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6409Y1 - 지그의 수평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지그의 수평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6409Y1
KR0126409Y1 KR2019940028714U KR19940028714U KR0126409Y1 KR 0126409 Y1 KR0126409 Y1 KR 0126409Y1 KR 2019940028714 U KR2019940028714 U KR 2019940028714U KR 19940028714 U KR19940028714 U KR 19940028714U KR 0126409 Y1 KR0126409 Y1 KR 01264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jig
lever member
motor
count bal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87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4453U (ko
Inventor
박대환
Original Assignee
김만제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만제,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만제
Priority to KR20199400287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6409Y1/ko
Publication of KR9600144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4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64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64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2Arrangements of means for transmitting pneumatic, hydraulic, or electric power to movable parts of devices
    • B66C13/14Arrangements of means for transmitting pneumatic, hydraulic, or electric power to movable parts of devices to load-engaging elements or motors associated therewi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07Cranes in which it is essential that the load is moving horizontally during the luffing movement of the arm or jib
    • B66C2700/0314Cranes in which it is essential that the load is moving horizontally during the luffing movement of the arm or jib in combin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counterw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그(JIG)의 수평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메인몸체(60)의 일측에 이송물을 거취하기 위한 후크(16)가 설치되면서, 타측하면에는 메인몸체를 따라 미끄럼이동하는 카운트밸런스(15)와 이 카운트밸런스(15)를 자동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수단을 구비하여 지그의 수평을 조절하도록 된 지그의 수평조절장치에 있어서, 이송수단은, 메인몸체(60)의 상면에 고정설치되어 전기적신호를 입력받아 정.역회전하는 모우터(22)와; 모우터(22)의 풀리와 카운트밸런스(15)에 나선결합된 스크류의 풀리(25)에 감겨져 모우터(22)의 동력을 카운트밸런스(15)에 전달하는 타이밍벨트(24); 메인몸체(60)의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1레버부재(26)와, 이 제1레버부재(26)의 단부에 설치된 평형추(29)와, 이 제2레버부재(28)를 사이에 두고 메인몸체(60)에 설치되어 제1레버부재(26)와의 접촉신호를 입력받아 모우터(22)에 회전신호를 출력하는 제1, 2터치스위치(17, 18)로 이루어진 구동수단을 구비하여, 작업시간 및 작업인원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작업의 정확도가 향상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지그(JIG)의 수평조절장치
본 고안은 지그(JIG)의 수평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기 강판 코일에 절연피막을 도포하기 위한 코터 롤(COATER ROLL)을 지그로 이송할 때 지그의 수평상태를 자동적으로 조절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지그의 수평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강판 코일의 절연피막을 코터 롤(COATER ROLL)을 이용하여 도포하는 공정에서 폭이 서로 다른 소재를 도포하고자 할 때 또는 일정량의 코일을 도포한 후에는 코터 롤의 양가장자리가 마모되므로 또다른 코터 롤로 교체하여야 하는데, 이때 코터 롤을 운반하기 위한 지그가 이용된다.
제1도는 종래의 수평조절장치를 채용한 지그를 나타낸 것으로서, 메인몸체(1)의 일측 하면에는 코터 롤(미도시)을 로우프로 걸어서 들어돌리기 위한 후크(2)가 설치되면서, 타측하면에는 메인몸체(1)를 가로질러 고정되는 서브몸체(9)가 구비되면서, 이 서브몸체(9)에는 지그(100) 전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8)가 구비되어 있다.
참조번호 3은 크레인의 후크가 걸려지는 고리이다.
한편, 후크(2)의 타측 메인몸체(1)에는 지그(100)의 수평을 조절하기 위한 수평조절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수평조절장치는 메인몸체(1)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롤(6)로 지지되는 카운트밸런스(4)와 이를 이송시키기 위한 스크류(5) 및 이를 조정하기 위한 핸들(7)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코터 롤을 후크(2)에 거취시킨 후에 크레인의 후크를 고리(3)에 걸어서 지그(100)를 들어올리면, 지그(100) 코터 롤의 무게에 의해서 일측으로 기울어진다.
이때, 핸들(7)을 조작하여 카운트밸런스(4)를 적절히 이동시켜서 지그(100)의 수평을 조절한다.
또한, 코터 롤을 하강시켜 내려놓은 후에는 카운트 밸런스(4)의 무게에 의해서 지그(100) 전체가 일측으로 기울어진다. 이때에는 마찬가지로 핸들(7)을 조작하여 지그(100) 수평을 조절한다.
