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9452Y1 - 컨택트 스위치의 접점상태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컨택트 스위치의 접점상태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9452Y1
KR0129452Y1 KR2019940028721U KR19940028721U KR0129452Y1 KR 0129452 Y1 KR0129452 Y1 KR 0129452Y1 KR 2019940028721 U KR2019940028721 U KR 2019940028721U KR 19940028721 U KR19940028721 U KR 19940028721U KR 0129452 Y1 KR0129452 Y1 KR 01294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tact switch
contact state
shaft member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87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5542U (ko
Inventor
이영용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400287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9452Y1/ko
Publication of KR9600155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55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94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94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0015Means for testing or for inspecting contacts, e.g. wear indicator

Landscapes

  •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nd Detecting Electric Faul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컨택트 스위치의 접점상태 검사장치에 관하여 개시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컨택트 스위치 접점상태 검사장치는 액튜에이터에 의해 자유낙하되는 중량체를 이용하여 컨택트 스위치에 충격을 가해서 컨택트 스위치 내부의 고정접점부와 유동접점부가 접점상태를 이루도록 하고, 이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표시수단을 구비하여 이를 통해 컨택트 스위치의 접점상태에 대한 양부를 검사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보다 정밀한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는 동시에 한번에 다수의 컨택트 스위치 접점상태를 검사할 수 있도록 하여 효과적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컨택트 스위치의 접점상태 검사장치
제1도는 전형적인 컨택트 스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외관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컨택트 스위치의 개략적 분해사시도.
제3도는 고정접점체와 유동접점체의 접점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종래의 일반적인 검사장치로서 로드셀을 이용한 검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컨택트 스위치 접점상태 검사장치의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 그리고,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본 고안 컨택트 스위치 접점상태 검사장치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컨택트 스위치 11 : 바디 블록
12 : 터미널단자 13 : 터미널
14 : 탄력판 15 : 핀부재
16 : 지지편커버 31 : 제1실린더
32 : 제2실린더 33 : 테스트핀
34 : 제4실린더 35 : 로드셀
36 : 가압부재 40 : 지지프레임
41 : 지지부재 42 : 샤프트부재
43 : 환상중량체 44 : 실린더
45 : 중량체
본 고안은 고정접점체와 유동접점채의 접점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컨택트 스위치의 고정접점부와 유동접점부의 접점상태를 검사하기 위해 중량체의 자유낙하를 이용한 충격을 통하여 컨택트 스위치의 고정접점부와 유동접점부가 접점상태를 이루도록 하고, 이 접점상태의 양부를 신호표시하도록 된 컨택트 스위치의 접점상태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계장치 등의 전기회로를 개폐하기 위한 수단이나 또는 제어(control) 및 조정(regulation) 등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스위치는 그 적응분야와 작동원리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종류로 