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8086Y1 - 고주파 간섭 억제회로를 구비한 고주파-변조기 - Google Patents

고주파 간섭 억제회로를 구비한 고주파-변조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8086Y1
KR0128086Y1 KR2019930014143U KR930014143U KR0128086Y1 KR 0128086 Y1 KR0128086 Y1 KR 0128086Y1 KR 2019930014143 U KR2019930014143 U KR 2019930014143U KR 930014143 U KR930014143 U KR 930014143U KR 0128086 Y1 KR0128086 Y1 KR 01280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frequency
output
vcr
channel
mod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41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5068U (ko
Inventor
나일구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300141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8086Y1/ko
Publication of KR9500050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0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80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80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8Transmitter circuitry for the transmiss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0Modulation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럽의 PAL방식 비디오 카셋트 레코더(VCR;Video Cassete Recorder)에 적용되는 고주파-변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VCR채널에 인접하여 있는 방송채널이 VCR의 고주파-변조기의 출력채널에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억제시켜줄 수 있도록 된 고주파 간섭 억제회로를 구비한 고주파-변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수신된 고주파 방송채널을 저항(R1, R2)으로 된 감쇠회로를 이용하여 감쇠시키되 그 감쇠회로의 온오프동작을 VCR의 튜너로 피드백되는 고주파 자동이득제어신호로서 제어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고주파(RF) 간섭 억제회로를 구비한 고주파-변조기
제1도는 유럽의 PAL방식 VCR에 적용되고 있는 고주파-변조기의 구조도.
제2도(a)는 인접한 방송채널의 강전계 신호가 VCR의 고주파-변조기의 출력채널에 간섭을 일으키는 현상을 나타내는 파형도.
제2도(b)는 인접한 방송채널간에 고조파가 발생되어 VCR의 고주파-변조기의 출력채널에 혼변조 간섭을 일으키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고조파 발생 파형도.
제3도는 종래의 고주파 간섭 억제회로도.
제4조는 본 고안에 의한 고주파 간섭 억제회로를 구비한 고주파-변조기의 회로도.
제5도는 고주파 자동이득제어신호의 특성 그래프.
제6도는 제4도의 스위치의 일례를 나타낸 회로도.
본 고안은 유럽의 PAL방식 비디오 카셋트 레코더(VCR;Video Cassete Recorder)에 적용되는 고주파-변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VCR채널에 인접하여 있는 방송채널이 VCR의 고주파-변조기의 출력채널에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억제시켜 줄 수 있도록 된 고주파 간섭 억제회로를 구비한 고주파-변조기에 관한 것이다.
유럽의 PAL방식 VCR에 적용되고 있는 고주파-변조기는 방송채널과 VCR의 채널을 동시에 AV모니터로 출력시켜 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혼합형태의 구조로서, 그 구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다.
방송국으로부터 고주파 방송신호(RFIN)가 송신되어지면 안테나(ANT)에 의해 수신되어져 먼저 일차증폭기(OP1)에서 증폭된 다음 분배기(DIV)에 가해진다. 이 분배기(DIV)는 그 입력단자로 들어온 고주파의 방송신호를 분배하여 VCR의 튜너(10)와 AV모니터(20)로 보내는 회로이다. 여기서 AV모니터(20)로 보내어지는 고주파 출력채널(RF OUTPUT)은 일단 이차증폭기(OP2)에서 증폭된 다음 혼합기(MIX)로 보내어지는데 또한 이 혼합기(MIX)에는 VCR에서 재생되는 영상신호(VIN) 및 음성신호(AIN)가 변조회로(MOD)에 의해 변조되어져 인가되어지므로써 이 혼합기(MIX)를 통해 방송채널뿐말 아니라 VCR의 채널이 동시에 AV모니터로 출력되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방송과 VCR의 채널을 선택해가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현재 유럽의 방송추세는 각 방송을 한 지역에서 수신할 수 있는 유선방송이 보편화되고 있어서 이에 따라 한 지역에서 수신가능한 방송채널이 급격하게 증가되고 또한 유럽의 VCR의 채널영역인 UHF 대역에 방송채널이 집중됨에 따라 VCR의 고주파출력채널에 간섭 또는 혼변조와 같은 방해현상이 나타난다.
