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4186B1 -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디지탈중계선 신호방식변경방법 - Google Patents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디지탈중계선 신호방식변경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4186B1
KR0124186B1 KR1019940032330A KR19940032330A KR0124186B1 KR 0124186 B1 KR0124186 B1 KR 0124186B1 KR 1019940032330 A KR1019940032330 A KR 1019940032330A KR 19940032330 A KR19940032330 A KR 19940032330A KR 0124186 B1 KR0124186 B1 KR 0124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ling system
changing
link
change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2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0285A (ko
Inventor
강영호
Original Assignee
박성규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규,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성규
Priority to KR1019940032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4186B1/ko
Publication of KR960020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0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4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41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6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with means for applying test signals or for measuring
    • H04M3/28Automatic routine testing ; Fault testing; Installation testing; Test methods, test equipment or test arrangements therefor
    • H04M3/32Automatic routine testing ; Fault testing; Installation testing; Test methods, test equipment or test arrangements therefor for lines between exch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0PC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7/00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 H04M2207/08ISD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디지탈중계선 신호방식변경방법은 전전자 교환기에 디지탈 중계선 신호방식을 하드웨어변경없이 소프트웨어적인 제어로 변경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방법은 운용자에 의하여 해당 디지탈중계선 신호방식변경이 요구되면, 요구된 신호방식의 펄스부호다중화(PCM) 링크와 해당 링크의 신호방식을 확인하는 링크확인과정 : 링크확인과정에 의해 디지탈중계선 하드웨어 유니트를 채널연합신호방식으로 변경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채널연합신호방식으로 변경하는 제 1 신호방식변경과정 : 링크확인과정에 의해 디지탈중계선 하드웨어 유니트를 공통선신호방식으로 변경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공통선 신호방식으로 변경하는 제 2 신호방식변경과정; 제 1 신호방식변경과정과 제 2 신호방식변경과정에서 해당되는 신호방식으로 변경되면 제어프로세서로 신호방식변경이 완료되었음을 통보하는 통보과정을 포함하여 수행된다.