분류되는 것들이 있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총체적 개념의 스위치 중에서도 일반적으로 텔레비젼 세트나 전자렌지 및 세탁기 등과 같은 가전제품과 컴퓨터 시스템의 입력장치인 마우스 등에 있어서, 부여되는 소정 기능의 작동을 수행토록 조작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컨택트 스위치를 대상으로 하여, 이 컨택트 스위치의 고정접점부와 유동접점부의 접점상태에 대한 양부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장치를 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먼저, 본 고안에 의한 컨택트 스위치 접점상태 검사장치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고안 장치에 의해 그 접점상태가 검사되는 대상체로서 컨택트 스위치의 그 전형적인 구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면 중, 제1도 및 제2도는 전형적인 컨택트 스위치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도는 전형적인 컨택트 스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외관도이고,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컨택트 스위치의 개략적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면, 본 고안에 따른 장치에 의해 접점상태가 자동 검사되는 컨택트 스위치(10)는 이 컨택트 스위치(10)전체를 수용하여 장착되는 제품의 기판(미도시) 등에 연결되어 단자의 역할을 하도록 돌출된 터미널(13)이 형성되어 있는 터미널단자(12)가, 일측부에 홈부(11a)가 형성되어 스위치의 몸체를 형성하도록 사출성형된 바디블록(11) 사이에 마운팅되어 있고, 상기 바디블록(11)의 일측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홈부(lla)의 저면에는 상기 바디블록(11) 사이에 마운팅된 상기 터미널단자(12)의 일부가 돌출되어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어서 이 돌출부가 고정접점부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단자(12)의 일부가 돌출되어 고정접점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바디블록(11)의 홈부(11a)에는 평소에는 이 고정접점부와 접촉되지 않도록 중앙부가 고정접점부의 반대방향으로 볼록하게 성형된 탄력판(14)이 삽입되는 동시에 그 상부에는 상기 탄력판(14)의 중앙부를 가압알 수 있도록 된 핀부재(15)가 구비되고, 상기 바디블록(11)의 외곽부에는 상기 핀부재(15)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편커버(16)가 압착된 구조로 되어 있어서, 상기 핀부재(15)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탄력판(14)은 그 중앙부의 볼록부가 반대방향 즉, 고정접점부측으로 탄력이동됨으로써 고정접점부를 형성하도록 그 일부가 돌출된 상기 터미널단자(12)와 접촉된 상태로 되어 스위칭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컨택트 스위치는 다양한 여러 분야에 통상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상기에 언급하였듯이 탤레비젼 세트나 전자렌지 및 세탁기 등과 같은 가전제품이나 컴퓨터 시스템의 입력장치인 마우스 등을 조작하기 위한 수단으로 주로 많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제품에 적용되는 컨택트 스위치는 대부분 소형의 제품으로 제작되고 있으며, 그 작동구조상 정밀성 및 정확성이 유지되어야 하는 등 실제 제작에 있어서의 품질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가공 및 조립 조건 등이 매우 까다로운 편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까다로운 조건들을 충족시키면서 최적의 생산성과 최적 비용 등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방편으로서, 실제 생산공정 상에 있어서는 전용의 자동조립시스템을 갖춘 양산체제 하에서 생산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더욱이, 가전제품이나 컴퓨터 등에서의 컨택트 스위치 기능이나 역할로 볼 때, 이 컨택트 스위치의 기능불량이 발생하게 되면 실질적으로 간단한 부품의 불량에 해당되지만, 제품의 부분적인 작동은 물론이고 전체 제품의 작동 불가로 연결되며, 나아가서는 제품의 전채적인 이미지에도 큰 타격을 입히는 악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조립이 완성된 컨택트 스위치는 반드시 접점상태의 양부에 대한 검사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종래에는 제3도에 예시한 바와 같은 로드셀에 의한 가압수단을 검사장치로 이용하여 컨택트 스위치의 고정접점체와 유동접점체의 접점상태를 검사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제3도의 로드셀을 이용한 컨택트 스위치 접점상태 검사장치는 제1실린더(31)가 상승하여 컨택트 스위치(10)를 받쳐주고, 제2실린더(32)가 하강하여 테스트핀(33)을 통해 컨택트 스위치(10)에 전원을 인가하게 된다. 