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5907Y1 - 마이크로 컴퓨터의 전압 안정화 회로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컴퓨터의 전압 안정화 회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5907Y1
KR0125907Y1 KR92016943U KR920016943U KR0125907Y1 KR 0125907 Y1 KR0125907 Y1 KR 0125907Y1 KR 92016943 U KR92016943 U KR 92016943U KR 920016943 U KR920016943 U KR 920016943U KR 0125907 Y1 KR0125907 Y1 KR 01259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computer
resistor
transistor
overvoltage
low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69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8367U (ko
Inventor
김계환
Original Assignee
이헌조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헌조,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헌조
Priority to KR920169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5907Y1/ko
Publication of KR9400083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83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59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59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0Means for acting in the event of power-supply failure or interruption, e.g. power-supply fluctu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2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도 가열 조리기에서 저전압 또는 과전압 인가시 마이크로 컴퓨터를 보호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의 전압 안정화 회로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저전압, 과전압 보호장치가 따로 설계되어 있어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제어하기가 복잡하고, 과전압 인가시에는 마이크로 컴퓨터는 정상적으로 동작하면서 단지 버너쪽으로 출력을 내보내는 것을 차단하여 마이크로 컴퓨터의 주변 회로에서는 계속 전류를 소모하게 되며, 과전압 인가시 마이크로 컴퓨터는 이를 인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저전압과 과전압을 마이크로 컴퓨터의 한 포트로 감지하여 인식함으로써 마이크로 컴퓨터의 제어동작을 안정화시키고, 과전압 인가시 마이크로 컴퓨터가 정전모드로 되기 때문에 모든 출력포트를 오프시켜 전류소모를 극소화시키며, 저전압 인가시 히스테리시스가 발생하여 팬모터를 구동시키는 릴레이의 수명을 보호하고, 순간 정전시 마이크로 컴퓨터가 정전모드로 되어 전류의 소모를 극소화시키기 때문에 순간 정전시 마이크로 컴퓨터의 리세트 동작이 지연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유도 가열 조리기 및 전원감지 회로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이크로 컴퓨터의 전압 안정화 회로
제1도는 종래 마이크로 컴퓨터의 전압 안정화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 마이크로 컴퓨터의 전압 안정화 회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 예시도.
제4도는 제2도에 대한 동작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마이크로 컴퓨터 2:저전압 보호부
T1:트랜스 포머 3:과전압 보호부
PC1:포토 커플러 ZD1,ZD2:제너 다이오드
K:저전압 감지포트 F:과전압 감지포트
In:입력포트
