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5090B1 - 형광표시관 - Google Patents

형광표시관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5090B1
KR0125090B1 KR1019890003690A KR890003690A KR0125090B1 KR 0125090 B1 KR0125090 B1 KR 0125090B1 KR 1019890003690 A KR1019890003690 A KR 1019890003690A KR 890003690 A KR890003690 A KR 890003690A KR 0125090 B1 KR0125090 B1 KR 0125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electron beam
phosphor
cathod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3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5186A (ko
Inventor
1997년12월11일
마사다께 하야시
Original Assignee
오가 노리오
소니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074935A external-priority patent/JP275119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7493688A external-priority patent/JP269939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7493788A external-priority patent/JP2751192B2/ja
Application filed by 오가 노리오, 소니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오가 노리오
Publication of KR890015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5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5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5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1/00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 H01J31/08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having a screen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 H01J31/10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 H01J31/12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with luminescent screen
    • H01J31/15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with luminescent screen with ray or beam selectively directed to luminescent anode seg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31/00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31/12CRTs having luminescent screens
    • H01J2231/125CRTs having luminescent screens with a plurality of electron guns within the tube envelope
    • H01J2231/1255CRTs having luminescent screens with a plurality of electron guns within the tube envelope two or more neck portions containing one or more guns

Landscapes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형광표시관
제1도는 대면적표시장치의 정면도.
제2도는 그 측면도.
제3도는 본원 발명에 의한 형광표시관의 요부를 단면으로한 측면도.
제4도는 이것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도.
제5도는 전위분포도.
제6도는 그 전자빔제어기구의 요부를 단면으로 하는 사시도.
제7도는 그 전자빔제어기구의 분해사시도.
제8도-제10도는 세퍼레이터전극의 요부의 사시도.
제11도는 본원 발명에 의한 형광표시관의 요부를 단면으로한 측면도.
제12도는 본원 발명에 의한 형광표시관의 요부의 전위분포도.
제13도는 비교예의 요부의 전위분포도.
제14도는 본원 발명에 의한 형광표시관의 전자빔제어기구의 요부를 단면으로 하는 사시도.
제15도는 제3도의 단면방향의 전위분포도.
대화면표시 예를 들면 컬러대화면표시를 하는 표시장치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1도에 그 정면도를 나타내며, 제2도에 측면도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기 예를 들면 적, 녹 및 청의 각 형광체세그멘트 R, G 및 B를 1조, 즉 1 트리오하여 예를 들면 2라인(행) 8열로 16트리오, 따라서 48의 형광체세그멘트 R, G, B가 배열된 형광면을 가진 형광표시관(1)을 행 및 열방향(즉 수직방향 Y 및 수평방향 X)으로 각기 복수개 배열하여 표시정보에 따라서 각 형광체세그멘트의 발광을 이루어서 전체로서 대화면의 컬러화상표시를 하도록한 표시장치가 제안되어있다.
이 경우, 인접한 형광표시관(1)의 인접한 형광체세그멘트 예를 들면 형광체트리오의 간격 De는형광표시관의 관체(菅體)의 둘레측벽의 두께, 또는 제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형광체표시관(1)의 예를 들면 측면에서 도출된 리드(2)의 배치부의 두께등에 의해서 그 축소화에 제약이 있다는 것은 그렇다하고, 더욱 형광체세그멘트에의 전자빔충격 가능범위의 제약에 의해서 커지고 만다. 따라서, 각 공통의 형광체표시관에서의 형광체트리오의 간격 Ds도 또한 전체의 대화면표시에서 얼룩없는 표시를 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인접한 형광표시관의 인접한 트리오사이의 간격 De와 동등한 간격으로 선정되기 때문에, 대화면표시의 고해상도화의 면에서 상술한 인접한 형광표시관의 인접한 트리오사이의 간격 De는 될 수 있는한 작게하는 것이 요망된다.
