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8487B1 - 전기 커넥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시스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8487B1
KR0128487B1 KR1019930020789A KR930020789A KR0128487B1 KR 0128487 B1 KR0128487 B1 KR 0128487B1 KR 1019930020789 A KR1019930020789 A KR 1019930020789A KR 930020789 A KR930020789 A KR 930020789A KR 0128487 B1 KR0128487 B1 KR 0128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engagement
contact portion
spring contac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0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0425A (ko
Inventor
브리스 브리안
지. 카세이 패트릭
더블유. 크루이스 토마스
마이클 오 브리언 폴
윌하이트 메튜
Original Assignee
루이스 에이.헥트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이스 에이.헥트,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루이스 에이.헥트
Publication of KR940010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0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8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84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containing contact members forming a right ang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7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7Coupling devices presenting arrays of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0Coupling parts carrying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Abstract

전기 커넥터 시스템은 주어진 방향(A)로 결합가능한 제1 및 제2 전기 커넥터(20 및 24)를 포함한다. 각각의 커넥터는 결합 단부(42 및 112) 및 하우징상에 장착된 적어도 한 쌍의 단자(26/28 및 32/34)를 갖고 있는 하우징(38 및 98)을 포함한다. 각각의 커넥터의 단자쌍은 다른 커넥터의 단자쌍의 콘택트부와 계합할 수 있는 콘택트부(26d/28d 및 32c/34c)를 갖는다. 커넥터 중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의 단자의 콘택트부는 일반적으로 V형 계합 구성을 한정하기 위해 결합 방향에 비스듬히 된다. 커넥터 중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의 단자의 콘택트부는 탄력적이다. 그러므로, 각각의 단자 사이의 와이핑 계합은 커넥터의 결합시 실행되고, 탄력적인 콘택트부는 커넥터의 결합시에 에너지를 저장하는데 효과적이며, 그러한 에너지는 커넥터의 비결합을 지원하는데 효과적이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시스템
제1도는 전화기 송수화기가 기부 유니트의 수화기대 내에서 결합하고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시스템을 실현하는 이동식 전화기 시스템의 수직 단면도.
제2도는 전화기 송수화기 내의 암 커넥터의 구성 소자의 분해 투시도.
제3도는 조립된 상태의 암 커넥터의 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선 4-4를 따라 절취된 수직 확대 단면도.
제5도는 이동식 전화기 시스템의 기부 유니트 내의 수 커넥터의 분해된 투시도.
제6도는 조립된 상태의 수 커넥터의 투시도.
제7도는 제6도의 선 7-7을 따라 절취된 확대 수직 단면도.
제8도는 초기 결합 단계의 암 커넥터 및 수 커넥터의 단면도.
제9도는 완전히 결합된 암 커넥터 및 수 커넥터로서 제8도와 유사하게 도시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동식 전화기 시스템 20 : 제1커넥터
24 : 제 2 커넥터 26, 28, 32, 32 : 단자
26d, 28d, 32c, 34c : 콘택트부 38, 98 : 하우징
42, 112 : 결합 단부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기 커넥터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와이핑 작용을 제공하고, 커넥터의 분리를 돕는 스프링 로드된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로서, 커넥터의 각 결합 작용(angular mating action)이 어느 정도 자유롭게 허용되고, 한 쌍의 전기 커넥터가 소정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결합 가능한 전기 커넥터는 많은 커넥터 또는 전기 커넥터 주변의 다양한 응용에 폭넓게 사용되었다. 일반적으로 ,전기 커넥터는 다수의 전기 단자 또는 콘택트부를 장착하는 유전체 하우징을 포함한다. 단자의 크기, 형태, 방향 및 다른 파라미터들은 종종 커넥터의 특성을 나타낸다. 몇몇 응용에서, 그것은 결합 또는 결합 해제 동안 커넥터상에 낮은 삽입력 및 후퇴력을 발휘하는 단자를 제공하기 위해 바람직할 수 있다. 다른 응용에서, 그것은 단자간의 와이핑 작용을 제공하고, 오염물이 쌓이는 것을 제거 또는 방지하며, 더 양호한 콘택트 연결을 위해 바람직할 수 있다. 또 다른 응용에서, 그것은 결합 또는 결합 해제중 커넥터의 각 방향을 어느 정도 허용하거나 유연성을 갖게 하는데 바람직하다. 즉, 몇몇 전기 커넥터는 정확한 선형결합 방향으로 결합되어야 하고, 결합 작용으로부터의 커넥터의 소정의 변화는 단자 또는 다른 소자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 이것은 단일 커넥터 시스템에 모든 바람직한 특성을 제공하여 설계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시사하여 준다.
