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9778Y1 - 음극선관 - Google Patents

음극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9778Y1
KR0129778Y1 KR2019920023121U KR920023121U KR0129778Y1 KR 0129778 Y1 KR0129778 Y1 KR 0129778Y1 KR 2019920023121 U KR2019920023121 U KR 2019920023121U KR 920023121 U KR920023121 U KR 920023121U KR 0129778 Y1 KR0129778 Y1 KR 01297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tube
cathode ray
bulb
cone portion
screen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200231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3637U (ko
Inventor
황영민
Original Assignee
박경팔
삼성전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팔, 삼성전관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경팔
Priority to KR20199200231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9778Y1/ko
Publication of KR9400136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36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97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97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7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limiting effects of implosion of vessels or containers

Landscapes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극선관을 개시한다.
본 고안은 내면에 형광막이 형성된 스크린면과, 이 스크린면의 후면에 위치되는 콘부를 구비하는 벌브를 포함하여 된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 상기 벌브의 콘부가 상기 스크린면보다 상대적으로 약하게 형성되어 된 것에 그 특징이 있으며, 이는 음극선관의 폭축시 파편이 비산하는 파편이 케이스에 의해 저지되게 되는 이점을 가진다.

Description

음극선관
제1도는 종래 음극선관의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음극선관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음극선관 110 : (음극선관의) 벌브
101 : (벌브의) 스크린면 102 : (벌브의) 콘부
본 고안은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음극선관에 가해지는 대기압에 의한 응력의 취약부가 그 후단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폭축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음극선관은 칼라 또는 흑백 음극선관에 따라 다소차이가 있는데, 제1도에는 칼라 음극선관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보였다.
이것은 패널(10)의 내면 형광막이 형성되고 이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새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가 고정설치되고, 이 패널(10)은 그 네크부(21)의 내외부에 전자총(22)과 편향요오크(23)가 설치된 펀넬(20)과 봉착되어 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음극선관은 상기 전자총(22)으로 부터 방출된 열전자의 자유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그 내부를 고진공(약 10-7torr)으로 하고 있다. 이와같이 그 내부가 고진공인 음극선관은 외부로부터 대기압을 받게 되는데, 대기압을 많이 받게 되는 부분이 패널(10)의 스크린면이므로 제1도의 점선으로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그 자장자리 즉, 패널(10)과 펀넬(20)의 봉착부위가 집중적으로 장력을 받게 되므로 가장 취약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장력을 받는 부분 즉, 패널(10)과 펀넬(20)이 봉착되는 부위에 밴드(30)을 체결하여 음극선관이 대기압과 내부의 진공압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왔다. 그러나 이와같은 음극선관은 외부로부터 소정의 충격이 가하여져 폭축되는 경우에 대기압이 가하여져 취약하며 케이스에 대해 노출된 스크린면이 먼저 파손되게 되므로 인체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대기압이 가하여 짐으로써 응력이 집중되어 취약하여 지는 부분을 펀넬측에 위치 되도록 함으로써 폭축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음극선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 내부의 진공과 대기압에 의해 벌브에 가하여 지는 응력를 분산시켜 폭축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음극선관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스크린면을 가지는 패널과, 이 패널의 후면에 위치되는 콘부를 구비하는 벌브를 포함하여 된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벌브의 콘부가 상기 스크린면보다 상대적으로 약하게 형성되어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 벌브의 콘부에 단차진 굴곡부가 더 형성되어 된 것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음극선관(100)이 도시되어 있는바, 이는 내면에 형광막이 형성된 스크린면(101)과 상기 스크린면(101)의 후면에 위치되는 것으로 그 네크부(102a)에 전자총(103)이 봉입된 콘부(102)를 가지는 벌브(110)를 포함하여 된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벌브(110)의 콘부(102)는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상기 스크린면(101)보다 상대적으로 약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 콘부(102)에 응력이 집중될 수 있도록 다수의 굴곡부(102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굴곡부(102b)는 상기 콘부의 제조시 금형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콘부(102)에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단차가 형성되어 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200, 300은 방폭밴드와 음극선관이 정착되는 세트의 케이스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음극선관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은 그 내부가 전자총(103)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의 자유공간을 위하여 고진공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대기압을 받게 되는데, 벌브(110)의 콘부(102)가 스크린면(101) 보다 상대적으로 약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하여져 폭축되는 경우 벌브(110)의 콘부(102)가 먼저 파손되게 된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콘부(102)에는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단차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가하여 지는 대기압이 벌브 내부의 진공압차이에 의해 응력이 상기 단차의 모서리 부위에 집중되게 되므로 콘부(110)가 스크린면(10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약하여 지게되므로 외부로부터 큰 충격이 가하여지는 경우 음극선관의 콘부(102)가 먼저 파손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음극선관은 케이스에 고정설치되어 사용되게 되므로 상기와 같이 콘부(102)가 깨어지는 경우 케이스(300)내에서 그 파편이 비산되게 되므로 파편이 외부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음극선관의 파손시 인명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 음극선관은 벌브의 콘부를 스크린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약하게 형성함으로써 음극선관의 폭축시 파편의 비산에 의한 인명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종래에 비하여 음극선관의 파손에 따른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Claims (2)