그런 다음, 제3실린더(34)가 상승하면서 로드셀(35)을 회동시키게 되고, 상기 로드셀(35)의 회동에 따라 로드셀(35)의 일단에 지지되어 수직 승강 가능하도록 된 가압부재(36)가 상기 컨택트 스위치(10)의 핀부재(15) 상단을 가압하여 컨택트 스위치(10)의 내부 고정접점부와 유동접점부가 접촉되는 순간에 컨트롤러를 통해 온/오프(on/off) 상태를 체크할 수 있게 됨으로써, 컨택트 스위치의 접점상태에 대한 양부를 검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검사장치는 그 작동구조가 복잡하며, 실린더 작동상태에 따라 로드셀을 통하여 컨택트 스위치의 핀부재 상단에 가해지는 압력이 균일하지 못하여 일정한 산포 내의 균일한 품질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일정한 규격의 제품만을 검사할 수 있거나 아니면 다른 규격의 제품을 검사하기 위해서 필요로 하는 장치의 조정작업 등이 까다로운 동시에 다수의 제품을 동시에 검사할 수 있는 장치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비용이 소요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컨택트 스위치의 기능 즉, 접촉상태에 대한 중요성과 종래의 컨택트 스위치 접점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장치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 및 단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액튜에이터에 의해 자유낙하되는 중량체를 이용하여 컨택트 스위치에 충격을 가해서 컨택트 스위치 내부에 마련된 고정접검부와 유동접점부가 접점상태를 이루도록 하고, 이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표시수단을 구비하여 이를 통해 컨택트 스위치의 접점상태에 대한 양부를 검사함으로써 일정한 산포 내의 균일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정밀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컨택트 스위치 접점상태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장치에 의해 접점상태가 검사되는 대상 컨택트 스위치는 몸체가 되는 사출성형된 바디블록과, 터미널이 형성되어 있고 일부가 고정접점체의 기능을 하게 되는 터미널단자와, 고정접점체에 대용하여 유동접점체의 기능을 하게 되는 탄력판과, 탄력판을 가압하여 스위칭이 가능하도록 하는 핀부재 및 이들 각 부품들을 결합하여 지지하도록 바디블록에 압착되는 지지편커버의 통상적인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컨택트 스위치 접점상태 검사장치는,
조립 완성된 컨택트 스위치 다수가 일정 피치로 연속 공급되도록 된 베이스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컨택트 스위치를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의 소정 위치에서 고정시켜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고정지지되는 상기 컨택트 스위치의 고정접점부는 외부의 전원과 연결된 통전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통전수단의 일단에는 통전상태에 따른 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신호수단이 연결된 상태로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의 소정 위치에서 고정지지되는 상기 컨택트 스위치의 중심축 상방에서 수직승강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다른 일측에 지지되는 샤프트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타측에는 액튜에이터가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부재의 중심축 상방에는 상기 액튜에이터에 의해 자유낙하가 가능하도록 마련된 중량체를 포함하여,
상기 중량체가 상기 액튜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샤프트부재 상단으로 낙하되는 동시에 상기 샤프트부재는 상기 컨택트스위치의 상단을 가압하여 낙하를 가능하도록 하고,이에 따라 상기 컨택트 스위치의 접점상태가 상기 통전수단과 연결된 신호수단에 의해 표시되도록 하여 상기 컨택트 스위치의 접점상태의 양부를 검사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고안에 의한 컨택트 스위치 접점상태 검사장치에 있어서,