예를 들어, 이동식 또는 전지 가동 휴대용 전화기 시스템에서, 이동식 전화기 송수화기는 기부 유니트의 수화기대(cradle) 안팎으로 삽입된다. 기본적으로, 송수화기는 단자 장치를 포함하고, 기부 유니트는 재충전, 데이터 복구 및 다른 목적을 위해서 제공된다. 송수화기의 전지 재충전과 함께, 기부 유니트는 송수화기 내에 수집된 데이터가 다른 장치에 의해 전기적으로 판독될 수 있도록 다른 데이터 처리 장치와 결합된다. 지금까지, 단일 이동식 전화기 송수화기에는 기부 유니트의 수화기대 내의 각각의 커넥터에 송수화기를 결합하기 위해, 하나의 데이터용 커넥터, 하나의 전력용 커넥터 및 하나의 안테나용 커넥터와 같은 분리된 3개의 커넥터가 있었다.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단일 전기 커넥터에 이러한 3개의 커넥터의 기능을 통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다양한 조건의 다양한 환경으로 커넥터의 응용에 실현되었지만, 이동식 전화기 응용에서 사용자는 항상 정확한 선형 동작으로써 기부 유니트의 수화기대에 송수화기를 삽입 및 제거하지는 못할 것이다. 사실, 송수화기는 자주 수화기대 내부로 급격히 기울어져 배치될 것이다.이러한 응용에서는, 어느 정도의 자유성이 각 결합을 제공하기 위해 허용되어야 한다. 기부 유니트와 송수화기의 결합 전기 커넥터에 대한 낮은 삽입력 및 후퇴력이 또한 바람직하다. 부가적으로, 대다수의 이동식 전화기 유니트의 개방 조건 때문에, 결합 커넥터의 단자간의 와이핑 작용은 단자의 콘택트부상에 오염물질이 쌓이는 것을 제거 또는 방지하는데 바람직하다.
지금까지, 신호 인터페이스 또는 이동식 전화기 유니트의 커넥터의 데이터부분 내의 단자는 핀과 소켓형, 블레이드와 소켓형 또는 신축성 있는 콘택트 아암과 계합할 수 있는 편평한 표면이었다. 결합 블레이드와 소켓 단자 뿐만 아니라 결합핀과 소켓 단자도 일반적으로 원하는 것보다 더 큰 삽입력 및 후퇴력을 발생시킨다. 부가적으로, 핀과 소켓 또는 블레이드와 소켓 단자는 기부 유니트의 수화기대 내에 전화기 송수화기가 위치하는 것을 허용하는 데 바람직한 각 신축성 또는 자유성을 제공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편평한 표면 콘택트는 종종 낮은 삽입력을 제공하고, 각 신축성을 허용하기 위해 단자의 신축성 있는 콘택트 아암과 결합 또는 계합된다. 그러나, 이런 편평한 표면 콘택트는 단자간의 와이핑 작용을 제공하지 않으며, 좋은 전기 커넥터는 종종 단자의 콘택트부에 오염물이 쌓여 성능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의 해결을 위해 낮은 삽입력과 후퇴력을 갖고, 한 쌍의 커넥터가 결합할 때에 결합하는 각 신축성 또는 자유성을 제공하며 커넥터의 단자에 상당한 와이핑 작용이 제공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을 제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특성의 새롭고 개선된 전기 커넥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커넥터 시스템은 소정 방향으로 결합할 수 있는 제1 및 제2전기 커넥터를 포함한다. 각각의 커넥터는 결합 단부를 갖는 유전체 하우징과 하우징 상에 장착된 적어도 한 쌍의 단자를 포함한다. 각각의 커넥터의 한 쌍의 단자는 다른 커넥터의 한 쌍의 단자의 콘택트부와 계합할 수 있는 콘택트부를 가진다. 본 발명은 커넥터 중 하나의 커넥터의 하나의 단자의 콘택트부가 일반적으로 V자 형태로 된 계합 구조를 한정하기 위해 상기 결합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다는 것을 고려한다. 커넥터 중 하나의 커넥터의 하나의 단자의 콘택트부는 탄력적이다. 와이핑 작용은 커넥터의 결합 동안 각각의 단자 사이에서 이루어지고, 탄력적인 콘택트부는 커넥터의 결합시 에너지를 저장하는 데 효과적인데, 그 에너지는 커넥터의 결합 해제를 지원하기 위해 효과적이다.
