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4577Y1 - 도계 설비 시스템의 2차 이양기 - Google Patents

도계 설비 시스템의 2차 이양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4577Y1
KR0124577Y1 KR2019950013665U KR19950013665U KR0124577Y1 KR 0124577 Y1 KR0124577 Y1 KR 0124577Y1 KR 2019950013665 U KR2019950013665 U KR 2019950013665U KR 19950013665 U KR19950013665 U KR 19950013665U KR 0124577 Y1 KR0124577 Y1 KR 01245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iprocating
shaft
shake
me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36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0110U (ko
Inventor
김선유
Original Assignee
김선유
주식회사태진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유, 주식회사태진기계 filed Critical 김선유
Priority to KR20199500136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4577Y1/ko
Publication of KR9700001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1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45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45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1/00Processing poultry
    • A22C21/0007Poultry shackle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1/00Processing poultry
    • A22C21/0053Transferring or conveying devices for poult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닭을 식품으로 자동적으로 가공 처리하는 도계장에서, 내장 적출 라인에서 냉각처리 라인으로 자동적으로 이송해 주는 도계 설비 시스템의 2차 이양기에 관한 것이다.
도계공급부(30)와, 도계이양부(60) 및 도계수용부(80)로 구성된 2차 이양기에 있어서, 상기 도계 공급부(30)는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는 상부 왕복 셔클 회전부(43)와,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는 하부 왕복 셔클 회전부(44)와, 상기 상부 및 하부 왕복 셔클 회전부(43,44)사이에 고정된 다수개의 셔클 샤프트(42)와, 상기 셔클 샤프트(42)상에서 왕복운동하는 왕복 셔클(45)과, 상기 왕복 셔클(45)의 로울러(46)가 삽입되는 홈(41)을 가지며 샤프트(37)와는 별도로 회전되지 않는 고정부(36)를 더 포함하여, 도계를 도계공급부로부터 도계이양부로 이송시킴에 있어 정확한 이송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도계 설비 시스템의 2차 이양기
제1도는 종래의 도계 설비 시스템의 공정도
제2도는 종래의 도계 설비 시스템의 2차 이양기의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도계 설비 시스템의 2차 이양기의 정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이송반부의 평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부의 평면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아암의 평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정면도
제8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아암의 운동을 유도하는 고정부의 홈의 전개도
제9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이송반부와 아암과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저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도계공급부 31:씽크로 발신기
32,2:스퍼어 기어 36:고정부
37:샤프트 38:지지축
45:왕복 셔클 50:셔클 세트
60:도계이양부 61:회전축
63:이송반부 66:아암
80:도계수용부 85:갈고리형 셔클
본 고안은 도계 설비 시스템의 2차 이양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닭을 식품으로 자동적으로 가공 처리하는 도계장에서, 내장 적출 라인에서 냉각처리 라인으로 자동적으로 이송해 주는 도계 설비 시스템의 2차 이양기에 관한 것이다.
도계 설비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으로 닭을 식품으로 가공한다. 즉, 준비작업(101)은 오버헤드 트로리 콘베이어에서 생닭을 셔클에 매단다. 이 매다는 작업은 기계로 하지 않고 인력에 의하고 있다. 그러나 이후의 공정은 전자동으로 행한다.
킬링 라인(102)은 운반되어온 닭을 충격기로 숨지게 하고, 탕적기에 넣어 데운다.
탈모 라인(103)의 닭의 털을 자동적으로 제거하는 단계이다. 일반적으로 탈모 라인은 킬링 라인에 포함하는 것으로 개념하기도 한다.
이렇게 털이 제거되면 내장 축출을 위하여 이송되어야 하는데 이 이송 과정을 연결하기 위한 1차 이양기(104)가 이 역할을 한다.
내장 적출 라인(105)에서는 여러가지 기계가 있는데, 예를들면, 헤드분리기, 내장적출기, 가슴절개기등이 있다.
