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5083Y1 - 자기 테이프카세트용 수납케이스 - Google Patents

자기 테이프카세트용 수납케이스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5083Y1
KR0125083Y1 KR2019920015168U KR920015168U KR0125083Y1 KR 0125083 Y1 KR0125083 Y1 KR 0125083Y1 KR 2019920015168 U KR2019920015168 U KR 2019920015168U KR 920015168 U KR920015168 U KR 920015168U KR 0125083 Y1 KR0125083 Y1 KR 01250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lid
thickness
casing
magnetic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200151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6384U (ko
Inventor
김승현
Original Assignee
최종욱
주식회사에스케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욱, 주식회사에스케이엠 filed Critical 최종욱
Priority to KR20199200151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5083Y1/ko
Publication of KR9400063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3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50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50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22Cases
    • G11B33/025Portable cases

Landscapes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케이싱과 뚜껑체가 자유롭게 개폐될 수 있도록 결합되어 구성되는 자기테이프 카세트용 수납케이스에 있어서, 뚜껑체에는 카세트의 양측변의 전측부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의 바닥면 양측단 후측에는 상기 뚜껑체의 결합부 하판이 뚜껑체의 개폐시 출입되도록 후측으로 개구되는 홈을 형성하여서 된 자기 테이프 카세트용 수납케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뚜껑체 및 케이싱에 오목부를 형성하지 않고도 카세트의 두께 증대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수납케이스의 전체 두께를 줄이고, 케이스에 취약부위가 형성되지 않도록 하면서 뚜껑체 및 케이싱의 두께를 전체적으로 얇게함과 동시에 견고하여 보관하거나 운반시에 점유공간을 작게 하고, 재료 절감으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기 테이프 카세트용 수납케이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수납케이스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수납케이스에 카세트가 수납된 상태의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 내지 제6도는 종래의 수납케이스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뚜껑체 2a,2b : 결합부
3 : 힌지돌기 4a,4b : 측벽
5 : 상판 6a,6b : 하판
7a,7b : 보강부 10 : 케이싱
14a,14b : 홈 15a,15b : 보강부
20 : 카세트 22 : 두께증대부
본 고안은 자기 테이프 카세트용 수납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뚜껑체 및 케이싱에 오목부를 형성하지 않고도 카세트의 두께 증대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수납케이스의 전체 두께를 줄이고, 케이스에 취약부위가 형성되지 않도록 하면서 뚜껑체 및 케이싱의 두께를 전체적으로 얇게함과 동시게 견고하게 보관하거나 운반 시에 점유공간을 작게하고, 재료 절감으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자기 테이프 카세트용 수납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디오 기기에 사용되는 자기 테이프 카세트(이하 카세트라고 칭함)는 사용하지 않을 때 외부의 먼지 등에 오염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상 플래스틱으로 만들어진 자기 테이프 카세트용 수납케이스(이하 케이스라고 칭함)에 넣어 보관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이러한 케이스의 기본적인 구성을 보면 제6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케이스(60)는 카세트(50)의 전방 개구부(51)가 삽입되는 포켓(61)을 구비한 덮개부(62)와, 카세트(50)의 허브 삽입공(52)에 끼워져 테이프가 감겨진 릴이 임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 방지 돌기(63)가 형성된 하부 케이싱(64)이 포켓(61)의 측면 부분의 결합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상호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의 케이스(60)는 카세트(50)의 상하면에 대향하는 벽부(65)(66) 사이의 간격이 카세트(50)의 전면 개구부(51)로 형성되는 두께 증대부(53)의 두께에 대응하는 간격으로형성되어야 하는 바, 케이스(60)의 두께(H1)는 카세트(50)의 두께 증대부(53)를 제외한 카세트 두께(H2)에 비하여 크게 형성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카세트 두께 증대부(53)를 제외한 부분의 케이스 두께(H1)가 카세트(50)의 두께와 카세트 두께 증대부(53)의 두께의 차 만큼 쓸데없이 두꺼워지게 되므로 카세트(50)가 수납된 케이스(60)를 여러개 겹쳐 보관하거나 운반할 때는 그만큼의 공간이 낭비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 케이스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5도(일본국 실개소 63-52782호) 및 제4도(일본국 실개평 3-100187호)와 같은 박형(薄型)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즉, 제5도에서와 같은 케이스(70)는 뚜껑체(71)의 포켓(72) 내면 간격을 카세트(50)의 두께 증대부(53) 이외의 두께(H2), 곧 카세트(50)의 얇은 부분을 끼울 수 있는 정도의 두께로 하고, 카세트(50)의 상하면과 광역적으로 마주하는 뚜껑체(71) 및 케이싱(73)의 벽부(74)(75) 개방측에 카세트(50)의 두께 증대부(53)를 수용하는 오복부(76)(77)를 대향되게 형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카세트(50)를 케이스(70)에 수납하는 경우에는 카세트(50)의 두께 증대부(53)가 상기 오목부(76)(77)에 수납됨으로써, 케이스(70)의 전체 두께(H1)를 종래에 비하여 크게 줄일 수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케이스(70)의 포켓(72) 반대측에 카세트(50)의 두께 증대부(53)를 수용하는 오목부(76)(77)를 형성하면 카세트(50) 수납시 반드시 두께 증대부(53)가 케이스(70)의 개구부측에 위치하도록 수납시켜야 하는데, 이와 같이 카세트(50)를 수납하는 경우에는 테이프가 노출되는 부위가 개구부를 향하여 위치하게 되는 바, 외부의 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이 테이프에 흡착되면서 테이프를 오염시켜 쉽게 손상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소비자들이 지금까지 카세트를 케이스에 넣던 방향과 반대로 넣게 되어 상당한 거부감을 주었다.
