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5269B1 - 취출로보트의 콘트롤 박스 조작 장치 - Google Patents

취출로보트의 콘트롤 박스 조작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5269B1
KR0125269B1 KR1019940018728A KR19940018728A KR0125269B1 KR 0125269 B1 KR0125269 B1 KR 0125269B1 KR 1019940018728 A KR1019940018728 A KR 1019940018728A KR 19940018728 A KR19940018728 A KR 19940018728A KR 0125269 B1 KR0125269 B1 KR 0125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put
switch
output
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8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3902A (ko
Inventor
한성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40018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5269B1/ko
Publication of KR960003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5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52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6Control stands, e.g. consoles, switch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 Numerical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트롤 박스의 스위치 입력을 안정되게 하여 취출로보트 동작의 안정성과 고장시 수리(A/S)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취출로보트 콘트롤 박스 조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취출로보트를 수동으로 동작을 지시하는 지시스위치(22)와 자동으로 동작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 스위치(21)로 사용되는 동작 스위치(20)와 별도의 조작스위치(10)를 두 입력단에 모두 하이신호가 입력되어야 하이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입력판단부(30)와 취출로보트 자동 동작시 3모드(M1-M3)중 1개를 선택하여 하이신호를 출력하는 모드선택부(40)와 하이신호에 의해 선택된 발광다이오드(LED1-LED3)를 점등시키고, 출력 신호를 일정레벨(예 : 24V)로 변환하는 릴레이(RY)로된 신호표시 및 변환부(50)와 수리(A/S)시 조작판넬 이탈을 용이하게 하는 콘넥터(50')를 통해 통상의 PLC(60)에 연결되게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취출로보트의 콘트롤 박스 조작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구성 블록도.
제2도의 (a)도는 동작 스위치가 모드 선택 스위치 일때의 회로도이고,
(b)도는 동작 스위치가 일반지시 스위치 일때의 회로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조작스위치 20 : 동작스위치
21 : 모드선택 스위치 22 : 지시스위치
30 : 동시입력 판단부 40 : 모드선택부
41, 42 : 플립플롭 43 : 앤드회로
50 : 신호표시 및 변환부 50' : 콘넥터
60 : PLC(Programmabe Logic Controller) RY1-RY4: 릴레이
LED1-LED4: 발광다이오드 R1-R4: 저항
본 발명은 사출기로 제품을 취출하기 위한 로보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트롤 박스에 조작스위치를 추가하여 조작스위치가 온 상태에서 다른 동작 스위치입력이 콘트롤러에 입력되도록 함으로써 스위치 입력을 안정되게 하여 취출로보트 동작의 안정성을 높이고, 콘트롤 박스와 콘트롤러 사이에 콘넥터를 설치하여 고장시 수리(A/S)를 용이하게 하는 취출로보트 콘트롤 박스 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취출로보트는 조작 패널상에 선택스위치 또는 푸쉬버튼, 토글스위치 등을 설치하여 상기 스위치의 입력상태에 따라 메인 콘트롤러인 PLC에 정보가 입력되어 취출로보트가 동작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스위치들의 정보입력 방법은 두 접점간 또는 다수의 접점사이를 기계장치로 잇거나 끊어줌으로써 동작하기 때문에 외부의 물리적인 힘에 의해서 스위치가 쉽게 동작한다.
생산작업 현장에는 많은 장비 및 기구들이 이동되는데, 이러한 방지 및 기구들이 이동중에 조작판넬에 강한 충격을 가하게 되면 사용자가 선택하지 않은 임의의 접점사이가 이어져서 원하지 않는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외부의 충격에 의해 임의의 접점이 이어지더라도 메인콘트롤러에 동작신호가 입력되지 않도록하여 오동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한 조작 판넬 고장시에도 각각의 스위치에서 PLC까지 바로 배선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콘트롤 박스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리(A/S)를 해야 되는 불편함이 발생되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조작스위치(10)를 추가로 설치하여, 조작스위치가 온상태에 있을 때, 동작스위치의 신호가 콘트롤러에 입력되어 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함으로써 외부충격에 의한 오동작 입력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LED1-LED4)를 사용하여 선택된 모드를 사용자가 쉽게 알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PLC(60)입력부와 콘트롤 박스 사이에 콘넥터(50')를 설치하여 수리(A/S)시에 콘넥터를 분리하여 조작판넬을 쉽게 수리할 수 있게 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취출로보트를 수동으로 동작을 지시하는 지시스위치(22)와 자동으로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 스위치(21) 등을 구비하는 동작스위치(20)와, 상기 조작스위치(10)와 동작스위치(20)로부터 그 입력단에 모두 하이신호가 입력되어야 하이신호를 출력하는 동시 입력 판단부(30)와, 상기 동시 입력 판단부(30)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카운트하여 취출로보트 자동 동작 3모드(M1-M3)중 1개를 선택하여 하이신호를 출력하는 모드선택부(40)와, 상기 모드선택부(4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다수의 발광다이오드(LED1-LED3)와 여기 상태가 되어 출력신호를 일정레벨(예 : 24V)로 변환하는 릴레이(RY)로 구성된 신호표시 및 변환부(50)와, 수리(A/S)시 조작판넬이탈이 용이하게 하는 콘넥터(50')와 상기 취출로보트를 제어하는 메인콘트롤러인 PLC(60)로 구성한다.
