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7797Y1 - 천정 프레임 연결구 - Google Patents

천정 프레임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7797Y1
KR200147797Y1 KR2019970008233U KR19970008233U KR200147797Y1 KR 200147797 Y1 KR200147797 Y1 KR 200147797Y1 KR 2019970008233 U KR2019970008233 U KR 2019970008233U KR 19970008233 U KR19970008233 U KR 19970008233U KR 200147797 Y1 KR200147797 Y1 KR 2001477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ceiling frame
connecting plate
bent
fram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82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3687U (ko
Inventor
문재성
Original Assignee
문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재성 filed Critical 문재성
Priority to KR20199700082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7797Y1/ko
Publication of KR199800636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6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77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77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12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고안은 천정마감판재를 시공하기 위해서 격자형태로 배열되는 천정 프레임들을 고정시켜 주는 천정 프레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천정 프레임들을 신속 용이하고도 견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고, 제조 비용이 저렴한 천정 프레임 연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3. 고안의 해결 방법의 요지
한쪽 연결판(1a)의 상부탄성각(3)에는 중앙부에 나사구멍(8)을 갖고 내측으로 돌출되어 끝부분이 상단으로 구부러진 너트편(7)이 일체로 형성되고, 다른 한쪽 연결판(1b)의 하부 탄성각(3')에는 중앙부에 요홈(10)을 갖고 내측으로 돌출되어 끝부분이 하단으로 구부러진 밀판(9)이 일체로 형성된 천정 프레임 연결구를 제조한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본고안의 천정 프레임 연결구는 천정 프레임을 격자형태로 배열시 이들 천정 프레임의 고정을 위해 사용된다.