따라서, 각 형광표시관에 있어서의 형광체세그멘트의 트리오는 수평방향에 관해서도 될 수 있는 한 광체의 유리벽면 근방에 배치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형광체세그멘트가 관체의 유리벽면의 근방에 배치되고, 이것에 향하게되는 전자빔의 통로가 유리벽면에 근접함으로써, 유리벽면 즉 절연성벽면에 축적되는 전하에 의한 불안정한 전계의 영향을 받기쉽고, 또 전자빔이 벽면에 충격된 확률이 더욱 높아져서 이곳에 있어서의 전계의 불안정성을 더욱 높인다는 과제가 있다.
이 문제는 특히 각 형광체세그멘트가 수직방향으로 뻗는 스트라이프(stripe)형을 이루는 경우, 수평방향 최단부의 세그멘트에 대해 특히 현저하다.
또, 이와 같은 표시장치에 사용되는 형광표시관에 있어서는 각 형광체세그멘트가 미세하기 때문에 복수개의 형광체세그멘트 예를 들면 1트리오의 세그멘트에 대해 공통의 선형캐소드를 이들 세그멘트에 걸쳐서 대향하도록 배치하는 구성을 취하는 것이 구조의 간략화면에서 바람직하다.
이 경우, 그 선형캐소드는 그 양단을 고정부에 고정시켜 지지하게 되며, 이 때문에 캐소드의 가열온도는 그 양단의 고정부에의 고정부로부터의 열의 방산에 의해서, 중앙에서 높고 양단에서 낮은 온도분포를 나타내며, 중앙부에서의 전자방사밀도는 크고 양단에서 낮아진다. 따라서, 동작시에 그 캐소드의 가열상태를 중앙부에서 전자방사가 포화되는 온도상태로 설정되어도, 양단에서 포화상태에 이르지 않고 중앙부에 대향하는 형광체세그멘트의 발광의 밝기와 양측의 형광체세그멘트의 밝기가 서로 다르며, 또한 양단부에서는 캐소드(히터)에의 통전전류의 영향을 받기 쉬우며 밝기가 변동됨으로써 화이트밸런스를 잡기 어렵거나 불안정하게 되는등 과제가 있다.
또, 이 종류의 형광표시관에 있어서는 각 적, 녹 및 청의 형광체세그멘트 R, G, B의 각 형관체재료의 발광효율자체가 다르기 때문에, 예를 들면 각 그리드 G1∼G3의 전자빔투과용의 관통공의 폭을 각 색에 대해서 다르게하여 화이트밸런스의 조정을 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므로, 이에 더하여 캐소드 K의 온도의 불균일성에 기인되는 전자방사효율을 보상하여 화이트밸런스를 잡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또한, 가령 1세그멘트에 1캐소드를 대응시키는 경우에 있어서도 같은 이유에 의해 세그멘트내에서의 휘도의 균일성, 안정성을 손상하는 원인이 된다.
본원 발명은 특히 전자빔의 충격가능범위의 확대를 도모하여 그 형광체세그맨트를 관체의 둘레측벽에 근접하는 위치에까지 배치할 수 있도록 하여 발광면적의 증대화를 도모하여 밝은 표시를 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상술한 인접한 형광표시관의 인접한 형광체세그멘트의 트리오사이의 간격 De, 나아가서는 각 형광표시관에 있어서의 트리오 사이의 간격 Ds를 충분히 작게 할 수 있도록 하여, 대화면표시장치에 있어서 전체로서 형광체트리오의 배열피치를 축소화하여 해상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본원 발명은 전자빔에의 유리벽면의 전계의 영향을 회피하여 형광체세그멘트를 충분히 용기의 둘레측벽에 근접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로 인해 형광체세그멘트의 트리오간격을 충분히 작게 함으로써, 대화면표시장치의 해상도를 높이는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캐소드의 길이방향전역에 걸쳐서 실질적으로 대략 균일한 전류밀도를 얻음으로써 세그멘트내에서 발광의 균일성의 향상과 화이트밸런스의 개선 및 안정화를 도모하는 것이다.
각기 장방형을 이루는 제1 및 제2의 유리패널(11) 및 (12)사이에 4측벽을 구성하는 예를 들면 마찬가지로 유리벽으로 된 둘레측벽(13)을 배설하여 3자간을 프릿(frit), (14)에 의해서 봉착하여 평면형 용기(15)를 구성한다.
