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9735Y1 - 충격완화용 낙하물 방지망 - Google Patents

충격완화용 낙하물 방지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9735Y1
KR0129735Y1 KR2019940031785U KR19940031785U KR0129735Y1 KR 0129735 Y1 KR0129735 Y1 KR 0129735Y1 KR 2019940031785 U KR2019940031785 U KR 2019940031785U KR 19940031785 U KR19940031785 U KR 19940031785U KR 0129735 Y1 KR0129735 Y1 KR 01297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esh
impact
network
coil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17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7819U (ko
Inventor
우현수
Original Assignee
최훈
삼성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훈, 삼성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훈
Priority to KR20199400317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9735Y1/ko
Publication of KR9600178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78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97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97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66Safety 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충격완화용 낙하물 방지망에 관한 것으로,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틀체부(10)와, 상기 틀체부(10)의 내부에 설치되며 테두리에 덧대어지는 덧댐편(22)에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구멍(23)이 천공되어 있는 망체부(20)와, 상기 틀체부(10)와 망체부(20)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수단(30)들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30)들은 상기 틀체부(10)의 파이프(11)에 걸려 연결되는 틀체고리부(32)와, 상기 틀체고리부(32)에 일체로 연결되는 코일스프링부(31)와, 상기 코일스프링부(31)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망체부(20)의 연결구멍(23)들에 끼워지는 망체고리부(33)로 구성되어서, 상기 틀체부(10)의 망체부(20)가 연결됨과 동시에 낙하물들이 추락시 망체부(20)에 가해지는 충격을 코일스프링부(31)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완충시킴으로써, 낙하물들의 추락에 의한 충격에도 망체부(20)가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틀체부(10)를 이루기 때문에 강관파이프(11)의 소요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고, 망체부(20)의 테두리에 덧댐편(22)이 부착되므로 망체부(20)의 찢어짐을 방지하고, 사람이 떨어졌을 때 충격을 보다 완화시킬 뿐만 아니라 망체부(20)에 가해지는 충격하중을 연결수단(30)들이 흡수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충격완화용 낙하물 방지망
제1도는 종래의 낙하물 방지망을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충격완화용 낙하물 방지망을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충격완화용 낙하물 방지망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방지망 2 : 철사
3 : 비계 4 : 클램프
5 : 와이어로프 10 : 틀체부
11 : 파이프 20 : 망체부
21 : 그물 22 : 덧댐편
23 : 연결구멍 30 : 연결수단
31 : 코일스프링부 32 : 틀체고리부
33 : 망체고리부
[산업상 이용분야]
본 고안은 충격완화용 낙하물 방지망에 관한 것으로, 특히 틀체부에 망체부가 연결됨과 동시에 낙하물들이 추락시 망체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코일스프링부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완충시킴으로써, 낙하물들의 추락에 의한 충격에도 망체부가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한 충격완화용 낙하물 방지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낙하물 방지망은 작업중에 떨어지는 자갈, 벽돌, 나무 등이 공사장을 지나가는 통행인이나 인접 건물에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평과 수직으로 신축되는 건물 주위를 둘러치게 된다.
여기서, 낙하물 방지망은 수평에 대하여 30°정도로 하고 높이는 지상 2층 바닥부분(지상 높이 3.5m 정도), 그 위는 6층 이내마다 또한 필요한 부분(높이 15m 이내)마다 설치한다.
이것은 공사기간과 공사내용에 따라 다르나 대개 아연 도금한 철사 ø0.9(#20) 이상의 철망(눈크기 10mm 이하) 또는 발, 천, 거적 등을 사용하여 비계에 견고히 맨다.
또한, 수직 낙하물 방지망은 낙하물이 외부로 튀어 나가지 않게 하고, 작업자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비계의 바깥쪽에 수직으로 미관을 고려하여 설치한다.