상기 킬링 라인에서 탕적기에 닭이 들어가 있어서 닭의 온도가 상승되어 있으므로 이를 냉각시켜주어야 한다. 즉 2차 이양기(106)는 내장이 적출된 닭을 냉각 처리 라인으로 이송하여 주는 기계이다.
냉각 처리되면 3차 이양기(108)를 통하여 중량선별라인(109)으로 진입되고 여기서는 닭의 중량에 따라 분류·수집하는 작업을 한다.
최종적으로 육가공 포장라인(110)에서 포장된다.
상기 2차 이양기는 본 출원인이 1994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2727호로 제안한 바 있다. 이를 제2도로 도시하였고, 상기 선출원에 의하면, 공급되는 도계들은 셔클 이송부(8a)와 도계공급디스크(8b)의 외주면에 걸리면서 도계이양부(3)쪽으로 회전 이송되고, 이송된 도계를 수용하는 셔클(S1)은 셔클 가이드(20)에 걸리면서 도계의 다리가 레그 커터기(5)의 전단날에 의하여 다리가 절단되면서 도계의 관절부위는 도계공급디스크(8b)의 큰날(9)과 적은날(10)에 밀려서 도계이양부(3)의 도계이송디스크(12)내의 홈부에 삽입되면서 도체안내가이드(14b)에 안내되어 회전이송이 되고, 회전이송된 도계는 도계이탈협조부재(13)에 의하여 2차도계설비라인의 오버헤드 트롤리 레일(T2)상에 설치된 셔클에 의해 도계의 관절부위가 이양이 된다.
상기와 같은 선출원은 도계공급부(2)에서 도계이양부(3)로 도계가 이송될때, 도계이송디스크에 의해 셔클(S1)에 매달린 도계가 이송디스크(12)로 이동된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도계가 정밀하게 이송되지 않거나 도계가 낙하하는 일이 생길 우려가 있다. 또한 도계이양부(3)에서 도계수용부(4)로 이송함에 있어서도 단지 셔클에 의지하므로 도계의 이송과정이 정밀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선출원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도계를 도계공급부로부터 도계이양부로 이송시킴에 있어 정확한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도계공급부에는 왕복 셔클을 더 구비하고, 도계이양부에는 아암장치를 구비하는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2차 이양기의 정면도로서, 오버헤드 트롤리 레일상의 셔클에 매달린 도계를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는 도계공급부(30)와, 상기 도계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도계를 받아 회전하여 전달하는 도계이양부(60)와, 상기 도계이양부로부터 도계를 받아 냉각 처리 라인으로 이송하는 도계수용부(80)로 구성된다.
상기 도계공급부(30)는 도계들을 도계공급부 라인 속도와 도계수용부 라인속도를 일치키켜주는 역할을 하는 씽크로 발신기(31)와, 도시하지 않은 구동 모터에 의해 무한 궤도로 이송되는 체인(57)과, 상기 체인에 의해 회전되는 장치내에서 스플라인형으로서 수납하는 체인 이송부(3)와, 상기 체인 이송부의 회전축인 샤프트(37)와, 상기 씽크로 발신기(31)의 하부에서 샤프트(37)에 연결되어 같이 회전되는 스퍼어 기어(32)와, 셔클 세트(50)의 로울러(51)가 굴러가게하는 로울러 레일부(도시하지 않음)와,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는 상부 왕복 셔클 회전부(43)와,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는 하부 왕복 셔클 회전부(44)와, 상기 상부 및 하부 왕복 셔클 회전부(43,44)사이에 고정된 다수개의 셔클 샤프트(42)와, 상기 셔클 샤프트(42)상에서 왕복운동하는 왕복 셔클(45)과, 상기 왕복 셔클(45)의 로울러(46)가 삽입되는 홈(41)을 가지며 샤프트(37)와는 별도로 회전되지 않는 고정부(36)와, 지지축(38)으로 구성된다.
상기 셔클세트(50)는 공지된 것으로서 레일부를 따라서 회전되는 로울러(51)와, 체인(57)을 고정하기 위한 체인고정부(52)와, 도계를 걸기 위한 도계걸이부(53)로 구성된다.