제2도(a)는 간섭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만일 VCR의 출력채널, 대체로 32~39채널 주위에 강전계의 신호(fp1)가 존재한다면 고주파-변조기의 구조상 이 신호(fp1)는 일차증폭기(OP1)에서 혼합기(MIX)로 인가되는 VCR의 신호(fp2)에 간섭을 일으켜 결국 VCR의 고주파-변조기 출력채널(RF OUTPUT)에 간섭이 발생된다. (b)는 혼변조를 발생시키는 원인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한 지역에서 수신되는 방송채널이 많을 경우 일차증폭기(OP1)의 특성상 고조파(Harmonic)가 발생되어 각 채널간의 혼변조현상으로 인해 고주파-변조기의 출력 채널(RF OUTPUT)에 간섭을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갑섭 현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테나(ANT)의 출력단자와 일차증폭기(OP1)의 입력단자 사이에 저항(R1, R2)으로 된 감쇠회로와 이 감쇠회로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기계적인 스위치(SW1)를 추가하였다. 스위치(SW1)를 닫으면 수신되어온 고주파방송신호(RFIN)는 그 레벨의 (R2/(R1+R2)배로 감쇠되고, 스위치를 열면 그 고주파방송신호(RFIN)는 그대로 일차증폭기(OP1)로 통과되므로써 방송채널에 의한 간섭이 억제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같은 종래의 회로는 스위치(SW1)를 사용자가 직접 조작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또한 일잔 이 스위치(SW1)를 닫으면 수신되는 신호는 무조건 일정크기로 감쇠되어지므로 방해를 일으키지 않을 레벨의 채널까지도 함께 감쇠되어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수신되는 방송채널의 레벨이 VCR의 출력채널에 간섭을 일으키는 정도 이상의 레벨이 되면 자동적으로 일정레벨만큼 감쇠되도록 하여 이 방송채널에 의한 간섭이 억제되어질 수 있는 고주파 간섭 억제회로를 구비한 고주파-변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수신된 고주파 방송채널을 저항(R1, R2)으로 된 감쇠회로를 이용하여 감쇠시키되 그 감쇠회로의 온오프 동작을 VCR의 튜너로 피드백되는 고주파 자동이득제어신호로서 제어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고주파 간섭 억제회로를 구비한 변조기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고주파 방송신호를 고주파 안테나(ANT) 입력단자로 수신된다.
안테나(ANT)의 출력단자에는 저항(R1, R2)이 직렬접속되고 이 저항(R1, R2)의 접점(A)이 일차증폭기(OP1)의 입력단자에 접속되며 저항(R2)의 타단자에는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단자가 접속되고 그 에미터단자는 접지되어 있어서 이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면 저항(R1, R2)에 의해 고주파 방송신호(RFIN)가 일정 레벨만큼 감쇠되어서 일차증폭기(OP1)에 입력되며, 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단자에는 마이콤(60)에 의해 온오프되는 스위치(SW2)의 일측단자가 접속되고 그 타단자에는 비교기(COM)의 출력단자가 접속되며 그 입력단자(-)에는 고주파 자동이득제어신호, 입력단자(+)에는 기준전압(VREF)이 인가되어 있어서 일단 스위치(SW2)가 온된 상태에서 비교기(COM)의 출력이 H레벨이면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어지도록 한 고주파 간섭억제회로를 구비하여서, 일정 레벨 이상의 고주파 방송신호(RFIN)는 이 회로에 의해 감쇠되어 일차증폭기(OP1)에 가해지도록 함으로써 고주파 간섭을 억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외 고주파-변조기의 분배회로(30)는 그 입력단자로 들어온 신호를 분배하여 VCR의 튜너(10)와 AV모니터(20)측으로 보내어주는 회로이고, 변조회로(MOD)는 VCR의 영상처리부(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VIN) 및 음성신호(AIN)를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변조하고, 혼합기(MIX)는 