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6071Y1 - 조인트 구조 - Google Patents

조인트 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6071Y1
KR0126071Y1 KR2019950033637U KR19950033637U KR0126071Y1 KR 0126071 Y1 KR0126071 Y1 KR 0126071Y1 KR 2019950033637 U KR2019950033637 U KR 2019950033637U KR 19950033637 U KR19950033637 U KR 19950033637U KR 0126071 Y1 KR0126071 Y1 KR 01260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steering shaft
intermediate shaft
shaft
ste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36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2924U (ko
Inventor
오원진
Original Assignee
한승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승준
Priority to KR20199500336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6071Y1/ko
Publication of KR9700229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29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60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60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16Arrangement of linkage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2Shaft arrangements; Shaft supports, e.g.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티어링 기어와 일단이 연결되는 중간축과 스티어링 샤프트를 연결하는 조인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 서로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피보트 가능하게 결합된 2개의 조인트 부재를 각각의 자유단부의 단면이 ㄷ 자 형으로 형성하고 거기에 결합되는 스티어링 샤프트와 중간축의 단부를 조인트부재의 내측부에 측방으로 삽입되어 볼트로 체결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조립이 간편하고 신뢰성을 증대시키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조인트 구조
제1도는 종래 따른 조인트 구조를 사용한 스티어링 샤프트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조인트 구조의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조인트 구조에의 스티어링 샤프트를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5 : 스티어링 샤프트 2 : 스티어링 조인트
3, 14 : 중간부 4, 5 : 요크
10, 11 : 조인트부재 12, 13 : 구멍
본 고안은 조인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티어링 기어와 연결되는 중간축을 스티어링 샤프트에 연결하는 조인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조향핸들을 상단에 장착하는 스티어링 샤프트(1) 하단부에 스티어링 조인트(2)를 구비하여, 스티어링 기어와 단부가 연결되는 중간축(3)을 일체로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티어링 조인트(2)는 주로 2개의 축을 서로 경사진 상태에서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데 사용되며, 서로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피보트가능하게 핀연결된 2개의 요크(4, 5)로 이루어져 있다. 요크(4)에는 스티어링 기어와 연결되는 중간축의 스플라인이 형성된 상단부가 삽입고정되며, 요크(5)에는 스티어링 샤프트의 스플라인이 형성된 하단부가 삽입고정된다.
상기 중간축 및 스티어링 샤프트는 강봉으로서 스플라인부를 각 요크(4, 5)에 정확히 삽입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정확히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볼트체결이 가능하여 조립불량을 초래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강봉에 스플라인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프레스가공 후에도 표면 가공등 후가공 공정이 많다. 특히, 중간축을 조인트에 조립하는 곳은 폐달부근에 위치하여 조립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 스티어링 조인트의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중간축을 단부에 스플라인이 형성하지 않으며 조립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의 조인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라, 단면이 ㄷ 자 형태로 절곡된 2개의 조인트 부재를 서로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피보트가능하게 핀결합하고, 상기 조인트부재에 결합되는 샤프트의 단면이 사각형인 단부를 조인트부재의 내측부에 측방으로부터 삽입하여 볼트로 고정하도록 구성된 조인트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을 참구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조인트 구조의 사시도로서, 단면이 ㄷ 자 형태의 2개의 조인트부재(10, 11)를 서로에 대하여 도면에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직각방향으로 피보트 가능하게 핀결합되어 있다. 각 조인트부재(10, 11)의 자유단부에는 볼트체결용 구멍(12, 13)이 형성되어 있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인트부재(10, 11)의 자유단부에 결합되는 중간축(14)과 스티어링 샤프트(15)는 그 단부들이 조인트부재(10, 11)의 내측부에 삽입되도록 사각형의 로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축(14)과 스티어링 샤프트(15)의 각 단부에는 나사홈(16, 17)이 형성되어 조인트부재(10, 11)의 볼트체결용 구멍(12, 13)과 일치하게 배치한 다음 볼트로 체결 고정시킨다.
본 고안에 따라 조인트 부재(10, 11)를 단면이 ㄷ 자 형으로 형성하고 개방된 측부로부터 내측에 삽입되도록 중간축(14)과 스티어링 샤프트(15)를 단면이 사각형인 로드로 형성하여 중간축(14)과 스티어링 샤프트(15)의 단부 조인트 부재(10, 11)의 내측부에 단지 삽입한 다음 볼트로 체결고정함으로써 조립이 완료되므로, 종래 중간축과 스티어링 샤프트에 스플라인부를 가공형성하고 그 스플라인부를 정확히 일치시켜 조립하여야 하는데 따른 문제가 해소되어 가공 및 조립을 매우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종래와 같은 조립불량이 없게 되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조인트에 스티어링 샤프트 및 중간축의 단부를 측방으로 삽입하여 조립하므로 협소한 곳에서도 조립이 용이하다.

Claims (1)

  1. 스티어링샤프트(15)와 중간축(14)을 연결하도록 한 쌍의 조인트부재(10)(11)가 서로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피보트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각 조인트부재(10)(11)의 단면을 'ㄷ'자 형태로 구성하고, 각 조인트부재(10)(11)에 단면을 사각형으로 구성한 스티어링샤프트(15)와 중간축(14)을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구조.
KR2019950033637U 1995-11-15 1995-11-15 조인트 구조 KR01260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3637U KR0126071Y1 (ko) 1995-11-15 1995-11-15 조인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3637U KR0126071Y1 (ko) 1995-11-15 1995-11-15 조인트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2924U KR970022924U (ko) 1997-06-18
KR0126071Y1 true KR0126071Y1 (ko) 1998-09-15

Family

ID=19429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3637U KR0126071Y1 (ko) 1995-11-15 1995-11-15 조인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607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2924U (ko) 1997-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71580A (en) Frame assembly
US4692050A (en) Joint and method of utilizing it
US1460928A (en) Tubular frame
DE10138692B4 (de) Lenkerschalterbefestigungsstruktur
KR0126071Y1 (ko) 조인트 구조
KR200366190Y1 (ko) 조립식 프레임 체결장치
KR200206415Y1 (ko) 침대프레임 연결구
JPH0133388B2 (ko)
US6415682B1 (en) Pedal assembly with wedge fastener
EP0290681B1 (en) Juncture assembly between assemblable elements of a support frame, in particular of a crane
JP3188632B2 (ja) 枠体の組立装置
KR200250676Y1 (ko) 조립식 간이 구조물용 프레임 연결구
JP7456628B2 (ja) パネル連結具、かご車
DE20307465U9 (de) Schutzblechstruktur für Fahrräder
JPH0754664Y2 (ja) ヨークのボルト締結構造
KR200285621Y1 (ko)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이너볼 조인트의 조립구조
KR930005940Y1 (ko) 등나무 회전의자의 연결회전판
KR800001354Y1 (ko) 체결장치
JPS6322326Y2 (ko)
JPH08158540A (ja) 鉄筋用継手装置
KR0153313B1 (ko) 리어 크로스 멤버의 페라리얼 링크 체결구조
KR200147797Y1 (ko) 천정 프레임 연결구
KR920002419Y1 (ko) 조립식 방범창
JP2953333B2 (ja) 部材の結合構造
KR200338314Y1 (ko) 프레임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1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