Description

천정 프레임 연결구
본 고안은 건물의 천정 마감판재를 시공하기 위한 천정 프레임을 격자 형태로 고정시켜주는 천정 프레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텍스라고 불리우는 석고보드판과 같은 내화성 천정 마감부재는 건물의 천정에 먼저 격자형태로 가설된 천정 프레임에 고정된다.
천정 프레임들을 격자형태로 가설하기 위해서 천정 프레임 연결구가 사용된다. 현재까지는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 89-7628호에 게재된 천정 프레임 연결구가 많이 사용되어 오고 있다. 상기 천정 프레임 연결구는 중앙 절개부와 원형공을 절취하여 상,하 탄성각을 형성한 한쌍의 연결판의 선단에 절곡편을 형성하고, 절곡편과 탄성각의 경계부 상하에는 프레임 연결시 간섭 방지용 절개흠을 형성하며, 절곡편의 양측단에는 이동용 손잡이를 절곡 형성하고, 상부 탄성각의 선단 저부에는 조임 볼트가 결합되는 나사공이 천설된 너트편을, 하부 탄성각의 선단 상부에는 조임볼트 선단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요흠이 형설된 밀판을 각각 설치한 것이다.
이와같은 종래의 천정 프레임 연결구는 한쌍의 연결판을 효율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별도로 제작된 너트편과 밀판을 사용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상승될 뿐만 아니라, 너트판과 밀판을 상,하부 탄성각에 위치시켜 조립하는 공정이 매우 번거러워 조립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너트편과 밀판을 분리 휴대하므로 분실의 위험도 높다.
이와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서 상기 동 실용신안에서는 연결판과 별도로 제작된 너트편과 밀판의 일측을 연결판의 상,하부 탄성각에 용접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지만, 이와같은 방안 역시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본고안자는 이와같은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예의 검토한 결과, 별도 제작되어 연결판과 분리된 상태에서 사용되거나 연결판에 용접되어 사용하는 너트편 및 밀판 대신에, 프레스 가공시 연결판과 너트편 또는 밀판을 일체로 제작한 천정 프레임 연결구를 제공하므로서 천정 프레임을 신속,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도 절감하고자 한다.
제1도는 본고안에 의한 연결구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고안에 의한 연결구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1b : 연결판 2 : 절개부
3, 3' : 상하부 탄성각 4, 4' : 절곡편,
5, 5' : 안내홈 6 : 조임볼트
6' : 조임볼트의 선단부 7 : 너트편
8 : 나사구멍 9 : 밀판
10 : 요홈 100 : 천정 프레임
101, 102 : 천정 프레임의 상하부 걸림홈
본고안은 건물의 천정 마감판재를 시공하기 위해 천정 프레임을 격자 형태로 배열시킬때 상기 천정 프레임들을 고정시켜 주는 천정 프레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고안은 한쪽 연결판(1a)의 상부 탄성각(3)에는 중앙부에 나사구멍(8)을 갖고 내측으로 돌출되어 끝부분이 상단으로 구부러진 너트편(7)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한쪽 연결판(1b)의 하부 탄성각에는 중앙부에 요홈(10)을 갖고 내측으로 돌출되어 끝부분이 하단으로 구부러진 밀판(9)이 형성된 천정 프레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고안을 도면 제1도 내지 제3도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고안의 천정 프레임 연결구는 한쌍의 연결판(1a),(1b)에 한쪽이 개방된 절개부(2)를 형성하여서 자유단인 상,하부 탄성각(3),(3')을 형성한다. 상,하부 탄성각(3),(3')의 단부를 외측으로 절곡시켜서 통상의 천정 프레임(100)에 있는 상,하부 걸림홈(101),(102) 사이에 끼워질 수 있는 절곡편(4),(4')을 형성한다. 이들 절곡편(4),(4')과 상,하부 탄성각(3),(3')의 경계부 위, 아래에는 천정 프레임(100)에 끼워진 연결판(1a),(1b)을 천정 프레임 길이방향으로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해주는 안내홈(5)(5')이 형성되어 있다. 상,하부 탄성각의 단부에 있는 절곡편(4),(4')은 조임볼트(6)에 의해서 천정 프레임(100)의 상,하부 걸림홈(101),(102)과 밀착되어 진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고안의 천정 프레임 연결구의 구조는 이미 공지이다.
그러나 본고안의 천정 프레임 연결구는 앞에서 설명한 공지의 구조와 함께 다음과 같은 새로운 구조(특징)를 갖는다. 즉 한쪽 연결판(1a)의 상부 탄성각(3)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돌출부의 끝부분이 상단 방향으로 구부러진 너트 편(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너트편(7)의 중앙부에는 나사구멍(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다른 한쪽 연결판(1b)의 하부 탄성각(3')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돌출부 끝부분이 하단 방향으로 구부러진 밀판(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밀판(9)의 중앙에는 조임 볼트의 선단부(6') 이탈을 방지하는 요홈(10)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본고안의 천정 프레임 연결구에는 상기 너트편(7)과 밀판(9)이 프레스 가공시 상,하부 탄성각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간소화되어 제조 비용이 절감되며, 천정 프레임들을 격자형태로 신속,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본고안의 천정 프레임 연결구를 사용하여 천정 프레임을 조립시 한쪽 연결판(1a)의 상부 탄성각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너트편(7) 중 상단 방향으로 구부러진 끝부분은 다른 한쪽 연결판(1b)의 상부 탄성각을 파지하게 되며, 다른 한쪽 연결판(1b)의 탄성각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밀판(9) 중 하단 방향으로 구부러진 끝부분은 연결판(1a)의 하부 탄성각을 파지하게 된다.
조임볼트(6)에 의해 예비조립된 한쌍의 연결판(1a),(1b)은 제2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서로 직교하는 천정 프레임(100)에 조립된다. 즉 연결판(1a),(1b)을 하나의 천정 프레임의 상,하부 걸림홈(101),(102) 사이에 끼운후, 연결판 중 절곡편(4),(4')을 다른 하나의 천정 프레임의 상하부 걸림홈(101),(102)에 끼우면 여러개의 천정 프레임들이 격자 형태로 연결된다.
그 다음으로 조임볼트(6)를 세게 조여주면 너트편(7)과 밀판(9) 사이가 벌어 지게 되어 제3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천정 프레임에 끼워진 연결판(1a),(1b) 및 절곡편(4),(4')들이 천정 프레임의 상,하부 걸림홈(101),(102)과 밀착하게 된다. 그 결과 서로 직교하는 여러 천정 프레임이 견고하게 고정된다.
본고안의 천정 프레임 연결구는 한쪽 연결판(1a)의 상부 탄성각(3)에는 너트편(7)을, 다른 한쪽 연결판(1b)의 하부 탄성각(3')에는 밀판(9)을 프레스 가공시 일체로 형성시키므로서, 천정 프레임 연결구의 제조공정이 간소화되어 제조원가가 저렴하고, 천정 프레임들을 신속, 용이하고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별개로 분리된 너트편(7) 및 밀판(9)을 사용하지 않아서 이들의 분실 위험도 없다.

