시킨다. 상기 작동을 반복함으로써, 직물(1716)상에 화상이 완전히 형성된다.
직물 상에서의 잉크 제트 기록 처리가 종료된 후, 직물(1716)은 자연적으로 또는 강제로 건조되며, 이어서 직물의 섬유 상에 염료가 확산되어, 섬유로의 염료의 정착을 위한 반응성 정착 처리 공정이 실시된다. 이 공정을 톨해, 충분한 착색과 정착을 얻을 수 있다. 이 후, 필요에 따라 직물을 세척한다. 확산 및 반응성 정착 공정은 종래의 공지된 방법, 예를 들어 스팀 방법일 수도 있다. 스팀 방법이 사용되는 경우, 잉크 제트 기록을 수행하기 전에 직물(1716)에 알칼리 예비 처리를 해줄 필요가 있다.
이 실시예의 잉크 제트 기록 장치에서는 8개의 기록 헤드(2211내지 2218)가 제공되어 있으나, 얻어지는 화상 내용이나 화상의 질에 따라 8개의 헤드가 모두 사용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단지 표준 칼라의 4개의 기록 헤드(2211내지 2214)가 사용될 가능성도 있다. 이 경우에, 사용된 4개의 기록 헤드(2211내지 2214)는 헤드 홀더(1709)내부에 하나의 그룹으로서 연속하여 수용되며, 따라서 헤드 캐리지(1710)에 의한 주사에 있어서 단지 이들 4개의 기록 헤드(2211내지 2214)의 견지에서만 주사 폭[헤드 캐리지(1710)의 이동량]이 결정될 수 있다. 즉, 기록 헤드(2211내지 2218)를 모두 사용할 경우 헤드 캐리지(1710)의 이동량은 헤드 캐리지(1710)의 폭과 직물(1716)의 폭을 합한 것과 실질상 동일하나, 표준 칼라만 사용될 경우 이동량은 4개의 기록 헤드에 대응하는 양만큼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1731)에 의한 회복 작동이나 세척 작동은 표준 칼라의 기록 헤드(2211내지 2214)에 의해서만 취급될 수 있다.
표준 칼라로만 기록하는 모드가 전색(full-color)모드이고, 표준 칼라 및 특수 칼라로 기록하는 모드가 미세 칼라 모드이며, 표준 칼라, 특수 칼라 및 확대 칼라로 기록하는 모드가 초미세 칼라 모드라고 하면, 블레이드(1731)에 의한 세척 범위는 제20도에서 각각 양쪽 화살표로 표시된다. 또한, 제21a도 및 제21b도는 잉크 제트 기록 유니트(1701)를 위에서 본 도면으로서, 헤드 캐리지(1710)의 이동을 수반하는 헤드 홀더(1709)의 이동 범위를 도시하고 있다. 전색 모드에서, 헤드 홀더(1709)의 중앙부는 제21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가 겹쳤을 때(복귀될 때) 직물(1716)의 단부 부분에 위치된다. 반면에, 초미세 칼라 모드에서, 전체 헤드 홀더(1709)는 실질적으로 직물(1716)의 단부에서 벗어나 위치된다.
이런 식으로 필요에 따라 회복 작동을 수행하는 기록 헤드의 범위를 제한해줌으로써, 기록 속도가 전색 모드에서 실질적으로 향상되도록 한 주사 시간이 보다 짧아진다. 또한, 사용되지 않는 기록 헤드에 대해서 회복 작동이나 세척작동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사용되지 않는 기록 헤드는 블레이드에 의한 마찰 작용을 전혀 받지 않거나 쓸모 없는 토출을 하지 않게 되어, 기록 헤드의 수명을 늘려 준다.
또한, 이 실시예의 장치에 있어서, 8개의 기록 헤드(2211내지 2218)는 표준 칼라 그룹, 특수 칼라 그룹 및 확대 칼라 그룹으로 분류되어 있다. 각 그룹에 대해, 그룹에서의 기록 헤드의 사용 빈도는 장기간에 걸쳐 실질상 동일하며 기록 헤드의 수명 및 교체 빈도는 각 그룹에서 거의 일치한다고 보여진다. 따라서, 각 그룹은 하나의 유니트로서 형성되며, 그러므로 유니트(2271내지 2278)의 각각은 제22도에 화살표로 나타난 바와 같이 제거 및 교체될 수 있음으로써, 기록 헤드의 교체작동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기록 헤드의 확장도 허용된다.