제1의 패널(11)의 내면에는 예를 들면 적, 녹 및 청의 각 형광체세그멘트 R, G, B로 이루어지는 형광체트리오가 복수조 예를 들면 2행 8열로, 따라서 48세그멘트가 배열되고, 또 각 세그멘트 R, G, B 사이에는 카본도포막등의 광흡수층(20)이 피착되어 전면적으로 A1 증착막등의 메탈백층(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서, 형광면(16)이 피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이 형광면(16)에 대향해서 세퍼레이터전극(19)이 배치된다. 이 세퍼레이터전극(19)은 예를 들면 제8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판을 펀칭하여 절기함으로써 각 구획벽(19A) 및 이보다 높은 높이 h2를 가진 돌출측벽(19B)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 세퍼레이터전극(19)은 그 둘레벽에서 장착편(21)이 돌출설치되고, 이것이 예를 들면 유리프릿(50)에 의해서 패널(11)에 프릿시일(frit seal)되어 지지된다.
형광면(16)에 대향해서 설치되는 전자빔제어기구(17)는 제6도에 그 요부의 일부를 절결한 사시도를 나타내며, 제7도에 그 분해사시도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소드 K와 제1그리드 G1와 제2그리드 G2와 제3그리드 G3가 차례로 평면적으로 형광면(16)측을 향해서 배열된 구성을 취한다.
제3그리드 G3는 예를 들면 금속판으로 된 제3그리드프레임 F3과, 금속박판으로 된 제3그리드본체 M3가 포개어져서 이루어진다. 프레임 F3은 형광면(16)의 적, 녹 및 청의 형광체세그멘트 R, G, B의 트리오에 대하여 공통의 관통공 HF3이 천설된다. 또, 제3그리드본체 M3는 프레임 F3의 각 관통공 HF3에 대향하는 위치에 각기 각 형광체세그멘트 R, G, B에 대향해서 메시형상의 관통공 H3R, H3G및 H3B가 포토리소그라피등에 의해서 천설되어 이루어진다. 이 제3그리드본체 M3는 제3그리드프레임 F3에 그 관통공 H3R, H3G및 H3B가 대응하는 관통공 HF3에 합치하도록 재치(載置)되고, 다시 이것위에 예를 들면 인접하는 2열 4조의 트리오에 대하여 공통의 세라믹등의 제1의 절연스레이서 S1가 겹쳐져서 배치된다. 이 제1의 절연스페이서 S1는 프레임 F3의 각 관통공 HF3에 대응하는 관통공 HS1이 천설되고, 공통의 열 즉 수직방향 Y상의 관통공(도시의 예에서는 쌍의 관통공) HS1사이에 2개의 돌조(突條) (231), (232)가 각기 수직방향 Y으로 연계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제3그리드본체 M3위에 각기 스페이서 S1를 통해서 제2그리드 G2가 배치된다. 제2그리드 G2는 제3그리드본체 M3의 각 메시형상 관통공 H3R, H3G, HB3의 공통의 열위에 대하여 공통으로 대형상(帶形狀)의 전극(24R), (24G), (24B)가 평행배열되고, 각 대형상 전극(24R), (24G), 24B)에 프레임 F3의 Y방향의 공통의 열위의 각 쌍의 관통공 H3R, H3G, H3B에 대응하여 각기 2개의 메시형상 관통공 H2R, H2G, H2B가 포토리소그라피 등에 의해서 형성된다. 이들 대형상 전극(24R), (24G), (24B)의 양단은 각기 리드(24L)가 되고, 이들이 그 외단에 있어서 프레임부(24F)에 의해서 연결되어서 조립전의 상태에서는 리드프레임이 구성된다.
이 리드프레임은 포토리소그라피등에 의해서 형성된다. 이 리드프레임은 각 대형상전극(24R), (24G), (24B) 사이에 스페이서 S1의 돌조(231), (232)가 들어맞도록 각 스페이서 S1를 개재시켜서 제3그리드 G3의 본체 M3위에 재치되고, 전자빔제어기구(17)의 조립후에 그 프레임부(24)가 제거되어 각 전극(24R), (24G), (24B)가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그리고, 이 제2그리드 G2의 리드프레임위에는 마찬가지로 세라믹등의 절연재로 된 캐소드지지체를 겸한 제2의 절연스페이서 S2통해서 제1그리드 G1를 배치한다.