상기 동시 입력 판단부(30)는 동작스위치(20)가 취출로보트를 수동모드로 작동시키기 위해 지시스위치(22)로 사용할 때, 제2도(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드선택부(40)를 통과하지 않고 신호 표시 및 변환부(50)와 콘넥터(50')를 통해 PLC(60)에 연결되게 구성한다.
상기 모드선택부(40)는 J.K단자에 하이/하이 신호가 인가되면 이전의 상태에서 원하는 모드로 바뀌는 플립플롭(41), (42)과 모든 입력단에 하이신호가 입력되면 하이신호를 출력하는 앤드회로(43)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콘트롤박스에는 조작스위치(10)가 설치되며, 취출로보트의 동작 신호를 인가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조작스위치(10)와 동작스위치(20)를 동시에 눌러야 PLC(60)에 작동 신호가 입력되어진다.
즉 조작스위치(10)가 하이이고, 동작스위치(20)중 모드 선택 스위치(21) 또는 지시스위치(22)가 하이이어야만 동시 입력 판단부(30)에서 논리곱하여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이를 도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표 1]
따라서 제2도의 (a)도와 같이 동작스위치(20)중의 모드선택 스위치(21)와 조작스위치(10)가 눌러져 동시 입력 판단부(30)에서 입력되어 논리곱된다.
논리곱 결과 동시 입력 판단부(30)에서 하이신호가 출력되면 모드선택부(40)의 플립플롭(41), (42)의 클럭(CLK)단자에 입력되어 카운트된다. 카운트 결과, 플립플롭(41)의 출력(Q)이 하이로 되면 선택모드(M1-M3)중 1개(예 : M1) 선택되며, 이것을 M2모드로 변경하고자 할 때에는 사용자가 동작스위치(20)의 모드선택 스위치와 조작스위치(10)를 동시에 한번 더 누르면 하이신호가 플립플롭(41), (42)의 클럭(CLK)단자에 입력되어 카운트됨으로써, 플립플롭(41)의 출력(Q)이 로우로 되고, 플립플롭(42)의 출력이 하이로 되어 동작스위치(20)중의 다른 스위치가 눌려지면 상기와 같은 동작으로 M3모드가 선택된다.
이상과 같이 PLC(60)에 신호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조작스위치(10)가 온 상태에서 동작스위치(20)중의 어느 한 스위치가 온 상태로 되어야 동시 입력 판단부(30)를 통하여 신호가 출력되기 때문에, 종전과 같이 콘트롤 박스에 충격이 가해져 동작스위치(20)중의 한 스위치가 오동작 하더라도 오동작 신호가 동시 입력 판단부(30)를 통과하지 못한다.
이와 같이 하여 모드선택부(40)에서 하이신호가 출력되어 신호 표시 및 변환부(50)에 인가되고, 발광다이오드(LED2)를 점등시킨다.
발광다이오드(LED2)의 점등에 의해 취출로보트 동작이 자동모드(M2)로 선택되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림과 아울러 릴레이 (RY2)를 구동시켜 출력신호를 일정 레벨로 변환하여 접점단자를 온시키므로서 콘넥터(50')를 통해 PLC(60)의 입력단(M2)으로 취출로보트의 동작신호를 입력한다.
또한 제2도의 (b)도와 같이 동작스위치(20)중의 지시스위치(22)와 조작스위치(10)가 눌러졌으면 동시 입력 판단부(30)에서 출력되는 하이신호는 신호 표시 및 변환부(50)의 발광다이오드(LED2)를 점등시켜 사용자에게 취출로보트 동작을 수동으로 지시함을 알리고, 릴레이(RY4)를 구동시켜 출력신호를 일정레벨로 변환하여 접점단자를 온시키므로 콘넥터(50')를 통해 PLC(60)의 입력단으로 취출로보트의 동작 신호를 입력한다.