그런데, 상기한 지그의 수평조절장치는 수동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작업인원이 추가적으로 요구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에 따라서 수평상태가 부정확하여 코터 롤의 안착이 불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작업으로 수평조절을 함으로써 작업시간이 과다로 소요되고 작업능률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기강판 코일의 절연피막을 도포하기 위한 코터 롤을 지그로 이송할 때 지그의 수평상태를 자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지그의 수평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메인몸체의 일측에 이송물을 거취시키기 위한 후크가 설치되면서 타측에 메인몸체를 따라 이동가능한 카운트밸런스와 이 카운트밸런스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을 구비하여서 지그의 수평을 조절하기 위한 지그의 수평조절장치에 있어서, 이송수단에는 메인몸체에 설치되며 동력을 발생하는 모우터와, 이 모우터에 연결되어 회전구동되며 카운트밸런스와 나사결합되는 스크류와, 이 메인몸체의 기울기에 따라 모우터를 정역으로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지그의 수평조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지그의 수평조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요부 발췌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5 : 카운트밸런스 16 : 후크
17, 18 : 제1, 2터치스위치 19 : 서브몸체
20 : 지지대 26, 28 : 제1, 2레버부재
31, 32 : 제1, 2리미트스위치 60 : 메인몸체
이하, 첨부된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지그의 수평조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제3도는 제2도의 요부 발췌 사시도로서, 이들 도면에 바와 같이, 메인몸체(60)의 일측하면에는 코터 롤(미도시)을 로우프로 걸어서 들어올리기 위한 후크(16)가 설치되고, 타측하면에는 메인몸체(60)를 가로질러 고정되는 서브몸체(19)가 구비되며, 서브몸체(19)에는 지그(100)의 수평을 조절하기 위한 수평조절장치가 구비된 구조로 되어 있다. 참조번호 40은 크레인의 후크가 걸려지는 고리이다.
또한, 후크(60)의 타측 메인몸체(60)에는 지그의 수평을 조절하기 위한 수평조절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수평조절장치는 메인몸체(60)를 따라 롤(130)에 의해 슬라이딩하는 카운트밸런스(15)와 이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수단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이송수단은 메인몸체(60)에 설치된 상태에서 전기적신호에 따라 정역회전하는 모우터(22)와, 이 모우터(22)에 연결되어 회전구동되며 카운트밸런스(15)에 나선결합된 스크류(37)와, 이 메인몸체(60)의 기울기에 따라 모우터(22)를 정역회전시키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송수단은 메인몸체(60)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우에 구동수단에 의해 모우터(22)가 일방향으로 구동되면서 카운트밸런스(15)를 이송시킴으로써 메인몸체(60)의 수평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스크류(37)에 장착된 풀리(25)와 모우터(22)에 커플링(23)으로 연결된 풀리와의 사이에 설치된 타이밍벨트(24)가 회전되면서 동력전달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구동수단은 메인몸체(60)의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상태로 메인몸체와 수평을 이루는 제1레버부재(26)와, 이 제1레버부재(26)의 하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된 제2레버부재(28)에 의해 장착된 평형추(29)와, 이 제1레버부재(26)의 양단부와 대향되는 메인몸체(60)에 각각 설치되어 모우터(22)를 정역방향으로 구동시키도록 전원을 인가하는 제1, 2터치스위치(17, 18)로 구성된다.
여기서, 구동수단은 메인몸체(60)의 기울기 방향에 따라 제1레버부재(26)와 제1, 2터치스위치(17, 18)가 접촉하므로 작동된다.
따라서, 모우터(22)는 메인몸체(60)의 기울어진 방향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면서 카운트밸런스(15)를 이송시키게 된다.
한편, 카운트밸런스(15)의 이동범위를 한정하도록 카운트밸런스(15)의 이동경로에 모우터(22)의 동력차단용 제1, 2리미트스위치(31, 32)가 설치되어 있다.
참조번호 10은 카운트밸런스(15)에 설치되어 제1, 2리미트스위치(31, 32)와 접촉되는 터치바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지그의 수평조절장치는 다음과 같은 작용을 가진다.
먼저, 코터 롤(미도시)을 후크(16)에 거취시키고 크레인의 후크를 고리(40)에 걸어서 지그(200)를 들어올리면 지그(200)는 코터 롤의 무게에 의해서 일측으로 기울어진다.
이때, 평형추(29)와 제1, 2레버부재(26, 28)는 회전축(27)을 중심으로 평생상태를 유지하며, 기울어지는 메인몸체(60)에 설치된 제2터치스위치(18)가 제1레버부재(26)에 접촉되어 모우터(22)에 전원을 인가시킨다.