또한, 포켓(72)의 내면 사이 간격이 카세트(50)의 얇은쪽 두께(H2)에 알맞게 형성되는 바, 카세트(50) 삽입 시에 카세트(50)의 얇은 쪽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두께 증대부(53)가 뚜껑부(71)의 선단에 받쳐지게 되므로써, 카세트(50)가 부자연스럽게 삽입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제4도에 의한 케이스(80)는 그의 전체적인 두께가 얇으면서도 카세트(50)의 삽입 시 두께 증대부(53)가 뚜껑부(81)의 선단에 받치게 되는 상기 고안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뚜껑체(81)의 양측 하부에 카세트(50)의 양측면으로 돌출되는 가이드용 돌기(54)가 결합되는 결합부(82)를 형성하고, 이의 결합부(82)에 의해 카세트(50)를 상기 뚜껑체(81)에 지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뚜껑체(81)와 케이싱(83)에 카세트(50)의 두께 증대부(53)를 수용할 수 있는 오목부(84)(85)를 형성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고안들은 공통적으로 케이스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카세트의 두께 증대부를 수용하는 오목부를 형성함에 있어서 기본적인 두께를 갖는 뚜껑체와 케이싱에 오목부를 요입 형성하였는 바, 오목부의 두께가 다른 부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므로 취약 부위가 되어 작은 충격에도 쉽게 균열 파손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케이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뚜껑체 및 케이싱에 오목부를 형성하지 않고도 카세트의 두께 증대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수납케이스의 전체 두께를 줄이고, 케이스에 취약 부위가 형성되지 않도록 하면서 뚜껑체 및 케이싱의 두께를 전체적으로 얇게 함과 동시에 견고하면서도 보관하거나 운반 시에 점유공간을 적게 차지하고, 재료 절감으로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자기 테이프 카세트용 수납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케이싱과 뚜껑체가 자유롭게 개폐될 수 있도록 결합되어 구성되는 자기테이프 카세트용 수납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뚜껑체에는 카세트의 양측변의 전측부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의 바닥면 양측단 후측에는 상기 뚜껑체의 안착부 하판이 뚜껑체의 개폐시 출입되도록 후측으로 개구되는 홈을 형성하여서 구성된 자기 테이프 카세트용 수납케이스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뚜껑체의 결합부는 뚜껑체의 측면을 이루는 측벽과 이의 내단에 상판과 평행을 이루며 일정 쪽으로 형성되는 하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판의 쪽은 카세트의 양측단으로부터 두께 증대부까지의 거리보다는 작게 형성되어 그 사이로 카세트의 수납 시 일측 두께 증대부가 위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상판과 하판의 내벽 사이의 간격은 카세트의 일측 두께 증대부 외측면이 하판의 저면과 동일면을 이룰 정도로 설정하며, 상기 하판의 내면과 마주하는 상판의 내면에는 측벽측에 카세트의 두께 증대부 돌출높이를 갖도록 저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보강부를 형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의 바닥면 양측단 후측에 형성되는 홈의 주위와 상기 뚜껑체 하판의 상면으로 하판의 내측 모서리변에 카세트의 두께 증대부 돌출높이를 갖도록 하여 상면에 경사면으로 보강부를 형성하였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부호 1과 10은 케이스를 형성하는 뚜껑체(1)와 케이싱(10)을 지칭한다.