특히,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 제 1 커넥터의 단자의 스프링 콘택트부가 일반적으로 V자 형태인 제 1커넥터의 결합 단부쪽으로 결합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발산하도록 구성된다. 제2 커넥터의 단자의 스프링 콘택트부는 일반적으로 V자 형태인 제2 커넥터의 결합 단부쪽으로 결합 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수렴하도록 구성된다. 제1 커넥터 스프링 콘택트부는 제2 커넥터의 스프링 콘택트부가 결합 방향에 대하여 수렴하는 각도보다 더 작은 각도로 결합방향으로 발산한다.그러므로, 각각의 커넥터의 스프링 콘택트부는 커넥터가 결합할 동안 와이핑 계합을 하고, 서로 다른 각도의 스프링 콘택트부는 커넥터의 결합시 에너지를 저장하는데 효과적이고, 커넥터의 결합 해제를 돕는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장점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할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장점은 도면의 동일한 소자에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인 첨부된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 도면을 참조하면, 먼저 제1도에서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시스템은 도면 부호(10)으로 표기된 이동식 전화기 시스템으로 실현되며, 도면 부호(12)로 표기된 휴대용 전화기 송수화기를 포함한다. 송수화기는 도면 부호(18)로 표기된 기부 유니트의 하우징(16)내에 한정된 수화기대 또는 소켓(14) 내로 삽입되거나 그로부터 제거될 수도 있다. 송수화기는 수화기대로부터 화살표 A 방향으로 삽입되거나 제거된다. 이 방향은 정확하게 선형은 아니며, 용도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시스템은 다양하게 응용되나, 이 시스템은 송수화기(12) 케이싱(22)내에 장착된 도면 부호(20)으로 표기된 암 커넥터에서 이루어지고, 암 커넥터는 기부 유니트(18)의 하우징(16)내에 장착된 도면 부호(24)로 표기된 수 커넥터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이동식 전화기 시스템의 정밀 일렉트로닉스는 본 발명을 형성하는 분야가 아니며, 암 커넥터(20)은 송수화기의 케이싱(22)내의 인쇄 회로 기판(30)과 결합된 단자(26 및 28)을 포함하고, 수 커넥터(24)는 기부 유니트(18)의 하우징(16) 내에 인쇄 회로 기판(36)과 결합된 단자(32 및 34)를 포함한다. 이후에 더 상세하게 설명되겠지만, 수 커넥터(24) 및 암 커넥터(20)은 각각 암 커넥터(20)내의 단자(26 및 28) 및 수 커넥터 내의 단자(32 및 34)의 쌍에 연장되어 가로로 장착된다. 이동식 전화기 시스템(10)에서, 단자는 신호 및/또는 데이터 단자 일 수 있다.
