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4138Y1 - 개량형 이너폰 - Google Patents

개량형 이너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4138Y1
KR0124138Y1 KR2019950022454U KR19950022454U KR0124138Y1 KR 0124138 Y1 KR0124138 Y1 KR 0124138Y1 KR 2019950022454 U KR2019950022454 U KR 2019950022454U KR 19950022454 U KR19950022454 U KR 19950022454U KR 0124138 Y1 KR0124138 Y1 KR 01241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phone
phone
cord
plug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24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1662U (ko
Inventor
김현정
Original Assignee
김현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정 filed Critical 김현정
Priority to KR20199500224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4138Y1/ko
Publication of KR9700116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16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41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41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각종의 이너폰(INNER PHONE)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기존 이너폰의 코드 엉킴현상으로 인한 사용, 보관, 휴대상의 제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코져 하는 것임.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이너폰바디(2,3)와 플러그(7)를 양단에 가지며, 이들이 상호 코드(6)로 연결된 통상의 이너폰(1)에 있어서, 이너폰바디(2,3)에는 끼움공(4,5,4',5')을 각각 형성하여 플러그(7)로서 끼움연결될 수 있도록 하며, 이너폰바디(2,3)에는 상호 대응결합면에 결합력을 가진 스토퍼(9)와 스토퍼공(10)이 각각 형성된 것이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각종의 이너폰(INNER PHONE)

