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9929Y1 - 전기, 전자 기기의 일체형 버튼 - Google Patents

전기, 전자 기기의 일체형 버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9929Y1
KR0129929Y1 KR2019940017578U KR19940017578U KR0129929Y1 KR 0129929 Y1 KR0129929 Y1 KR 0129929Y1 KR 2019940017578 U KR2019940017578 U KR 2019940017578U KR 19940017578 U KR19940017578 U KR 19940017578U KR 0129929 Y1 KR0129929 Y1 KR 01299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buttons
electric
electronic device
integ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75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6169U (ko
Inventor
조기환
Original Assignee
이헌조
엘진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헌조, 엘진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헌조
Priority to KR20199400175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9929Y1/ko
Publication of KR9600061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1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99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99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3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flexing of blade springs

Landscapes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전자 기기에 많이 사용되는 일체형 버튼의 원형으로 된 몸체 내부 둘레면에 일정각도가 경사진 힌지편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버튼이 방사형으로 배열되므로써, 제한된 공간에 많은 수량의 버튼을 용이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접촉불량 및 오동작이 발생됨이 없이 버튼을 효율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원형으로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버튼과, 상기 몸체와 버튼 사이에 90°미만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결되는 탄성력 있는 탄성부로 구성된 전기·전자 기기의 일체형 버튼이다.

