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9183B1 - Sscop부계층의 pdu생성회로 - Google Patents

Sscop부계층의 pdu생성회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9183B1
KR0129183B1 KR1019940038196A KR19940038196A KR0129183B1 KR 0129183 B1 KR0129183 B1 KR 0129183B1 KR 1019940038196 A KR1019940038196 A KR 1019940038196A KR 19940038196 A KR19940038196 A KR 19940038196A KR 0129183 B1 KR0129183 B1 KR 0129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scop
signal
pdu
counter
fif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8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7887A (ko
Inventor
윤성욱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40038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9183B1/ko
Publication of KR960027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7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9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91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SCOP계층의 PDU생성회로에 관한 것으로, SSCF계층으로부터 전달된 데이터의 워드길이에 2를 더한 초기값으로 셋팅되어 소정의 스타트신호를 입력받아 다운 카운트하게 된 카운터(10)와: 패드생성부(12)로부터 2비트의 패드길이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상태변수저장부(14)로부터 최대허용 수신상태변수(N(MR))를 입력받는 한편 4비트의 PDU타입신호를 입력받아 일시 저장하게 된 32비트길이의 제1 레지스터(16); 상기 카운터(10)의 카운트신호에 따라 SSCOP FIFO(18)에 저장된 데이터, '0' 및, 상기 제1레지스터(16)에 저장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출력하게 된 멀티플렉서(20) 및; 상기 카운터(10)의 신호에 따라 상기 멀티플렉서(20)로부터 출력된 값을 ALL FIFI(22)저장하게 된 FIFO제어부(24)로 구성되어, 소정의 외부신호를 입력받아 동등실체의 소정의 정보를 전달하게 되는 BGAK, ERAK, RSAK-P여를 생성하여 하위계층으로 전송해 주는 것이다.

Description

SSCOP부계층의 PDU생성회로
제1도는 B-ISDN 신호적응계층을 포함한 신호프로토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신호적응계층의 PDU매핑구조를 도시한 도면.
제3도는 신호적응계층의 신호링크 활성화, 비활성화 및 복구시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의 따른 SSCOP부계층의 PDU생성회로를 도시한 구성 블록도.
제5도(가)는 BGAK-P여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
(나)는 ERAK-P여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
(다)는 RSAK-P여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대한 부호의 설명
10 : 카운터 12 : 패드생성부
14 : 상태변수저장부 16 : 제1 레지스터
18 : SSCOP FIFO 20 : 멀티플렉서
22 : ALL FIFO 24 : FIFO 제어부
본 발명은 비등기 전달모드(ATM: Asynchronous Transfer Mode)통신방식을 기본전달수단으로 하는 B-ISDN에서 사용하는 신호프로토콜을 구현하는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호적응계층(SALL)의 SSCOP(Service Specific Oriented Protocol)부계층에서 동등실체간에 송수신하기 위한 소정 포맷의 메시지를 생성해주는 PDU생성회로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통신수단이 급속히 디치탈화되고 광통신의 발달로 인하여 넓은 대역의 전송이 가능해짐에 따라 사용자의 다양한 서비스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차세대 통신망으로 광대역 ISDN(B-ISDN:Broadband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이 등장하였는바, 이 B-ISDN에서는 원격검침, 데이터 단말, 전화, 팩시밀리등 기존의 협대역 서비스뿐만 아니라 영상전화, 영상회의, 고속 데이터전송, 영상신호전송등과 같은 광대역 서비스까지를 주파수대역 및 속도에 관계없이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비동기식 전달모드인 ATM통신박식을 기본으로 하여 구현되고 있다.