[종래기술]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낙하물 방지망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강관파이프(11)를 비교적 좁은 간격으로 격자형상으로 조립되고 고정설치되는 틀체부(10)와 상기 틀체부(10)의 상단에 설치되어 여러군데 철사(2)로 틀체부(10)에 결속되는 망체부(20)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종래기술의 문제점]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낙하물 방지망은 첫째, 여러 개의 강관파이프(11)를 비교적 좁은 간격으로 조립하여 틀체부(10)를 이루고, 상기 틀체부(10)상에 망체부(20)를 철사(2)를 매개로하여 방지망(1)을 구성하기 때문에, 강관파이프(11)의 소요개수가 많이 사용됨에 따라 소요경비가 증대될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방지망(1)을 제작하므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둘째, 여러 개의 강관파이프(11)를 비교적 좁은 간격으로 조립하여 틀체부(10)를 이루고, 상기 틀체부(10)상에 망체부(20)를 철사(2)를 매개로하여 방지망(1)을 구성하기 때문에, 자갈, 벽돌, 나무 등의 건축자재가 방지망(1)에 낙하될 때는 별 문제가 없으나, 만일 사람이 추락하였을 때는 틀체부(10)를 이루는 강관파이프(11)가 비교적 좁은 간격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신체의 일부가 상해를 입는 문제점도 있었다.
여기서, 상기 틀체부(10)를 이루는 강관파이프(11)가 비교적 좁게 배치되는 이유는 방지망(1)에 낙하물이 떨어졌을 때 충격하중에 의하여 망체부(20)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관파이프(11)를 좁게 배치한다.
즉, 상기 망체부(20)는 여러 군데를 철사(2)로 틀체부(1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망체부(20)의 일부에 물체가 떨어졌을 때 낙하물체에 의한 집중하중이 발생되어 망체부(20)가 찢어질 수 있으므로, 강관파이프(11)를 좁은 간격으로 배치하여 망체부(20)에 가해지는 낙하물체에 의한 집중하중이 틀체부(10)에 균일하게 전달되도록하여 하중을 분산시켜 망체부(20)의 찢어짐이 방지되도록 하였다.
[목적]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첫째, 강관파이프의 소요개수를 대폭 적게하여 소요비용을 절감시키고, 둘째, 방지망을 이루는 망체부에 집중하중에 의한 찢어짐을 방지하며, 셋째, 사람이 추락하여 망체부에 부딪칠 때 망체부로부터 충격을 보다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한 충격흡수용 낙하물 방지망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충격완화용 낙하물 방지망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틀체부(10)와, 상기 틀체부(10)의 내부에 설치되며 테두리에 덧대어지는 덧댐편(22)에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구멍(23)이 천공되어 있는 망체부(20)와, 상기 틀체부(10)와 망체부(20)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수단(30)들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30)들은 상기 틀체부(10)의 파이프(11)에 걸려 연결되는 틀체고리부(31)와, 상기 틀체고리부(32)에 일체로 연결되는 코일스프링부(31)와, 상기 코일스프링부(31)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망체부(20)의 연결구멍(23)들에 끼워지는 망체고리부(33)로 구성되어서, 상기 틀체부(10)에 망체부(20)가 연결됨과 동시에 낙하물들이 추락시 망체부(20)에 가해지는 충격을 코일스프링부(31)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완충시킴으로써, 낙하물들의 추락에 의한 충격에도 망체부(20)가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구성]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충격완화용 낙하물 방지망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충격완화용 낙하물 방지망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를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충격완화용 낙하물 방지망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틀체부(10)와, 상기 틀체부(10)의 내부에 설치되며 테두리에 덧대어지는 덧댐편(22)에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구멍(23)이 천공되어 있는 망체부(20)와, 상기 틀체부(10)와 망체부(20)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수단(30)들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30)들은 상기 틀체부(10)의 파이프(11)에 걸려 연결되는 틀체고리부(31)와, 상기 틀체고리부(32)에 일체로 연결되는 코일스프링부(31)와, 상기 코일스프링부(31)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망체부(20)의 연결구멍(23)들에 끼워지는 망체고리부(33)로 구성되어서, 상기 틀체부(10)에 망체부(20)가 연결됨과 동시에 낙하물들이 추락시 망체부(20)에 가해지는 충격을 코일스프링부(31)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완충시킴으로써, 낙하물들의 추락에 의한 충격에도 망체부(20)가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틀체부(10)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파이프(11)를 사용하여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배치시켜 제작하므로, 강관파이프(11)의 소요개수를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부주의로 추락하였을 때 