상기 왕복 셔클(45)은 본 고안에서 개발된 것으로서, 셔클샤프트(42)상에서 상하운동하기 위한 지지부(48)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면에 부착된 로울러(46)와, 도계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47)로 구성된다.
도계이양부(60)는 스퍼어 기어(32)와 맞물려서 연동되는 제2스퍼어 기어(62)와, 상기 제2스퍼어 기어가 고정되며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61)과,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며, 상기 왕복 셔클(45)로부터 도계를 전달받는 이송반부(63) 및 상기 이송반부(63)의 상부에서 도계수용부로 도계를 잘 전달하기 위한 가압부(79)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반부의 일부 하부에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64)가 고정된다. 상기 이송반부의 원주에는 제4,6,7 및 9도와 같이, 닭의 관절부위를 파지하는 포커부(65)를 밀폐시키기 위한 아암(66)이 다수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아암(66)은 상기 포커부(65)를 밀페시키는 걸림단부(67)와, 상기 이송반부에 고정된 회전축(68) 및 상기 고정부(64)를 탈 수 있는 로울러부(69)로 구성된다.
상기 도계수용부(80)는 갈고리형 셔클(85)과, 상기 셔클을 이동시키기 위한 체인 이송부(82) 및 원판부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도계 설비 시스템의 2차 이양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내장적출라인(105)으로부터 이송된 도계는 셔클 세트(50)에 꺼꾸로 매달린 채로 체인(57)에 의해 도계공급부(30)로 이송된다. 셔클 세트(50)는 도계공급부(30)를 돌면서 지니고 있는 도계를 인계하고 원래 위치로 되돌아 가게 된다. 이 인계방식은 셔클세트가 도계공급기를 돌때 왕복 셔클이 상승하면서 도계걸이부(53)에 걸린 도계를 그 파지부(47)에서 파지하여 인계받는다. 상술한 왕복 셔클(45)은 로울러(46)가 고정부(36)의 홈(41)내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자동적으로 상하 운동하는 것이다. 따라서 왕복 셔클이 상승 운동할때 도계를 인계받게 된다.
인계받은 왕복 셔클(45)은 하강하여 도계이양부(60)의 이송반부(63)로 인계하게 되는데, 도계의 한 다리가 하나의 포커부(65)로 들어오게 되며, 아암(66)의 걸림단부(67)가 포커부 안쪽으로 다리를 가압하게 되어, 결국 도계는 견고하게 이송반부(63)에 매달린 채로 회전된다. 제9도와 같이, 상기 걸림단부(67)는 고정부(64)에 그 로울러(69)가 마찰되기 전에는 포커부(65)를 폐쇄하고 있다가 고정부를 타면서 조금씩 개방되다가 왕복 셔클(45)로부터 도계를 인계받으면 폐쇄하는 기구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계를 매달은 이송반부(6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다가 도계수용부(80)의 원판부(83)에 도달되면 포커부(65)위에 위치한 가압부79)에 의해 도계가 밀려 떨어지게 되는데, 이렇게 떨어진 도계는 갈고리형 셔클(85)이 받아서 냉각처리라인으로 보내게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도계를 도계공급부로부터 도계이양부로 이송시킴에 있어 정확한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도계공급부에는 왕복 셔클을 더 구비하고, 도계이양부에는 아암장치 및 포커부가 구비되어 있다.