제1도에 관련하여 제2도 내지 제4도를 참조하면, 암 커넥터(20)은 플라스틱 물질 또는 이와 유사한 물질로 단일 몰도된 유전체 하우징(38)을 포함한다. 이 하우징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연장되어 수 커넥터(24)의 결합 단부를 수용하기 위해 하우징의 결합 단부(42)에서 세로의 개구 또는 슬롯(40)을 한정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우징은 단자(26 및 28)을 각각 장착하기 위해 다수의 캐비티(44 및 46)을 한정한다. 하우징(38)은 리세스 영역(48) 및 상부의 한 쌍의 보스(boss)(50)을 더 포함한다. 한 쌍의 장착 블록(52)는 대향 단부에 있는 하우징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고, 장착 홀(54)는 장착 블록 내에 제공된다. 마지막으로, 하우징은 한 쌍의 동축 케이블(60)에 종단되는 한 쌍의 동축 케이블(58)(제3도)을 수용하기 위해 한 쪽 단부에 한쌍의 소켓(56)(제2도)을 가진다.
단자(26 및 28)은 인쇄 회로 기판(30)(제1도)상에 땜납 트레이스를 납땜하기 위해 스프링 아암부(26b 및 28b)의 후방 단부에 각각 땜납 테일(26a 및 28a)를 갖는다. 제4도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아암부(26b 및 28b)는 각각 단자(44 및 46)에서 전방향으로 연장된다. 스프링 콘택트부(26d 및 28d)는 각각 단자(26 및 28)의 외부 단부 또는 다른 단부에 형성되고, 밖으로 돌출한 부분은 암 커넥터(20)의 결합 단부에 노출된다. 스프링 콘택부는 단자의 스프링 아암부(26d 및 28d)를 따라 바깥 및 뒤로 굽은 단자의 일반적으로 U형인 단부에 의해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단자(26 및 28)의 U형 말단부(26e 및 28e)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암 커넥터가 수 커넥터(24)와 결합할 때에 하우징(38)의 기울어진 내부벽(62)와 계합하기 위해 배치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4도에서 캐비티(44 및 46)을 한정하는 하우징(38)의 격벽(64)는 이중 화살표 B로 표시된 각을 갖는 V형 마우스(66)을 한정하기 위해 커넥터의 결합 단부에 형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단자(26 및 28)은 판금 재료로 압인되어 형성되고, 단자의 제조중 사용된 수송 스트립(67a 및 67b)에 각각 접속되는 것이 제2도에 도시된다. 수송 스트립은 암 커넥터 하우징(38)의 캐비티(44 및 46) 내의 단자의 갱(gang)장착 또는 조립을 위해 사용된다.
마지막으로, 제4도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암 커넥터(20)의 단자(26 및 28)에 관하여, 단자의 스프링 콘택트부(26d 및 28d)는 이중 화살표 C로 표시된 일반적으로 V형인 콘택팅 영역을 한정하도록 구성된다.
제2도 및 제3도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암커넥터(20)은 실드 커넥터이고, 도면 부호(68)로 표기된 실드를 포함한다. 실드는 하우징(38)을 넉넉히 들러싸기 위해 연장되고, 상부벽(70), 하부벽(72) 및 상부벽과 하부벽을 일체로 연결하기 위한 단부벽(74)를 갖는다. 상부벽은 하우징(38)의 리세스 영역(48)에 위치하기 위해 하우징의 보스(50)을 수용하기 위한 한 쌍의 홀(78)과 함께 디프레스 영역(76)을 갖고 있다. 상부벽은 또한 하우징의 장착 블록(52) 내의 장착 홀(54)와 정렬되는 장착 홀(82)를 갖는 후방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플랜지(80)을 포함하므로써 적절한 고착 수단(84)(제1도)가 송수화기(12)의 내부에서 케이싱(22)와 일체로 몰드된 장착 보스(86)(제1도)에 안착되기 위해 정렬된 장착 홀을 통해 삽입될 수 있다. 제2도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실드(60)의 상부벽(70)은 돌출된 래치 훅(90)을 갖는 종속 단부 플랜지(88)를 갖는다. 제3도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실드가 하우징을 둘러쌀 때, 래치 훅은 실드의 하부벽(72)으로부터 위로 돌출되는 플랜지 부분(96)상에 놓인 플랜지(88)와 함께 하우징(38)의 한쪽 단부에서 튀어나온 보스(94)의 상부 단부의 슬롯(92)내에 단단히 고정된다.