강관파이프(11)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망체부(20)는 고충으로부터 떨어지는 물체에 의한 집중하중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틀체부(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망체부(20)는 그 테두리에 덧댐편(22)이 덧대어서, 상기 망체부(20)의 연결구멍(23)에 연결되는 연결수단(30)들을 통하여 틀체부(10)에 전달되도록하여 집중하중을 분산시켜 망체부(20)의 찢어짐을 방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충격완화용 낙하물 방지망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틀체부(10)의 일측을 건축물의 외벽 둘레를 따라 설치된 비계(3)에 필요한 부분을 클램프(4)로 고정설치하고, 타측은 와이어로프(5)를 연결하여 비계(3)에 결속하며, 수평방향으로 약 30도 정도로 하고, 높이는 지상 2층 바닥부분, 그 위는 6층 또는 필요한 부분마다 설치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설치된 본 고안에 따른 충격완화용 낙하물 방지망은 자갈, 벽돌, 나무 등의 낙하물들이 망체부(20)에 걸리도록하여 통행인이나 인접건물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틀체부(10)의 강관파이프(11)의 배열을 넓게하여 사람이 떨어졌을 때 강관파이프(11)에 부딪히는 것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망체부(20)에 사람이 떨어졌을 때 집중하중에 따른 충격을 연결수단(30)들에 의하여 충격을 흡수시키는데 사용된다.
상기 틀체부(10)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파이프(11)를 종횡으로 배치시켜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강관파이프(11)의 소요개수를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강관파이프(11)가 종횡으로 만나는 모서리 부분은 용접 또는 클램프(4)로 조여서 강관파이프(11)를 결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망체부(20)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물(21)과 그 테두리에 연결구멍(23)이 일정한 간격으로 천공되는 덧댐편(22)으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상기 덧댐편(22)을 두 겹으로 겹쳐 그 사이에 그물(21)을 삽입하여 일체로 부착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망체부(20)는 그물(21)의 테두리에 그물(21)이 연결수단(30)들에 효율적으로 연결되도록 덧댐편(22)으로 덧댐으로써 그물(21)에 집중하중이 발생하였을 때 그물(21)의 찢어짐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여기에 가해지는 하중을 연결수단(30)들에 균등하게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연결수단(30)들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틀체부(10)와 파이프(11)에 걸려 연결되는 틀체고리부(31)와, 상기 틀체고리부(32)에 일체로 연결되는 코일스프링부(31)와, 상기 코일스프링부(31)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망체부(20)의 연결구멍(23)들에 끼워지는 망체고리부(33)로 구성되므로 틀체부(10) 및 망체부(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충격완화용 낙하물 방지망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틀체부(10)와, 상기 틀체부(10)의 내부에 망체부(20)를 설치하고, 상기 망체부의 테두리에 덧댐편(22)을 일체로 부착하고, 이를 탄력적으로 신축되는 연결수단(30)들로 틀체부(10)와 망체부(20)를 상호 연결함으로써 첫째, 강관파이프(11)의 소요를 대폭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망체부(20)의 찢어짐을 방지할 수 있고, 둘째, 사람이 떨어졌을 때 충격을 보다 완화시켜 줄 수 있으며, 셋째, 망체부(20)에 가해지는 충격을 연결수단(30)들이 흡수시켜 줄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효과]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충격완화용 낙하물 방지망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틀체부(10)를 이루기 때문에 강관파이프(11)의 소요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고, 망체부(20)의 테두리에 덧댐편(22)이 부착되므로 망체부(20)의 찢어짐을 방지하고, 사람이 떨어졌을 때 충격을 보다 완화시킬 뿐만 아니라 망체부(20)에 가해지는 충격하중을 연결수단(30)들이 흡수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틀체부(10)와, 상기 틀체부(10)의 내부에 설치되며 테두리에 덧대어지는 덧댐편(22)에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구멍(23)이 천공되어 있는 망체부(20)와, 상기 틀체부(10)와 망체부(20)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수단(30)들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30)들은 상기 틀체부(10)의 파이프(11)에 걸려 연결되는 틀체고리부(31)와, 상기 틀체고리부(32)에 일체로 연결되는 코일스프링부(31)와, 상기 코일스프링부(31)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망체부(20)의 연결구멍(23)들이 끼워지는 망체고리부(33)로 구성되어서, 상기 틀체부(10)에 망체부(20)가 연결됨과 동시에 낙하물들이 추락시 망체부(20)에 가해지는 충격을 코일스프링부(31)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완충시킴으로써, 낙하물들의 추락에 의한 충격에도 망체부(20)가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화용 낙하물 방지망.
