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9146Y1 - 공기조화기용 압축기의 과부하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용 압축기의 과부하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9146Y1
KR0129146Y1 KR2019950053281U KR19950053281U KR0129146Y1 KR 0129146 Y1 KR0129146 Y1 KR 0129146Y1 KR 2019950053281 U KR2019950053281 U KR 2019950053281U KR 19950053281 U KR19950053281 U KR 19950053281U KR 0129146 Y1 KR0129146 Y1 KR 01291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upper cap
protection device
overload protection
support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532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4392U (ko
Inventor
남태규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500532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9146Y1/ko
Publication of KR9700443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43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91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91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9/00Plugs, sleeves, caps, or like rigid or semi-rigid elements for protecting parts of articles or for bundling articles, e.g. protectors for screw-threads, end caps for tubes or for bundling rod-shaped articles
    • B65D59/06C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80Other components
    • F04C2240/803Electric connectors or cables; Fitting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압축기의 운전시 발생되는 파열을 감지하여 그 동작을 제어하는 과부하 보호장치를 견고하게 착설하여 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공기조화기용 압축기의 과부하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과부하 보호장치는 커버의 구속력에 의해 상부캡의 표면에 밀착된 구조이므로 조립과정의 오류 및 압축기의 동작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상부캡에 제대로 밀착되지 않을 경우 감지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는 바, 따라서, 압축기몸체의 상부캡에 안착되는 하우징의 하단부에 지지턱을 형성하고 이 지지턱에 상응하는 상부캡의 표면에 고정력을 제공하는 걸림부재를 형성하여 밀착 고정함에 따라, 견고하게 착설함과 아울러 압축기에 발생되는 온도를 정확히 감지하여 동작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키게 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용 압축기의 과부하 보호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압축기의 일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2도는 상기 제1도의 압축기에 설치된 종래의 과부하 보호장치의 평면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과부하 보호장치가 설치된 압축기의 부분단면도.
제4도는 상기 제3도의 평면구성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과부하 보호장치를 설치한 부분 확대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압축기 몸체 11 : 상부캡
20 : 하우징 21 : 지지턱
30 : 걸림부재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용 압축기의 과부하 보호장치,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기의 운전시 발생되는 과열을 감지하여 그 동작을 제어하는 과부하 보호장치(Over-Load Protecotr)를 간편하고 견고하게 착설하여 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공기조화기용 압축기의 과부하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에 설치된 압축기는 증발된 저온, 저압의 냉매를 흡입하여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로 압축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압축기의 동작에 의해 압축된 냉매는 응축-팽창-증발 등의 냉동싸이클을 반복적으로 순환하면서 냉각기를 통과하는 주위의 열을 흡수하고 차거운 공기를 배출하는 소위 열교환작용에 의해 냉방을 하게 된다.
이러한 압축기는 냉매를 고압으로 압축하기 위해 비교적 높은 회전속도와 토오크를 요구하게 되므로 이 과정에서 많은 열이 발생되었고, 특히 초기 운전시 또는 재기동시에는 과전류가 유기되면서 과부하와 과열이 번번히 발생하였다.
상기 과열 현상은 기기의 내부에 설치된 고정자를 손상시켜 압축성능을 저해하는 주요 요인이 되므로써 과부하 및 과열을 미연에 방지토록 하는 기술이 요구되었다.
위와 같은 필요에 의해 압축기의 동작시 집중적인 과열이 발생되는 상측부에 과열상태를 감지한 후 그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기기를 보호하는 과부하 부호장치를 설치하였다.
제1도는 상기 압축기의 전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제2도는 종래의 과부하 보호장치를 설치상태도로 나타낸 평면도로서, 압축기 몸체(1)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상부캡(2)에 설정온도 이상의 과열발생시 정지신호를 보내는 과부하 보호장치(3)가 착설되고, 이의 외측에는 과부하 보호장치를 구속하고 일측에 장착된 단자(5)를 보호하는 커버(4)가 결합되어있다.
따라서, 상기 과부하 부호장치(3)는 상부캡(2)으로부터 전도되는 온도를 감지하여 설정치 이상의 온도가 감지될 경우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압축기를 보호하고, 일정시간이 지나면 전원공급을 재개하는 작용을 한다.
그러나, 상기한 과부하 보호장치(3)는 압축기의 상부캡(2)에 안착하여 커버(4)에 의해 이탈을 방지하게 된 구조이므로, 착설과정의 오류나 압축기의 동작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등에 의해 제대로 밀착되지 않을 경우 온도를 정확히 감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과부하 보호장치의 설치에 따른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간편하고 견고하게 착설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용 압축기의 과부하 보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상부캡에 접촉되는 하우징의 하단부에 지지턱을 형성하고 이 지지턱에 상응하는 상부캡에 걸림부재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턱을 고정시키게 됨에 따라 간편하고 견고하게 착설함과 아울러 압축기에 발생된 온도를 정확히 감지하여 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공기조화기용 압축기의 과부하 보호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과부하 보호장치가 설치된 압축기의 부분단면도이고, 제4도는 그 평면구성도로서, 압축기 몸체(10)의 상단부를 밀폐하는 상부캡(11)의 표면에 지지턱(21)을 구비한 감지장치의 하우징(20)이 안착되어 있다.