각기 특정 주파수 대역을 갖는 이들 방송신호와 VCR의 신호를 혼합하여 AV모니터(20)로 출력시키며, 고주파-변조기 외부의 튜너(10)는 분배기(DIV)에서 들어오는 방송신호중 희망하는 채널을 선국하면 그 선국채널에 해당하는 중간주파(IF;Intermidate Frequency)를 내보내고, 복조회로(30)는 튜너(10)로부터 출력되는 중간주파(IF)를 영상신호(VTV)와 음성신호(ATV)로 복조하는 동시에 이 중간주파(IF) 레벨에 따라 고주파 자동이득제어신호(RF-AGC)를 튜너(10)에 궤한(Feedback)하여 이 튜너(10)의 중간주파(IF) 출력레벨을 제어하는 회로이며, 영상처리부(40)와 음성처리부(50)는 복조회로(30)로부터 출력되는 TV의 영상신호(VTV) 및 음성신호(ATV)를 테이프에 녹화하거나 테이프로부터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재생하여 고주파-변조기의 변조회로(MOD)로 보내는 회로이다. 그리고 마이콤(60)은 VCR의 시스템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채널 수신 초기의 자동미동조(Automatic Fine Tuning)가 완료되기 전까지 스위치(SW2)를 오프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방송국으로부터 고주파 방송신호(RFIN) 송신되면 고주파를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ANT)에 수신되어 저항(R1)을 거쳐 일차증폭기(OP1)에 의해 증폭된 후 분배기(DIV)에 입력되어 VCR의 튜너(10)와 이차증폭기(OP2)로 보내어진다. 튜너(10)에서는 선국된 채널에 따른 중간주파(IF)가 출력되고 이 중간주파(IF)는 복조회로(30)에서 TV의 영상신호(VTV) 및 음성신호(ATV)를 복조한다. 이 과정에서 복조회로(30)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주파 입력 전계강도에 반비례하는 직류레벨의 고주파 자동이득제어신호(RF-AGC)를 튜너(10)에 궤환시켜 튜너(10)의 중간주파(IF) 출력이득을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고주파 자동이득제어신호(RF-AGC)는 비교기의 입력단자(-)에 인가되어 입력단자(+)에 설정되어 있는 기준전압(VREF)과 비교되는데 이때 이 기준전압(Vref)은 방송채널이 VCR의 채널에 간섭을 일으킬 정도로 레벨이 되도록 설정하여 둔다. 따라서 고주파 자동이득제어신호(RF-AGC)가 기준전압(VREF)보다 낮으면 H레벨을 출력하고 이는 제5도와 연관하여 보면 수신방송채널의 레벨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마이콤(60)에서는 방송 채널 수신 초기에 스위치(SW2)가 오프되도록 제어하는데 그 이유는 고주파입력레벨이 높은 채널에 츠낼지스터(Q2)가 턴오프된 상태에서 채널절환이 정상전계로 송신되는 것으로 되었을 경우에 그 고주파 입력레벨을 일방적으로 줄이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제6도는 이 마이콤(60)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치(SW2)가 온오프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한 이례로서, 마이콤(60)으로부터 H레벨이 출력되면 트랜지스터(Q3)가 턴온되어 비교기(COM)의 출력이 트랜지스터(Q2)를 거쳐 그대로 트랜지스터(Q1)에 전해지고 L레벨이 출력되면 트랜지스터(Q3)가 턴오프되어 비교기(COM)의 출력이 차단되어진다.
이와 같이 동작하는 회로에 있어서, 강전계 채널을 수신할 경우와 정상전계를 수신할 경우에 대해서 각각 살펴본다.
강전계의 방송 채널을 수신하게 되면 복조회로(30)로부터 튜너(10)로 궤환되는 고주파 자동이득제어신호(RF-AGC)의 레벨이 기준전압(VREF)보다 낮아 비교기(COM)의 출력은 H레벨이 된다. 이 때 수신이 안정화되면, 즉 자동미동조가 완료되면 마이콤(60)으로부터 H레벨의 제어신호가 출력되어 스위치(SW2)가 온되어 비교기(COM)의 H레벨의 출력이 그대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자에 인가되어져 이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된다. 따라서 고주파 방송신호(RF1IN)의 레벨은 저항(R1, R2)에 의해 분압되어 그 입력레벨의 R2/(R1+R2)배로 감쇠되어 일차 증폭기(OP1)에 입력되어지고, 이에 따라 강전계 방송신호(RFIN)에 의한 VCR의 고주파 출력채널(RF OUTPUT)의 간섭현상이 억제되어지게 된다.