본 고안은 유도 가열 조리기에 있어서 과전압, 저전압 인가시 마이크로 컴퓨터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과전압, 저전압 인가시 마이크로 컴퓨터의 정상 동작을 차단하거나 또는 정전모드로 들어가 마이크로 컴퓨터의 정상 데이타를 저장하고 휴지(Idle)상태로 있다가 전원이 인가되면 마이크로 컴퓨터를 정상적으로 동작시키는데 적당하도록 한 마이크로 컴퓨터의 전압 안정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 마이크로 컴퓨터의 전압 안정화 회로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전체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 컴퓨터(10)와, 그 마이크로 컴퓨터(10)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전압 검출부(20)와,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0)에 저전압 인가시 회로를 보호하기 위한 저전압 보호장치(30)와,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0)에 과전압 인가시 회로를 보호하기 위한 과전압 보호장치(4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압 검출부(20) 마이크로 컴퓨터(10)의 출력 인에이블 포트(EN)가 저항(R60)을 통해 직렬 접속된 다이오드(D20) 및 저항(R70)을 통해 트랜지스터(Q30)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트랜지스터(Q30)의 공통 베이스는 저항(R80)을 통해 트랜지스터(Q30)의 에미터와 공통 접지되며, 트랜지스터(Q30)의 콜렉터는 포토 커플러(PC10) 및 접지저항(R90)을 통해 마이크로 컴퓨터(10)의 출력포트(out)에 접속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저전압 보호장치(30)는 트랜스 포머(T10)의 이차측(T12) 전원이 직렬 접속된 제너 다이오드(ZD10) 및 다이오드(D10) 그리고 저항(R10)을 통해 에미터 접지시킨 트랜지스터(Q10)의 베이스에 접속됨과 아울러 병렬 접속된 저항(R20) 및 콘덴서(C30)에 접속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10)의 콜렉터는 저항(R30)을 통해 전원단자(Vcc)에 접속됨과 아울러 접지 콘덴서(c20)를 통해 마이크로 컴퓨터(10)의 저전압 감지포트(K)에 접속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과전압 보호장치(40)는 트랜스 포머(T10)의 이차측(T12) 전원이 브릿지 다이오드(BD10) 및 레귤레이터를 거쳐 저항(R40) 및 제너 다이오드(ZD20)를 통해 에미터 접지시킨 트랜지스터(Q20)의 베이스에 접속됨과 아울러 병렬 접속된 저항(R50) 및 콘덴서(C40)에 접속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20)의 콜렉터는 저항(R60)을 통해 마이크로 컴퓨터(10)의 출력 인에이블 포트(EN)에 접속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마이크로 컴퓨터의 전압 안정화 회로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저전압 보호장치(30)는, 트랜스 포머(T10)의 2차측(T12)전원이 저전압일 경우 제너 다이오드(ZD10)를 통과하지 못하므로 제너 다이오드(ZD10)의 턴-오프에 의해 트랜지스터(Q10)의 베이스에 로우전위가 인가되어 전원(Vcc)이 인가되더라도 트랜지스터(Q10)는 오프됨으로써 구형파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마이크로 컴퓨터(10)의 저전압 감지포트(K)에서는 정전으로 인식하여 동작하지 않게된다.
한편, 과전압 보호장치(40)는 트랜스 포머(T10)의 2차측(T12) 전원이 과전압일 경우, 저항(R40)을 통해 제너 다이오드(ZD20)를 통과하여 트랜지스터(Q20)의 베이스에 인가되고, 버너가 동작중이면 마이크로 컴퓨터(10)의 출력 인에이블 포트(EN)의 출력 신호가 하이로 저항(R60)을 통해 트랜지스터(Q20)의 콜렉터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20)를 턴-온시킨다.
따라서, 다이오드(D20) 및 저항(R70)을 통해 트랜지스터(Q30)의 베이스에 로우전위가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30)를 턴-오프 시킴으로써 포토 커플러(PC10)를 구동시키지 못해 마이크로 컴퓨터(10)의 출력신호가 버너쪽으로 전달되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마이크로 컴퓨터의 전압 안정화 회로는 저전압 보호 장치와 과전압 보호장치가 따로 설계되어 있어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제어하기 복잡하고, 또한 과전압 인가시에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정상적으로 동작하면서 단지 버너쪽으로 출력을 내보내는 것만 차단하기 때문에 마이크로 컴퓨터의 주변 회로에서는 계속 전류를 소모하게 되며, 과전압 인가시 마이크로 컴퓨터에서는 과전압을 인지하지 못하고, 저전압 인가시 히스테리시스가 발생하여 팬모터를 구동시키는 릴레이를 빈번하게 온/오프 함으로써 릴레이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저전압, 과전압을 마이크로 컴퓨터의 한 포트로 감지하여 마이크로 컴퓨터의 제어 동작을 차단함으로써 전체 회로 동작을 안정화할 수 있는 마이크로 