게다가, 제1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라 화상 처리 시스텡은 표준 칼라, 특수 칼라 및 확대 칼라로 구분되며, 화상 신호 처리 시스템은 단일화되어 단순화될 수 있다. 이러한 단일화로 인해, 더 많은 칼라 잉크의 사용에 대한 확장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에, 잉크 제트 기록 장치에 의한 직물 상의 기록을 실제로 수행된 결과와 관련하여 설명한다.
기록 헤드는 잉크에 적용된 열 에너지를 발생하는 열 에너지 변환체를 갖고있다. 노즐의 형상은 22㎛ × 33㎛의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고 기록 헤드 당 256개의 노즐이 인치당 400(즉, 400 dpi)의 농도로 배열되어 있다. 잉크는 기록을 수행하기 위해 노즐당 45 pl의 평균 토출량으로 직물 상에 토출되었다. 이 경우에, 표준 칼라 및 특수 칼라용의 기록 헤드, 즉 6개의 기록 헤드(2211내지 2216)를 사용하여 전색 기록을 수행하였다. 각 기록 헤드(2211내지 2216)에 사용된 잉크의 조성은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다. 또한 사용된 직물(1716)은 200㎛의 평균 직경을 갖는 생사(raw yarn)를 평직 처리한 코튼 직물(로온)로 제조되었다.
따라서, 전색 모드 및 미세 칼라 모드에서의 기록이 원하는 대로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이렇게 함으로써, 고품질의 기록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미세 칼라 모드에서 또는 기록의 품질이 그리 높지 않은 경우에는 전색 모드에서 화상의 질을 높게 유지하면서 보다 높은 기록 속도가 충족될 수 있다.
본 고안은 또한 다양한 농도의 잉크가 사용되는 경우에 유효하다. 여기서, 표준 칼라(4개의 칼라) 및 특수 칼라(2개의 칼라)에 부가하여, 중간 톤의 재현도 및 입상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밝은 칼라의 두개의 확대 칼라를 사용하였다. 여기서, 블루(표 1의 번호 1)와 흑색(표 1의 번호 4)에 대해 1/2의 염료 농도를 갖는 밝은 칼라 잉크가 기록 헤드(2217, 2218)에 적용되었다. 그리고 전색 모드와 미세칼라 모드에 부가하여, 초미세 모드에서 원하는 대로 기록을 수행할 수가 있었다.
본 고안은 다양한 잉크 제트 기록 시스템 가운데 열 에너지를 사용하여 액적을 형성함으로써 기록하기 위한 잉크 제트 시스템의 기록 헤드 또는 기록 장치에서 특히 우수한 효과를 가져온다.
그 대표적인 구성 및 원리는 앞의 실시예에서 이미 기술한 바와 같다 또한, 잉크 제트 기록 시스템에 채택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헤드, 잉크 탱크 및 회복수단이 앞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이 잉크 제트 직물 날염 장치로서 실시되는 경우, 직물 날염용 직물, 직물에 대한 예비 처리 및 후처리 공정들은 제3 실시예에 기술된 것들과 동일하게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헤드 보유 수단에 지지된 복수의 기록 헤드를 갖고 이 복수의 기록 헤드 중에서 기록 모드에 따라 기록용으로 사용된 기록 헤드를 선택하는 바와 같은 방식으로 충분한 속도로 결점 없이 넘은 칼라 재현도를 갖는 우수한 잉크 제트 기록 화상을 기록해 주는 효과를 가지며, 선택된 기록 헤드는 연속하여 나란히 배열된다. 또한, 본 고안은 기록 헤드의 수명을 늘려 주며 전기화상 처리 시스템의 단일화를 이루어 주고, 생산 비용과 장치 단가를 줄여 주고, 기록 모드에 따라 선택된 각 기록 헤드를 단일화해 주며, 헤드의 교체성을 향상시켜 주는 효과를 갖는다.
[다른 실시예]
본 고안은 실시예들에서 잉크 제트 기록 시스템을 사용하는 직물 날염 장치를 예시화하여 기술되어졌다.
잉크 제트 직물 날염용 직물은 다음의 특성들을 가질 필요가 있다:
(1)충분한 농도에서의 잉크 착색
(2)잉크의 높은 염색율
(3)직물 상에서의 잉크의 신속한 건조
(4)직물 상의 잉크의 불균칙한 얼룩이 적음
(5)장치 내에서의 우수한 반송 능력
이들 요구 조건에 부합시키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필요시 직물들을 예비 처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본국 공개 특허 공보(소)62-53492호에서는 잉크 수용층을 갖는 몇 가지 종류의 직물들이 개시되어 있으며, 일본국 공개 특허 공보(평)3-46589호에서는 환원 억제제 또는 알칼리 물질을 함유하는 직물이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예비 처리의 예들로는 알칼리 물질, 수용성 중합체, 합성 중합체, 수용성 금속염, 요소 및 티오 요소로부터 선택된 물질을 포함하도록 직물을 처리하는 것이 있다.