여기서, ATM통신방식이란 5바이트의 헤더구간과 48바이트의 사용자정보 구간으로 구성된 총 53바이트길이의 ATM셀을 기본단위로 비등기식 시분할 다중화(ATDM:Asynchronous Time Division Multiplexing)하여 통신하는 방식으로 셀단위로 전송한다는 점에서 종래의 패킷(packet) 통신방식과 유사하나 ATM통신방식에서는 실시간 및 항등율의 신호까지를 취급하고, 국부적인 지역망은 물론 거대한 공증망에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러한 ATM통신방식은 제1도에 그 신호프로토콜구조가 도시되어 있고, 이들 계층 각각에 대한 기능은 표 1과 같다.
표1
상기 표1에서와 같이 ATM통신방식의 신호프로토콜의 구조는 크게 물리계층, ATM계층, 신호적응계층(SAAL:Signalling ATM Adaptation Layer), 상위 프로토콜 계층과 같이 수직적인 구조로 구분되고, 상기 신호적응계층은 공통부계층(CP AAL; Common Part AAL)과 서비스특유부계층(SSCS : Service Specific Convergence Sublayer)으로 나눌 수 있으며, 다시 상기 서비스특유 부계층은 sscf(Service Specific Co-ordination Function), SSCOP(Service Specific Oriented Protocol)부계층으로 구성된다.
한편, 이들 각 계층은 제 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매핑구조를 갖게 되는데, SSCF 상위계층으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에 5 옥텟의 정보를 추가하여 SSCOP계층으로 전달하고, SSCOP계층에서는 4 옥텟의 정수배로 정렬하기 위해 PAD 및 소정의 트레일러정보를 첨가하여 CPCS계층으로 전달하며, CPCS계층은 48옥텟의 정수배로 하기 위해 PAD 및 소정의 트레일러를 부가하여 SAR계층으로 전달한다. SAR부계층은 SAR-P의 끝을 알려줌으로써 SAR-P여를 보존할 수 있게 해주고, 체증정보를 처리하며, 손실우선순위 정보를 처리하게 된 것으로, 상기 CPCS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48옥텟으로 분리하여 ATM계층으로 전달하고, ATM계층에서는 상기 전달된 데이터에 5비트길이의 소정 헤데를 부가하여 전송하게 된다. SSCOP는 신호적응계층의 특정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사용자간의 가변길이의 서비스 데이터 단위(S여 : Service Data Unit)를 전달하는 데 사용되며 손실되거나 손상된 SDU를 복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바, 그 주요기능은 신호적응계층의 사용자 또는 계층 3으로부터 신호데이타 전달요구를 수신하여 이를 동등계층에게 오류없이 투명하게 전달하는 것으로, 기존의 계층 2에 해당하며 사용자망 접면(UNI; User Network Interface)과 망노드접면(NNI: Network Node Interface)에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그 기능은 다음 표 2와 같다.
표2
상기 표 2에서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SSCOP부계층은 제3도에 도시된 신호적응계층의 신호흐름의 예를 도시한 도면에서와 같이 상위계층이 소정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신호의 활성화, 비활성화 및 복구에 따른 요구를 SSCF계층에 전달하게 되면, SSCF계층은 이에 따른 소정의 프리미티브(Primitives)를 SSCOP에 송신하고, SSCOP는 상기 프리미티브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만들어 CPCS 계층으로 전달하되 CPCS-UNITDATA-invoke와 CPCS-UNIT0signal등 2가지의 신호를 이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SSCOP부계층에서 전송 또는 수신되는 메시지 즉 SSCOP PDUSMS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SSCF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에 4옥텟의 정수배로 정렬하기 위한 0 내지 3 옥텟의 패드와 1 내지 2 워의 컨트롤필드가 부가된 구조로 되어 있고, 그 최대가능길이는 CPCS PDU의 최대가능길이인 65536옥텟에서에서 8옥텟의 CPCS 트레이러를 뺀 65528옥텟이므로 상기 4옥텟의 컨트롤 필드를 뺀 나머지 65524옥텟이 SSCOP-UU의 최대가능길이이다. 