이 제2의 절연스페이서 S2는 제1의 절연스페이서 S1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인접하는 2행 2열 4조의 형광체트리오에 대하여 각기 공통으로 배치되고, 제3의 그리드 G3의 프레임 F3의 각 관통공 FF3에 대응하는 관통공 HS3이 배설되고, 각 관통공 HS2의 양측에 수평방향 X에 관한 양측에 수직방향 Y을 따라 연재하는 각 쌍의 돌조(251) 및 (252)가 일체로 돌출설치되어 이루어지며, 각 돌조(251) 및 (252)에는 캐소드 K측의 단면에 개방되는 관통공 내지 홈으로 이루어지는 캐소드의 지지결합부(26)가 형성된다.
제1그리드 G1는 제1그리드본체 M1와 실드판 SH1과 제1그리드 프레임 F1이 차례로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제1그리드본체 M1는 제3그리드 G3및 제2그리드 G2의 각 메시형상 관통공 H3R, H3G, H3B및 H2R, G2G, H2B에 대향해서 동일한 예를 들어 메시형상 관통공 H1R, H1G, H1B가 예를 들면 포토리소그라피에 의해서 천설되어 이루어진다. 제1그리드 G1의 실드 SH1은 예를 들면 메시형상 관통공 H1R, H1G, H1B를 1조로하는 4조의 트리오 즉 인접하는 2행 2열의 4조의 트리오에 대하여 공통으로 각기 예를 들면 금속판의 펀칭절곡가공에 의해 형성되며, 각 실드판 SH1에는 각 제1그리드본체 M1의 메시형상 관통공 H1R, H1G, H1B와 대향하는 위치에 관통공 HSH1R, HSH1G, HSH1B가 천설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들 관통공 HSH1R, HSH1G, HSH1B의 트리오의 수평방향 X방향에 대한 양측에 수직방향 Y을 따라서 연장되는 측벽(271) 및 (272)를 절기하여 형성하는 동시에, 이들 외단 사이에 마찬가지로 측벽(273)을 절기하여 형성한다. 제1그리드의 프레임 F1은 복수의 실드판 SH1에 대하여 공통으로 동일하게 금속판의 펀칭절곡가공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이들 제1그리드 G1를 구성하는 제1그리드본체 M1, 실드판 SH1및 프레임 F1은 차례로 제2의 절연스페이서 S2위에 포개어져서 각 관통공의 트리오 사이에 그 스페이서 S2의 돌조(251) 및 (252)가 돌출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이 스페이서 S2의 각 돌조(251) 및 (252)의 각 결합부(26)에 캐소드의 고정을 위한 금속편(28)이 예를 들면 서로 인접하는 다른 관통공 HS2의 돌조 (251) 및 (252)의 단면위에 걸쳐지도록 끼워져 배치된다.
한편, 캐소드 K는 예를 들면 직선형으로 뻗는 스파이럴형 히터위에 캐소드재(材)가 스프레이등에 의해서 피착된 구성을 취하여, 그 양단이 금속편(28)에 직접 용접되든가 또는 제7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미리 캐소드지지체(29)에 걸쳐져서 캐소드재를 스프레이된 상태로 이 캐소드지지체(29)의 캐소드히터의 양단에 있어서 금속편(28)에 용접하고, 그 후 캐소드지지체(29)를 그 각 캐소드 K의 양단사이에 있어서 예를 들면 쇄선 a로 표시하는 위치에서 절단하여 각 캐소드 K에 대해 양단사이의 전기적 분리를 행한다.