상기에서 케이스의 뚜껑체(1)는 전체적인 외관이 종래의 케이스의 뚜껑체와 거의 동일하나, 카세트(20)의 양측변 전측부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용 돌기(21)가 안착되는 안착부(2a)(2b)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2a)(2b)의 측면에 힌지돌기(3)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케이싱(10)과 힌지 결합된다.
상기에서 안착부(2a)(2b)는 종래의 포켓과 같은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뚜껑체(1)의 측면을 이루는 측벽(4a)(4b)과 이의 내단에 상판(5)과 평행을 이루며 일정 폭으로 형성되는 하판(6a)(6b)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판(6a)(6b)의 폭은 카세트(20)의 양측단으로부터 두께 증대부(22)까지의 거리보다는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판(5)과 하판(6a)(6b)의 내벽 사이의 간격은 카세트(20)의 일측 두께 증대부(22) 외측면이 하판(6a)(6b)의 저면과 동일면을 이룰 정도로 설정하며, 상기 하판(6a)(6b)의 내면과 마주하는 상판(5)의 내면에는 측벽(4a)(4b)측에 일정의 높이를 갖도록 저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보강부(7a)(7b)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7a)(7b)의 측벽(4a)(4b)측 높이는 카세트(20)의 두께 증대부(22) 돌출높이와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뚜껑체(1)가 상측으로 힌지 결합되는 케이싱(10)은 카세트(20)의 샤프트 삽입공(23)이 끼워지는 한 쌍의 회전 방지 돌기(11)가 형성된 바닥면(12)과 상기바닥면(12)의 3면 가장자리에 세워지는 벽(13)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바닥면(12)의 양측단 후측에는 상기 뚜껑체(1)의 안착부 하판(6)이 뚜껑체(1)의 개폐시 출입되도록 후측으로 개구되는 홈(14a)(14b)이 형성되며, 상기 홈(14a)(14b)의 주위와 하판(6a)(6b)의 상면으로 뚜껑체(1)에 형성된 보강부(7a)(7b)와 대향되는 보강부(15a)(15b)를 형성하였다.
상기 보강부(15)는 하판(6)의 내측 모서리변에 일정의 높이를 갖도록 상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강부(15)의 측변 높이는 상기 보강부(7)와 마찬가지로 카세트(20)의(22) 돌출높이와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뚜껑체(10)에서 미설명 부호 8a, 8b는 뚜껑체(1)의닫음시 홈(14a)(14b)의 앞측에 받쳐지게 되어 뚜껑체(1)의 닫힘 위치를 유지시켜 주는 스톱퍼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케이스는 카세트(20)의 수납시 뚜껑체(1)가 열린 상태에서 카세트(20)의 전면 개구부측이 하향한 상태로 수납되며 카세트(20)의 양측부가 안착부(2a)(2b)에 의해 지지되어 그의 일측 두께 증대부(22)가 뚜껑체의 내면 양측으로 형성되는 보강부(7a)(7b) 사이에 위치하고, 다른쪽의 두께 증대부(22)는 하판(6a)(6b)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뚜껑체(1)를 닫으면 뚜껑체(1)가 하향 회동하면서 케이싱(10)의 상측에 덮히게 됨과 동시에 하판(6a)(6b)의 사이로 위치하는 두께 증대부(22)의 저면은 케이싱(10)의 바닥면(12)과 접촉되면서 케이스에 수납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6도와 같은 종래의 케이스의 두께(H1)는 카세트(50)의 두께 증대부(22)의 높이(H3)에 케이스(60)의 뚜껑체(62) 및 케이싱(64) 재질의 두께(2H4)에 케이스(60)와 카세트(50) 사이의 여유 공간(L)을 합한 것으로, 곧
H1= H3+ 2H4+ L
이 된다.