통상 마지막 4옥텟의 컨트롤필드는 2비트의 패드길이, 2비트의 미사용부, 4비트의 PDU 타입 및 3옥텟길이의 PDU변수로 구성되는 바, 이들 컨트롤 필드는 전달된 메시지의 타입과 SSCOP계층의 특정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본 발명은 소정의 외부신호에 의해 동등실체의 상대방으로부터 연결요청을 받았음 알려주는 BGAK-PDU(Begin Acknowledgment-Pdu) 성하여 하위계층으로 전송하게 된 SSCOP계층의 PDU생성회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프로토콜에러로 부터의 복귀연락을 받았음을 알려주는BGAK-PDU(Begin Acknowledgment-Pdu)를 생성하여 하위계층으로 전송하게 된 SSCOP계층의 PDU생성회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등 SSCOP 실체로부터 재동기화를 요청받았음을 알려주는 RSAK-P여(Resynchronization Acknowledment-PDU)를 생성하여 하위계층으로 전송하게 된 SSCOP계층의 PDU생성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회로는, SSCF계층으로부터 전달된 데이터의 워드길이에 2를 더한 초기값으로 셋팅되어 소정의 스타트신호를 입력받아 다운 카운트하게된 카운터와; 패드생성부로부터 2비트의 패드길이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상태변수저장부로부터 최대허용수신상태변수를 입력받는 한편 4비트의 PDU타입신호를 입력받아 일시 저자아하게 된 32비트길이의 제1레지스터: 상기 카운터의 카운터신호에 따라 SSCOP FIFO에 저장된 데이터, '0' 및 상기 제1 레지스터에 저장된 제어필드를 순차적으로 출력하게 된 멀티플렉서 및; 상기 제어카운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멀티플렉서로부터 출력된 값을 ALL FIFO에 저장시키는 FIFO제어부로 구성된 것이다.
이하,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SSCOP계층의 PDU생성회로의 구성블럭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SSCF계층으로부터 전달된 데이터의 워드길이에 2를 더한 초기 값으로 셋팅되어 소정의 스타트신호를 입력받아 다운 카운트하게 된 카운터(10)와 ; 패드생성부(12)로부터 2비트 패드길이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상태 변수저장부(14)로부터 최대혀용수신상태변수(N(ㅡMR))를 입력받는 한편 4비터의 PDU타입신호를 입력받아 일시 저장하게 된 32비트길이의 제1 레지스터(16): 상기 카운터(10)의 카운트신호에 따라 SSCOP FIFO(18)에 저장된 데이터 '0' 및, 상기 제1 레지스터(16)에 저장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출력하게 된 멀티플렉서(20) 및; 상기 카운터(10)의 신호에 따라 상기 멀티플렉서(20)로부터 출력된 값을 ALL FIFO(22)저장하게 된 FIFO제어부(24)로 구성된 것이다. 카운터(10)는 상위계층 즉 SSCF(Service Specific Coordination Function)으로부터 전달되어 SSCOP FIFO(18)에 저장된 데이터의 워드길이신호에 2를 더한 값이 초기값으로 세팅되어, SSCOP의 상태제어부로부터 입려되는 BGN-P여송신신호를 입력받아 다운카운트하게 되는 것으로, 워드길이신호는 입력된 데이터에 1 내지 3옥텟의 PAD를 부가하여 32비트의 워드의 정수배로 정렬된 값으로부터 얻어진다.
여기서 워드길이에 2를 더해서 다운카운팅하는 것은 SSCOP계층에서 부가되는 8옥텟의 컨틀롤필드를 전송되는 데이터에 부가하게 되는 것이다. 상태변수저장부(14)는 SSCOP의 각 상태에 따른 변수들을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 SSCOP PDU의 건트를 필드를 구성하는 인자들에 매핑되어지게 되는 바, 이들 SSCOP의 상태변수는 다음의 표표 3에서와 같다.