이들 제3그리드 G3를 구성하는 프레임 F3, 제3그리드본체 M3, 제1의 절연스페이서 S1, 그리드 G2를 구성하는 리드프레임 F2, 제2의 절연스페이서 S2, 제1의 그리드 G1를 구성하는 제1그리드본체 M1, 실드판SH1, 프레임 F1은 차례로 포개어져 이것들에 천설된 각 관통공을 통해서 서로 금속홀드패스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코킹하여 합체한다. 이 경우, 그 코킹한 홀드패스트의 삽통공은 제1그리드 G1와 제3그리드 G3에서 교대로 커지도록 함으로써 금속홀드패스트에 의해서 각 그리드 G1∼G3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일이 없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캐소드 K, 제1-제3그리드 G1∼G3가 일체화되어서 이루어지는 전자빔제어기구(17)를 그 제2그리드 G2의 리드(24L)를 패널(12)과 둘레측벽(13)사이의 프릿시일부를 통해서 외부에 도출함으로써 기계적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용기(15)밖으로의 리드도출을 행한다.
그리고, 이 경우 제5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그리드 G2를 구성하는 리드프레임에 캐소드 K의 단자, 또 제3및 제1그리드 G1에 연결하는 리드(31)가 프레임부(24F)내에 돌출설치되고, 전자빔제어기구(17)의 조립에 있어서, 이것을 각 대응하는 전극 G1, G3또는 캐소드지지체(29) 내지는 금속편(28)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용접되어서 각기 용기(15)밖으로 그 프릿시일부를 통하여 리드(24L)와 함께 단자도출을 하도록 된다.
또, 제2의 패널(12)의 내면에는 배면전극(32)이 예를 들면 카본도포막등에 의해서 형성되고, 이것에 전자빔제어기구(17)의 예를 들면 제1그리드 G1에 고정된 금속탄성편(33)이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배면전극(32)과 제1그리드 G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한편, 평면형 용기(15)의 예를 들면 중앙에는 고전압리드(34)가 관통되어서, 이것의 내단이 세퍼레이터전극(19)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되어 단자도출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고전압리드(34)를 통해서 형광면(16) 및 세퍼레이터전극(19)에 고압 예를 들면 5KV가 인가된다. 또, 제1그리드 G1와 배면전극(32)에는 리드(31)를 통하여 예를 들면 10V가, 또 제3그리드 G3에는 0V가 주어진다. 또, 제2그리드 G2에는 온상태에서 15V, 오프상태에서 -2V가 리드(24L)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주어지며, 이들 제2그리드 G2의 대형상전극(24R), (24G), (24B)에의 온, 오프의 전압의 전환과, 캐소드 K에의 인가전압의 선택에 의해서 각 형광체세그멘트 R, G, B로 향하는 각 전자빔의 변조를 행하여 예를 들면 라인차례로 각 형광체세그멘트의 발광을 행한다.
이와 같은 본원발명에 의한 형광표시관은 제1도 및 제2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수평면적으로 배열함으로써 전체로서 대화면의 컬러표시를 할 수 있다.
또한, 세퍼레이터전극(19)은 제9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높이 h2를 가진 돌출측벽(19B)에서 타부의 높이 h1를 가진 구획벽(19A)으로 점차 그 높이를 변화시키는 구조로 할수도 있다. 또, 제 8도 및 제9도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각 라인상의 형광체세그멘트에 대해 공통으로 1조의 세퍼레이터전극(19)을 설치하는 구조를 나타냈으나, 제10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조의 트리오에 대해 1조의 세퍼레이터전극(19)을 설치할 수도 있고, 적당한 조합으로 복수조의 트리오에 대해 1조의 세퍼레이터전극(19)을 설치할 수도 있다.
또, 상술한 예에서는 수직방향 Y에 대해서만, 전자빔의 충격가능범위를 넓혀서 간격 De의 협소화를 도모하도록 한 경우이지만, 전극부의 세그멘트피치를 변화시키는 수단과 아울러 X방향에 대해서도 동일한 구조로 할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컬러표시를 행하는 경우에 본원 발명을 적용한 경우이고, 각 형광체세그멘트가 적, 녹 및 청의 형광체세그멘트 R, G, B에 의해서 형성된 경우이지만, 단색을 비롯하여 여러가지 색의 표시에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평면형 용기(15)가 제1 및 제2의 패널(11) 및 (12)와 둘레측벽(13)과의 3자의 프릿시일에 의해 구성된 경우이지만, 둘레측벽(13)을 예를 들면 제1의 패널(11)과 일체구성으로 하는등 여러 가지의 변형변경을 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구성에서는 둘출측벽(19B)이 면하는 전자빔의 통로에 있어서는 그 전자빔을 이 고압이 인가된 돌출측벽(19B)측으로 향해 편향시켜서 그 전자빔을 넓히도록 하였으므로, 형광체세그멘트는 둘레측벽(13)에 극히 근접하는 위치까지 걸쳐서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복수의 형광표시관(1)을 배열하여 대화면표시장치를 구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인접하는 형광체세그멘트(트리오)사이의 간격 De 따라서 간격Ds를 충분히 작게할 수 있으므로 고해상도화를 실현할 수 있다.