예비 처리에서 포함되는 직물용 재료들은 제3 실시예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것들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물질을 함유하기 위해 직물을 예비 처리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된 것이 아니며, 일반적으로 디핑(dipping), 패드, 코팅 및 분무 방법들이 될 수가 있다.
또한, 잉크 제트 직물 날염용 직물에 가해진 직물 날염용 잉크는 단지 잉크가 제트 분사되는 상태에서만 직물 상에 부착되기 때문에, 잉크의 착색물 예를 들어 색소를 섬유 상에 정착해 주는 정착 공정을 연속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정착 공정은 종래의 공지된 방법, 예를 들어 스팅 방법, HT 스팀 방법, 또는 열정착 방법, 및 알칼리로 예비 처리된 직물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알칼리 패드 스팀 방법, 알칼리 블로치 스팀 방법, 알칼리 쇼크 방법, 및 알칼리 냉각 정착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정착 공정은 색소에 따라 좌우되는 반응 공정을 포함할 수도 있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후자의 예는 물리적으로 분리되지 않는 염료가 주입된 직물의 사용을 포함한다. 또한, 원하는 착색물을 갖고 있는 한 어떤 잉크도 적절히 사용될 수가 있으떠, 여기서 잉크는 염료뿐 아니라 안료(pigment)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비 처리에 사용된 비반응 염료 및 물질의 제거는 반응성 정착 공정후에 종래의 공지된 방법에 따라 세척해 줌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후처리 공정이 가해진 날염물은 원하는 크기로 절단되며, 다음에 이 절단 조각들은 스티칭, 결합 및 접착과 같은 최종 제품을 제공하기 위한 공정을 거쳐, 원피스 드레스, 드레스, 넥타이나 수영복, 침대 커버, 소파 커버, 손수건 및 커튼과 같은 의류들로 제공된다. 의류나 다른 일상 용품들을 제공하기 위해 스티칭에 의해 직물을 처리하는 방법은 종래의 공지된 기술일 수도 있다.
날염 매체의 예로는 직물, 벽 직물, 자수실, 벽지, 종이 및 OHP 필름이 있으며, 직물은 재료 및 직조나 편직 방법과는 무관하게 모든 직포 또는 부직포 섬유 및 다른 직물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제2 및 제4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잉크 제트 직물 날염 장치는 제3 실시예의 잉크 제트 날염 방법과 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조합은 또 다른 효과들을 제공할 수가 있다.
본 고안은 헤드 보유 수단에 지지된 복수의 기록 헤드를 갖고 이 복수의 기록 헤드 중에서 기록 모드에 따라 기록용으로 사용된 기록 헤드를 선택하는 바와 같은 방식으로 충분한 속도로 결점 없이 넓은 칼라 재현도를 갖는 우수한 잉크 제트 기록 화상을 기록해 주며, 선택된 기록 헤드는 연속하여 나란히 배열된다. 또한, 본 고안은 기록 헤드의 수명을 늘려 주며 전기 화상 처리 시스템의 단일화를 이루어 주고, 생산 비용과 장치 단가를 줄여 주고, 기록 모드에 따라 선택된 각 기록 헤드를 단일화해 주며, 헤드의 교체성을 향상시켜 준다.

Claims (33)

  1. 날염 매체 상에 대응 칼라를 날염하는 복수개의 날염 헤드(Bk, C, M, Y, S1, S2, S3, S4) 설치할 수 있는 캐리지(24)와, 상기 복수개의 날염 헤드를 설치할 수 있는 캐리지(24)와, 상기 복수개의 날염 헤드에 의해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날염 매체에 대해 상기 캐리지를 주사하는 주사 수단(111)을 포함하는 화상 출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 상에 설치된 상기 복수개의 날염 헤드 중에 화상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날염 헤드에 따라 상기 주사 수단의 주사 범위를 변경하는 주사 범위 변경 수단(102)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출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날염 칼라를 나타내는 변환 데이타를 기억하고 상기 복수개의 날염 헤드 각각에 대응하여 제공된 기억 수단(509)과, 상기 기억 수단 내에 기억된 상기 변환 데이타를 변경하기 위한 변환 데이타 변경 수단(102)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출력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데이타 변경 수단(102)은 상기 캐리지 상에 설치된 날염 헤드에 따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변환 데이타를 변경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출력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데이타 변경 수단(102)은 상기 캐리치 상에 설치된 복수개의 날염 헤드에 대응하는 날염 칼라 및/또는 상기 캐리지 상에 설치된 날염 헤드의 수에 따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변환 데이타를 변경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출력 장치.
