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3766Y1 - 자동차용 가속 케이블의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가속 케이블의 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3766Y1
KR0123766Y1 KR2019930008307U KR930008307U KR0123766Y1 KR 0123766 Y1 KR0123766 Y1 KR 0123766Y1 KR 2019930008307 U KR2019930008307 U KR 2019930008307U KR 930008307 U KR930008307 U KR 930008307U KR 0123766 Y1 KR0123766 Y1 KR 01237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leration cable
plastic tube
cable
wire
accel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83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6556U (ko
Inventor
강원구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300083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3766Y1/ko
Publication of KR9400265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65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37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37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00Flexible shafts; Mechanical 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 F16C1/10Means for transmitting linear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e.g. "Bowden-mechanisms"
    • F16C1/22Adjusting; Compensating length

Abstract

본 고안은 가속케이블의 구조를 와이어 위에 플라스틱 튜브만이 적층 피복된 가속페달과 스로틀밸브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자동차용 가속케이블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가속케이블의 구조를 와이어 위에 플라스틱 튜브만이 적층 피복되는 단일 구조로 구성하는 한편, 상기 플라스틱 튜브상에 브라켓과 조절부를 오버 몰딩(OVER MOULDING)하여 장착함으로써, 가속케이블의 제작공수를 절감하는 동시에 경량화를 도모한 자동차용 가속케이블의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가속케이블의 구조
제1도는 종래 가속케이블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가속케이블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제3도는 제2도의 브라켓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가속케이블 11:와이어
12:라이너(Liner) 13:콘딧(Conduit)
14:프로텍터(Protector) 15:결속체
16:플라스틱튜브 17:요철부
18:브라켓 19:조절부
20:대시패널널 21:보강재
본 고안은 가속 페달과 스로틀밸브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자동차용 가속케이블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속케이블의 와이어에 적충 피복되는 라이너, 콘딧 및 러버의 3중 구조를 플라스틱 튜브의 단일구조로 개선한 자동차용 가속케이블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가속케이블은 절연, 화학변화 및 부식방지 등을 목적으로 여러층으로 이루어진 보호재가 피복되어 이루어지는 바, 종래 이러한 가속케이블(10)의 구조는, 첨부도면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속케이블(10)의 페달측 와이어(11) 일정 부위에는 와이어(11)의 원할한 유동을 도와주는 라이너(12)와 일반적으로 배선보호를 위해 사용되는 콘딧(13) 및 프로텍터(14)가 차례로 적층 피복되는 한편, 상대측 와이어(11)의 일정 부위에도 상기 라이너(12)와 상기 프로텍터(14)와의 결합을 위한 결속체(15)가 적층 피복에서, 상기 프로텍터(14)의 내측으로 결속체(15)가 삽입되고, 이 결속체(15)의 외주면에 스웨이징(SWAGING)작업이 이루어지므로써, 결속체(15)와 콘딧(13)이 압착되는 동시에 프로텍터(14)와 결속체(15)가 압입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를 이루기 위해서는 라이너 압출작업 → 콘딧 권취작업 및 피복압출 → 와이어 삽입작업 → 결속체 장착작업과 같이 비교적 많은 공정을 거쳐서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콘딧은 스틸 강선에 PVC가 피복된 후 PE코팅 처리되어서 형성되므로 상기 결속체에 대한 스웨이징 작업시 종종 이 콘딧까지 눌러져서 와이어의 유동성이 저하되거나, 가속케이블이 벤딩 되었다가 복원되었을 때 이때의 콘딧 벤딩부위가 쉽게 끈어지거나 백화현상이 발생되는 등의 여러 결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가속케이블을 대시패널(도시되지 않음)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프로텍터상에 적층 장착되는 브라켓(도시되지 않음)은 스틸재질로 이루어져, 소음 발생의 원인이 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가속케이블의 구조를 와이어 위에 플라스틱 튜브만이 적층 피복되는 단일 구조로 구성하는 한편, 상기 플라스틱 튜브 상에 브라켓과 조절부를 오버 