정상전계의 방송신호(RFIN)를 수신하게 되면 고주파 자동이득제어신호(RF-AGC)의 레벨이 기준전압(VREF) 보다 높아 비교기(COM)의 출력은 L레벨이 된다. 이때 수신이 안정화되면 마이콤(60)으로부터 H레벨의 제어신호가 출력되어 스위치(SW2)가 온되어 비교기(COM)의 L레벨의 출력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자에 인가되어져 트랜지스터(Q1)가 턴오프된다. 따라서 수신된 고주파 방송신호(RFIN)는 감쇠되지 않고 그대로 일차증폭기(OP1)에 인가되어진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수신되는 고주파의 방송신호기 VCR의 출력채널에 간섭을 일으키는 정도 이상의 레벨이면 자동적으로 감쇠되어 일차증폭기(OP1)에 가해지므로써 고주파 간섭이 억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는 각 채널에 대한 비교기의 출력값을 마이콤의 메모리에 저장시켜 이 데이타를 이용하여 해당되는 채널 수신시에 마이콤에서 직접 트랜지스터(Q1)의 턴온, 턴오프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1)

  1. 안테나(ANT)에서 수신된 고주파 방송신호(RFIN)가 저항(R1, R2)으로 된 감쇠회로에서 감쇠되어 일차증폭기(OP1)에서 증폭된 후 분배기(DIV)에서 분배되어 일측 출력은 VCR의 튜너(10)에 입력되고 다른 일측 출력은 이차증폭기(OP2)에서 재차 증폭된 후 변조회로(MOD)에서 출력된 VCR의 채널과 혼합기(MIX)에서 혼합되어 AV모니터(20)로 출력된 것에 있어서, 감쇠회로의 저항(R2) 일측에는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단자가 접속되고 그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자는 마이콤(60)에 의해 제어되는 스위치(SW2)를 거쳐 비교기(COM)의 출력단자에 접속되도록 하되, 그 비교기(COM)의 입력단자(-), (+)에는 고주파 자동이득제어신호(RF-AGC)와 기준전압(VREF)이 각각 인가되어 스위치(SW2)가 온된 상태에서 비교기(COM)의 출력이 H레벨이면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어지도록 제어하는 고주파 간섭 억제회로를 구비한 고주파-변조기.
KR2019930014143U 1993-07-27 1993-07-27 고주파 간섭 억제회로를 구비한 고주파-변조기 KR01280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4143U KR0128086Y1 (ko) 1993-07-27 1993-07-27 고주파 간섭 억제회로를 구비한 고주파-변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4143U KR0128086Y1 (ko) 1993-07-27 1993-07-27 고주파 간섭 억제회로를 구비한 고주파-변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068U KR950005068U (ko) 1995-02-18
KR0128086Y1 true KR0128086Y1 (ko) 1998-11-16

Family

ID=19359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4143U KR0128086Y1 (ko) 1993-07-27 1993-07-27 고주파 간섭 억제회로를 구비한 고주파-변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808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068U (ko) 1995-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24529A (en) Shf receiver
US4827511A (en)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gain of video signal in television receiver
KR100248916B1 (ko) 텔레비젼 음향rf신호방송 fmrf신호 및 국립기상 서비스 fmrf신호의 오디오레벨 등화장치
US4717970A (en) Video system with programmable VCR
US20010021997A1 (en) Multichannel-type radio frequency modulation circuit
US4500920A (en) RF Modulator
US4455573A (en) Television sound receiver
US4789905A (en) Output signal switching circuit for a video tape recorder
KR0128086Y1 (ko) 고주파 간섭 억제회로를 구비한 고주파-변조기
KR910003278B1 (ko) Rf 컨버터회로
JPH0697847A (ja) Fmプロセッサ
KR940008100Y1 (ko) 채널의 혼신방지가 가능한 무선주파수변조장치
JP3565739B2 (ja) テレビジョンチューナ
JP3299859B2 (ja) Rfモジュレータ
JPS6256714B2 (ko)
KR820002312Y1 (ko) 텔레비전수상기의 뮤우팅회로
KR940001617Y1 (ko) 하이-파이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오디오 전용 기록 제어회로
KR930000964Y1 (ko) 전압 합성 방식 튜너의 자동 이득 제어회로
KR950010373Y1 (ko) Vcr 시스템
JP3446396B2 (ja) 高周波受信変換装置
KR200156888Y1 (ko) Vcr동작에 의한 감쇠스위치 자동제어회로
KR970004909Y1 (ko) 브이씨알의 알에프(rf)출력 티브이(tv)수신장치
JPS6273879A (ja) 信号切換え装置
KR200179568Y1 (ko) 복합 영상기록 시스템
JPH0810990Y2 (ja) テレビチュー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