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173Y1 - 자동차용 공기조화 장치의 케이스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공기조화 장치의 케이스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173Y1
KR0127173Y1 KR2019940006827U KR19940006827U KR0127173Y1 KR 0127173 Y1 KR0127173 Y1 KR 0127173Y1 KR 2019940006827 U KR2019940006827 U KR 2019940006827U KR 19940006827 U KR19940006827 U KR 19940006827U KR 0127173 Y1 KR0127173 Y1 KR 01271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oor
outlet
passage
outflow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68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7105U (ko
Inventor
한성석
Original Assignee
정몽원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원,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원
Priority to KR20199400068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7173Y1/ko
Publication of KR9500271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71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1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1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1/00671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 B60H1/00678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the axis of rotation being in the door plane, e.g. butterfly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2001/00707Details of pivots of dampe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2001/00721Air deflecting or air direct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와, 공기가 유출되는 제1유출통로와 제2유출통로가 마련되며, 상기 제1유출통로와 연결된 제1유출구 및 상기 제2유출통로와 연결된 제2, 3유출구가 마련된 본체와, 상기 제2유출통로를 통과하는 공기가 상기 제2, 3유출구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유출되도록 상기 제2, 3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도어와, 상기 제1유출통로와 상기 제2유출통로 사이의 본체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왕복 이동하며, 상기 제1유출통로와 상기 제2유출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도어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도어를 상기 제1유출통로와 상기 제2유출통로 사이에서 왕복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구비하여 된 것에 특징이 있으며, 도어의 조작에 따른 조작력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Description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
제1도는 종래의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히터 케이스를 도시한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케이스가 플로어 모드를 유지하는 상태의 개략도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를 도시한 입단면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한 도어와 이송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본체 22 : 제1유출구
23 : 제2유출구 23 : 제3유출구
25 : 제1도어 26 : 제2도어
30 : 이송부 200 : 제1유출통로
300 : 제2유출통로
본 고안은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자동차 실내의 공기조화를 위한 덕트와 연결되며 열교환 히터가 장착된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송풍기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케이스에 설치된 증발기 또는 히이터를 선택적으로 통과하여 자동차의 내부로 공급되게 된다.
제1도에는 이러한 종래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케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 보였다.
이것은 열교환 히터(9)가 내장된 케이스(1)의 몸체(1a)에 증발기(미도시)를 거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2)가 마련되어 있다. 이 공기 유입구(2) 측에는 템프도어(2a)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회동 각도에 따라, 유입되는 공기 중 열교환 히터(9)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1)에는 공기 유입구(2)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어 자동차의 실내의 각 부위로 유입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공기 유출구(3, 4, 5)가 마련되어 있는데, 제1유출구(3)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플로어로부터 실내로 유입된다. 그리고, 제2유출구(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자동차의 차창에 서리는 성에를 제거하도록 디프로스터(defroster) 측으로 향하며, 제3유출구(5)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차내 승차자의 전면으로부터 자동차의 내부로 유입된다. 제2유출구(4)와 제3유출구(5)에는 제2도어(4a)와 제3도어(5a)가 마련되어 있어 각 모드에 따라 제2유출구(4)와 제3유출구(5)를 각각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제1유출구(3) 측에 유출풍량 조절도어(3a)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데, 이 유출풍량 조절도어(3a)는 제1유출구(3)를 개폐함과 동시에 그 회동 각도에 따라 제1유출구(3) 측으로 향하는 공기의 풍량과, 제2유출구(4) 및 제3유출구(5)측으로 향하는 공기의 풍량을 제어하게 된다. 