특히 상기 통전수단은 통상의 리드선이 바람직하고, 상기 신호수단은 LED등의 전구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부재는 그 외주면에 환상중량체가 다수 적재되어 상기 샤프트부재가 적정한 중량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환상중량체는 그 수의 가감에 의해 상기 샤프트부재의 중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중량체는 직경이 다른 2단의 원기둥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컨택트 스위치의 접점상태 검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컨택트 스위치 접점상태 검사장치의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본 고안 컨택트 스위치 접점상태 검사장치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컨택트 스위치 접점상태 검사장치는, 조립 완성된 컨택트 스위치(10) 다수가 일정 피치로 연속 공급되는 통로를 구비하여 이들을 지지하도록 된 베이스프레임(40)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프레임(40)의 일측에는 상기 컨택트 스위치(10)를 상기 베이스프레임(40) 상의 소정 위치에서 고정시켜 지지하는 지지부재(41)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41)에 의해 상기 베이스프레임(40) 상의 소정 위치에서 고정지지되는 상기 컨택트 스위치(10)는 그 고정접점부가 외부의 전원(미도시)에 통상의 통전수단으로 사용되는 리드선 등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이 리드선의 일단에는 접점상태에 따른 통전상태를 신호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표시수단으로서 소형 전구나 또는 LED(미도시)등이 연결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41)에 의해 상기 베이스프레임(40) 상의 소정위치에서 고정지지되는 상기 컨택트 스위치(10)의 중심축 상방에는 수직승강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40)의 다른 일측에 지지되는 샤프트부재(42)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샤프트부재(42)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환상중량체(43)가 적재되어 상기 샤프트부재(42)가 적정한 중량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환상중량체(43)의 적재수량을 가감함에 의해 상기 샤프트부재(42)의 중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프레임(40)의 타측에는 액튜에이터로서의 실린더(44)가 마련되고, 상기 샤프트부재(42)의 증심축 상방에는 상기 실린더(44)에 의해 자유낙하가 가능하도록 된 직경이 다른 2단 원기둥형 중량체(45)가 지지되어 있어서, 상기 2단 원기둥형 중량체(45)가 상기 실린더(44)의 작동에 의해 상기 샤프트부재(42)의 상단으로 낙하되는 동시에 상기 샤프트부재(42)는 상기 컨택트 스위치(10)의 상단을 가압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컨택트 스위치 접점상태 검사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용하여 컨택트 스위치의 접점상태에 대한 양부를 검사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40)으로 조립이 완성된 컨택트 스위치(10)가 일정 피치를 가지며 연속적으로 공급되면, 상기 베이스프레임(40)의 일측에 마련된 상기 지지부재(41)가 다수개의 상기 컨택트 스위치(10)를 소정 위치에서 고정시키게 되며, 이때 센서 등의 감지수단(미도시)을 통하여 상기 실린더(44)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44)의 작동에 따라 이 실린더(44)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상기 2단 원기둥형 중량체(45)가 상기 샤프트부재(42)의 상단으로 낙하하여 상기 샤프트부재(42)에 충격을 가하게 되고, 이 충격에 의해 상기 샤프트부재(42)는 상기 컨택트 스위치(10)의 상단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컨택트 스위치(10)는 그 내부에 장착된 고정접점부와 유동접점부가 접점상태로 될 수 있는데, 이때의 접점상태를 리드선 등에 의해 외부의 전원과 연결된 소형 전구나 또는 LED(미도시) 등의 신호표시수단에 의해 표시될 수 있도록 하여 정상적인 접점상태가 되면 상기 소형 전구나 또는 LED가 점등되고, 접점상태가 양호하지 못하면 소형 전구나 또는 LED가 점등되지 않도록 하여 컨택트 스위치의 접점상태에 대한 양부를 검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컨택트 스위치 접점상태 검사장치는 액튜에이터에 의해 자유낙하되는 중량체를 이용하여 컨택트 스위치에 충격을 가해서 컨택트 스위치 내부의 고정접점부와 유동접점부가 접점상태를 이루도록 하고, 이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표시수단을 구비하여 이를 통해 컨택트 스위치의 접점상태에 대한 양부를 검사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동시에 한번에 다수의 컨택트 스위치 접점상태를 검사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생산성이 높은 효과적인 장치이다.