상기 상부캡(11)에는 하우징(20)에 형성된 지지턱(21)을 상부캡의 표면에 밀착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재(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걸림부재는 하우징(20)의 삽입은 용이한 반면 이탈을 방지하게 탄성을 구비한 고리형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과부하 보호장치는 압축기의 구동에 의해 발생된 열이 상부캡(11)을 통해 하우징(20)에 전도되어 온도를 감지하게 되고, 감지된 온도가 정상범위 이내인 경우에는 초기상태를 유지하는 반면, 과부하로 인한 이상온도를 감지할 경우에는 전원을 차단하여 압축기를 정지시키는 통상적인 작용을 한다.
이때, 열의 발생이 집중되는 압축기 몸체(10)의 상부캡(11)에 걸림부재(30)에 의해 하우징(20)이 긴밀히 밀착된 상태에서 과열 여부를 감지하게 되므로, 정확한 상태로 온도를 감지하여 이에 따라 제어신호가 발생되어 동작의 신뢰성과 응답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턱(21)에 견착된 걸림부재(30)의 작용에 의해 압축기의 운전시 발생되는 진동이나 총격이 가해질 경우에는 견고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과부하 보호장치는 안전하고 정확한 상태로 안착되므로 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과열로 인한 압축기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압축기몸체(10)의 상부에 결합된 상부캡(2)에 착설되어 기동시 발생되는 과전류와 과부하 운전으로 인한 과열로부터 압축기를 보호하는 과부하 보호장치를 갖춘 공기조화기용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2)에 전도되는 온도변화를 감지하는 과부하 감지장치의 하우징(20)에 지지턱(21)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20)이 안착되는 상부캡(11)의 표면에 지지턱(21)을 밀착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재(30)로 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압축기의 과부하 보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30)가 탄성을 구비한 고리형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압축기의 과부하 보호장치.
KR2019950053281U 1995-12-29 1995-12-29 공기조화기용 압축기의 과부하 보호장치 KR01291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3281U KR0129146Y1 (ko) 1995-12-29 1995-12-29 공기조화기용 압축기의 과부하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3281U KR0129146Y1 (ko) 1995-12-29 1995-12-29 공기조화기용 압축기의 과부하 보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4392U KR970044392U (ko) 1997-07-31
KR0129146Y1 true KR0129146Y1 (ko) 1999-01-15

Family

ID=19442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53281U KR0129146Y1 (ko) 1995-12-29 1995-12-29 공기조화기용 압축기의 과부하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914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4392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1880B1 (ko) 냉동시스템 상하과열 방지방법 및 제어장치
KR100361000B1 (ko) 자체 조정 온도 감지 장치
US6085530A (en) Discharge temperature sensor for sealed compressor
EP1247987A2 (en) Turbo molecular pump
US4890459A (en) Monitor for refrigeration system
WO2015078523A1 (en) Heat pump type laundry dryer with improved operational safety and energy efficiency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0129146Y1 (ko) 공기조화기용 압축기의 과부하 보호장치
KR0134897Y1 (ko) 공기조화기용 압축기의 과부하 보호장치
JP4200885B2 (ja) 電動圧縮機用モータ駆動装置
KR920006817B1 (ko) 압축기용 보호장치
KR0129145Y1 (ko) 공기조화기용 압축기의 과부하 보호장치
KR20120095735A (ko) 차량용 전동압축기의 일체형 인버터 과열방지 방법
KR0136120Y1 (ko) 압축기의 과부하 보호장치 개선구조
WO2022049767A1 (ja) 圧縮機及び該圧縮機を備えた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101151510B1 (ko) 차량 증발기용 온도센서 장착구조
JP5005449B2 (ja) 密閉型圧縮機、冷凍サイクル装置
KR101217120B1 (ko) 압축기용 히터 및 이를 포함하는 압축기
JPH09303912A (ja) 冷凍回路の異常検知方法
KR100453006B1 (ko) 공기조화기의 전원부품 과열방지장치
KR0129143Y1 (ko) 밀폐형 회전압축기의 과부하 감지장치 취부구조
KR102513211B1 (ko) 오작동 방지형 압축기 및 이를 구비하는 냉동기
JPH0217392Y2 (ko)
KR100212922B1 (ko) 인입선이 매입된 과부하 보호장치의 보호커버
KR200178432Y1 (ko) 냉장고 압축기 보호제어장치
JP2005241081A (ja) 冷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