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4857Y1 - 무선 마이크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마이크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4857Y1
KR0124857Y1 KR2019930019056U KR930019056U KR0124857Y1 KR 0124857 Y1 KR0124857 Y1 KR 0124857Y1 KR 2019930019056 U KR2019930019056 U KR 2019930019056U KR 930019056 U KR930019056 U KR 930019056U KR 0124857 Y1 KR0124857 Y1 KR 01248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wireless microphone
receiving means
connector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90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0478U (ko
Inventor
김정식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300190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4857Y1/ko
Publication of KR9500104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4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48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48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Transmitter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선 마이크 제품에도 적용가능한 무선 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신수단과 앰프의 접속구를 종래장치에서 구비된 것과는 별도로 더 구비함과 동시에 음성신호의 전송을 전담하는 송신케이블을 별도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종래의 유선 마이크 제품에도 적용이 가능하므로, 본 고안에 따른 무선 마이크 장치를 구입하면 종래의 유선 마이크 제품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마이크 장치
제1도는 종래의 무선 마이크 장치의 블럭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무선 마이크 장치의 블럭도.
제3 (a)∼(c)도는 종래 및 본 고안에 따른 수신장치의 접속구를 나타낸 도면.
제4도 (a), (b)도는 본 고안에 따른 송신 케이블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 : 무선 마이크 24 : 수신수단
26 : 전원 공급기 28 : 앰프
34 : 송신케이블
본 고안은 무선 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선 마이크만을 사용하던 전자제품을 변경하여 무선 마이크도 사용 가능하도록 한 무선 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2도는 종래의 일반적인 무선 마이크 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레이저 디스크 플레이어(LDP), 컴팩터 디스크 플레이어(CDP) 또는 앰프등을 이용하여 노래나 연설 등을 할 때 수신장치(12)는 무선 마이크(10)에서 보내져온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모델 전용의 케이블(18)을 이용하여 레이져 디스크 플레이어(LDP) 앰프(14)에 신호를 전달하고, LDP앰프(14)는 무선 마이크 신호와 레이저 디스크 등으로부터 자체 재생한 신호를 혼합하여 케이블(20)을 통하여 텔레비젼(16)으로 보내 화면과 음성이 나오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종래의 기술은 전원과 신호를 세트에 맞추어야 하므로 해당 모델 전용의 케이블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사용 케이블은 그 세트외에는 사용할 수 없었다. 그리고 최근의 추세는 고장이 잦은 유선 마이크 보다는 무선 마이크 사용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결국 종래에는 유선 마이크나 무선 마이크중 그 어느 하나만을 음성 입력수단으로 사용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신호전달 수단인 케이블을 개선하여 유선 마이크 사용제품에도 무선 마이크를 사용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무선 마이크 장치는 무선 마이크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에 연결되어 전달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증폭수단과, 상기 수신수단과는 증폭수단을 결합하여 신호전달을 매개하는 신호전달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이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신수단은 별도의 전원공급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제1접속구와 무선 마이크로부터 수신된 무선신호를 출력하는 제2접속구를 독립적으로 구비하고, 상기 증폭수단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를 접속할 수 있는 제3접속구를 구비하며, 상기 신호전달수단은 상기 제2접속구와 제3접속구간에 연결되고 상기 수신수단에서 출력되는 무선신호를 전달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가닥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무선 마이크 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블럭도이고, 제3 (a)∼(b)도는 종래 및 본 고안에 따른 수신수단의 접속구를 나타낸 도면이며, (c)는 본 고안에 따른 앰프의 접속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마이크(22)와 수신수단(24)은 무선으로 결합된다. 수신수단(24)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기(26)와 결합되는 한편 앰프(또는 LDP)(28)와도 결합된다. 앰프(28)는 상기 수신수단(24)의 출력단이나 유선 마이크(30)에 결합된다.
종래에는 무선 마이크 장치의 수신수단(46)과 앰프(64)간의 연결은 세트 전용의 케이블을 사용하였고 그 케이블에는 전원공급라인과 신호전송라인이 함께 포함되어 있었다. 이러한 케이블을 사용한 관계로 수신수단(46)은 전원과 신호가 함께 전달되는 딘 잭(DIN JACK) 접속구(48)와 그외 기타의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접속구(50)을 마련하고 있으면 충분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유선 마이크를 이용하는 타세트에도 적용하는 데는 적당하지 않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수신수단(24,52)은 그 외부수단과의 연결점으로서 딘 잭(DIN JACK) 접속구(54) 및 그외의 접속구(56)와는 별도로 전원공급기(26)와 연결되는 제1접속구(58) 및 마이크 신호를 전달하는 제2접속구(62)를 구비한다. 아울러 음의 높낮이를 변경시킬 수 있는 키 콘트롤 기능을 더 포함하기 위하여 제3접속구(60)를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레이저 디스크 플레이어(LDP)나 앰프(28,64)에는 딘 잭 접속구(66)외에도 수신수단(24,52)의 마이크 신호를 전달받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접속구(68,70)를 포함한다. 키 콘트롤 기능을 더 포함하기 위하여 제5접속구(72)를 구비할 수 있다.