제1도와 관련하여 제5도 내지 제7도를 참조하면, 수 커넥터(12)는 플라스틱 물질 또는 이와 유사한 물질로 단일 몰드된 유전체의 수 커넥터 하우징(98)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인쇄 회로 기판(36)(제1도)의 적절한 장착 홀 내부로 삽입되기 위한 장착 페그(100)를 포함한다. 수 커넥터 하우징(98)은 암 커넥터 하우징(38)의 세로 방향 개구(40)의 단부 내로 삽입되기 위한 한 쌍의 플랜지(102)를 포함한다. 수 커넥터하우징은 한 쌍의 동축 케이블(108)에 종단되는 한 쌍의 동축 커넥터(106)(제6도)을 수용하기 위해 한쪽 단부에 있는 한 쌍의 소켓(104)를 포함하고, 커넥터는 암 커넥터(24) 내부에 장착된 동축 커넥터(58)(제3도)와 결합 가능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수 커넥터 하우징(98)은 커넥터의 세로 방향에 쌍으로 단자(32 및 34)가 장착된 한쌍의 캐비티(110)을 갖는다. 하우징은 제7도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V형의 장착 단부(112)를 갖는다.
제5도 내지 제7도를 참조하면, 수 커넥터(24)의 단자(32 및 34)는 판금 재료로부터 압인되어 형성되고, 단자의 제조중 사용된 수송 스트립(114)에 접속됨이 제5도에 도시된다. 또한 수송 스트립은 수 커넥터 하우징(98)의 캐비티(110) 내부에 단자의 갱 장착 또는 조립을 위해 사용된다. 단자는 캐비티(110) 내로 연장되는 스프링 아암부(32a 및 34a)를 갖는다는 것을 제5도에서 알 수 있다. 스프링 아암부는 캐비티 내로 압입되어 끼워맞추어지도록 확장된다는 것을 제5도에서 알 수 있다. 또한 단자는 인쇄회로기판(36)(제1도)상의 회로 트레이스에 납땜되기 위한 땜납 테일부(32b 및 34b)를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단자(32 및 34)는 각각 스프링 아암부(32a 및 34a)를 따라 외부 및 뒤로 굽은 단자의 U형 단부에 의해 형성된 스프링 콘택트부(32c 및 34c)를 포함한다. 제7도에서 스프링 콘택트부(32c 및 34c)는 이중 화살표 D로 표시된 일반적으로 V형의 콘택팅 영역을 한정하기 위해 결합되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제7도에 도시된 결합 해제 상태에서, 스프링 콘택트부의 외부 표면은 수 커넥터 하우징(98)의 결합 단부(112)와 나란하게 된다. 즉, 이중 화살표 D로 표시된 스프링 콘택트부의 포함된 각은 V형 결합 단부(112)에 의해 한정된 각과 동일하다.
제8도 및 제9도를 참조하면, 제8도는 수 커넥터 및 암 커넥터(24 및 20)의 결함 초기 상태를 각각 도시하는데, 암 커넥터(20)의 단자의 스프링 콘택트부(26d 및 28d)는 수커넥터(24)의 단자의 스프링 콘택트부(32c 및 34c)와 초기 계합을 이루나, 커넥터는 계합되지 않거나 또는 완전히 결합되지 않는다. 커넥터들이 제8도에 도시된 초기 상태에서 함께 이동될 때, 커넥터의 각각의 스프링 콘택트부는 제9도에 도시된 이미 완전한 결합 상태로 계합되어서 2가지 일이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첫째, 커넥터의 각각의 스프링 콘택트부는 결합중 상당한 와이핑 작용을 일으킨다. 둘째, 암 커넥터(20)의 단자의 스프링 콘택트부(26d 및 28d)는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 커넥터의 단자의 스프링 콘택트부와의 초기 계합 상태로부터 벗어나 확산된다. 사실, 제9도에서 암 커넥터의 단자(26 및 28)의 U형 단부는 암 커넥터의 이러한 확산작용은 커넥터의 결합시 단자 내에 에너지를 저장하는데 효과적이다. 그 후, 이 에너지는 커넥터의 결합 해제 즉, 커넥터간의 후퇴력 감소를 지원하는데 사용되거나 효과적이다.