Description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디지탈중계선 신호방식변경방법
제1도는 전전자 교환기간의 개략적인 디지탈 중계선 접속관계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중계선신호방식 변경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전자 교환기 A 110 : 전전자 교환기 B
101, 111 : 디지탈 중계선 하드웨어 유니트 102, 112 : 제어프로세서
본 발명은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디지탈 중계선 신호방식 변경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CCS(Common Channel Signalling)방식과 CAS(Channel Associated Signalling)방식을 소프트웨어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디지탈 중계선 신호방식 변경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전자 교환기의 디지탈중계선은 음성신호와 제어용신호를 동일한 회선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채널연합신호(CAS : Channel Associated Signalling, 이하 CAS라 함)방식을 채택하였었다. 그러나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ISDN(Inter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과 같은 종합통신망이 등장하면서 처리할 데이타량이 많아지자 음성신호와 제어용 신호를 별도의 회선을 통해 전송하는 공통선신호(CCS : Common Channel Signalling)방식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CAS방식과 CCS방식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다른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기존의 CAS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전전자 교환기를 이용하여 ISDN 서비스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교환기 내의 디지탈중계선에 대한 하드웨어를 변경하여하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는 디지탈중계선방식을 CCS방식으로 채택하고 있는 전전자 교환기를 CAS방식으로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도 마찬가지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전자 교환기에 디지탈 중계선 신호방식을 하드웨어 변경없이 소프트웨어적인 제어로 변경하기 위한 디지탈중계선 신호방식변경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디지탈 중계선 하드웨어유니트와 제어용 프로세서를 구비한 전전자 교환기의 디지탈중계선 신호방식 변경방법에 있어서; 운용자에 의하여 해당 디지탈중계선 신호방식변경이 요구되면, 요구된 신호방식의 펄스부호다중화(PCM) 링크와 해당 링크의 신호방식을 확인하는 링크확인과정; 링크 확인과정에 의해 디지탈 중계선 하드웨어 유니트를 채널연합 신호방식으로 변경하는 제 1 신호방식변경과정; 링크확인과정에 의해 디지탈 중계선 하드웨어 유니트를 공통선신호방식으로 변경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공통선 신호방식으로 변경하는 제 2 신호방식변경과정; 제 1 신호방식변경과정과 제 2 신호방식변경과정에서 해당되는 신호방식으로 변경되면 제어프로세서로 신호방식변경이 완료되었음을 통보하는 통보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 1도는 전전자 교환기의 개략적인 디지탈 중계선 접속관계도로, 각 전전자 교환기A, B(100, 110)는 국간의 중계선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디지탈 중계선 하드웨어 유니트(101, 111)와 운용자의 제어명령에 의하여 교환기의 전기능을 제어하는 것으로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중계선신호방식에 대한 변경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프로세서(102, 112)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제 2도는 제 1도와 같이 구성된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중계선신호방식 변경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그러면 제 1도 및 제 2도를 결부시켜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 201 단계에서 운용자에 의하여 신호방식변경 요구명령이 인가되면, 제어용 프로세서(102, 112)는 해당 전전자교환기(100, 110) 내의 디지탈중계선 하드웨어 유니트(101, 111)로 신호방식변경 요구신호를 전송한 다음, 제 202 단계로 진행되어 해당되는 디지탈중계선 하드웨어 유니트(101, 111)는 해당 제어용 프로세서(102, 112)에서 요구한 펄스부호다중화(PCM : Pulse Code Modulation)링크와 해당 링크(Link)의 신호방식을 확인한 다음 제 203 단계로 진행된다.
제 203 단계에서는 제202 단계에서 확인된 링크의 신호방식에 따라 설정된 플래그상태를 확인하여 변경될 신호방식을 확인한다. 이 때 플래그상태가 예를 들어 'OOH'로 설정된 경우에는 CAS방식으로 변경이 요구된 경우이고, '03H'인 경우에는 CCS방식으로 변경이 요구된 경우이다.
따라서 플래그상태 확인결과, '03H'로 설정된 경우에는 제 204 단계로 진행되어 디지탈중계선 하드웨어 유니트(101, 111)의 해당 링크(4/5 PCM링크)가 CCS모드에 적합하도록 중계선변경을 수행하면서, 제 205 단계로 진행되어 해당 제어프로세서(102, 112)로 해당 플래그를 액티브상태로 설정하여 현재 변경이 수행되는 신호방식을 보고하여 해당 제어프로세서(102, 112)가 현재 PCM 링크가 원하는 모드로 설정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로 한다. 이와 같은 신호방식변경이 완료되면, 제 206 단계를 통해 해당 제어 프로세서(102, 112)로 해당 플래그를 세트하여 신호방식변경이 완료되었음을 통보한다.
그러나 제 203 단계에서 확인된 플래그의 상태가 '00H'인 경우에는 제 207단계로 진행되어 디지탈중계선 하드웨어 유니트(101, 111)의 해당 링크(4/5 PCM링크)가 CAS모드에 적합하도록 중계선 변경을 수행하면서, 제 208 단계로 진행되어 해당 제어프로세서(102, 112)로 해당 플래그를 액티브상태로 설정하여 현재 변경이 수행되는 신호방식을 보고하여 해당 제어프로세서(102, 112)가 현재 PCM링크가 원하는 모드로 설정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D변경이 완료되면, 제 209 단계를 통해 해당 제어프로세서(102, 112)로 해당 플래그를 세트하여 신호방식 변경이 완료되었음을 통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디지탈중계선 신호방식을 하드웨어 변경없이 소프트웨어 제어로 변경함으로써, 신호방식 변경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디지탈 중계선 하드웨어유니트의 제어용 프로세서를 구비한 전전자 교환기의 디지탈중계선 신호방식 변경방법에 있어서 ; 운용자에 의하여 해당 디지털 중계선 신호방식변경이 요구되면, 요구된 신호방식의 펄스부호다중화(PCM) 링크와 해당 링크의 신호방식을 확인하는 링크확인과정 ; 상기 링크확인과정에 의해 상기 디지탈중계선 하드웨어 유니트를 채널연합신호방식으로 변경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채널연합신호방식으로 변경하는 제 1 신호방식변경과정 ; 상기 링크확인과정에 의해 상기 디지털중계선 하드웨어 유니트를 공통선신호방식으로 변경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공통선신호방식으로 변경하는 제 2 신호방식변경과정 ; 상기 제 1 신호방식변경과정과 상기 제 2 신호방식변경과정에서 해당되는 신호방식으로 변경되면 상기 제어프로세서로 신호방식변경이 완료되었음을 통보하는 통보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디지탈 중계선 신호방식변경방법.
KR1019940032330A 1994-11-30 1994-11-30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디지탈중계선 신호방식변경방법 KR0124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2330A KR0124186B1 (ko) 1994-11-30 1994-11-30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디지탈중계선 신호방식변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2330A KR0124186B1 (ko) 1994-11-30 1994-11-30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디지탈중계선 신호방식변경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0285A KR960020285A (ko) 1996-06-17
KR0124186B1 true KR0124186B1 (ko) 1997-12-01

Family

ID=19399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2330A KR0124186B1 (ko) 1994-11-30 1994-11-30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디지탈중계선 신호방식변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418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0285A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00017B1 (en) Data transmission system
US4723272A (en) Telecommunication system, in particular telephone system
US526308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n-hook transmission for digital loop carrier channel units
US4514841A (en) Connecting unit for a ring bus
EP0738453B1 (e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 base st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0124186B1 (ko)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디지탈중계선 신호방식변경방법
JPS61112443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基地局制御方法
JP2886714B2 (ja) 無線回線制御装置
KR100668038B1 (ko) V5.2인터페이스 중계선 폭주시 안내방송 송출장치
CA2018698C (en) Private branch exchange system with attendant console
CN1184779C (zh) 数字通信中继系统
KR100258255B1 (ko) 브이5.2 정합의 공통 제어 프로토콜 처리 방법
JP2924135B2 (ja) 交換システム回線試験方式
KR960013653B1 (ko) 쌍방향 전송 방법 및 장치
KR19990074104A (ko) 호서비스장치
KR100330416B1 (ko) 트렁크용 부가 서비스장치
JPS59161163A (ja) 遠隔自動監視装置
JPS6218119B2 (ko)
JPH09162982A (ja) 局間トーキー接続方法
JPS62195937A (ja) 移動通信システム
KR20020042178A (ko) 교환기의 아이에스유피 중계선 상태관리 방법
JPH06261384A (ja) チャネルタイプの自動設定方式
JPS6020673A (ja) 予約接続切替接続方式
KR19990038842A (ko) 디지털 중계선 정합을 통한 원격 구내 방송 교환시스템 구현방법
JPS60257644A (ja) 交換機のデ−タ登録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