Description

개량형 이너폰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a)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측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a)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너폰 2,3 : 이너폰바디
4,5,4',5' : 끼움공 6 : 코드
7 : 플러그 8 : 보강부
9 : 스토퍼 10 : 스토퍼공
본 고안은 이너폰(INNER PHONE, 일명; 이어폰)의 개량고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코드의 엉킴현상을 방지하여 사용상의 편익 제공과 함께 수명을 장구히 할 수 있도록한 개량형 이너폰을 제공코져 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이너폰은 공지된 바와같이 각종의 음향기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근자에 들어서는 휴대용 카세트테이프레코더나 휴대용 CD플레이어 등이 다양화 된 상품으로 각광을 받으면서 이너폰의 수요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기존의 이너폰은 그 구성부품이 크게 음향기기에 연결하는 플러그와 연결되고 타단에 이너폰바디를 연결하는 코드로 이루어지며, 코드의 중간에는 리모트콘트롤장치 등을 추가로 장착한 이너폰도 대중화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품으로 이루어진 이너폰은 통상 휴대용 음향기기와 동시에 휴대할 때 별도의 정리를 하지 않고 무작위로 주머니나 가방 등에 보관하여 휴대하므로, 코드의 엉킴으로 인한 수명단축 및 접점불량 요인이 상당량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코드를 인출, 사용할 시에 이너폰과 플러그 등이 코드와 상호 엉키는 경우가 많아 사용상에 상당한 장애요인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와인딩드럼을 가진 케이스에 코드를 와인딩하여 이너폰용 코드를 보관하는 케이스 등이 안출되어 있으나(국내 실용신안 공고번호:91-6200), 이는 부피가 크고 가격도 고가이며, 보관 및 사용할 때마다 코드를 와인딩, 리와인딩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기존의 이너폰에 있어서 보관 및 휴대시에 코드의 엉킴현상을 근원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코져 하는 것으러서, 코드의 엉킴은 코드의 양단에 연결된 플러그와 복수개로 분기되는 이너폰이 상호 엉킴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이에 착안하여 사용할 때는 양자를 분리하더라도 보관 및 휴대시에는 양자를 상호 적정의 착탈수단을 사용하여 고정시켜 둠으로서 코드의 엉킴을 근원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한 것인바, 본원 출원인은 상기한 목적달성을 할 수 있는 이너폰에 관하여 선출원(출원번호:1995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122호)한바 있으며, 본원은 상기 선출원보다 더욱 간편한 구조의 개량형 이너폰을 제공코져 하는 것이다. 이하의 부수되는 도면과 함께 본 고안의 구성, 작용, 효과 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로서, 통상의 이너폰(1)에 있어서, 좌우 복수개의 이너폰바디(2,3)에는 귀에 끼움하는 방향과 동일방향으로 끼움공(4,5)을 관통되게 각각 형성한다.
상기 끼움공(4,5)은 이너폰바디(2,3)와 코드(6)로 연결되는 타단의 플러그(7)외면부가 긴밀하게 끼움될 수 있는 치수로 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끼움공(4,5)의 외면부로는 보강부(8)를 이너폰바디(2,3)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며, 이너폰바디(2,3)에는 각각의 이너폰바디(2,3)와 플러그(7)가 끼움결합시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돌기형의 스토퍼(9)와 상기 스토퍼(9)가 끼움될 수 있는 스토퍼공(10)을 형성토록 한다.
상기한 스토퍼(9)와 스토퍼공(10)은 플러그(7)와 협조하여 이너폰바디(2,3)를 결합하는 보조기능을 수행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스토퍼(9)와 스토퍼공(10)이 독자적으로 이너폰바디(2,3)를 결합하는 수단으로도 사용되도록 한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전기한 제1실시예와는 달리 끼움공(4',5')을 이너폰바디(2,3)가 귀에 끼움되는 방향과는 수직방향으로 형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통상의 각종 음향기기용 이너폰(1)에 적용되어 코드(6)의 엉킴 등을 미연에 방지하여 사용상의 편익을 제공함은 물론, 기기의 접점불량 등의 고장률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제품의 수명 또한 장구히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의 사용방법과 효과 등에 대하여 이하에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고안이 적용된 이너폰(1)을 음향기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법은 공지된 연결방법 및 사용방법과 동일한 것이므로 이에 대하여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본 고안에서 개시한 신규한 기술의 작용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이너폰(1)을 미사용시에는 통상 이너폰(1)은 음향기기와 분리하거나 플러그(7)는 음향기기에 연결하여 둔 후 코드(6)와 이너폰바디(2,3)를 음향기기와 와인딩 상태로 보관, 휴대하거나 무작위로 주먼니나 가방 등에 투입하여 보관, 휴대하게 되는바, 본 고안의 이너폰(1)을 사용할 때에는 이너폰바디(2,3)상의 착탈수단인 끼움공(4,5,4',5')과 플러그(7)를 사용하여 이너폰바디(2,3)와 플러그(7)를 상호 고정시켜 둠으로서 코드(6)와의 엉킴현상을 근원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이너폰바디(2,3)상에 형성된 끼움공(4,5,4',5')을 상호 일직선상으로 위치시킨후 플러그(7)의 선단부위를 끼움공(4,5,4',5')을 통하여 끼움하면 휴대 및 보관상태로 전환되는 것이다.
이때 이너폰바디(2,3)에는 스토퍼(9)와 스토퍼공(10)을 상호 대응부에 형성하여 이들도 이너폰바디(2,3)결합시에 동시에 끼움결합되므로 플러그(7)에 의해 결합된 이너폰바디(2,3)의 유동이나 이탈 등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스토퍼(9)와 스토퍼공(10)은 상호 결합력을 강화할 경우 독자적으로 이너폰바디(2,3)를 결합하는 수단으로도 사용되며, 그러한 경우에는 플러그(7)가 끼움되는 끼움공(4,5,4',5')은 플러그(7) 수납기능 및 연결보조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이너폰(1)을 재차 음향기기에 연결하여 사용코져 할 시는 플러그(7)를 각각의 끼움공(4,5,4',5')으로부터 분리한 후 공지된 방법으로 음향기기와 사용자의 귀에 플러그(7) 및 이너폰바디(2,3)를 각각 끼움하여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이너폰(1)은 기존 이너폰의 사용, 보관, 휴대시에 발생하는 코드(6)의 엉킴이나 엉킴으로 발생하는 접촉불량, 수명단축요인 등을 일소할 수 있는 등 그 구성의 단순함에 비하여 기대되는 효과가 예상외로 다대한 고안이다.
이하의 부수되는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에 본 고안에서 개시하는 기술중에서 특히 보호받고져 하는 부분이 기재될 것이지만, 일부 끼움착탈수단의 위치나 착탈부 구성을 단순히 등가물로 변경하거나 일부를 유사한 형태로 변경하는 등 유사한 변형 실시예 역시 본 고안과 기본적인 기술구성을 같이하는 한 동일한 것이라고 할 것이다.