Claims (3)

  1. 도계공급부(30)와, 도계이양부(60) 및 도계수용부(80)로 구성된 2차 이양기에 있어서, 상기 도계 공급부(30)는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는 상부 왕복 셔클 회전부(43)와,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는 하부 왕복 셔클 회전부(44)와, 상기 상부 및 하부 왕복 셔클 회전부(43,44)사이에 고정된 다수개의 셔클 샤프트(42)와, 상기 셔클 샤프트(42)상에서 왕복운동하는 왕복 셔클(45)과, 상기 왕복 셔클(45)의 로울러(46)가 삽입되는 홈(41)을 가지며 샤프트(37)와는 별도로 회전되지 않는 고정부(3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계 설비 시스템의 2차 이양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 셔클(45)은 셔클 샤프트(42)상에서 상하운동하기 위한 지지부(48)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면에 부착된 로울러(46)와, 도계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4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계 설비 시스템의 2차 이양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이양부(60)는 회전축(61)과 함께 회전되며, 상기 왕복 셔클(45)로부터 도계를 전달받는 포커부(65)를 원주둘레에 가진 이송반부(63)와, 상기 이송반부(63)의 상부에서 도계를 포커부(65)로부터 밀어내기 위한 가압부(79)와, 상기 이송반부(63)의 일부 하부에 위치한 고정부(64)와, 상기 이송반부의 포커부(65)를 밀폐시키기 위하여, 포커부(65)를 밀폐시키는 걸림단부(67)와, 상기 이송반부에 고정된 회전축(68) 및 상기 고정부(64)를 탈 수 있는 로울러부(69)로 구성된 다수개의 아암(6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계 설비 시스템의 2차 이양기.
KR2019950013665U 1995-06-16 1995-06-16 도계 설비 시스템의 2차 이양기 KR01245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3665U KR0124577Y1 (ko) 1995-06-16 1995-06-16 도계 설비 시스템의 2차 이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3665U KR0124577Y1 (ko) 1995-06-16 1995-06-16 도계 설비 시스템의 2차 이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110U KR970000110U (ko) 1997-01-21
KR0124577Y1 true KR0124577Y1 (ko) 1998-09-15

Family

ID=19415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3665U KR0124577Y1 (ko) 1995-06-16 1995-06-16 도계 설비 시스템의 2차 이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457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6113A (ko) * 2014-08-29 2016-03-09 주식회사 태진 가금류 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금류 처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6113A (ko) * 2014-08-29 2016-03-09 주식회사 태진 가금류 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금류 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110U (ko) 1997-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4436B2 (en) Apparatus for separating thigh meat and oyster meat
US6220953B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a slaughtered animal
US8353744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a carcass part of slaughtered poultry
US5015213A (en) On-line cut-up system with joint opener
US5277650A (en) Apparatus for removing the entrails from the abdominal cavity of poultry
EP0381093A1 (en) Adjustable poultry carcass separator
US4574428A (en) Poultry transferring device
US20170258101A1 (en) Method of deboning animal thighs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meat therefrom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EP2908650B1 (en) Device for separating a leg part from a carcass part of slaughtered poultry
JP4325940B2 (ja) 食鳥屠体上半身の自動脱骨処理装置
CN106163288A (zh) 一种用于定位沿着输送段的输送方向单行输送的家禽腿的定位装置和包括该定位的从家禽腿上移除大腿肉的方法
CN104105406A (zh) 肌腱去除装置,具有该肌腱去除装置的加工装置以及自动去除内侧胸部肌肉上的肌腱和/或肌腱部的方法
GB2175191A (en) A poultry transfer apparatus
CA1270357A (en) Automatic transfer apparatus
KR0124577Y1 (ko) 도계 설비 시스템의 2차 이양기
JPS63146743A (ja) 家禽ボデーや肉片などの処理装置
KR0124578Y1 (ko) 도계 설비 시스템의 3차 이양기
EP1278425B1 (en) Method and system for inspection of slaughtered poultry, in particular broilers
DK174600B1 (da) Fremgangsmåde samt apparat til håndtering af slagtedyr
JP3654525B2 (ja) 骨付き腿肉の自動掛け換え方法とその装置
KR970000702Y1 (ko) 도계설비의 도체내장적출기
KR970000701Y1 (ko) 도계설비의 도체 이양기
CA1208404A (en) Poultry processing device
KR960005976Y1 (ko) 도계설비의 도체개복기
NL2006074C2 (en) Method of deboning animal thighs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meat therefrom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