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4884Y1 - 유조차의 접지 케이블 릴 부착구조 - Google Patents

유조차의 접지 케이블 릴 부착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4884Y1
KR0124884Y1 KR2019950013270U KR19950013270U KR0124884Y1 KR 0124884 Y1 KR0124884 Y1 KR 0124884Y1 KR 2019950013270 U KR2019950013270 U KR 2019950013270U KR 19950013270 U KR19950013270 U KR 19950013270U KR 0124884 Y1 KR0124884 Y1 KR 01248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ground
grounding
reel
suppor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32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3337U (ko
Inventor
김태건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500132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4884Y1/ko
Publication of KR9700033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3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48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48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4Connections between or with conductive parts having primarily a non-electric function, e.g. frame, casing, ra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0Means for supporting coupling part when not engaged

Landscapes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조차의 접지케이블 릴 부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접지케이블을 접지봉에 연결할 때 접지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선단에 접지단자(2)가 연결된 접지케이블(3)이 감겨져 있는 릴 본체(1)의 하부에 지지축(4)을 형성하고, 일측은 사이드 멤버(5)에 용접 또는 볼트 등의 방법에 의하여 고정되고 하단은 펜더(6)에 볼트로 고정된 지지체(7)에 베어링(8)을 고정하여 지지축(4)을 끼운 다음 지지축(4)의 선단에 형성된 나사(9)에 볼트(10)을 체결 고정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조차의 접지케이블 릴 부착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부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접지케이블 릴 부착상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릴 본체 3:접지케이블
4:지지축 7:지지체
8:베어링
본 고안은 탱크로리, 항공기 급유차 등과 같은 유조차에 설치되는 접지케이블 릴의 부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유조차에는 스파크에 의한 화재발생의 예방을 위하여 릴식 접지케이블을 설치하여 유류를 저장탱크 등에 이송할 때 접지케이블의 끝에 설치한 접지단자를 지면에 설치한 접지봉에 연결하여 접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접지케이블 릴은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지케이블(11)이 감겨진 릴 본체(10)의 하단에 릴 본체(10)와 일체로 브래킷(12)을 형성하여 일측은 사이드 멤버에 고정되고 하단은 펜더(13)에 고정된 지지체(14)에 볼트(15)로 고정한 것이므로 유조차를 주유소 또는 활주로등에 설치한 저장탱크 위치에 주차시키고 지면에 설치된 접지봉(미도시)에 접지케이블(11)의 끝에 연결한 접지단자(16)를 연결하여 접지할 때 릴 본체(10)의 접지케이블 감김홈과 접지봉이 직선으로 위치되지 않을 때에는 접지케이블(11)이 릴 본체(10)의 양측벽에 스치면서 접지케이블(11)의 피복 또는 접지케이블(11) 자체가 손상되어 접지케이블 릴 전체를 교환하므로서 비경제적이었다.
상기한 접지케이블(11)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조차를 저장탱크 위치에 주차시킬 때 릴 본체(10)의 접지케이블 감김홈을 접지봉과 직선으로 위치되게 주차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나 주차장소가 협소한 경우에는 실현이 불가능하거나 주차장소가 넓은 경우에도 번잡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유조차의 주차위치에 불구하고 항상 릴 본체의 접지케이블 감김홈과 접지봉이 직선으로 위치되게 하여 접지케이블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한 유조차의 접지케이블 릴 부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접지케이블이 감겨진 릴 본체의 하부에 지지축을 형성하고 지지체에 베어링을 고정하여 베어링에 끼워 설치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면 제 1 도 및 제 2 도에서 선단에 접지단자(2)가 연결된 접지케이블(3)이 감겨져 있는 릴본체(1)의 하부에 지지축(4)을 형성하고, 일측은 사이드 멤버(5)에 용접 또는 볼트 등의 방법에 의하여 고정되고 하단은 펜더(6)에 볼트로 고정된 지지체(7)에 베어링(8)을 고정하여 지지축(4)을 끼운 다음 지지축(4)의 선단에 형성된 나사(9)에 볼트(10)를 체결 고정한 것이다.
미 설명부호 11 은 지면에 설치된 접지봉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릴 본체(1)에 감겨진 접지케이블(3)을 풀어서 그 선단에 연결된 접지단자(2)를 지면에 설치된 접지봉(11)에 연결 접지할 때 본체(1)의 접지케이블 감김홈이 접지봉과 직선이 되지 않을 때에는 접지케이블(3)을 풀을 때 잡아 당기는 힘에 의하여 릴 본체(1)의 하부에 형성된 지지축(4)이 베어링(8)에서 회전하여 릴 본체(1)의 접지케이블 감김홈과 접지봉(11)은 직선을 유지하면서 접지케이블(3)이 풀어지고, 접지케이블(3)에 연결된 접지단자(2)를 접지봉(11)에 연결 접지한 후에도 접지케이블 감김홈과 접지봉(11)은 직선을 유지하게 되므로서 접지케이블(3)의 손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접지케이블 릴을 펜더 부위에 설치한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그 설치 위치는 제한이 없으며, 베어링도 볼베어링을 도시하였으나 메탈베어링 등도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릴 본체의 하부에 지지축을 형성하여 지지체에 고정된 베어링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하므로서 릴 본체의 회전이 자유로워서 접지케이블을 접지봉에 연결할 때 접지케이블의 손상이 방지된다. 따라서 종래 릴 본체는 새것인데 접지케이블의 손상으로 릴 전체를 교환하던 것에 비하여 경제적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접지케이블이 감겨진 릴 본체의 하부에 지지축을 형성하고, 지지체에 베어링을 고정하여 지지축을 베어링에 끼워 설치한 유조차의 접지케이블 릴 부착구조.
KR2019950013270U 1995-06-13 1995-06-13 유조차의 접지 케이블 릴 부착구조 KR01248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3270U KR0124884Y1 (ko) 1995-06-13 1995-06-13 유조차의 접지 케이블 릴 부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3270U KR0124884Y1 (ko) 1995-06-13 1995-06-13 유조차의 접지 케이블 릴 부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3337U KR970003337U (ko) 1997-01-24
KR0124884Y1 true KR0124884Y1 (ko) 1998-09-15