Claims (1)

  1. 이너폰바디(2,3)와 플러그(7)를 양단에 가지며, 이들이 상호 코드(6)로 연결된 통상의 이너폰(1)에 있어서, 상기 이너폰바디(2,3)에는 끼움공(4,5,4',5')을 각각 형성하여 플러그(7)로서 끼움연결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이너폰바디(2,3)에는 상호 대응 결합면에 결합력을 가진 스토퍼(9)와 스토퍼공(10)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이너폰.
KR2019950022454U 1995-08-23 1995-08-23 개량형 이너폰 KR01241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2454U KR0124138Y1 (ko) 1995-08-23 1995-08-23 개량형 이너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2454U KR0124138Y1 (ko) 1995-08-23 1995-08-23 개량형 이너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1662U KR970011662U (ko) 1997-03-29
KR0124138Y1 true KR0124138Y1 (ko) 1998-10-01

Family

ID=19421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2454U KR0124138Y1 (ko) 1995-08-23 1995-08-23 개량형 이너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413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2501A3 (en) * 2009-05-11 2011-02-03 Pang Stephen Y Headphones with reduced tangling and methods
US9602908B2 (en) 2013-03-21 2017-03-21 Carl Venables Set of headphones and headphone cab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2501A3 (en) * 2009-05-11 2011-02-03 Pang Stephen Y Headphones with reduced tangling and methods
KR101357836B1 (ko) * 2009-05-11 2014-02-05 스티븐 와이. 팡 감소된 엉킴을 갖는 헤드폰 및 방법
US9602908B2 (en) 2013-03-21 2017-03-21 Carl Venables Set of headphones and headphone c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1662U (ko) 199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01839B2 (ja) ヘッドホン装置
JP2000125386A (ja) ヘッドホン装置
KR20060038901A (ko) 헤드폰
US5600719A (en) Portable storage device for a telephone line
US20030095658A1 (en) Portable device for coiling cable and amplifying sound
KR0124138Y1 (ko) 개량형 이너폰
KR101744166B1 (ko) 줄 자동 감김장치
KR100490353B1 (ko) 이어폰 권취 장치
KR200181938Y1 (ko) 이오폰 코드의 꼬임 방지장치
WO2014133113A1 (ja) 多機能イヤホン保持具
KR200225471Y1 (ko) 이어폰 고정구조
JP2020512792A (ja) モバイル端末外部アセンブリおよびモバイル端末保護スリーブ
KR200235865Y1 (ko) 지퍼의 원리를 이용한 얽힘 방지 이어폰
KR100465808B1 (ko) 목걸이형 릴타입 이어 마이크
CN218976788U (zh) 具有无线蓝牙连接功能的小型播放器
KR200262893Y1 (ko) 이어폰 줄 및 플러그 단자 수납 케이스
KR200385670Y1 (ko) 이어마이크 어셈블리
KR200156024Y1 (ko) 휴대용 이어폰의 엉킴 방지구조
JP2002190677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KR200178344Y1 (ko) 매직테이프를이용한이어폰선의얽힘방지구
KR200218558Y1 (ko) 휴대폰용 핸즈프리장치
KR200210891Y1 (ko) 유선 이어폰 내장형 목걸이
JP3044233U (ja) イヤホーンホルダー
KR19990015844U (ko) 이어폰코드엉킴방지장치가구성되어있는카세트라디오와이어폰원격조정판
KR200257794Y1 (ko) 핸드프리 송수화기용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