  5. 제2항,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 범위 변경 수단(102)및/또는 상기 변환 데이타 변경 수단(102)은 상기 캐리지(24)상에 설치된 복수개의 날염 헤드에 대응하는 날염 칼라, 상기 캐리지(24)상에 설치된 날염 헤드의 수, 그리고 상기 캐리지 상에 설치된 날염 헤드의 위치에 따라 상기 주사 범위 및/또는 변환 데이타를 변경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출력 장치.
  6. 제1항, 제2항,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날염 헤드(Bk, C, M, Y, S1 내지 S4)는 상기 날염 매체 상에 잉크를 토출함으로써 날염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출력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의 토출 상태를 우수하게 유지하기 위한 회복 수단(53)도 포함하며, 상기 캐리지(24)상에 설치된 날염 헤드(S1, S2, S3, S4, Bk, C, M, Y)는 상기 주사 수단에 의해 상기 캐리지의 주사 범위에서 상기 회복 수단에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주사 범위 변경 수단(102)은 상기 회복 수단에 대한 상기 캐리지의 주사 범위를 변경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출력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날염 헤드는 잉크를 토출하기 위한 복수개의 토출 수단을 갖고, 이 복수개의 토출 수단은 각각에 적용된 대응 구동 신호에 따라 잉크를 토출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출력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날염 헤드에 포함된 복수개의 토출 수단 중 적어도 하나는 예정된 방향으로 상기 주사 수단(111)에 의해 상기 캐리지(24)의 1 주사 동안 5×103번 이상의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잉크를 토출할 수 있고, 잉크는 모든 잉크의 2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의 염료를 함유하며, 잉크의 점도는 1.5 cP 내지 4 cP이고, 잉크의 표면 장력은 35 dyn/cm 내지 65 dyn/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출력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잉크의 점도가 2.0 cP 내지 3.8 c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출력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잉크의 표면 장력이 35 dyn/cm 내지 60 dyn/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출력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신호가 펄스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출력 장치.
  13. 제1항, 제2항,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24)에는 표준 칼라에서 날염하기 위한 복수개의 표준 칼라 날염 헤드(Bk, C, M, Y)와 특수 칼라에서 날염하기 위한 복수개의 특수 칼라 날염 헤드(S1, S2, S3, S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출력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 칼라는 청색, 자홍색, 황색 및 흑색의 네 가지 칼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출력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24)에는 특수 칼라용 4개의 날염 헤드(S1, S2, S3, S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출력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칼라 날염 헤드(S1, S2, S3, S4)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표준 칼라 중의 어느 하나로 날염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출력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표준 칼라 날염 헤드(Bk, C, M, Y)와 복수개의 특수 칼라 날염 헤드(S1, S2, S3, S4)는 표준 칼라 날염 및 특수 칼라 날염이 번갈아 이루어지지 않도록 상기 캐리지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출력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날염 헤드(Bk, C, M, Y, S1, S2, S3, S4)는 대응 칼라의 날염 순서가 변경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출력 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24)에는 예정된 날염 칼라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날염 헤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출력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예정된 날염 칼라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개의 날염 헤드는 상기 캐리지 상에 나란히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출력 장치.
  2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복 수단은 기록 헤드의 토출 오리퍼스가 형성되는 면을 세척하는 세척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출력 장치.