표3
여기서 특히 본 발명에 관계있는 것은 VR(MR)로서, 수신측에서 허락하지 않게 된 처음의 SD-P여의 번호를 가리키는 것으로 이보다 큰 번호의 SD-PDU의 번호를 가리키는 것으로 이보다 큰 번호의 SD-PDU는 포기되고, USTAT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레지스터(16)는 32비트로 구성되어 N워드길이의 BGN-PDU에서 N워드를 준비하여 멀티플렉서(20)의 선택적 출력에 으해 상기 SSCF로 전달된 데이터에 부가되는 것으로, 패드생성부(16)로부터 데이터에 부가된 패드길이정보 및 소정 PDU타입을 입력받아 상위 옥텟에저장하고, 소정 PDU가 생성 될 때마다 하위 3옥텟에는 상기 상태변수저장부(12)에 저장된 VR(MR)이 매핑된다. 패드생성부(12)는 SSCOP FIFO(18)로 전달되는 데이터를 32비트의 워드로 맞추어 주기위해 1 내지 3옥텟의 패드를 부가하고, 부가된 PAD의 길이에 따라 패드길이정보를 출력해주게 된 것이다. SSCOP FIFO(18)는 상위계층 즉, SSCF로부터 전달된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으로, 이들 데이터는 멀티플렉서(20)의 선택적 출력에 의해 상기 제1레지스터(16)에 저장된 콘트롤필드들이 부가되어 하위계층으로 전송된다. 멀티플렉서(20)는 상기 카운터(10)의 제어에 의해 상기 SSCOP FIFO(18), '0', 및 제1레지스터(16)를 선택하여 순차적으로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FIFO제어부(24)는 상기 카운터(10)가 동작중에 발생된 카운터신호에 의해 상기 멀티플렉서(20)로부터 출력된 자료가 ALL FIFO(22)에 저장되어 지도록 상기 AAL FIFO를 제어하게 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생성되는 BGAK-PDU는 동등실체간에 SSCOP 의 동등실체로부터의 연결요청을 받았음을 알려주는 데 쓰이는 것으로, 그 포맷은 제5도(가)에도시된 바와같이 상위계층으로부터 전달된 SSCOP-UU에 32비트워드의 정수배로 하기 위해 1내지 3옥텟의 패드가 부가되어 N-2워드길이의 SSCOP UU데이타와, 2비트길이의 패드길이표시, 4비트의 소정 PDU타입 및 3옥텟의 N(MR)로 구성되어 있다.
외부로부터 BGAK-PDU를 전송하라는 신호가 카운터(10)에 입력되면, SSCOP FIFO(18)에 저장된 데이터의 워드길이에 2를 더한 값이 카운터(10)의 초기값으로 세팅되어 다운카운팅하게 된다.
상기 카운터(10)가 다운카운트하면서 각 카운트마다 출력되는 신호는 멀티플렉서(20)와 FIFO제어부(24)에 입력되고, 멀티플렉서(20)는 초기에는 SSCOP FIFO(18)의 저장값을 선택출력하면, FIFO제어부(24)가 AAL FIFO(242)를 제어하여 상기 멀티플렉서(20)의 출력값이 ALL FIFO(22)에 기록하므로써 하나의 PDU가 생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생성되는 ERAK-PDU는프로토콜에러로 부터의 복귀연락을 받았음을 알려주는 것으로, 그 포맷은 제 5도(나)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위계층으로부터 전달된 데이터 없이 4비트의 소정 PDU타입 및 3옥텟의 N(MR)로 구성되어 있다.
외부로부터 ERAK-PDU를 전송하라는 신호가 카운터(10)에 입력되면, 2가 카운터(10)의 초기값으로 세팅되어 다운카운팅하게 된다.
