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4375Y1 -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4375Y1
KR0124375Y1 KR2019950048369U KR19950048369U KR0124375Y1 KR 0124375 Y1 KR0124375 Y1 KR 0124375Y1 KR 2019950048369 U KR2019950048369 U KR 2019950048369U KR 19950048369 U KR19950048369 U KR 19950048369U KR 0124375 Y1 KR0124375 Y1 KR 01243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moke
vehicle
air conditioner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83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8777U (ko
Inventor
이환진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483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4375Y1/ko
Publication of KR9700287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87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43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43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28Ventilators, e.g. speed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ir quali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에서 내, 외기 선택을 조절 패널(55)에 형성된 조절 레버를 통해 하게 되면 화물차등 매연이 많이 발생되는 차량의 뒤에 자동차가 위치되었을 때마다 운전자가 조절 레버를 조작하여 내, 외기를 선택 조절해야 하기 때문에 운전 편의성이 저하됨을 개선하기 위하여, 흡기 도어(59)의 전면에 매연 흡입 시이를 흡입하지 않도록 설치된 차단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운전 편의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 (An air ventilation device for a car)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의 블로워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
제2도는 일반적인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제3도는 제 2도에서 블로워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팬 2:ECU
3:매연감지센서 59:흡기도어
본 고안은 공기 조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에 과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차체와 새시로 구성되는 바, 상기한 새시는 엔진, 동력 전달 장치, 스티어링 장치, 서스펜션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한 차체가 이를 감싸고 외면을 이루고 있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은 새시에는 차량의 냉,난방을 위해 공기 조화 장치가 설치되는 바, 이는 제 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로워 어셈블리(50)에 일측이 연결된 히이터 유니트(51)와, 상기한 히이터 유니트(51)에 덕트(52)로 연결됨과 아울러 자동차 실내로 풍량을 유도하도록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된 벤트(54)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한 벤트(54)는 바람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있고, 상기한 인스트루먼트 패널에는 바람의 풍량 및 내,외기 순환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 패널(55)이 설치되어 있게 된다.
상기한 공기 조화 장치는 운전자가 조절 패널(55)을 조작하여 블로워 어셈블리(50)를 동작시키게 되면 이와 연결된 덕트(52)와 디프로스터(53)를 통해 바람이 실내로 분출되면서 공기 조화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블로워 어셈블리(50)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송풍용 모터(56)가 설치되고 일측에 송풍구(57)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58)와, 상기한 케이스(58)에 연결 설치되어 내,외기를 선택 흡입할 수 있는 흡기 도어(59)로 구성되어 있다.
즉, 운전자가 조절 패널(55)을 통해 내,외기 선택 레버를 동작시키게 되면 상기한 흡기 도어(59)가 회전되면서 흡기를 차단시킴으로써 내,외기 선택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내,외기 선택을 조절 패널에 형성된 조절 레버를 통해 하게 되면 화물차등 매연이 많이 발생되는 차량의 뒤에 자동차가 위치되었을 때마다 운전자가 조절 레버를 조작하여 내,외기를 선택 조절해야 하기 때문에 운전 조작성이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외기 선택을 수동으로 함에 따른 운전 편의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흡기 도어의 전면에 매연 흡입시 이를 흡입하지 않도록 설치된 차단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상세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의 블로워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흡기 도어(59)의 전면에 매연 흡입시 이를 흡입하지 않도록 하는 차단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차단 수단은 상기한 흡기 도어(59)의 전면에 위치된 팬(1)과, 상기한 팬(1)에 연결된 ECU(2)와, 상기한 ECU(2)에 연결됨과 아울러 팬(1)의 전면에 설치된 매연 감지 센서(3)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한 매연 감지 센서(3)에서 이산화황등과 같은 성분이 많이 함유된 매연을 감지하게 되면 팬(1)을 동작시켜 역풍을 발생시킴으로써 매연이 흡기 도어(59)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차량 운행중 자동차의 전면에 화물차가 위치하게 되면 상기한 화물차의 배기 파이프에서 매연이 분출됨과 아울러 상기한 매연이 공기 조화장치에 흡입된다.
공기 조화 장치에 흡입된 매연은 외기 선택 시 흡기 도어(59)를 통해 유입되려고 하는 바, 이때 상기한 매연을 매연 감지 센서(3)가 감지하게 된다.
매연 감지 센서(3)가 매연을 감지하게 되면 이를 ECU(2)에 전달하게 되고, ECU(2)는 상기한 신호를 받음과 동시에 팬(1)을 동작시키게 된다.
특히, 상기한 팬(1)의 동작 방향은 흡기 도어(59)에서부터 외부로 공기를 분출시키는 방향이 되기 때문에 흡입되려는 매연이 외부로 밀려 나가게 된다.
즉, 공기 조화 장치를 통해 흡입되려는 매연이 팬(1)에 의해 외부로 밀려 나가게 됨으로써 운전자가 내,외기 선택 조절 레버를 조작하지 않아도 실내로 매연이 유입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화물차가 자동차의 전면에서 사라지게 되면 매연 감지 센서(3)가 매연을 감지하지 못하게 되고, 다시 ECU(2)가 이를 전달받아 팬(1)의 동작을 정지시키게 된다.
팬(1)의 동작이 정지되면 최초와 같이 흡기 도어(59)를 통해 외기가 흡입되어 실내의 공기를 맑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흡기 도어의 전면에 외부 매연의 흡입을 자동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차단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운전 편의성이 향상되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흡기도어(59)를 통해 매연이 유입되지 않도록 매연감지센서(3)와 연결된 ECU(2)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기도어(59)의 전면과 상기 매연감지센서(3)의 후면에 팬(1)이 설치 되어 있고, 이 팬(1)이 상기 ECU(2)에 연결되어 매연을 배출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2019950048369U 1995-12-27 1995-12-27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 KR01243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8369U KR0124375Y1 (ko) 1995-12-27 1995-12-27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8369U KR0124375Y1 (ko) 1995-12-27 1995-12-27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8777U KR970028777U (ko) 1997-07-24
KR0124375Y1 true KR0124375Y1 (ko) 1998-08-17

Family

ID=19439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8369U KR0124375Y1 (ko) 1995-12-27 1995-12-27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437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8777U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2285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entilation unit of a vehicle
US5222372A (en) Modular vehicle air conditioning/heater assembly
RU2011127891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селективного контроля впуска воздуха для системы кондиционирования воздуха
ITRM980422A1 (it) Procedimento per il comando dell'impianto di climatizzazione di un autoveicolo in dipendenza dall'umidita' esterna
KR0124375Y1 (ko)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
KR10155425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CA2310279A1 (en) Auto ventilation system for vehicl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412847B1 (ko) 자동차의 가변제어형 실내 환기장치
JPH1086636A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CN216374110U (zh) 车用空调辅助系统与车辆空调设备
KR20140098541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H0546488Y2 (ko)
JP2889330B2 (ja) 自動車用空調機の内外気切り換えドア制御装置
KR200367921Y1 (ko) 자동차의 실내공기 배출장치
JPH092044A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JPS5915688Y2 (ja) 自動車の自動換気装置
KR100231565B1 (ko) 자동차용 냉난방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129724B2 (ko)
JPS5928893Y2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の室温検知装置
KR970026083A (ko) 자동차용 환기 장치
JP2008100569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970034340A (ko) 오토매틱 에어컨디셔너 차량의 인카 센서용 애스퍼레이터(aspirator)
JPH08192616A (ja) 車両用室内汚染防止装置
KR19980059680A (ko) 공조 시스템용 진공식 액츄에이터
JPH06270660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