종래의 유선 마이크 사용 시스템에도 무선 마이크를 사용하기 위하여 제4도 (a)(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송신케이블(34)을 신호전달수단으로 이용한다. (b)는 (a)의 단면 S1을 도시한 것이다. 송신케이블(34)은 총 5가닥을 구비하는 데, 좌우 스피커용 음성신호 전달을 위해 2가닥(L, R). 키 콘트롤 기능을 위한 2가닥(U, D) 및 접지를 위한 1가닥(G)으로 구성된다. 좌우 스피커용과 키 콘트롤용 가닥은 별도의 접속플러그(74,76)를 구비한다.
전원공급기(26)는 종래의 무선 마이크 장치에는 별도로 필요치 않고 다만 딘 잭을 통해 전원이 공급된다. 그렇지만 본 고안에 있어서는 신호전달라인과 전원공급라인을 분리하였고 따라서 수신수단(24)은 별도의 전원공급기(26)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는다.
이상의 수단을 종래의 유선마이크 시스템에 적용하면 무선 마이크 장치로도 사용가능하다. 즉, 유선 마이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유선 마이크(30)를 앰프(28)의 상기 제3접속구(68,70)에 접속하여 사용한다. 무선 마이크로 사용할 경우에는 본 고안에 의한 송신케이블(34)을 수신수단(24,52)의 상기 제2접속구(62)와 상기 앰프(28)의 제3접속구(68,70)간에 접속하여 사용하고 이 경우 신호는 송신 케이블(34,74)을 통하여 유선 마이크를 사용하듯이 앰프(28)로 인가된다. 음의 높 낮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키 콘트롤라인(34,76)을 상기 수신수단(24,52)의 제3접속구(60)와 앰프(64)의 제5접속구(72)간에 연결하여 사용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무선 마이크 장치를 이용하면 무선 마이크 장치 그 자체로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할 뿐만 아니라 유선 마이크 제품에도 적용하여 무선 마이크를 사용할 수 있다. 오늘날 그 사용상의 편리함 때문에 무선 마이크 사용제품이 선호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본 고안에 의한 무선 마이크 장치를 이용하면 무선 마이크를 이용하기 위하여 기존에 공급되어 있는 수 많은 유선 마이크제품을 굳이 폐기할 필요없이 유선 마이크 장치나 무선 마이크 장치의 일부로서 계속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무선 마이크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에 연결되어 전달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증폭수단과, 상기 수신수단과 증폭수단을 결합하여 신호전달을 메개하는 신호전달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이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신수단은 별도의 전원공급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제1접속구와 무선 마이크로부터 수신된 무선신호를 출력하는 제2접속구를 딘 잭(DIN JACK)과는 별도로 독립적으로 구비하고, 상기 증폭수단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를 접속할 수 있는 제4접속구를 딘 잭(DIN JACK)과는 별도로 구비하며, 상기 신호전달수단은 상기 제2접속구와 제4접속구간에 연결되고 상기 수신수단에서 출력되는 무선신호를 전달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가닥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이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전달수단은 키 콘트롤 신호의 전달에 필요한 가닥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수단 및 상기 증폭수단은 키 콘트롤 신호 전달용 접속구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이크 장치.
KR2019930019056U 1993-09-21 1993-09-21 무선 마이크 장치 KR01248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9056U KR0124857Y1 (ko) 1993-09-21 1993-09-21 무선 마이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9056U KR0124857Y1 (ko) 1993-09-21 1993-09-21 무선 마이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478U KR950010478U (ko) 1995-04-24
KR0124857Y1 true KR0124857Y1 (ko) 1998-10-01

Family

ID=19364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9056U KR0124857Y1 (ko) 1993-09-21 1993-09-21 무선 마이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485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478U (ko) 1995-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76712A (en) Programmable telephone amplifier circuit interface
EP1494502A3 (en) Lousspeaker system
WO1998041974A3 (en) Anr headset with dual stereo jacks
ES2131028A1 (es) Adaptador y cable de transmision de señal para telefono movil.
GB2331433A (en) Hands-free Adapter for a Mobile Telephone
CN111031435A (zh) 音频电路、头戴显示设备及头戴显示系统
KR0124857Y1 (ko) 무선 마이크 장치
US4637049A (en) Car-mounted audio system
US20060009984A1 (en) Computer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H03101316A (ja) 無線周波増幅器における増幅度線形化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結合装置
US20080101632A1 (en) Wireless multi-channel audio system
US20020120377A1 (en) Vehicle audio interface adapter
KR940009051B1 (ko) 듀플렉스 송화기 통신장치
US8026984B2 (en) Multimedia television
US5914636A (en) Balanced power audio amplification system
WO2001003413A3 (en) Interphone apparatus with connection to a cellular telephone
JP2894882B2 (ja) ハンズフリー電話装置
KR200363283Y1 (ko) 영상,음성 데이타 인터페이스 장치
KR970025118A (ko) 교육용 분배기
JP3006062B2 (ja) 電子機器におけるステレオ入力装置
JP3382123B2 (ja) 放送波受信機
KR100308336B1 (ko) 전화음성녹음장비용 전화 송수신음량조절장치
KR200258344Y1 (ko) 컴퓨터용 무선 사운드 송수신 카드
KR0162581B1 (ko) 음향출력자동 제어장치
KR950013440B1 (ko) 디지틀 사설 방송(pa)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