다음에, 제2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1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형광표시관의 주요부는 상술한 제1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피한다.
제2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세퍼레이터전극(19)의 구획벽(19A)의 형광체세그멘트R, G, B가 최소한 둘레측벽(13)에 근접해서 배치되는 것이 요망되는 부위에 있어서, 즉 예를 들면 수평방향 X에 관한 양측에 위치하는 둘레측벽(13)과의 대향부, 환언하면 수직방향 Y에 따른 2변과의 대향부에 전자빔제어기구(17)측을 향해서 둘레측벽(13)에 따라 타부의 구획벽(19A)의 높이보다 높게 돌출하는 돌출측벽(19B)을 설치하는 동시에, 전자빔제어기구(17)의 저전압전극(도시의 예에서는 제3그리드 G3)의 상술한 부위에 있어서 세퍼레이터전극(19)측을 향해서 둘레측벽(13)에 따라서 뻗는 돌출측벽(18A)을 설치한다.
애노드전압 즉 형광면전압의 예를 들면 5KV의 고압이 인가되는 세퍼레이터전극(19)과 전자빔제어기구(17)의 저전압전극 G3에서 각기 둘레측벽(13)과 대향하도록 돌출측벽(19B) 및 (18A)가 배설되어 있으므로써 둘레측벽(13)에 의한 전계의 영향이 전자빔통로에 미치는 것이 회피된다. 그리고, 전자빔통로의 왜곡을 회피할 수 있다. 즉, 지금 예를 들어 고전압이 인가되는 세퍼레이터전극(19)측으로부터의 돌출측벽(19B)에 의해서만 둘레측벽(13)의 영향을 차단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이 돌출측벽(19B) 근방의 등전위선은 제13도에 나타내는 것처럼 급격히 만곡함으로써 전자빔 b은 외측으로 즉 돌출측벽(19B)을 향해서 편향되어 이것에 충격하는 결함이 발생되지만, 본원 발명에 의하면 저전압전극의 예를 들면 제3그리드 G3측에서 저전압이 인가되는 돌출측벽(18A)가 배설되어 있으므로써, 그 전계에 의해서 제12도에 나타내는 것처럼 전자빔 b는 내측으로 편향을 받기 때문에 고전압이 인가되는 돌출측벽(19B)에 의한 편향을 상쇄할 수 있으므로 전자빔 b는 거의 직진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의하면 형광표시관에 있어서 그 고압세퍼레이터전극(19)과 저전압전극G3에 돌출측벽(19B) 및 (18A)를 배치하여 용기(15)의 둘레측벽(13)에 의한 유리벽면의 불안정한 전하축적에의한 전자빔통로에의 영향을 차단하고, 또한 전자빔에 불필요한 편향을 발생시키는 결함을 회피할 수 있으므로 제1도에서 설명한 간격 De를 좁힐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하나의 형광표시관에서의 세그멘트트리오의 간격Ds의 간격을 작게 선정할 수 있기 때문에, 대화면표시를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해상도향상 그리고 전자빔의 불안정한 편향에 의한 색엇갈림의 발생등을 회피할 수 있어 고화질의 화상연출을 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는 수평방향X에 대한 양측 즉 수직방향 Y에 따른 측면에 대해서만 돌출측벽(19B) 및 (18A)를 배치한 경우이나, 다른 방향의 측면에 대해서도 동일한 구조로 할 수 있다.