예컨대, 유출풍량 조절도어(3a)가 제1유출구(3)를 완전히 폐쇄한 상태에서는, 공기 유입구(2)로 유입된 공기의 전량이 제2유출구(4) 및 제3유출구(3) 측으로 향하여 제2도어(4a)와 제3도어(5a)의 개폐여부에 따라 제2유출구(4)와 제3유출구(5)의 각각 또는 공히 양측을 통해 배출되게 되나, 유출풍량 조절도어(3a)가 제1유출구(3)를 완전힌 개방한 플로어 모드 상태에서는 공기 유입구(2)로 유입된 공기의 거의 전량이 개방된 제1유출구(3)를 통해 플로어측으로 배출되게 되며, 소량만이 유출풍량 조절도어(3a)의 단부측으로 유출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제2도를 참조하면서 플로어 모드 상태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케이스(1)의 공기 유입구(2)를 통해 내부로 들어오는 공기(7, 7a, 7b) 중 일부(7)는, 소정각도 회동되어 있는 템프도어(2a)에 의해, 히터(9)를 거치면서 히터(9) 내부의 열교환매체와 열교환을 행하여 가열되게 되며, 가열된 공기(8)는 유출풍량 조절도어(3a) 측으로 향하게 된다. 그리고, 나머지 (7a, 7b)는 열교환 히터(9)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유출풍량 조절도어(3a) 측으로 향하게 된다. 이 때, 도시된 상태에서 쉽게 알 수 있듯이, 히터(9)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유출풍량 조절도어(3a) 측으로 향하는 공기(7a, 7b)의 대부분(7a)과 가열된 공기(8)는 서로 혼합되게 되고, 혼합된 공기(78)는 개방된 제1유출구(3)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열교환 히터(9)를 거치지 않은 공기의 일부(7b)가 유출풍량 조절도어(3a)의 단부와 히터 케이스(1)의 몸체(1a)와의 사이의 간극(6)을 통해 배출되게 된다. 이처럼 유출풍량 조절도어(3a)의 단부와 몸체(1a)와의 사이의 간극(6)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7b)는 성에 제거를 위하여 제2유출구(4)를 거쳐 디프로스터측으로 향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성에 제거를 위하여 디프로스터측으로 향하는 공기(7b)는 소용돌이 구간이 크게 형성되어 풍량의 압력손실이 크고 도어의 조작시 작동력이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을서, 도어의 조작에 따른 조작력과 풍량의 압력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각 덕트로 임의의 풍량을 공급할 수 있는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와, 공기가 유출되는 제1유출통로와 제2유출통로가 마련되며, 상기 제1유출통로와 연결된 제1유출구 및 상기 제2유출통로와 연결된 제2, 3유출구가 마련된 본체와, 상기 제2유출통로를 통과하는 공기가 상기 제2, 3유출구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유출되도록 상기 제2, 3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도어와, 상기 제1유출통로와 상기 제2유출통로 사이의 본체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왕복 이동하며, 상기 제1유출통로와 상기 제2유출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도어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도어를 상기 제1유출통로와 상기 제2유출통로 사이에서 왕복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구비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는 내부에 열교환 히터가 설치되어 송풍유니트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선택적으로 열교환 히터를 통과시켜 자동차의 실내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덕트와 연결된 것으로, 제3도에 나타내 보인바와 같이 본체(21)의 측면에 공기 유입구(21a)가 형성되고 이 유입구(21a)의 하단과 소정간격 이격된 하측의 본체(21)에는 열교환 히터(10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21)의 상측에는 공기가 유출되는 제1유출통로(200)와 제2유출통로(300)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21)에는 상기 제1유출통로(200)와 연결되어 공기가 유출되는 제1유출구(22) 및 상기 제2유출통로(300)와 연결된 제2, 3유출구(23)(24)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2, 3유출구(23)(24)는 그 입구가 대향되도록 형성되고, 제2유출통로(300)를 통과하는 공기가 제2, 3유출구(23)(24)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유출되도록 제2, 3유출구(23)(24)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도어(25)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유출통로(200)와 제2유출통로(300) 사이의 본체(21) 양측면에는 가이드 홈(26)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홈(26)에는 이를 따라 그 측면이 가이드되어 제1유출통로(200)와 제2유출통로(30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도어(27)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21)에는 제2도어(27)를 왕복이송시키는 이송부(30)가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 홈(26)에 대한 제2도어(27)의 지지는 제2도어(27)의 양측면에 상기 가이드 홈(26)을 따라 안내되는 가이드부재(27a)가 형성되어 이 가이드 부재(27a)가 가이드 홈(26)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 가이드부재(27a)는 그 장변부의 폭이 상기 가이드 홈(26)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가이드 홈(26)에 지지된 제2도어(27)가 가이드 홈(26)을 따라 이동되는 동안 회전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도어(27)를 가이드 홈(26)을 따라 왕복 이송시키는 이송부(30)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1)의 제1유출통로(200)측에 회전축(31)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회전축(31)에는 그 기부가 고정된 제1링크(32)가 설치되며 이 제1링크(32)의 단부와 제2도어(27)의 배면을 연결하는 제2링크(33)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21)의 내부에는 공기 유입구(21a) 측으로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기 또는 제1, 2유출통로(200)(300) 측으로 흐름을 변화시키는 템프도어(28)가 설치된다. 