상기 카운터(10)가 다운카운트하면서 각 카운트마다 출력되는 신호는 멀티플렉서(20)와 FIFO제어부(24)에 입력되고, 멀티플렉서(20)는 첫 번째는 '0'을 선택출력하여 기록하고, 두 번째는 제1레지스터 FIFO(14)에 기록하므로써 하나의 PDU가 생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생성되는 RSAK-PDU는 동등 SSCOP 실체로부터 재동기화를 요청받았음을 알려주는 것으로, 그 포맷은 제5도(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ERAK-P여의 포맷과 동일하고, 그 동작도 동일하여 동작설명을 생략한다.

Claims (1)

  1. SSCF계층으로부터 전달된 데이터의 워드길이에 2를 더한 초기값으로 셋팅되어 소정의 스타트신로를 입력받아 다운 카운트하게 된 카운터(10)와; 패드생성부(12)로부터 2비트의 패드길이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상태변수저장부(14)로부터 최대허용수신상태변수(N(MR))를 입력받는 한편 4비트의 PDU타입신호를 입력받아 일시 저장하게 된 32비트길이의 제1레지스터(16): 상기 카운터(10)의 카운트신호에 따라 SSCOP FIFO(18)에 저장된 데이터, '0' 및, 상기 제1레지스터(16)에 저장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출력하게 된 멀티플렉서(20) 및; 상기 카운터(10)의 신호에 따라 상기 멀티플렉서(20)로부터 출력된 값을 ALL FIFO(22) 저장하게 된 FIFO제어부(24)로 구성된 SSCOP부계층의 PDU생성회로
KR1019940038196A 1994-12-28 1994-12-28 Sscop부계층의 pdu생성회로 KR0129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8196A KR0129183B1 (ko) 1994-12-28 1994-12-28 Sscop부계층의 pdu생성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8196A KR0129183B1 (ko) 1994-12-28 1994-12-28 Sscop부계층의 pdu생성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887A KR960027887A (ko) 1996-07-22
KR0129183B1 true KR0129183B1 (ko) 1998-04-08

Family

ID=19404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8196A KR0129183B1 (ko) 1994-12-28 1994-12-28 Sscop부계층의 pdu생성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918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887A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81293C (en) Atm layer device
US6108336A (en) AAL-5 SSCS for AAL-1 and AAL-2 in ATM networks
EP0872983A1 (en) A logical link connection server
KR0129183B1 (ko) Sscop부계층의 pdu생성회로
KR100525542B1 (ko) Atm 셀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
KR0129185B1 (ko) Sscop부계층의 pdu생성회로
KR0129184B1 (ko) Sscop부계층의 pdu생성회로
KR0129180B1 (ko) Sscop부계층의 pdu 생성회로
KR0129182B1 (ko) Sscop부계층의 pdu생성회로
KR0129178B1 (ko) Sscop부계층의 pdu생성회로
KR0129179B1 (ko) Sscop부계층에서 pdu 해석회로
KR0133802B1 (ko) Sscop부계층의 pdu생성회로
KR0140679B1 (ko) Sscop처리회로
JP2005516476A (ja) 可変ビットレートリアルタイムサービス用のatmアダプテーションレイヤ2の実装方法
KR0133404B1 (ko) Sscop부계층의 pdu생성회로
JP2851807B2 (ja) クロック設定方法、クロック設定装置およびデータ伝送システム
KR0129181B1 (ko) SSCOP(Service Specific Connection Oriented Protocol)의 상태제어회로
KR0123224B1 (ko) Atm통신방식의 all5 sar 수신처리장치
KR0133803B1 (ko) Sscop부계층의 전송버퍼 삽입회로
KR100705569B1 (ko) 타임슬롯 인터체인지 디바이스의 데이터 메모리를 이용한신호 경로 검증 장치 및 그 방법
KR0123227B1 (ko) Aal계층의 송신 인터페이스장치
KR0169673B1 (ko) 동기 레지듀얼 타임 스탬프를 전송하는 aal1 송신장치
EP0781008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bining connections over ATM network
KR20000041332A (ko) Atm 통신망에서의 선택적인 atm셀 전송을 위한aal-5
KR0123223B1 (ko) Aal3/4 수신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