다음에, 제3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도 및 제1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리드군의 캐소드와 대향하는 제1그리드 G1에는 각 캐소드 K의 연장방향의 양단부를 향해서 뻗는 서로 대향하는 측벽(271) 및 (272)를 캐소드K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캐소드 K측에 돌출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전자빔제어기구(17)의 형광면측의 전극 예를 들면 제3그리드전극 G3에는 저전위 예를 들면 0V의 전위가 부여되는 것이며, 세퍼레이터전극(19)에는 애노드전압 즉 형광면전압의 예를 들어 5KV의 고압이 인가되고, 제1그리드 G1에는 예를 들면 10V가 인가된다. 제1그리드 G1에는 캐소드 K의 양단에 있어서 측벽(271) 및 (272)가 배치되어 있으므로써, 캐소드 K의 전방에는 제15도에 세선 a로 그 등전위선을 표시한 바와 같이 전자를 양 외측으로 넓히는 전계가 발생하므로 캐소드 K의 중앙에서 방출된 전자빔은 외측으로 편향하여 도출되고, 중앙의 전자밀도는 저밀도의 방향으로, 양단부측의 전자밀도는 고밀도의 방향으로 변화하고, 전류밀도의 분포가 캐소드 K의 양단의 온도가 낮은 것에 기인되는 낮은 방사밀도를 보상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즉, 캐소드 K의 길이방향의 전역에 걸쳐서 실질적으로 대략 균일한 전류밀도를 얻을 수 있게 되고, 세그멘트내에서의 발광의 균일성의 향상, 화이트밸런스의 개선과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즉, 대화면표시에 있어서 화이트밸런스가 양호한 안정된 화상의 영출(暎出)을 행할 수 있다.

Claims (3)

  1.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의 패널과 둘레측벽을 가지는 평면형 용기내에, 상기 제1의 패널내면에 형광체세그멘트가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형광면과, 상기 형광면에 대향해서 배설되고, 상기 각 형광체세그멘트에 대해서 각기 전자빔을 충격시키는 전자빔제어기구와, 상기 형광면과 상기 전자빔제어기구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형광체세그멘트사이의 전방공간을 구분하는 벽면을 가진 세퍼레이터전극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형광체세그멘트가 상기 둘레측벽에 근접해서 배치되는 것이 요망되는 부위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전극의 상기 둘레측벽과의 대향부에 이 둘레측벽과 대향하고, 타부보다 큰높이를 가진 돌출측벽이 배설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표시관.
  2.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의 패널과 둘레측벽을 가진 평면형 용기내에, 상기 제1의 패널내면에 형광체세그멘트가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형광면과, 상기 형광면에 대향해서 배설되고, 상기 각 형광체세그멘트에 대해서 각기 전자빔을 충격시키는 전자빔제어기구와, 상기 형광면과 상기 전자빔제어기구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형광체세그멘트사이의 전방공간을 구분하는 구획벽을 가진 고전압 세퍼레이터전극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최소한 상기 형광체세그멘트가 상기 둘레측벽에 근접해서 배치되는 것이 요망되는 부위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전극의 상기 둘레측벽과의 대향부에 상기 전자빔제어기구측을 향해서 상기 둘레측벽에 따라서 타부 구획벽보다 큰 높이의 돌출측벽을 배설하는 동시에, 상기 전자빔제어기구의 저전압전극의 상기 부위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전극측을 향해서 상기 둘레측벽에 따라서 뻗는 돌출측벽을 배설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형광표시관.
  3.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의 패널과 둘레측벽을 가진 평면형용기내에, 상기 제1의 패널내면에 형광체세그멘트가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형광면을 가지며, 캐소드와 그리드를 가지며, 상기 각 형광체세그멘트에 대하여 각기 전자빔을 충격시키는 전자빔제어기구가 상기 형광면에 대향해서 배설되고, 상기 캐소드는 상기 형광체세그멘트의 하나하나에 배설된 또는 복수마다 공통으로 배설된 선형캐소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그리드의 상기 캐소드와 대향하는 제1그리드에는 각 캐소드의 연장방향의 양단부를 향해서 뻗는 측벽이 돌출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표시관.