또한 PLC(60)와 신호 표시 및 변환부(50) 사이에 콘넥터(50')를 설치하며, 고장 수리시 조작스위치(10), 동작스위치(20), 동시 입력 판단부(30), 모드선택부(40) 및 신호 표시 및 변환부(50)를 포함하는 콘트롤 박스와 PLC(60)를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콘트롤 박스가 PLC(60)에 연결된 상태에서 고장수리를 하였기 때문에, 고장수리 작업자의 사소한 실수에 의해 PLC(60) 접점으로 오동작 명령신호가 입력되어 취출로보트가 동작하여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조작스위치를 설치하고, 그 조작스위치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있을 때만 동작스위치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동시 입력 판단부(30)를 설치하여 PLC에 동작신호를 입력하는데 있어 조작스위치와 동작스위치를 동시에 눌러야만 PLC에 그 신호가 전달되도록 하여 오동작 입력을 방지하고, 선택된 모드의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켜 사용자에 알리고, PLC입력부에 콘넥터를 설치하여 수리(A/S)시에 조작판넬을 쉽게 분리하여 수리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취출로보트의 콘트롤 박스에 있어서, 상기 취출로보트를 수동으로 동작을 지시하는 지시스위치와 자동으로 동작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스위치를 구비하는 동작스위치와, 조작스위치와, 상기 조작스위치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있을 때만 상기 동작스위치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입력 판단부와, 상기 동시입력 판단부에서 입력되는 신호의 횟수를 카운트하여 그 카운트 회수에 따른 출력단자로 신호를 출력하여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부와, 상기 모드선택부의 출력단자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다수의 발광다이오드와 여기되는 릴레이를 구비하는 신호 및 표시변환부와, 상기 신호 및 표시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받아 취출로보트를 제어하는 PLC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출로보트의 콘트롤 박스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입력 판단부는 동작스위치가 취출로보트를 수동으로 작동시키기 위해 지시스위치로 사용시, 상기 모드선택부를 거치지 않고 신호 표시 및 변환부(50)와, 콘넥터(50')를 통해 통상의 PLC에 연결되게 구성한 취출로보트의 콘트롤 박스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선택부는 상기 동시입력 판단부의 출력을 클록신호로 입력받으며 제1플립플롭의 출력(Q)은 제2플립플롭의 입력단(J)로 입력되고, 상기 두 플립플롭의 입력단(K)는 +전원(Vcc)에 연결되고, 상기 제2플립플롭의 출력(Q)(스캔작업)은 제1플립플롭의 입력단(J)으로 입력되고, 상기 두 플립플롭의 출력(Q)(스캔작업)과 +전원(Vcc)을 입력으로 하는 앤드게이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출로보트의 콘트롤 박스 조작장치.
KR1019940018728A 1994-07-29 1994-07-29 취출로보트의 콘트롤 박스 조작 장치 KR0125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8728A KR0125269B1 (ko) 1994-07-29 1994-07-29 취출로보트의 콘트롤 박스 조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8728A KR0125269B1 (ko) 1994-07-29 1994-07-29 취출로보트의 콘트롤 박스 조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3902A KR960003902A (ko) 1996-02-23
KR0125269B1 true KR0125269B1 (ko) 1997-12-15

Family

ID=19389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8728A KR0125269B1 (ko) 1994-07-29 1994-07-29 취출로보트의 콘트롤 박스 조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526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3902A (ko) 1996-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7238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erroneous operation in non-contact push-button switch
EP0336973A1 (en) Emergency stop control circuit
KR0125269B1 (ko) 취출로보트의 콘트롤 박스 조작 장치
US4058735A (en) Opto-electronic contact mechanism
US7304406B2 (en) Control device for safety-critical components and corresponding method
EP0605949A2 (en) Functional display apparatus with multicolored buttons
WO1995027432A1 (en) Vacuum cleaner with independently operating on/off switches on the handle and the motor housing
CN110346154B (zh) 一种地铁车辆车门调试智能模拟开关系统及方法
CN102905446A (zh) 带有光学显示区的显示装置
US5758193A (en) Interface for connecting terminal device mainframe to plural kinds of switch units having different numbers of switches therein
KR100836694B1 (ko) 버튼 시동 시스템의 버튼 구조
USRE29917E (en) Logic circuit equivalent to a relay contact circuit
KR200319860Y1 (ko) 케이블체크장치
KR100482202B1 (ko) 우선순위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보조 릴레이
US3719925A (en) Electronic control for machine tools and the like
KR19990020733A (ko) 다중 접점의 동시단락을 방지하는 제어회로
CN220774934U (zh) 转接板
EP0972235A1 (en) Keyboard and device provided with the keyboard
KR0124345Y1 (ko) Acb시퀜스 공용회로
KR950005706Y1 (ko) 입,출력 변환기
KR0120704Y1 (ko) 엘이디 소자를 이용한 기능확인버튼구조
KR930002053Y1 (ko) 자동제어기기의 입력신호 코드화 장치
KR940006091Y1 (ko) 다중 스위치의 온/오프 선택동작 표시 기능을 갖는 인테페이스 회로
KR900001387Y1 (ko) 자동 전원 제어장치
US20020075005A1 (en) Apparatus for synchronously displaying patterns on panels during tes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9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