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9640Y1 - 공기조화기의 리모콘 수납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리모콘 수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9640Y1
KR0129640Y1 KR2019950000751U KR19950000751U KR0129640Y1 KR 0129640 Y1 KR0129640 Y1 KR 0129640Y1 KR 2019950000751 U KR2019950000751 U KR 2019950000751U KR 19950000751 U KR19950000751 U KR 19950000751U KR 0129640 Y1 KR0129640 Y1 KR 01296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air conditioner
detection signal
unit
rem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07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7527U (ko
Inventor
김도연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500007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9640Y1/ko
Publication of KR9600275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75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96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96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의 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원격동작 또는 원격동작조절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리모콘을 용이하게 보관하도록 공기조화기의 일측에 개폐가능케 설치된 수납몸체(21)와, 상기 리모콘을 수용하도록 상기 수납몸체(21)에 형성된 리모콘 수납부(23)와, 상기 리모콘 수납부(23)내에 리모콘의 수납여부를 감지하도록 상기 리모콘 수납부(23)에 배설된 리모콘 감지수단(25)과, 상기 리모콘 감지수단(25)의 감지신호를 나타내도록 공기조화기에 배설된 표시수단(27)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리모콘을 용이하게 보관함과 동시에 리모콘의 수납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하여 상기 리모콘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리모콘 수납장치
제1도는 종래의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콘 수납장치가 장착된 공기조화기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수납장치의 열림상태).
제3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리모콘 수납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리모콘 수납장치가 장착된 공기조화기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수납장치의 열림상태).
제5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리모콘 수납장치의 수납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리모콘 수납장치의 수납부를 나타태는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수납몸체 23 : 리모콘 수납부
25 : 리모콘 감지수단 27 : 표시수단
29 : 조작스위치 31 : 리모콘수신부
36,47 : 푸쉬스위치 39 : 표시부
41 : 감지신호 변환부 45 : 광센서
49 : 안내부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의 리모콘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도록 본체(1)의 전면에 배설된 커버부재(3)와, 실내공기가 공기조화기내에 흡입되도록 상기 커버부재(3)의 하측에 형성된 흡입구(5)와, 상기 흡입구(5)를 통하여 공기조화기내에 흡입한 실내공기가 도시하지 않은 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되어 다시 실내로 토출하도록 상기 커버부재(3)의 상측에 형성된 토출구(7)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커버부재(3)에는 공기조화기를 콘트롤하는 콘트롤부(9)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콘트롤부(9)의 전면에는 다수의 조작스위치(9a)와 도시하지 않은 리모콘의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수신부(9b)가 배설되어 있다.
상기 흡입구(5)에는 상기 흡입구(5)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도록 다수의 흡입그릴(5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입그릴(5a)의 일측에는 상기 흡입구(5)로부터 공기조화기 내부에 유입하는 공기를 필터링하도록 도시하지 않은 필터부재가 배설되어 있다.
상기 토출구(7)에는 토출구(7)를 통해서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도록 풍향상하조절판(11) 및 풍향좌우조절판(13)이 배설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공기조화기를 원거리에서 동작시키고자 도시하지 않은 리모콘에 형성된 조작버튼을 누르면, 리모콘의 송신신호는 리모콘 수신부(9b)에 전달되고, 상기 리모콘 수신부(9b)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장치에 의해 공기조화기가 동작한다.
즉, 실내공기가 흡입구(5)를 통하여 공기조화기내에 흡입되고, 상기 공기조화기내에 흡입한 실내공기는 도시하지 않는 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되어 토출구(7)를 통하여 다시 실내로 토출된다.