Family

ID=19415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3270U KR0124884Y1 (ko) 1995-06-13 1995-06-13 유조차의 접지 케이블 릴 부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488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0261B1 (ko) * 2002-04-03 2004-12-08 남상천 방폭접지접속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0261B1 (ko) * 2002-04-03 2004-12-08 남상천 방폭접지접속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3337U (ko) 199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0044B2 (en) Awning assembly including drop-down shade
US5476280A (en) Retractable towing system
JP2008174233A (ja) 重車両用燃料タンク
US5273384A (en) Thread protecting device
US5713592A (en) Apparatus for supporting vehicle conduit
US4180230A (en) Hanger for vehicle mud flaps
KR0124884Y1 (ko) 유조차의 접지 케이블 릴 부착구조
US6161867A (en) Underguard skid bar
US5143392A (en) Retractable hose system
US20030063475A1 (en) Retractable and concealable rearward light system for a vehicle
US4735448A (en) Manually operated winch bumper
KR0114742Y1 (ko) 차량의 견인고리
CN111816976B (zh) 一种车载天线保护装置
EP0841241B1 (de) Cockpitquerträger in einem Kraftfahrzeug
EP0491568B1 (en) Vehicle security device
CN215479394U (zh) 一种车辆
US3468557A (en) Anti-sway device for use between a towing vehicle and a trailer
JPH0236767Y2 (ko)
KR19980013489U (ko) 차량 견인고리 착탈장치
JPS5848295Y2 (ja) タンクロ−リ−のア−ス用コ−ドリ−ル
JPH10100817A (ja) 車両のバンパサイド部構造
US6837667B2 (en) Apparatus for drawing a wheel in and out relative to a vehicle
JPS6228638Y2 (ko)
KR200269875Y1 (ko) 자동차의리어범퍼스테이마운팅구조
JP2788188B2 (ja) 締固め機械のホース格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