미설명부호 25a는 제1도어에 형성된 지지턱이고, 29는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제3통로(24)를 이루는 격벽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작동을 설명함에 있어 상기 제1유출통로(200)와 연결된 제1유출구(22)는 디프로스터 측 덕트와 연결되고 제2유출통로(300)와 연결된 제2유출구(23)는 벤트 측의 덕트와 연결된 것을 전제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송풍유니트 측으로부터 소정의 압력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제1유출통로(200) 측으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상기 이송부(30)의 회전축(31)을 회전시켜 제2도어(27)를 제2유출통로(300) 측으로 이송시켜 제2도어(27)의 가장자리가 제2유출통로(300)를 밀폐하도록 한다, 이때에 상기 제1도어(25)는 제2유출구(23)의 입구측이 차단되도록 하고 그 일측면에 형성된 지지턱(25a)이 제2도어(27)의 가장자리와 접촉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제2도어(27)가 작동되는 과정에서 제2도어(27)는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고 그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부재(27a)에 의해 가이드 홈(26)을 따라 안내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본체(21)의 유입구(21a) 측으로 유입되어 제1유출통로(200)로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 제2도어(27)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제2도어(27)가 수직인 공기의 흐름방향에 큰 경사를 가지지 않은 상태에서 작동되게 되므로 제2도어(27)의 조작력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21)의 유입구(21a)로 유입되어 선택적으로 열교환 히터(100)를 통과한 공기를 제2유출통로(300) 측으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이송부(30)의 회전축(31)을 회전시켜 제2도어(27)를 가이드 홈(26)을 따라 이송시켜 제1유출통로(200)가 차단되도록 한 후 제1도어(25)를 작동시켜 제2, 3유출구(23)(24)의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공기가 제2유출구(23) 또는 제3유출구(24)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유출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도어(27)를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시키고 제1도어(25)를 회동시킴으로써 유입구(21a)로부터 본체에 공급된 공기를 제1, 2, 3유출구(22)(23)(24)로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는 도어의 조작에 따른 조작력을 줄일 수 있으며, 유입구로터 유입되어 유출구로 유출되는 공기의 와류 현상을 줄일 수 있어 본체 내에서의 압력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잇점을 가진다.

Claims (2)

  1.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와, 공기가 유출되는 제1유출통로와 제2유출통로가 마련되며, 상기 제1유출통로와 연결된 제1유출구 및 상기 제2유출통로와 연결된 제2, 3유출구가 마련된 본체; 상기 제2유출통로를 통과하는 공기가 상기 제2, 3유출구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유출되도록 상기 제2, 3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도어; 상기 제1유출통로와 상기 제2유출통로 사이의 본체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왕복 이동하며, 상기 제1유출통로와 상기 제2유출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도어;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도어를 상기 제1유출통로와 상기 제2유출통로 사이에서 왕복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구비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어는 상기 제1유출통로로 흐르는 공기의 흐름방향에 대하여 소정 곡률로 형성되며, 상기 이송부는, 상기 본체의 제1유출통로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상기 제2도어의 배면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론 하는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
KR2019940006827U 1994-03-31 1994-03-31 자동차용 공기조화 장치의 케이스 KR01271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6827U KR0127173Y1 (ko) 1994-03-31 1994-03-31 자동차용 공기조화 장치의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6827U KR0127173Y1 (ko) 1994-03-31 1994-03-31 자동차용 공기조화 장치의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7105U KR950027105U (ko) 1995-10-16
KR0127173Y1 true KR0127173Y1 (ko) 1998-11-02

Family

ID=19380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6827U KR0127173Y1 (ko) 1994-03-31 1994-03-31 자동차용 공기조화 장치의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717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7105U (ko) 1995-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09389B2 (en) Automotive air conditioner
US6463998B1 (en) Vehicle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system and apparatus having positional doors and blow-switching modes
KR100294482B1 (ko) 공기조화장치의케이스와이를이용한공기조화장치
US6244335B1 (en) Vehicular air-conditioner
US4582252A (en) Heater unit for an automotive vehicle air conditioner
KR20030016821A (ko) 2층 공기유동시스템을 갖는 공조 유니트
JP4016496B2 (ja) 車両用空調装置
US7546868B2 (en) Air-conditioner housing
US7134487B2 (en) Vehicle air conditioner
US20050098311A1 (en) Air-conditioning unit
KR100365480B1 (ko) 이층기류 공급을 위한 공조유니트
KR0127173Y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 장치의 케이스
KR20030016820A (ko) 2층 공기유동형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JP3877187B2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GB2345337A (en) Vehicle air conditioner with generally horizontal heat exchanger and hot air guide
KR100207558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 장치의 케이스
US20080256965A1 (en) Heating And/Or Air Conditioning Unit For Vehicles
KR200156659Y1 (ko) 자동차용 히터 케이스
WO2021079924A1 (ja) 車両用空調装置
JPH0723291Y2 (ja) 自動車用空調装置
JP3482694B2 (ja) 空気通路切替装置
JP2007038746A (ja) 自動車用空調装置
JPS6246563Y2 (ko)
KR20000009376U (ko) 공조유니트 템프도어
KR100859127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