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303Y1 - 적외선 감지기 - Google Patents

적외선 감지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303Y1
KR0127303Y1 KR2019950018943U KR19950018943U KR0127303Y1 KR 0127303 Y1 KR0127303 Y1 KR 0127303Y1 KR 2019950018943 U KR2019950018943 U KR 2019950018943U KR 19950018943 U KR19950018943 U KR 19950018943U KR 0127303 Y1 KR0127303 Y1 KR 01273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rared
light
receiving element
light receiving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89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5988U (ko
Inventor
김동진
Original Assignee
김동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진 filed Critical 김동진
Priority to KR20199500189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7303Y1/ko
Publication of KR9700059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9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3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3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E03D5/105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touchless, e.g. using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5Arrangements of devices on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for remote control of taps
    • E03C1/055Electrical control devices, e.g. with push buttons, control panels or the like
    • E03C1/057Electrical control devices, e.g. with push buttons, control panels or the like touchless, i.e. using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고안은 자동소변세척기, 자동수도꼭지등에 구성되어 인체(반사체)의 접근 및 이탈로 감지하는 적외선감지기에 관한것으로서, 특히 발광소자에서 방출된 적외선의 일부가 인체에 반사되지않고 직접 수광소자에 전달되는것을 방지함으로써 감지 범위를 확대시킬수 있도록 된 적외선감지기에 관한것이다.
본고안의 적외선감지기는 리테이너(3)의 양측에 2개의 발광소자(1), 중앙부에 1개의 수광소자(2)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광소자(2)의 전방에 필터(4)가 설치되어 있으며, 전면에 광투과체의 센서윈도(5)가 설치되어서 구성된 적외선감지기에 있어서, 상기 양측의 발광소자(1)와 중앙부의 수광소자(2) 사이의 센서윈도(5) 부분에 각각 비투광체의 격판(6)이 수직방향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적외선 감지기
제1도는 종래 적외선감지기의 평단면도.
제2도는 본고안 적외선감지기의 평단면도.
제3도는 본고안 적외선감지기의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발광소자 2 : 수광소자
3 : 리테이너 4 : 필터
5 : 센서윈도 6 : 격판
본고안은 자동소변세척기, 자동수도꼭지등에 구성되어 인체(반사체)의 접근 및 이탈로 감지하는 적외선감지기에 관한것으로서, 특히 발광소자에서 방출된 적외선의 일부가 인체에 반사되지않고 직접 수광소자에 전달되는것을 방지함으로써 감지범위를 확대시킬수 있도록 된 적외선감지기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적외선감지기는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리테이너(3)의 양측에 적외선을 방출시키는 2개의 발광소자(1)를 설치하고, 중앙부에 적외선을 받아들이는 1개의 수광소자(2)를 설치하며, 수광소자(2)의 전방에 장애광을 차단하고 적외선 수신범위 광도를 유지시키는 필터(4)를 설치하고, 전면에 광투과체의 물질로 된 센서윈도(5)를 설치하여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적외선 감지기는 양측의 발광소자(1)에서 적외선을 방출하면 적외선이 인체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데 인체(반사체)가 감지범위에 있을때 되돌아오는 적외선이 센서윈도(5) 및 필터(4)를 통과하여 수광소자(2)에 수광됨으로써 인체의 접근을 감지한다.
인체가 감지범위로부터 이탈하면 반사되어 돌아오는 적외선이 없거나 있더라도 그 세기가 매우 약하게 되므로 수광소자(2)에 수광되는 적외선이 없으며, 그에 따라 적외선감지기가 인체의 이탈을 감지하는 것이다.
감지범위는 가변저항(전기회로는 미도시)를 조절하여 조정하는데, 감지범위를 크게 할때에는 방출되는 적외선의 세기를 크게하고 감지범위를 작게할때는 적외선의 세기를 약하게하여 감지범위를 조정한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적외선감지기는 발광소자(1)에서 적외선을 방출하는데 적외선의 세기가 일정기준보다 약하게 한때는 장애가 일어나지 않지만 적외선의 세기를 일정기준보다 크게 한때는 발광소자(1)에서 방출된 적외선이 센서윈도(5) 및 리테이너(3)에 의해서 일부가 굴절되어서 수광소자(2)로 전달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 경우에는 적외선감지기 앞에 인체(반사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수광소자(2)에 적외선이 수광되므로 전방에 인체(반사체)가 있는것으로 간주되는 오동작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적외선감지기는 상기와 같은 오동작현상때문에 방출되는 적외선의 세기를 크게하여 감지범위를 크게하지 못하고 작은 범위내의 인체(반사체)만을 감지하도록하여 사용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고안은 전술한 종래 적외선감지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것으로서, 적외선이 발광소자(1)에서 방출될때 리테이너(3) 및 센서윈도(5)에 의한 굴절 및 간섭현상으로 인해서 적외선일부가 수광소자(2)로 직접 전달되는 오동작을 방지할수 있도록 구성된 적외선감지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고안의 적외선감지기는 전면에 배치된 센서윈도(5)에, 굴절 및 간섭현상으로 인하여 발광소자(1)에서 수광소자(2)로 직접 흐르는 적외선을 차단할수 있는 격판(6)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고안의 적외선감지기의 평단면도이고, 제3도는 적외선감지기의 정면도이다.
도시된바와 같이 전면에 배치된 광투과체의 센서윈도(5)에는 수직방향으로 비투광체의 격판(6)이 구성되어 있다.
격판(6)은 양측의 발광소자(1)와 중앙부의 수광소자(2)사이의 센서윈도(5)부분에 각각 구성되어 있다.
상기 격판(6)은 적외선이 투과할수 없는 재질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발광소자(1)에서 적외선이 방출될때 센서윈도(5)를 통과하여 전방으로 방출되는 대부분의 적외선에 대해서는 아무런 기능을 하지않지만, 굴절 및 간섭에 의해서 수광소자(2) 쪽으로 향하는 일부의 적외선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감지범위를 크게하고자 하여 발광소자(1)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의 세기를 크게 하더라도 굴절 및 간섭에 의해서 수광소자(2)쪽으로 향하는 일부의 적외선을 비투광체의 격판(6)이 차단하기 때문에 수광소자(2)쪽으로는 적외선이 흐르지 않는다.
물론 적외선이 세기를 약하게 조정하여 방출되는 적외선의 세기를 약하게 한 경우에는 처음부터 발광소자(1)에서 직접 수광소자(2)쪽으로 향하는 적외선이 없기 때문에 격판(6)은 아무런 역할을 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고안의 적외선감지기는 감지범위가 크거나 작거나, 즉 방출되는 적외선의 세기가 강하거나 약하거나에 관계없이 발광소자(1)에서 직접 수광소자(2)쪽으로 향하는 적외선을 차단하여 전방에 인체(반사체)가 존재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있는 것처럼 감지하는 오동작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즉 감지기능이 더욱 향상된다.