Description

전기·전자 기기의 일체형 버튼
제1도는 종래의 일체형 버튼을 나타낸 평면도.
제2도의 (a) 및 (b)는 제1도의 작동 전, 후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을 나타낸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을 나타낸 평면도.
제5도의 (a) 및 (b)는 본 고안의 작동 전, 후의 상태를 나타낸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2 : 보스
3 : 버튼 4 : 탄성부
5 : 융착공
본 고안은 전기·전자 기기의 일체형 버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전자기기의 제한된 좁은 공간에 복수개의 버튼을 용이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 전기·전자기기에 많이 사용되는 합성수지재로 된 일체형 버튼은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체(1a)와 복수개의 탄성력 있는 힌지편(4a)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버튼(3a)이 격자형으로 배열되어 제2도의 (a)와 같은 상태에서 버튼(3a)을 손으로 눌러주게 되면, 상기 힌지편(4a)이 탄성변형됨과 동시에 버튼(3a)의 하부에 일체로된 보스(2a)가 하강하여 제2도의 (b)와 같이 기판(6)상의 스위치(7)를 눌러줌에 따라 동작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버튼(3a)은 격자형으로 배열되므로 인해 버튼(3a)과 버튼(3a)의 사이에 각각의 고정융착구조인 융착공(5a)을 형성시켜야 하고, 버튼(3a)과 몸체(1a)를 연결하는 힌지편(4a)이 수평상태로 연결되므로 힌지편(4a)의 길이가 짧아 버튼(3a)을 누르는데 힘이 많이 소요되었다.
뿐만 아니라, 계속 사용시 버튼(3a)을 누른 후 버튼(3a)이 복원되지 않는 접촉불량 등이 발생되며, 5개 이상의 버튼(3a)을 일체형으로 모은 상태로서 제작하는 경우 설계시 힌지편(4a)을 형성시키기 위해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전기·전자 기기의 제한된 좁은 공간에 복수개의 버튼을 용이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접촉불량 등이 발생됨이 없이 효율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전기·전자 기기의 일체형 버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원형으로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방사형으로 배열되어 보스를 갖는 복수개의 버튼과, 상기 몸체와 버튼 사이에 일정각도 경사지게 연결되는 탄성력 있는 탄성부로 구성된 전기·전자 기기의 일체형 버튼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 제3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제5도의 (a) 및 (b)는 본 고안의 작동 전, 후의 상태를 나타낸 제4도의 A-A선 단면도로서, 전기·전자 기기에 사용되는 일체형 버튼의 몸체(1)가 원형으로 형성되고, 몸체(1)의 내부 둘레면에는 방사형으로 배열되어 하부에 보스(2)를 갖는 복수개의 버튼(3)이 형성되며, 버튼(3)과 몸체(1)의 사이에는 일정각(θ)이 0〈θ≤45°의 범위에서 경사지게 탄성력 있는 탄성부(4)가 연결된다.
또한, 몸체(1)의 중앙에 형성된 버튼(3)은 몸체(1)에 별도의 프로펠러형으로 된 탄성부(4)로 연결되고, 상기 몸체(1)둘레면의 탄성부(4) 사이에는 어느 한 버튼(3)을 누를 때 인접버튼이 동시에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융착공(5)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3도 내지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전자 기기에 사용되는 일체형 버튼의 원형으로 된 몸체(1)의 내부 둘레면에 일정각(θ)이 0〈θ≤45°의 범위에서 경사지게 탄성력 있는 탄성부(4)로 연결되어 하부에 보스(2)를 갖는 복수개의 버튼(3)이 방사형으로 배열된 제5도의 (a)와 같은 상태에서 버튼(3)을 손으로 눌러주게 되면, 버튼 (3) 하부의 보스(2)가 하강하여 제5도의 (b)와 같이 기판(6)상의 스위치(7)를 눌러 동작시키게 된다.
이때, 일체형 버튼의 원형으로 된 몸체(1)의 내부 둘레면에 복수개의 버튼(3)이 방사상으로 배열되므로 버튼(3)의 접촉방향을 원의 중심으로 통일할 수 있어서 좁은 공간에 동작할 수 있는 최소여유만 두고 동일 기능을 갖는 버튼(3)을 연속 배열하여 버튼(3)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동일기능을 갖는 버튼(3)을 일측에 집합시킬 수 있어서 사용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으며, 버튼(3)의 형상 및 모양을 자유로이 디자인하여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몸체(1)와 버튼(3)의 사이에 연결된 탄성력 있는 탄성부(4)가 일정각(θ)이 0〈θ≤45°의 범위에서 경사지게 연결되므로 제5도의 (a)에서 종래 힌지편의 길이를 y라하고, 본 고안의 탄성부(4)의 길이를 X라고 했을 때 θ=45°에서
Sin 45° = Cos 45°이므로45°
이므로 종래 힌지편의 길이와 비교하여 1.414배만큼 탄성부(4)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는데, 예컨대 y=2mm인 극히 설계여유가 없는 탄성부도 경사지게 설치하면 X=2.83mm가 되므로 어느 정도의 설계여유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동일조건에서 본 고안과 같이 경사지게 탄성부(4)를 연결함에 따라 탄성부(4)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어 용이하게 버튼(3)을 눌러서 효율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단, 탄성부(4)의 경사각도가 45°이상으로 될 경우에는 힘의 벡터방향상 상부에서 하부로 누르는 힘을 종래 대비 1.414배 이상의 힘으로 가해야 함에 따라 불리한 조건이 되므로 가능한 45°이상으로 경사지게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몸체(1)의 중앙에 형성된 버튼(3)은 몸체(1)에 프로펠러형으로 된 탄성부(4)로 연결되고, 상기 몸체(1)둘레면의 탄성부(4) 사이에 융착공(5)이 형성되므로 융착공(5)을 최소로 형성시킬 수 있고, 특히 복수개의 버튼중 어느 한 버튼(3)을 누를 때 인접버튼이 동시에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전기·전자 기기에 많이 사용되는 일체형 버튼의 원형으로 된 몸체(1)내부 둘레면에 일정각도가 경사진 탄성부(4)로 연결된 복수개의 버튼(3)이 방사형으로 배열되므로써, 제한된 공간에 많은 수량의 버튼을 용이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접촉불량 및 오동작이 발생됨이 없이 버튼을 효율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2)