이때, 상기 흡입구(5)를 통하여 공기조화기내에 흡입되는 실내공기는 도시하지 않은 필터부재에 의해 정화되고, 상기 토출구(7)를 통하여 실내에 토출되는 공기는 풍향상하조절판(11) 및 풍향좌우조절판(13)에 의해 실내의 원하는 방향으로 토출된다. 즉, 풍향상하조절판(11) 및 풍향좌우조절판(13)의 기울기를 변화시킴으로써, 풍향을 조절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공기조화기 에서는, 상기 공기조화기를 원거리에서 동작시키고자 사용하는 리모콘을 사용자가 분실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리모콘의 보관장소를 망각하면 상기 리모콘을 찾기 위해 오랜 시간을 허비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공기 조화기내에 리모콘수납장치를 배설함과 동시에 상기 리모콘 수납장치에 상기 리모콘의 수납여부를 확인하여 주는 확인수단(리모콘 감지수단, 표시수단)을 배설하므로써, 리모콘을 용이하게 보관함과 동시에 리모콘의 수납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하여 상기 리모콘을 편리하게 사용하는 공기조화기의 리모콘 수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리모콘 수납장치는 원격동작 또는 원격동작조절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리모콘을 용이하게 보관하도록 공기조화기의 일측에 개폐가능케 설치된 수납몸체와, 상기 리모콘을 수용하도록 상기 수납몸체에 형성된 리모콘 수납부와, 상기 리모콘 수납부내에 리모콘의 수납여부를 감지하도록 상기 리모콘수납부에 배설된 리모콘 감지수단과, 상기 리모콘 감지수단의 감지신호를 나타내도록 공기조화기에 배설된 표시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제1도에 도시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그릴(5a)의 상측에는 리모콘을 용이하게 보관하도록 수납몸체(21)가 개폐가능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납몸체(21)에 상기 리모콘을 수용하도록 리모콘수납부(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리모콘수납부(23)에는 상기 리모콘수납부(23)내에 리모콘의 수납여부를 감지하도록 리모콘 감지수단(25)이 배설되어 있고, 상기 리모콘 감지수단(25)의 감지신호를 나타내도록 상기 수납몸체(21)에는 표시수단(27)이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몸체(21)의 상면에는 공기조화기를 조작하도록 다수의 조작스위치(29)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수납본체(21)의 전면에는 리모콘의 신호를 수신하도록 리모콘수신부(31)가 배설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수납몸체(21)를 상기 공기조화기 몸체(1)로부터 용이하게 개폐하도록 요입된 손잡이(21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납몸체(21)는 공기조화기 본체(1)의 전면에서 전후로 개폐가능케 요동하도록 공기조화기 본체(1)의 양측면에 그 양측이 힌지결합되어 있다.
상기 리모콘 수납부(23)는 상기 리모콘을 수용하도록 상기 수납몸체(21)의 상면으로부터 요입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리모콘 감지수단(25)는 상기 리모콘 수납부(23)의 내부 하면에 배설되어 있고, 상기 리모콘의 중량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어 그 내부의 개폐접점이 개폐되도록 도시하지 않은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배설된 돌출부(33)와 상기 돌출부(33)가 수용장착됨과 동시에 개폐접점이 수용된 케이스(35)를 구비한 푸쉬스위치(36)와, 상기 개폐접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선(37,37)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표시수단(27)은 상기 리모콘 감지수단(25)의 감지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39)와, 상기 리모콘 감지수단(25)의 감지신호를 상기 표시부(39)에 표시하도록 감지신호를 변환하는 감지신호 변환부(41)와, 상기 감지신호 변환부(41)로부터 상기 표시부(39)에 신호를 전달하도록 상기 감지신호 변환부(41)와 상기 표시부(39)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43,43)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감지신호 변환부(41)의 일측에는 상기 리모콘 감지수단(25)으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전선(37,37)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리모콘 수납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다음에 설명한다.
공기조화기를 원격조작하던 리모콘을 한동안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손잡이(21a)를 잡고 앞으로 당기면, 공기조화기의 본체(1)에 힌지결합된 수납몸체(21)는 열린다.
다음에, 상기 수납몸체(21)에 형성된 리모콘수납부(23)에 리모콘을 넣은 후, 상기 수납몸체(21)를 밀면, 리모콘은 수납몸체(21)에 감춰 진다.
이와 동시에, 상기 리모콘 수납부(23)에 수납된 리모콘은 리모콘 감지수단(25)의 돌출부(33)를 리모콘의 중량에 의해 밀게 되고, 상기 돌출부(33)에 의해 상기 리모콘 감지수단(25)의 개폐접점이 닫히며, 상기 리모콘 감지수단(25)의 개폐접점의 신호는 전선(37,37)을 통해 감지신호변환부(41)에 전달되고, 상기 감지신호변환부(41)는 상기 리모콘 감지수단(25)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표시부(39)에 표시하도록 변환하여 전선(43,43)을 통해 상기 표시부(39)에 전달한다.
상기 감지신호 변환부(41)의 변환신호를 받는 표시부(39)는 그 자체의 표시면에 리모콘의 수납상태를 표시한다.
따라서, 리모콘은 분실의 우려가 없이, 상기 리모콘 수납부(23)에 용이하게 보관된다.
또한, 상기 리모콘 수납부(23)에 수납되는 리모콘의 수납상태가 표시부(39)에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상기 수납몸체(21)를 열지 않고도 리모콘의 존재를 용이하게 알수 있다.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제2실시예)로서, 상기 제2실시예에서는, 흡입그릴(5a)이 그 전체가 도어식으로 열리는 그릴도어(5b)로 되어 있고, 상기 그릴도어(5b)의 상면에는 상기 리모콘 수납부(23)가 형성되어 있고, 리모콘 수신부(9b), 조작스위치(9a) 및 표시수단(27)의 표시부(39)는 콘트롤부(9)에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제5도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제3실시예)로서, 상기 제3실시예에서는, 상기 리모콘감지수단(25)은 발광부(45a)와 수광부(45b)를 구비한 광센서(45)로 되어 있다.