  1. 내면에 형광막이 형성된 스크린면과 이 스크린면의 후면에 위치되는 콘부를 구비하는 벌브를 포함하여 된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벌브(110)의 콘부(102)가 상기 스크린면(101)보다 상대적으로 약하게 형성되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부(102)에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굴곡부(102b)가 형성되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KR2019920023121U 1992-11-23 1992-11-23 음극선관 KR01297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20023121U KR0129778Y1 (ko) 1992-11-23 1992-11-23 음극선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20023121U KR0129778Y1 (ko) 1992-11-23 1992-11-23 음극선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3637U KR940013637U (ko) 1994-06-25
KR0129778Y1 true KR0129778Y1 (ko) 1998-12-01

Family

ID=19344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20023121U KR0129778Y1 (ko) 1992-11-23 1992-11-23 음극선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977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3637U (ko) 199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73874A (en) Shield attached by sealing to panel sidewall of cathode ray tube
KR0129778Y1 (ko) 음극선관
US6580209B2 (en) Glass funnel for a cathode ray tube having outwardly protruding portion surrounding the yoke
KR100522259B1 (ko) 음극선관 장착 캐비넷
JPH11238471A (ja) 陰極線管
GB2384112A (en) Glass bulb for cathode ray tube and nathode ray tube
KR200228838Y1 (ko) 안전성이개선된음극선관
KR200150024Y1 (ko) 음극선관용 러그
KR0149456B1 (ko) 음극선관용 패널
US6833664B2 (en) Implosion proof structure in flat cathode ray tube
KR0139640Y1 (ko) 음극선관용 이너실드
KR100246284B1 (ko) 음극선관의 스커트부 판넬
KR100201629B1 (ko) 음극선관의 인너쉴드 조립구조
KR200258240Y1 (ko) 음극선관용패널
KR0126580Y1 (ko) 브라운관용 인너실드
KR960004559Y1 (ko) 브라운관의 방폭밴드
KR100481488B1 (ko) 음극선관의 캐비닛 구조
KR0139887Y1 (ko) 음극선관용 게터 조립체
KR100286942B1 (ko) 평면형 음극선관
KR950002735B1 (ko) 칼라음극선관의 콘택트스프링
KR200160607Y1 (ko) 칼라수상관의 스프링 구조
KR940008087Y1 (ko) 음극선관용 패널
KR960001830Y1 (ko) 브라운관의 방폭밴드
KR19990034104U (ko) 음극선관용 보강밴드
KR100470339B1 (ko) 칼라 음극선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