컴퓨터의 전압을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마이크로 컴퓨터의 전압 안정화 회로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랜스 포머(T1)의 2차측(T12) 전원이 직렬 접속한 제너 다이오드(ZD1) 및 다이오드(D1)를 통해 저항(R1)에 접속하고, 상기 저항(R1)은 병렬 접속한 접지저항(R2) 및 접지콘덴서(C1)에 접속함과 아울러 에미터 접지시킨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접속하며,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는 저항(R3)을 통해 전원단자(Vcc)에 접속함과 아울러 접지콘덴서(C2)를 통해 마이크로 컴퓨터(1)의 저전압 감지포트(K)에 접속한 저전압 보호부(2)와, 상기 저전압 보호부(2)의 다이오드(D1)에 접속한 제너 다이오드(ZD2)는 병렬 접속한 접지저항(R4) 및 접지콘덴서(C3)를 통해 에미터 접지시킨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접속하며,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는 저항(R5)을 통해 전원단자(Vcc)에 접속함과 아울러 접지콘덴서(C4)를 통해 마이크로 컴퓨터(1)의 과전압 감지포트(F)에 접속한 과전압 보호부(3)로 구성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랜스 포머(T1)의 2차측(T12) 전원이 직렬 접속한 다이오드(D11) 및 제너 다이오드(ZD11)를 통해 저항(R11)에 접속하고, 상기 저항(R11)은 에미터 접지시킨 트랜지스터(Q11)의 베이스에 접속함과 아울러 접지저항(R12)에 접속하며, 트랜지스터(Q11)의 콜렉터는 저항(R13)을 통해 전원단자(Vcc)에 접속함과 아울러 다이오드(D12)를 통해 저항(R14)에 접속하고, 상기 저항(R14)은 병렬 접속한 접지콘덴서(C11) 및 접지저항(R15)을 통해 마이크로 컴퓨터(1)의 입력포트(In)에 접속한 저전압 보호부(12)와, 상기 저전압 보호부(12)의 제너 다이오드(ZD11)에 접속한 제너 다이오드(ZD12)는 저항(R16)을 통해 에미터 접지시킨 트랜지스터(Q12)의 베이스에 접속하고, 트랜지스터(Q13)의 콜렉터는 저항(R17)을 통해 전원단자(Vcc)에 접속함과 아울러 에미터 접지시킨 트랜지스터(Q13)의 베이스에 접속하며, 트랜지스터(Q13)의 콜렉터는 저항(R18)을 통해 전원단자(Vcc)에 접속함과 아울러 다이오드(D13)에 접속한 과전압 보호부(13)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마이크로 컴퓨터의 전압 안정화 회로에서 저전압 인가시에는 제너 다이오드(ZD1)를 통과하지 못하므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로우 전위가 걸려, 직류전압(Vcc)이 걸려 있다 하더라도 트랜지스터(Q1)가 턴-오프되므로, 직류전압(Vcc)이 저항(R3) 및 접지콘덴서(C2)를 통해 마이크로 컴퓨터(1)의 저전압 감지포트(K)로 입력된다.
이때 마이크로 컴퓨터(1)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전압 감지포트(K)가 하이로 인식되면 펄스 구형파인가를 판별하여 펄스 구형파인 경우 마이크로 컴퓨터(1)는 정상 동작하고, 펄스 구형파가 아닌 경우 마이크로 컴퓨터(1)는 정전 모드로 들어가 정상 상태전의 데이타를 저장한후 마이크로 컴퓨터(1)의 모든 출력 포트를 오프시켜 휴지(IDLE) 상태로 유지하고 있다가 정상적인 전원이 다시 입력되면 입력된 전압은 제너 다이오드(ZD1)는 통과하고 제너 다이오드(ZD2)는 통과하지 못하므로, 제너 다이오드(ZD1)를 통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며 트랜지스터(Q1)를 턴-온 시킴으로써 직류전압(Vcc)이 저항(R3) 및 트랜지스터(Q1)를 통해 그라운드(GND)에 접지되므로 마이크로 컴퓨터(1)의 저전압 감지포트(K)는 로우가 되고, 마이크로 컴퓨터(1)에서는 정전상태 모드의 전상태로 돌아가 계속적으로 정상 동작하며, 또한 전원 감지포트(K)가 계속 로우 상태일 경우 마이크로 컴퓨터(1)를 리세트시킨다.
히스테리시스 발생시 정전 모드에서 나올때 팬모터 구동 릴레이를 소정시간(2초) 동작시켜 마이크로 컴퓨터(1)를 정상 동작시킨다.
한편 트랜스 포머(T1)의 2차측(T12) 전원에 과전압이 인가되면, 이 전압은 제너 다이오드(ZD1) 및 다이오드(D1)를 통해 제너 다이오드(ZD2)를 도통시켜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인가되고, 이때 직류전압(Vcc)이 저항(R5)을 통해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에 인가되면 트랜지스터(Q2)가 턴-온되어 마이크로 컴퓨터(1)의 과전압 감지포트는 로우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마이크로 컴퓨터(1)가 과전압을 인지하면 마이크로 컴퓨터(1)는 정전모드가 되어 모든 출력 포트를 차단함으로써 마이크로 컴퓨터(1) 주변회로에서 소비하는 전류가 최소로 되도록 제어한다.