Claims (1)

  1. 한쌍의 연결판(1a),(1b)에 절개부(2)를 형성하여 상,하부 탄성각(3)(3')을 형성하고, 상,하부 탄성각(3),(3')의 단부를 외측으로 절곡하여 천정 프레임(100)의 상,하부 걸림홈(101),(102)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절곡편(4)(4')을 형성하고, 이들 절곡편(4),(4')들과 상,하부 탄성각(3)(3')의 경계부 위아래에는 연결판(1a),(1b)을 천정 프레임 길이방향으로 이동 할 수 있도록 하는 안내홈(5),(5')을 형성하고, 조임볼트(6)에 의해 상기 연결판(la),(1b)과 절곡편(4),(4')이 천정 프레임의 상,하부 걸림홈(101),(102)과 밀착되는 천정 프레임 연결구에 있어서, 한쪽 연결판(1a)의 상부 탄성각(3)에는 중앙부에 나사구멍(8)을 갖고 내측으로 돌출되어 끝부분이 상단 방향으로 구부러진 너트편(7)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한쪽 연결판(1b)의 하부 탄성각(3')에는 중앙부에 요홈(10)을 갖고 내측으로 돌출하여 끝부분이 하단 방향으로 구부러진 밀판(9)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프레임 연결구.
KR2019970008233U 1997-04-19 1997-04-19 천정 프레임 연결구 KR2001477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8233U KR200147797Y1 (ko) 1997-04-19 1997-04-19 천정 프레임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8233U KR200147797Y1 (ko) 1997-04-19 1997-04-19 천정 프레임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687U KR19980063687U (ko) 1998-11-25
KR200147797Y1 true KR200147797Y1 (ko) 1999-06-15

Family

ID=19499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8233U KR200147797Y1 (ko) 1997-04-19 1997-04-19 천정 프레임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779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687U (ko) 1998-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23425A (en) Beam assembly
KR200147797Y1 (ko) 천정 프레임 연결구
KR200428109Y1 (ko) 220볼트 콘센트의 접지 단자 접속 구조
RU2063158C1 (ru) Панель
KR200419194Y1 (ko) 220볼트 콘센트의 접지 단자 접속 구조
CN214532510U (zh) 一种装配式墙体和门框的安装结构
KR102505970B1 (ko) 경량철골용 사각파이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사각 파이프 연결방법
KR940001998Y1 (ko) 가구용모서리부의연결구
CN210737777U (zh) 一种装配式钢结构房屋
KR200183394Y1 (ko) 끼움홈이 형성된 프레임과 브라켓트의 상호 체결구조
JPS6237859Y2 (ko)
KR200156121Y1 (ko) 꺽임천정용 바 결합구
WO2002018724A8 (fr) Assemblage d'elements verriers
CN211369171U (zh) 一种装配式卫浴用的子母扣阴角连接结构
CN217998418U (zh) 一种墙体连接用底座及墙体连接结构
JPS6314333Y2 (ko)
KR200358370Y1 (ko) 창호프레임
JP2009209537A (ja) 建築部材用固定具
KR20220163725A (ko) 3면삽입마개를 이용한 결합구조를 갖는 케이블 트레이
KR200143604Y1 (ko) 꺽임천정용 바 결합구
KR20010094277A (ko) 안경 경첩
KR200207599Y1 (ko) 케이블 설치용 트레이
KR0136994Y1 (ko) 라디에이터용 조립식 방열판
JP3248356B2 (ja) 格 子
KR200163075Y1 (ko) 단열재가 삽입된 스터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