그리고, 모우터(22)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카운트밸런스(15)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카운트밸런스(15)가 이동되면서 코터 롤과의 평형상태가 되면 즉, 메인몸체(60)가 수평상태로 되면 제2터치스위치(18)와 제1레버부재(26)의 접촉이 해제되면서 모우터(22)의 전원이 차단된다.
한편, 코터 롤을 소정위치에 안착시키게 되면 메인몸체(60)가 상기와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 경우, 상기와 같은 동작과 반대방향으로 작동하여 메인몸체(60)를 수평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카운트밸런스(15)가 좌우로 과도하게 이동되면서 제1, 2리미트스위치(31, 32)와 접촉되는 경우에 모우터(22)가 차단되므로, 카운트밸런스(15)의 과도한 이동에 따른 메인몸체(60) 또는 서브몸체(19)의 충격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지그 수평조절장치에 의하면, 지그의 수평조절을 작업자가 직접 수동으로 행하였던 것과는 달리 메인몸체의 기울기 방향에 따라 카운트밸런스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자동적으로 수평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시간 및 인원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작업의 정확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메인몸체(60)의 일측에 이송물을 거취하기 위한 후크(16)가 설치되면서, 타측하면에는 메인몸체를 따라 미끄럼이동하는 카운트밸런스(15)와 이 카운트밸런스(15)를 자동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수단을 구비하여 지그의 수평을 조절하도록 된 수평조절장치에 있어서, 이송수단은, 메인몸체(60)의 상면에 고정설치되어 전기적신호를 입력받아 정.역회전하는 모우터(22)와; 모우터(22)의 풀리와 카운트밸런스(15)에 나선결합된 스크류의 풀리(25)에 감겨져 모우터의 동력을 카운트밸런스로 전달하는 타이밍벨트(24); 메인몸체(60)의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1레버부재(26)와, 이 제1레버부재(26)의 하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된 제2레버부재(28)와, 이 제2레버부재(28)의 단부에 설치된 평형추(29)와, 이 제2레버부재(28)를 사이에 두고 메인몸체(60)에 설치되어 제1레버부재(26)와의 접촉신호를 입력받아 모우터(22)로 회전신호를 출력하는 제1,2터치스위치(17, 18)로 구성된 구동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의 수평조절장치.
KR2019940028714U 1994-10-31 1994-10-31 지그의 수평조절장치 KR01264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8714U KR0126409Y1 (ko) 1994-10-31 1994-10-31 지그의 수평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8714U KR0126409Y1 (ko) 1994-10-31 1994-10-31 지그의 수평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4453U KR960014453U (ko) 1996-05-17
KR0126409Y1 true KR0126409Y1 (ko) 1998-10-15

Family

ID=19396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8714U KR0126409Y1 (ko) 1994-10-31 1994-10-31 지그의 수평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640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4453U (ko) 199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095799A (en) Device for index adjusting a mobile part position
KR100618588B1 (ko) 파이프 회전장치
KR0126409Y1 (ko) 지그의 수평조절장치
KR100775317B1 (ko) 가역벨트콘베어의 사행조정장치
CN108501129B (zh) 板材切割加工装置
EP1500621A1 (en) Elevating/lowering mechanism and elevating/lowering method of elevator
US3779480A (en) Translating winder for electric cables
CN211817767U (zh) 一种瓷砖铺设缝隙及平整度调节装置
KR20030034545A (ko) 벨트컨베어의 센트럴슈트 댐퍼 조정장치
AU776452B2 (en) Fairlead mechanism
KR20030044707A (ko) 중심 축 이동방식 벨트컨베어 사행조정 장치
KR20020049176A (ko) 컨베이어 벨트의 텐션조정 감지장치
KR0153232B1 (ko) 피치컨베이어의 구동장치
EP1442816B1 (en) Wire electric discharge machining apparatus
KR200260905Y1 (ko) 장입슬라브 위치교정장치
GB2188262A (en) Universal manipulator for handling workpieces
KR100415050B1 (ko) 화포의 고각 조정장치
JPH119355A (ja) 昇降キャビネット
KR100910484B1 (ko) 강판의 폭에 대응하는 절단강판 서포트장치
JP2000191272A (ja) 天井走行車
JP2002052453A (ja) 木工用ベルト研磨装置
KR100283205B1 (ko) 에지테이프 재단기
KR200192848Y1 (ko) 스트립 진행 위치 조정 장치
KR200234210Y1 (ko) 리버싱컨베이어의조정로울러변환장치
JP3986978B2 (ja) テーブルリフ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