본질적으로, 제4도, 제7도 및 제9도를 비교하면, 스프링 콘택트부(32c 및 34c)의 V형 구성 또는 포함각에 따른 수 커넥터의 결합 단부(112)의 V형 구성은 제4도에서 이중 화살표B로 표시된 암 커넥터의 마우스(66)의 V형 구성과 동일함을 알 수 있다. 즉, 제4도에서 이중 화살표 B로 표시된 각은 제7도의 이중 화살표 D로 표시된 각과 같다. 그러나, 특히, 제4도 및 제8도에서, 암 커넥터의 스프링 콘택트부(26d 및 28d)에 의해 한정되는 제4도의 이중화살표 C로 표시된 V형 구성 또는 포함각은 수 커넥터 단자의 콘택트 영역의 V형 구성의 각보다 작음을 알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의 단자 탄성과 함께 커넥터들의 콘택트 영역 사이의 이러한 각의 차이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의 단자 내에 에너지 저장에 따른 단자의 콘택트부 사이의 와이핑 작용을 일으키는 데 효과적이다. 실시예에서 기술되었지만, 암 커넥터 단자의 스프링 아암부(26d 및 28d)는 수커넥터 단자의 그것보다 더 유연하거나 탄력적이지만(단순히 그것들의 더 긴 길이 때문임),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커넥터 단자가 하나의 커넥터 단자 대신 유연하게 되고, 또한 각각의 커넥터의 V형 콘택팅 영역 사이에 차이에 기인하여 단자 어레이 내에 에너지를 저장한다. 마지막으로, V형 콘택팅 영역 사이의 차이에 기인하여 단자 어레이 내에 에너지를 저장한다. 마지막으로, V형 콘택팅 영역을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핀과 소켓 또는 블레이드 및 소켓 콘택트 구성에서 문제가 된 것과 같은 정확한 선형 결합 방향으로 커넥터가 결합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취지 또는 중요한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고 다른 특정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는 상술된 모든 관점에서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고려되어야하며,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2)

  1. 소정 방향(A)으로 결합 가능한 제1 전기 커넥터(20) 및 제2 전기 커넥터(24)를 포함하고, 각각의 커넥터가 결합 단부(42, 112) 및 각각의 하우징 상에 장착된 한 쌍 이상의 단자(26/28, 32/34)를 갖는 하우징(38, 98)을 포함하며, 각각의 커넥터의 단자쌍이 다른 커넥터의 단자쌍의 스프링 콘택트부와 계합할 수 있는 스프링 콘택트부(26d/ 28d, 32c/34c)를 갖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에 있어서, V형 구성으로 제1 커넥터의 결합 단부(42)쪽으로 상기 결합 방향에 경사지게 발산하도록 구성된 스프링 콘택트부(26d, 28d)를 한정하는 스프링 아암부를 구비한 단자를 포함하고, 각각의 제1 커넥터 단자는 상기 스프링 콘택트부로부터 연장된 U형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U형 단부는 상기 결합 방향에 반대로 배향된 평평한 레그로 종결된 각각의 스프링 아암부의 외측으로 구부러지고, 상기 U형 단부는 커넥터들의 결합시에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에서 상기 평평한 레그의 표면이 벽 수단의 각 표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커넥터들의 결합시에 평평한 레그가 U형 단부를 구부린 후에 내부에 에너지를 저장하도록 상기 벽 표면은 제1 커넥터의 결합 단부쪽으로 상기 결합 방향에 경사지게 발산하도록 구성되고 커넥터들을 보다 결합시킴으로써 U형 단부를 가압하고 내부에 에너지가 보다 저장되도록 구성되고 제2 커넥터(24)의 단자의 스프링 콘택트부 (32c, 34c)는 V형 구성으로 제2커넥터의 결합 단부 (112)쪽으로 상기 결합 방향에 경사지게 수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커넥터(20)의 스프링 콘택트부(26d, 28d)는 제2 커넥터(24)의 스프링 콘택트부(32c, 34c)가 결합 방향에 대해 수렴하는 각도보다 작은 각도로 상기 결합 방향으로 발산함으로써 각각의 커넥터의 스프링 콘택트부가 커넥터의 결합중 와이핑 계합을 하고, 커넥터의 결합 해제를 지원하는데 효과적인 에너지를 커넥터의 결합시에 저장하는데 있어 효과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
KR1019930020789A 1992-10-09 1993-10-08 전기 커넥터 시스템 KR01284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E922722 1992-10-09
IE272292A IE922722A1 (en) 1992-10-09 1992-10-09 Electrical connector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0425A KR940010425A (ko) 1994-05-26
KR0128487B1 true KR0128487B1 (ko) 1998-04-15

Family

ID=11039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0789A KR0128487B1 (ko) 1992-10-09 1993-10-08 전기 커넥터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387134A (ko)