Claims (1)

  1. 리테이너(3)의 양측에 2개의 발광소자(1), 중앙부에 1개의 수광소자(2)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광소자(2)의 전방에 필터(4)가 설치되어 있으며, 전면에 광투과체의 센서윈도(5)가 설치되어서 구성된 적외선감지기에 있어서, 상기 양측의 발광소자(1)와 중앙부의 수광소자(2)사이의 센서윈도(5)부분에 각각 비투광체의 격판(6)이 수직방향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적외선 감지기.
KR2019950018943U 1995-07-27 1995-07-27 적외선 감지기 KR01273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8943U KR0127303Y1 (ko) 1995-07-27 1995-07-27 적외선 감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8943U KR0127303Y1 (ko) 1995-07-27 1995-07-27 적외선 감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5988U KR970005988U (ko) 1997-02-21
KR0127303Y1 true KR0127303Y1 (ko) 1998-10-15

Family

ID=19419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8943U KR0127303Y1 (ko) 1995-07-27 1995-07-27 적외선 감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730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5988U (ko) 199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51365A (en) Photoelectric detector having an indicator for indicating the operating condition thereof
EP1126430B1 (en) Security sensor having disturbance detecting capability
EP1082622A1 (en) Directional object sensor for automatic flow controller
KR0127303Y1 (ko) 적외선 감지기
CA2007784A1 (en) Photosensor
JPS6344072B2 (ko)
JPH0810600Y2 (ja) 吐水口センサー
JP3205072B2 (ja) 光電検出装置
CN214252609U (zh) 一种可抵御平面反射影响的对射光幕
JP7397266B2 (ja) 視野妨害監視機能付き検知装置
US4296332A (en) Sprocket hole sensing detector for moving translucent paper sheets
KR102207059B1 (ko) 반사 및 투과형 감지가 가능한 일체형 광센서
JP2009167682A (ja) 感度調整部付き能動型物体検知装置
KR200392016Y1 (ko) 확산형 센서
JPS57189062A (en) Detector for body cracked grain
JP3080630B2 (ja) 半導体振動センサー
JPH0257678B2 (ko)
KR910003471Y1 (ko) Tv의 시력보호용 광송출 장치
KR970006055Y1 (ko) 연기감지장치의 연기감지구 구조
JP2921088B2 (ja) 厨房装置
JPS60119420A (ja) 液体検知器
JPS57179780A (en) Sheet material detector
JPH033193B2 (ko)
SU1714349A1 (ru) Фотоэлектрический датчик
JP2021018564A (ja) 煙感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1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