본 고안은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저전압 인가시 트랜스 포머(T1)의 2차측(T12) 전원이 제너 다이오드(ZD11)를 통과하지 못해 트랜지스터(Q11)의 베이스에 로우 전위가 걸려 트랜지스터(Q11)가 턴-오프 되므로 직류전압(Vcc)이 저항(R13) 및 다이오드(D12)를 거쳐 마이크로 컴퓨터(1)의 입력포트(In)로 들어간다.
또한 과전압 인가시에는 트랜스 포머(T1)의 2차측(T12) 전원이 다이오드(D11)를 통해 제너 다이오드(ZD11) 및 제너 다이오드(ZD12)를 통과하여 저항(R16)을 통해 트랜지스터(Q12)의 베이스에 인가되고, 이때 직류전압(Vcc)이 저항(R17)을 통해 트랜지스터(Q12)의 콜렉터에 인가되면 트랜지스터(Q12)가 턴-온되어 트랜지스터(Q13)의 베이스는 로우 전위가 됨으로써, 트랜지스터(Q13)가 턴-오프 되어 직류전압(Vcc)이 저항(R18) 및 다이오드(D13)를 통해 마이크로 컴퓨터(1)의 입력포트(In)에 인가된다.
한편, 정상적인 전원 즉, 제너 다이오드(ZD11)는 통과하고 제너 다이오드(ZD12)는 통과하지 못하는 전원이 인가되면, 트랜스 포머(T1)의 2차측(T12) 전원은 제너 다이오드(ZD11) 및 저항(R11)을 통해 트랜지스터(Q11)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11)를 턴-온 시킴으로써 직류전압(Vcc)이 저항(R13) 및 트랜지스터(Q11)를 통해 그라운드(GND)에 접지되고, 제너 다이오드(ZD12)의 턴-오프에 의해 트랜지스터(Q12)가 턴-오프되어 직류전압(Vcc)이 트랜지스터(Q13)의 베이스에 인가됨으로써 트랜지스터(Q13)가 턴-온되어 직류전압(Vcc)이 저항(R18) 및 트랜지스터(Q13)를 통해 그라운드(GND)에 접지되어 마이크로 컴퓨터(1)의 입력포트(In)에 로우전위가 인가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과전압과 저전압을 마이크로 컴퓨터의 한 포트로 감지하여 인식하기 때문에 마이크로 컴퓨터의 제어동작을 안정화할 수 있고, 과전압 인가시 마이크로 컴퓨터가 정전모드로 되어 모든 출력 포트를 오프시킴으로서 불필요한 전류 소모를 방지하며, 저전압 인가시 히스테리시스가 발생하여 팬모터를 구동하는 릴레이의 수명을 보호할 수 있고, 순간 정전시 마이크로 컴퓨터가 정전모드로 동작하여 전류 소모를 극소화시키기 때문에 마이크로 컴퓨터가 리세트되는 것을 지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트랜스 포머(T1)의 2차측(T12) 전원이 직렬 접속한 제너 다이오드(ZD1) 및 다이오드(D1)를 통해 저항(R1)에 접속하고, 상기 저항(R1)은 병렬 접속한 접지저항(R2) 및 접지콘덴서(C1)에 접속함과 아울러 에미터 접지시킨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접속하며,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는 저항(R3)을 통해 전원단자(Vcc)에 접속함과 아울러 접지콘덴서(C2)를 통해 마이크로 컴퓨터(1)의 저전압 감지포트(K)에 접속한 저전압 보호부(2)와, 상기 저전압 보호부(2)의 다이오드(D1)에 접속한 제너 다이오드(ZD2)는 병렬 접속한 접지저항(R4) 및 접지콘덴서(C3)를 통해 에미터 접지시킨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접속하며,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는 저항(R5)을 통해 전원단자(Vcc)에 접속함과 아울러 접지콘덴서(C4)를 통해 마이크로 컴퓨터(1)의 과전압 감지포트(F)에 접속한 과전압 보호부(3)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의 전압 안정화 회로.