KR2019940031785U 1994-11-29 1994-11-29 충격완화용 낙하물 방지망 KR01297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1785U KR0129735Y1 (ko) 1994-11-29 1994-11-29 충격완화용 낙하물 방지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1785U KR0129735Y1 (ko) 1994-11-29 1994-11-29 충격완화용 낙하물 방지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819U KR960017819U (ko) 1996-06-19
KR0129735Y1 true KR0129735Y1 (ko) 1998-12-15

Family

ID=19399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1785U KR0129735Y1 (ko) 1994-11-29 1994-11-29 충격완화용 낙하물 방지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973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2853A (ko) * 2000-10-27 2002-05-04 주식회사 대종건영 낙하물 방호 장치
KR100448096B1 (ko) * 2002-03-19 2004-09-13 노민래 건설현장의 추락방지망 설치구조
CN104675132A (zh) * 2013-12-03 2015-06-03 深圳市特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建筑缓冲式防护棚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2853A (ko) * 2000-10-27 2002-05-04 주식회사 대종건영 낙하물 방호 장치
KR100448096B1 (ko) * 2002-03-19 2004-09-13 노민래 건설현장의 추락방지망 설치구조
CN104675132A (zh) * 2013-12-03 2015-06-03 深圳市特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建筑缓冲式防护棚
CN104675132B (zh) * 2013-12-03 2017-01-11 深圳市特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建筑缓冲式防护棚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819U (ko) 1996-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2800B1 (en) Protection device for roof and floor openings
US10221579B2 (en) Safety band longitudinal and transverse control
US8991126B2 (en) Fall protection systems and methods
ITMI20061106A1 (it) Recinzione per trattenere slavine,cadute di massi o alberi
KR100626420B1 (ko) 고소작업용 충격흡수 안전벨트
KR100789844B1 (ko) 수직망 겸용 건축현장용 추락방지망
JP6889969B1 (ja) 防護ネットおよび衝撃吸収柵
KR0129735Y1 (ko) 충격완화용 낙하물 방지망
CN104236405A (zh) 建筑物拆除爆破柔性防护系统
JPH11343742A (ja) 防護装置
KR200201536Y1 (ko) 건설현장용 안전망구조
US20150259936A1 (en) Band hardness and transverse control
KR200430168Y1 (ko) 타워크레인 낙하물 방지망
KR100364501B1 (ko) 건축용 안전망 및 이의 설치방법
JPH0711360Y2 (ja) 発破におけるプレート式飛石防護具
JP2009052385A (ja) 安全防護装置
KR200201580Y1 (ko) 낙하물 방호장치
KR102641483B1 (ko) 추락 방지 수단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발판
KR200258849Y1 (ko) 건설공사용 다기능 낙하물 안전망
KR200480244Y1 (ko) 다용도 망
KR100767973B1 (ko) 건축물의 안전 그물망 설치구조와 그 설치방법
JPH09264079A (ja) 木造建築物における免震装置
AU2010100459B4 (en) Fabric for use in hoarding
CN217602183U (zh) 一种可周转式电梯井防护装置
KR200303831Y1 (ko) 건축공사장용 안전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0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