Claims (5)

  1. 조립 완성된 컨택트 스위치 다수가 일정 피치로 연속 공급되도록 된 베이스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컨택트 스위치를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의 소정 위치에서 고정시켜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고정지지되는 상기 컨택트 스위치의 고정접점부는 통전수단에 의해 외부의 전원에 연결되고, 상기 통전수단의 타단에는 통전상태에 따른 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신호수단이 연결된채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의 소정 위치에서 고정지지되는 상기 컨택트 스위치의 중심축 상방에서 수직승강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다른 일측에 지지되는 샤프트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타측에는 액튜에이터가 설치되고, 상기 샤프트부재의 중심축 상방에는 상기 액튜에이터에 의해 자유낙하가 가능하도록 마련된 중량체를 포함하여, 상기 중량체가 상기 액튜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샤프트부재 상단으로 낙하되는 동시에 상기 샤프트부재는 상기 컨택트스위치의 상단을 가압하여 낙하를 가능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상기 컨택트 스위치의 접점상태가 상기 통전수단과 연결된 신호수단에 의해 표시되도록 하여 상기 컨택트 스위치의 접점상태의 양부를 검사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스위치 접점상태 검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수단은 통상의 리드선이 바람직하고, 상기 신호수단은 LED 등의 전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스위치 접점상태 검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부재는 그 외주면에 환상중량체가 다수 적재되어 상기 샤프트부재가 적정한 중량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스위치 접점상태 검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중량체는 그 수의 가감에 의해 상기 샤프트부재의 중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 스위치 접점상태 검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는 직경이 다른 2단의 원기둥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스위치 접점상태 검사장치.
KR2019940028721U 1994-10-31 1994-10-31 컨택트 스위치의 접점상태 검사장치 KR01294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8721U KR0129452Y1 (ko) 1994-10-31 1994-10-31 컨택트 스위치의 접점상태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8721U KR0129452Y1 (ko) 1994-10-31 1994-10-31 컨택트 스위치의 접점상태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5542U KR960015542U (ko) 1996-05-17
KR0129452Y1 true KR0129452Y1 (ko) 1998-12-15

Family

ID=19396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8721U KR0129452Y1 (ko) 1994-10-31 1994-10-31 컨택트 스위치의 접점상태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945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004B1 (ko) * 2006-10-18 2008-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접촉 박막의 특성 측정용 구조물 및 그의 제조방법과 전기 접촉 박막의 특성 측정 장치
KR20220086052A (ko) 2020-12-16 2022-06-23 전지훈 접점 검사기용 접점 공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004B1 (ko) * 2006-10-18 2008-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접촉 박막의 특성 측정용 구조물 및 그의 제조방법과 전기 접촉 박막의 특성 측정 장치
KR20220086052A (ko) 2020-12-16 2022-06-23 전지훈 접점 검사기용 접점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5542U (ko) 199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6155B2 (en) Chip testing device and chip testing system for testing memory chips
CN104995414A (zh) 一种改进的负载指示装置
US20050205395A1 (en) Rotary selector
CN102095946B (zh) 通用型封装构造电性测试装置
CN101339205A (zh) 电子部件试验装置
KR0129452Y1 (ko) 컨택트 스위치의 접점상태 검사장치
CN201575883U (zh) 纱线张力传感器
KR101111443B1 (ko) 하이브리드 입력모듈 검사용 지그장치
CN107304526B (zh) 用于测量丝网上的纸浆材料的水分含量的方法和设备
US7798022B2 (en) Testing devices for multihole workpiece
KR20080005738A (ko) 다양한 크기의 반도체 칩 패키지를 검사할 수 있는 반도체칩 패키지 검사용 소켓
CN217990643U (zh) 一种连续模的料带检测定位机构
KR20040012318A (ko)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소켓 장치
CN109655738B (zh) 一种基于通用ate测试cis产品的光源结构
CN1043762A (zh) 位置检测装置
KR0141184B1 (ko) 컨택트 스위치 조립체의 자동조립장치
KR200268671Y1 (ko) 디지털 온도조절계 검사용 지그 어셈블리
KR0137960Y1 (ko) 부하 개폐기의 변류기
KR100255708B1 (ko) 제어기표면의 기울어짐 검사장치
US8242393B2 (en) Pressure switch incorporated to electronic module of several equipment
KR0128245Y1 (ko) 반도체 패키지 검사용 소켓
KR102517135B1 (ko) 접점 검사기용 접점 공급장치
KR20060008829A (ko) 메탈돔의 검사장치 및 그 방법
CN213957649U (zh) 一种螺丝检测装置
FI119529B (fi) Elektronisen laitteen testa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