  2. 트랜스 포머(T1)의 2차측(T12) 전원이 직렬 접속한 다이오드(D11) 및 제너 다이오드(ZD11)를 통해 저항(R11)에 접속하고, 상기 저항(R11)은 에미터 접지시킨 트랜지스터(Q11)의 베이스에 접속함과 아울러 접지저항(R12)에 접속하며, 트랜지스터(Q11)의 콜렉터는 저항(R13)을 통해 전원단자(Vcc)에 접속함과 아울러 다이오드(D12)를 통해 저항(R14)에 접속하고, 상기 저항(R14)은 병렬 접속한 접지콘덴서(C11) 및 접지저항(R15)을 통해 마이크로 컴퓨터(1)의 입력포트(In)에 접속한 저전압 보호부(12)와, 상기 저전압 보호부(12)의 제너 다이오드(ZD11)에 접속한 제너 다이오드(ZD12)는 저항(R16)을 통해 에미터 접지시킨 트랜지스터(Q12)의 베이스에 접속하고, 트랜지스터(Q12)의 콜렉터는 저항(R17)을 통해 전원단자(Vcc)에 접속함과 아울러 에미터 접지시킨 트랜지스터(Q13)의 베이스에 접속하며, 트랜지스터(Q13)의 콜렉터는 저항(R18)을 통해 전원단자(Vcc)에 접속함과 아울러 다이오드(D13)에 접속한 과전압 보호부(13)로 구성함을 특징을 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의 전압 안정화 회로.
KR92016943U 1992-09-05 1992-09-05 마이크로 컴퓨터의 전압 안정화 회로 KR01259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6943U KR0125907Y1 (ko) 1992-09-05 1992-09-05 마이크로 컴퓨터의 전압 안정화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6943U KR0125907Y1 (ko) 1992-09-05 1992-09-05 마이크로 컴퓨터의 전압 안정화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8367U KR940008367U (ko) 1994-04-18
KR0125907Y1 true KR0125907Y1 (ko) 1998-09-15

Family

ID=19339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6943U KR0125907Y1 (ko) 1992-09-05 1992-09-05 마이크로 컴퓨터의 전압 안정화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590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6760A (ko) * 1997-08-19 1999-03-15 윤종용 로직 전원 보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8367U (ko) 1994-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88237B2 (ja) モータ制御回路の過電流保護
US20080048504A1 (en) Paper-breaker touching safety protector
KR20030077051A (ko) 차량용 센서의 보호장치
KR0125907Y1 (ko) 마이크로 컴퓨터의 전압 안정화 회로
JPH07227038A (ja) 負荷駆動回路
KR100189890B1 (ko) 과전류 차단 대전류 출력 기기 보호 장치
KR0115906Y1 (ko) 세탁기의 세탁모터 오동작 방지회로
US5235265A (en) Multi-level motor load sensing circuit
JP2886398B2 (ja) ステッピングモ−タの駆動装置
US7199539B2 (en) Motor soft start controller
KR100625171B1 (ko) 과전류 방지 장치
KR900009468Y1 (ko) 과부하시 전원 차단회로
KR930001255Y1 (ko) 과전류 검출 및 보호회로
KR0128224Y1 (ko) 무접점 계전기의 전류 리미터회로
KR200334580Y1 (ko) 절전형 멀티탭 콘센트
KR200144600Y1 (ko) 과전류 보호부를 구비하는 게이트 구동회로
KR910004028Y1 (ko) 이상전압 검출 제어회로
KR0123967Y1 (ko) 전원공급장치의 경보회로
KR930000451Y1 (ko) 포토 커플러(Photo Coupler)를 이용한 수평발진 제어회로
KR0117779Y1 (ko) 과전압 감지 전원회로
KR940008906B1 (ko) 전원공급회로
KR100193870B1 (ko) 히터램프 제어회로.
KR0120400Y1 (ko) 모터 드라이브 회로
KR860002286Y1 (ko) 과전압 보호 회로
KR940001421Y1 (ko) 연소기의 이상상태 검지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