KR1019890003690A 1988-03-29 1989-03-24 형광표시관 KR01250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074935A JP2751191B2 (ja) 1988-03-29 1988-03-29 螢光表示管
JP88-74936 1988-03-29
JP7493688A JP2699391B2 (ja) 1988-03-29 1988-03-29 螢光表示管
JP88-74935 1988-03-29
JP63-74935 1988-03-29
JP63-74937 1988-03-29
JP63-74936 1988-03-29
JP88-74937 1988-03-29
JP7493788A JP2751192B2 (ja) 1988-03-29 1988-03-29 螢光表示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5186A KR890015186A (ko) 1989-10-28
KR0125090B1 true KR0125090B1 (ko) 1997-12-11

Family

ID=27301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3690A KR0125090B1 (ko) 1988-03-29 1989-03-24 형광표시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095244A (ko)
EP (1) EP0365686B1 (ko)
KR (1) KR0125090B1 (ko)
DE (1) DE68924828T2 (ko)
WO (1) WO19890094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04279A (en) * 2002-11-21 2005-01-26 Hitachi Ltd Display device comprising box-type spacers located on scanning electrodes
JP2004171968A (ja) * 2002-11-21 2004-06-17 Hitachi Ltd 平面型表示装置
US7293879B2 (en) 2003-10-23 2007-11-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ojection screen
US6987610B2 (en) * 2003-10-23 2006-01-1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ojection screen
US7040764B2 (en) * 2003-10-23 2006-05-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ojection system using ambient light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8779A (ja) * 1984-01-27 1985-08-20 Sony Corp 表示装置
JPS60253143A (ja) * 1984-05-28 1985-12-13 Futaba Corp カラ−蛍光発光管
JPH061674B2 (ja) * 1984-12-04 1994-01-05 ソニー株式会社 螢光表示管
JPH061675B2 (ja) * 1984-12-04 1994-01-05 ソニー株式会社 螢光表示管
JPS61223878A (ja) * 1985-03-29 1986-10-04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ユニツト
JPH0640474B2 (ja) * 1985-07-08 1994-05-25 伊勢電子工業株式会社 光源用表示管
JPS62150640A (ja) * 1985-12-24 1987-07-04 Mitsubishi Electric Corp フラツトマトリクスcrt
JP2625727B2 (ja) * 1987-06-09 1997-07-02 ソニー株式会社 螢光表示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65686B1 (en) 1995-11-15
WO1989009482A1 (en) 1989-10-05
DE68924828T2 (de) 1996-05-02
DE68924828D1 (de) 1995-12-21
KR890015186A (ko) 1989-10-28
US5095244A (en) 1992-03-10
EP0365686A1 (en) 1990-05-02
EP0365686A4 (en) 1991-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05262B1 (en) Flat panel display device
US5859508A (en) Electronic fluorescent display system with simplified multiple electrode structure and its processing
CA1072620A (en) Guided beam flat display device
GB2124017A (en) A deflection colour selection system for a single beam channel plate display tube
KR0125090B1 (ko) 형광표시관
US20050116600A1 (en) Field emission display having grid plate with multi-layered structure
EP0434054B1 (en) Planar display apparatus
US4217519A (en) Isolation busbar for a flat panel display device
US20040227452A1 (en) Field emission display having grid plate
US4199705A (en) Modulator structure for a flat panel display device
JPH0799679B2 (ja) 平板型表示装置
US4099087A (en) Guided beam flat display device with focusing guide assembly mounting means
JPH0448538A (ja) 平面型表示装置
EP1793408B1 (en) Electron emission display
JP2751192B2 (ja) 螢光表示管
JP2751191B2 (ja) 螢光表示管
JP2699391B2 (ja) 螢光表示管
US4598227A (en) Electron beam convergence and scanning structures for flat panel display device
JPH0614395Y2 (ja) 平形表示装置
JP2748394B2 (ja) 螢光表示管
JP2890572B2 (ja) 平面型表示装置
JPS60193245A (ja) 平板形カラ−陰極線管
JPS6089043A (ja) 平板形陰極線管
KR20040071448A (ko)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
JPH0459740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