제6도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제4실시예)로서, 상기 제4실시예에서는, 상기 리모콘 수납부(23)의 일 내측면에는 푸쉬스위치(47)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푸쉬스위치(47)에는 리모콘에 의해 눌려져 접점이 닫히도록 돌출부(47a)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푸쉬스위치(47)에 대향하게 상기 리모콘 수납부(23)의 타 내측면에는 리모콘이 상기 돌출부(47a)를 용이하게 눌려 접점이 닫히도록 상기 리모콘을 안내하는 안내부(4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리모콘이 닿는 상기 돌출부(47a)의 면은 상기 리모콘이 상기 돌출부(47a)를 용이하게 누르도록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수납장치는 공기조화기내에 리모콘수납부를 배설함과 동시에 상기 리모콘 수납부에 수납되는 상기 리모콘의 수납여부를 확인하여 주는 확인수단(리모콘감지수단, 표시수단)을 배설하므로써, 리모콘을 용이하게 보관함과 동시에 리모콘의 수납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하여 상기 리모콘을 편리하게 사용한다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5)

  1. 공기조화기 본체(1)의 일측에 한쪽면이 외부로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회동가능케 설치된 수납몸체(21)와, 상기 수납몸체(21)의 개방 또는 폐쇄되는 한쪽면에 리모콘을 수납하도록 소정깊이로 형성된 리모콘 수납부(23)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 수납부(23)내에 배설되어 리모콘의 수납여부를 감지하는 리모콘 감지수단(25)과, 상기 수납몸체(21)의 일측에 배설되어 상기 리모콘 감지수단(25)의 감지신호를 표시하는 표시수단(27)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리모콘 수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 감지수단(25)는 푸쉬스위치 또는 광센서중에서 선택된 그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리모콘 수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27)은, 상기 리모콘 수납부(23)가 폐쇄된 상태에서 리모콘 수납부(23)내에 리모콘이 수납되었는지 여부를 외부에서 알수 있도록 상기 리모콘 감지수단(25)의 감지신호를 받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39)와, 상기 리모콘 감지수단(25)의 감지신호를 상기 표시부(39)에 표시하도록 감지신호를 변환하는 감지신호 변환부(4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리모콘 수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 수납부(23)에는, 그 일측 내면에 리모콘의 수납동작에 의해 눌려져 접점이 닫히도록 돌출부(47a)가 설치된 푸쉬스위치(47)와, 그 타측 내면에 대하여 상기 푸쉬스위치(47)와 대향하는 위치에 리모콘이 푸쉬스위치(47)으로 안내되어 상기 돌출부(47a)를 용이하게 눌려 접점이 닫히도록 설치된 안내부(49)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수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47a)에는 리모콘의 수납될 때 돌출부(47a)를 용이하게 누르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리모콘 수납장치.
KR2019950000751U 1995-01-19 1995-01-19 공기조화기의 리모콘 수납장치 KR01296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0751U KR0129640Y1 (ko) 1995-01-19 1995-01-19 공기조화기의 리모콘 수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0751U KR0129640Y1 (ko) 1995-01-19 1995-01-19 공기조화기의 리모콘 수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527U KR960027527U (ko) 1996-08-17
KR0129640Y1 true KR0129640Y1 (ko) 1999-01-15

Family

ID=19406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0751U KR0129640Y1 (ko) 1995-01-19 1995-01-19 공기조화기의 리모콘 수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964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527U (ko) 199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39052A1 (en) Handle element
US4812810A (en) Fiber optic door sensor for a domestic appliance
JP5481733B2 (ja) 家具
US6062290A (en) Photocell mounting apparatus for vertical blinds
JP3719861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US20030076235A1 (en) Garage door monitoring system
MXPA06000280A (es) Unidad de despliegue para refrigerador.
KR20190084860A (ko) 마이크 모듈 및 마이크 모듈이 구비된 냉장고
KR20150124834A (ko) 제습기 및 제습기용 워터탱크
WO2003071194A1 (en) Grill controlling apparatus for indoor ventilator
KR102211191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EP3789713B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0129640Y1 (ko) 공기조화기의 리모콘 수납장치
KR20010074381A (ko) 냉장고의 도어 자동 열림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5021704A (ja) 冷蔵庫
JP3548899B2 (ja) 鍵管理装置
JP2018112397A (ja) 冷蔵庫
JP2018077044A (ja) 冷蔵庫
JP3829518B2 (ja) 空気調和機用遠隔操作装置
KR20020038405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 겸용 리모콘 수납장치
JP2003074952A (ja) 空気調和機
KR20070076874A (ko) 창호용 환기장치
JPS5912938B2 (ja) 空気調和機のワイヤレス遠隔制御装置
JP2001317764A (ja) 空気調和機
JP4513242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