EP (1) EP0591723B1 (ko)
JP (1) JP2550017Y2 (ko)
KR (1) KR0128487B1 (ko)
DE (1) DE69329747T2 (ko)
FI (1) FI109563B (ko)
IE (1) IE92272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1901B1 (ko) * 2000-08-25 2006-04-18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배선 관리 시스템을 갖춘 전기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93283B (en) * 1994-09-09 1999-02-24 Nokia Mobile Phones Ltd Combined connector contact
JP3746515B2 (ja) * 1995-03-16 2006-02-15 ザ ウィタカー コーポレーション 携帯電話接続システム
JPH0963716A (ja) * 1995-08-25 1997-03-07 Hirose Electric Co Ltd 携帯電話機用複合コネクタ
DE19611423C1 (de) * 1996-03-22 1997-05-22 Siemens Ag Elektrischer Verbinder
US5993231A (en) * 1996-03-22 1999-11-30 Siemens Aktiengesellschaft Electric connector
FR2748150B1 (fr) * 1996-04-26 1998-07-17 Matra Communication Plot de charge pour appareil portable a batterie rechargeable
FR2781090B1 (fr) * 1998-07-09 2000-08-18 Alsthom Cge Alcatel Ensemble de connexion a pression
FR2781091B1 (fr) 1998-07-09 2000-08-11 Alsthom Cge Alcatel Ensemble de connexion a insertion
FR2781094B1 (fr) 1998-07-09 2000-08-18 Alsthom Cge Alcatel Ensemble de connexon mixte
JP3763703B2 (ja) * 1999-06-02 2006-04-05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機および電池パックおよびコネクタ
US6354870B1 (en) 1999-08-12 2002-03-12 Matsushita Mobil Communication Development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small electrical connector
FR2800925B1 (fr) * 1999-11-10 2001-12-07 Framatome Connectors Int Connecteur d'entree/sortie du type embase
CN1183631C (zh) * 1999-11-10 2005-01-05 法玛通国际连接器公司 插座和插头连接器
JP2001293928A (ja) * 2000-04-13 2001-10-23 Jst Mfg Co Ltd リセプタクル型コネクタ
US6398577B1 (en) 2000-10-04 2002-06-04 Molex Incorporated Latching/unlatching system for electrical connectors
US20030148740A1 (en) * 2000-12-28 2003-08-07 William Yau Handset holder
US6558189B2 (en) * 2001-03-14 2003-05-06 Palm, Inc. Connector system for use with handheld computers and accessory devices
US20020153863A1 (en) * 2001-04-24 2002-10-24 Arndt Steven W. Charge contacts for rechargeable device
US6491527B1 (en) 2001-05-17 2002-12-10 Ericsson Inc. Dual compression connector
JP3761428B2 (ja) * 2001-07-04 2006-03-2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7785152B2 (en) * 2008-04-22 2010-08-3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High density connector having two-leveled contact interface
JP6254421B2 (ja) * 2013-11-01 2017-12-27 センサータ テクノロジーズ マサチューセッツ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コネクター
JP6991782B2 (ja) 2017-08-23 2022-01-13 センサータ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ソケット
WO2020039666A1 (ja) * 2018-08-24 2020-02-2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気コネクタセットおよび該電気コネクタセットの実装された回路基板
CN113924700B (zh) * 2019-08-01 2024-04-12 株式会社村田制作所 阴型多极连接器以及具备该阴型多极连接器的多极连接器组