  22. 기록 매체 상에 대응 칼라를 날염하는 복수개의 날염 헤드(Bk, C, M, Y, S1, S2, S3, S4)와, 상기 복수개의 날염 헤드를 설치할 수 있는 캐리지(24)와, 각각의 상기 날염 헤드에 대응하여 화상 데이타를 상기 날염 헤드를 구동하는 구동 데이타로 변환하는 화상 처리부(102)와,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동 데이타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날염 헤드를 구동하는 헤드 구동 수단(107)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부는, 상기 복수개의 날염 헤드 중에서 기록에 사용될 상기 헤드의 종류 및 개수에 따라, 화상 데이타를 구동 데이타로 변환하는 과정을 변경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부(102)는, 기록에 사용될 상기 날염 헤드(C, M, Y, Bk, S1, S2, S3, S4)의 종류 및 개수에 따라 변환 데이타를 사용함으로써 입력 화상 데이타를 상기 복수개의 날염 헤드를 위한 구동 데이타로 변환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부(102)는 기록에 사용될 상기 날염 헤드의 종류 및 개수에 따라 변환 데이타를 변경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부(102)는 상기 캐리지(24)상에 설치된 복수개의 날염 헤드(Bk, C, M, Y, S1, S2, S3, S4)에 대응하는 날염 칼라, 상기 캐리지 상에 설치된 날염 헤드의 개수 및 상기 캐리지 상에 설치된 날염 헤드의 위치에 따라 변환 데이타를 변경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6. 제22항,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각각의 날염 헤드(C, M, Y, Bk, S1, S2, S3, S4)는 기록 매체 상으로 잉크를 토출함으로써 화상을 형성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각각의 날염 헤드(C, M, Y, Bk, S1, S2, S3, S4)는 잉크를 토출시키기 위해 잉크에 열에너지를 인가하는 전기-열 변환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8. 제22항,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기록 매체 상에서 잉크를 정착시키는 수단(15, 25)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9. 제22항,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기록 매체는 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0. 제22항,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기록 매체는 벽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1. 제22항,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 상에 설치된 날염 헤드를 감지하는 헤드 감지 수단(107)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감지 수단(107)은 상기 캐리지 상에 설치된 날염 헤드의 유무를 감지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강지 수단(107)은 상기 캐리지 상에 설치된 날염 헤드의 유무와, 상기 캐리지 상에 설치된 날염 헤드에 대응하는 날염 칼라를 감지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2019980001833U 1992-12-03 1998-02-13 화상 출력 장치 KR012998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442292 1992-12-03
JP34743492 1992-12-28
JP05040187A JP3140243B2 (ja) 1993-03-01 1993-03-01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14092793A JP3226663B2 (ja) 1992-12-03 1993-06-11 画像出力装置、画像出力方法およびプリント物の製造方法
JP18396293A JPH06248582A (ja) 1992-12-28 1993-07-26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ト方法
KR1019930026334A KR940013827A (ko) 1992-12-03 1993-12-03 화상 출력 장치, 화상 출력 방법, 잉크 제트 날염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얻은 날염 제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6334A Division KR940013827A (ko) 1992-12-03 1993-12-03 화상 출력 장치, 화상 출력 방법, 잉크 제트 날염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얻은 날염 제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29983Y1 true KR0129983Y1 (ko) 1999-05-01

Family

ID=27549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1833U KR0129983Y1 (ko) 1992-12-03 1998-02-13 화상 출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998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098B1 (ko) * 2008-05-19 2009-12-07 박명환 디지털 나염 고속출력장치
KR100981714B1 (ko) * 2008-08-18 2010-09-10 박명환 수직 나염형 디지털 이미지 고속출력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098B1 (ko) * 2008-05-19 2009-12-07 박명환 디지털 나염 고속출력장치
KR100981714B1 (ko) * 2008-08-18 2010-09-10 박명환 수직 나염형 디지털 이미지 고속출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4431A (en) Image output apparatus, image output method, ink jet print method and printed product obtained with said method
JP3190523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ト物の製造装置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ト方法
EP063313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k jet printing
EP0925931B1 (en) Image printing apparatus and image printing method
EP060057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nk-jet printed products and ink-jet printed products manufactured using the method
EP0645245B1 (en) Image output apparatus and image formation system for correcting density unevenness
US6386673B1 (en) Image output apparatus and image formation system for correcting density unevenness
JP3431955B2 (ja) 画像出力装置および該装置を具備した画像形成システムならびに画像出力方法
US5877797A (en) Ink-jet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inting on mixed fiber textiles
KR0129983Y1 (ko) 화상 출력 장치
JP3226663B2 (ja) 画像出力装置、画像出力方法およびプリント物の製造方法
JP2730848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ト装置と捺染装置とそのプリント物及びその方法とその加工品
JPH08232176A (ja) インクジェット捺染方法および同方法により記録された捺染物
JP3140243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AU697513B2 (en) Image output apparatus, image output method, ink jet print method and printed product obtained with said method
JP3159836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ト装置及び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ト方法
JPH079677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ト装置とプリント物及びその方法とその加工品
JPH079734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ト装置とプリント物及びその方法とその加工品
JPH07246717A (ja) プリント装置およびプリント方法
JPH06248582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