당연히 상기와 같은 종래 케이스(60)에 있어서는 뚜껑체(62)의 포켓(61) 부분 간격이 두께 증대부(51)의 두께(H3)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어야만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의 케이스에 있어서는 결합부(2a)(2b)의 상판(5)과 하판(6a)(6b) 사이의 간격이 카세트(20)의 얇은 부위 두께(H2)와 일측 두께 증대부(22)의 두께만을 수용하면 되므로 종래에 비하여 일측 두께 증대부의 두께만큼 줄일 수 있으므로 케이스의 전체 두께(H1)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10개 정도의 종래 케이스를 보관할 수 있는 정도의 공간에 11개 내지 12개의 케이스를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뚜껑체(1)와 케이싱(10)에 보강부(7)(15)가 형성되는 바, 뚜껑체(1)와 케이싱(10)의 재료 두께를 균일하게 종래 보다 얇게 형성하여도 종래와 같은 견고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른 재료 절감으로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케이싱(10)과 뚜껑체(1)가 자유롭게 개폐될 수 있도록 결합되어 구성되는 자기테이프 카세트용 수납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뚜껑체(1)에는 카세트(20)의 양측변 전측부가 안착되는 안착부(2a)(2b)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10)의 바닥면(12) 양측단 후측에는 상기 뚜껑체(1)의 안착부 하판(6a)(6b)이 뚜껑체(1)의 개폐시 출입되도록 후측으로 개구되는 홈(14a)(14b)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테이프 카세트용 수납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뚜껑체(1)의 안착부(2a)(2b)는 뚜껑체(1)의 측면을 이루는 측벽(4a)(4b)과 이의 내단에 상판(5a)(5b)과 평행을 이루며 일정폭으로 형성되는 하판(6a)(6b)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판(6a)(6b)의 폭 은 카세트(20)의 양측단으로부터 두께 증대부(22)까지의 거리보다는 작게 형성되어 그 사이로 카세트(20)의 수납시 일측 두께 증대부(22)가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테이프 카세트용 수납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판(5)과 하판(6a)(6b)의 내벽 사이의 간격은 카세트(20)의 일측 두께 증대부(22) 외측면이 하판(6a)(6b)의 저면과 동일면을 이룰 정도로 설정하며, 상기 하판(6a)(6b)의 내면과 마주하는 상판(5a)(5b)의 내면에는 측벽(4a)(4b)측에 카세트(20)의 두께 증대부(22) 돌출높이를 갖도록 저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보강부(7a)(7b)를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테이프 카세트용 수납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케이싱(10)의 바닥면(12) 양측단 후측에 형성되는 홈(14a)(14b)의 주위와 상기 뚜껑체 하판(6a)(6b)의 상면으로 하판(6a)(6b)의 내측 모서리변에 카세트(20)의 두께 증대부(22) 돌출 높이를 갖도록 하여 상면에 경사면으로 보강부(15a)(15b)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테이프 카세트용 수납케이스.
KR2019920015168U 1992-08-12 1992-08-12 자기 테이프카세트용 수납케이스 KR01250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20015168U KR0125083Y1 (ko) 1992-08-12 1992-08-12 자기 테이프카세트용 수납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20015168U KR0125083Y1 (ko) 1992-08-12 1992-08-12 자기 테이프카세트용 수납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6384U KR940006384U (ko) 1994-03-22
KR0125083Y1 true KR0125083Y1 (ko) 1998-10-15

Family

ID=19338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20015168U KR0125083Y1 (ko) 1992-08-12 1992-08-12 자기 테이프카세트용 수납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508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6384U (ko) 1994-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0972B2 (en) Cassette storing case
US5499714A (en) Tape cassette container casing
US3747745A (en) Tape cartridge case
JPS60229285A (ja) テープカートリツジ
KR0125083Y1 (ko) 자기 테이프카세트용 수납케이스
JP2001130680A (ja) カセット収納ケース
US5109982A (en) Cassette container case with recessed walls
EP0537678B1 (en) Container case for magnetic tape cassette
US5702062A (en) Tape cassette
JP3424250B2 (ja) テープカセット収納ケース
US7431233B2 (en) Tape cartridge
KR920007730Y1 (ko) 비디오 테이프 케이스
KR920001700B1 (ko) 기록용 테이프 카아세트
JP2592916Y2 (ja) テープカートリッジの収納ケース
JPH0646871Y2 (ja) 磁気テープカセット収納ケース
JP3401956B2 (ja) テープカセット収納ケース
KR940007484Y1 (ko) 자기 테이프 카세트용 수납케이스
JP3454460B2 (ja) 収納ケース
KR940007483Y1 (ko) 자기 테이프 카세트용 수납케이스
JP3258205B2 (ja) テープカセット
EP0397436A2 (en) Tape cassette
JP2538720Y2 (ja) カセットハーフの収納ケース
KR850001430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용 케이스
JPH07315471A (ja) テープカセット収納ケース
KR920002477B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