  1. 원형으로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버튼과, 상기 몸체와 버튼 사이에 90°미만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결되는 탄성력 있는 탄성부와, 양측에 탄성부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와 연결되며 몸체의 중앙부분에 형성된 버튼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자 기기의 일체형 버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중앙에 형성된 중앙버튼이 몸체에 프로펠러형의 탄성부로 연결된 전기·전자 기기의 일체형 버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둘레면의 탄성부 사이에 어느 한 버튼을 누룰 때 인접버튼이 동시에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융착공이 형성된 전기·전자 기기의 일체형 버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몸체와 45°이하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결된 전기·전자 기기의 일체형 버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몸체와 45°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결된 전기·전자 기기의 일체형 버튼.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펠러형의 탄성부는 몸체 양측에서 상기 버튼에 연결된 전기·전자 기기의 일체형 버튼.
  7. 원형으로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 내측의 대략 중심 위치에 설치되는 중심버튼과, 상기 중심버튼과 몸체 내측에서 상기 버튼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버튼과, 상기 몸체와 중심버튼 및 상기 몸체와 버튼 사이에 연결되는 탄력성 있는 탄성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자 기기의 일체형 버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중앙에 형성된 중심버튼이 몸체에 프로펠러형의 탄성부로 연결된 전기·전자 기기의 일체형 버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둘레면의 탄성 부 사이에 어느 한 버튼을 누를 때 인접버튼이 동시에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융착공이 형성된 전기·전자 기기의 일체형 버튼.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몸체와 45°이하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결된 전기·전자 기기의 일체형 버튼.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몸체와 45°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결된 전기·전자 기기의 일체형 버튼.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펠러형의 탄성부는 몸체 양측에서 상기 버튼에 연결된 전기·전자 기기의 일체형 버튼.
KR2019940017578U 1994-07-15 1994-07-15 전기, 전자 기기의 일체형 버튼 KR01299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7578U KR0129929Y1 (ko) 1994-07-15 1994-07-15 전기, 전자 기기의 일체형 버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7578U KR0129929Y1 (ko) 1994-07-15 1994-07-15 전기, 전자 기기의 일체형 버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169U KR960006169U (ko) 1996-02-17
KR0129929Y1 true KR0129929Y1 (ko) 1998-12-15

Family

ID=19388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7578U KR0129929Y1 (ko) 1994-07-15 1994-07-15 전기, 전자 기기의 일체형 버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992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135B1 (ko) * 2004-06-01 2011-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버튼부 체결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135B1 (ko) * 2004-06-01 2011-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버튼부 체결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169U (ko) 1996-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17074A (en) Waterproof structure for a switch device
US6377239B1 (en)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KR100371753B1 (ko) 푸시 버튼 스위치 및 푸시버튼 스위치용 가동접점체
CA1084973A (en) Rotor assembly and electrical switch including such assembly
JPH04349316A (ja) 電子機器用防水スイッチ
CA2618924A1 (en) Combined switch
KR100451471B1 (ko) 가동접점부착 시트 및 시트 스위치
JP3875438B2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
KR0129929Y1 (ko) 전기, 전자 기기의 일체형 버튼
US6329622B1 (en) Oscillating-operation type switch apparatus
JP3765723B2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US4352963A (en) Low profile microswitches, particularly useful for the composition of keyboards and method of making
JP2006236805A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US5277594A (en) Connector
JP5269277B2 (ja) プッシュオン式スイッチ
JP3216187B2 (ja) 多接点スイッチ装置
KR200330102Y1 (ko) 복수단 돔스위치를 구비한 키입력장치
JP3713367B2 (ja) 多方向入力装置
JPH0729450A (ja) タクトスイッチ
JPH0511615Y2 (ko)
JPH0345395Y2 (ko)
JP2004139997A (ja) 押釦スイッチ
JP2678865B2 (ja) 多方向スイッチ
JP3046045U (ja) 防水キーボード
JPH08124461A (ja) ラバーカーソルキ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