CN112531406A (zh) * 2019-09-18 2021-03-19 格力博(江苏)股份有限公司 充电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99669A (en) * 1959-08-11 Electrical connector
NL106552C (ko) * 1957-04-22
JPS5124112B1 (ko) * 1971-06-24 1976-07-21
US3950070A (en) * 1974-06-25 1976-04-13 Amp Incorporated Flat flexible cable terminal and electrical interconnection system
US4026625A (en) * 1975-11-10 1977-05-3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Universal connector
JPS62177875A (ja) * 1986-01-31 1987-08-04 ケル株式会社 フラツトケ−ブルコネクタ
US4715820A (en) * 1986-09-29 1987-12-29 Amp Incorporated Connection system for printed circuit boards
US4734045A (en) * 1987-03-27 1988-03-29 Masterite Industries, Inc. High density connector
US5052943A (en) * 1989-03-23 1991-10-01 Norand Corporation Recharging and data retrieval apparatus
JP2551493Y2 (ja) * 1992-07-14 1997-10-22 ホシデン株式会社 脱着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1901B1 (ko) * 2000-08-25 2006-04-18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배선 관리 시스템을 갖춘 전기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934449A (fi) 1994-04-10
KR940010425A (ko) 1994-05-26
FI934449A0 (fi) 1993-10-08
EP0591723A2 (en) 1994-04-13
JPH08527U (ja) 1996-03-22
DE69329747D1 (de) 2001-01-18
EP0591723A3 (en) 1996-07-31
JP2550017Y2 (ja) 1997-10-08
US5387134A (en) 1995-02-07
IE922722A1 (en) 1994-04-20
EP0591723B1 (en) 2000-12-13
DE69329747T2 (de) 2001-06-07
FI109563B (fi) 200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8487B1 (ko) 전기 커넥터 시스템
US5885088A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polarization means
US7427026B2 (en) Memory card adapter for connecting a miniature card to a standard card connector, along with a method of fabricating same
US7658636B2 (en) Board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KR100191747B1 (ko) 낮은 형상의 표면 장착식 전기 커넥터 조립체
US7320605B2 (en) Board-to-board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 contacts
US5354214A (en) Printed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with mounting latch clip
US6220898B1 (en) Audio jack having means for reliably securing terminals thereof
US5716230A (en) Surface engageable electrical connector
EP0866528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ool engagement arm
EP0489125B1 (en) Circuit board connector having improved latching system
JP3746515B2 (ja) 携帯電話接続システム
EP0632549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6568963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contacts
US6478594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receiving electrical plug
US6146177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locking device
US20010002346A1 (en) Battery connector
US6146172A (en) Electrical connector
CN210957093U (zh) 端子和连接器
IES930766A2 (e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CN214542623U (zh) 电源连接器与连接组件
JPS594461Y2 (ja) フイメ−ルコネクタ
GB2329284A (en) Portable device connection assembly
JPH11162587A (ja)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