몰딩(OVER MOULDING)하여 장착함으로써, 가속케이블의 제작공수를 절감하는 동시에 경량화를 도모한 자동차용 가속케이블의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자동차용 가속케이블(10)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가속 케이블(10)은 와이어(11)위에 나일론 11재질의 플라스틱 튜브(16)가 적층 피복된 단일구조로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플라스틱 튜브(16)의 일정 부위에는 요철부(17)를 두어 그 위에 가속케이블 지지용 브라켓(18)과 가속케이블 길이 조정용 조절부(19)가 오버몰딩된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18)은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효과가 우수한 나일론 6.6재질로서 성형되고, 그 형상은 대시패널(20)의 형태에 따라 직선 또는 경사진 판형태의 지지체를 갖게 되며, 상기 플라스틱 튜브(16)위로 적층되는 원통형의 몸체와 상기 대시패널(20)상에 장착되는 경사진 지지체 사이에는 다수의 보강재(21)로 지지되어 일정한 자체 강성을 갖도록 이루어 진다. 또한, 가속케이블(10)의 와이어(11)에 적층 피복되는 플라스틱 튜브(16)는 내구성, 열적 안정성 및 복원성이 우수한 나일론 11 재질로 압출 성형된 단일체로 이루어져 와이어(11)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피복되고, 그 위의 가속 페달측과 스로틀 밸브측으로는 각각 브라켓(18)과 조절부(19)가 적층 피복되어지되, 이 브라켓(18)과 조절부(19)는 각각 상기 플라스틱 튜브(16)의 외주면 상에 일정 길이에 걸쳐 형성된 요철부(17)위에 오버 몰딩되어 플라스틱 튜브(16)와 일체형을 이루도록 적층 피복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가속케이블(10)은 플라스틱 튜브(16)의 압출 성형공정, 플라스틱 튜브(16) 내측으로의 와이어(11) 삽입공정, 플라스틱 튜브(16)상의 브라켓(18) 및 조절부(19)의 오버 몰딩공정으로 이루어진 3단계 공정을 거치므로 가속케이블(10)의 제작공정이 매우 간단해진 것을 알 수 있으며 또한, 기존 고가의 폴리테트라플루오르 에틸렌으로 된 라이너(12),콘딧(13) 및 프로텍터(14)를 단일체인 플라스틱튜브(16)로 대체함으로써, 가속케이블(10)의 구조 단순화, 경량화가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자동차용 가속 케이블이 와이어에 튜브만이 피복되고, 그 위에 장착용 브라켓과 조절부가 적층되는 일체형의 단일구조로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구조 단순화와 재질 개선에 따른 내구성 향상의 효과와 제작공수 절감에 따른 작업능률 향상의 효과와 중량절감 및 제작 원가절감에 따른 제품에 대한 생산성 향상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용 가속 케이블(10)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가속케이블(10)은 와이어(11)위에 나이론 11재질의 플라스틱 튜브(16)가 적층 피복된 단일구조로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플라스틱 튜브(16)의 일정 부위에는 요철부(17)를 두어 그 위로 가속케이블 지지용 브라켓(18)과 가속케이블 길이 조정용 조절부(19)가 오버 몰딩된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가속 케이블의 구조.
KR2019930008307U 1993-05-18 1993-05-18 자동차용 가속 케이블의 구조 KR01237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8307U KR0123766Y1 (ko) 1993-05-18 1993-05-18 자동차용 가속 케이블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8307U KR0123766Y1 (ko) 1993-05-18 1993-05-18 자동차용 가속 케이블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6556U KR940026556U (ko) 1994-12-09
KR0123766Y1 true KR0123766Y1 (ko) 1998-08-17

Family

ID=19355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8307U KR0123766Y1 (ko) 1993-05-18 1993-05-18 자동차용 가속 케이블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376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6556U (ko) 1994-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22114A (en) Air duct assembly
EP0912368B1 (en) Sound insulating layer with integral boot
WO200510630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haping hose
US6815615B1 (en) Two-part grommet
US20190389513A1 (en) Bracket and mounting system for use in supporting a module within a vehicle
CN107210596B (zh) 组合电缆的密封模制分割结构以及用于制造组合电缆的密封模制分割结构的方法
US6573450B2 (en) Waterproof structure for terminal portion of electric wire provided on housing body for electric components
KR0123766Y1 (ko) 자동차용 가속 케이블의 구조
US6477808B1 (en) Vehicle door module with integrated supporting panel
US4850396A (en) Hose wire retainer
MXPA00007611A (es) Tubo oscilante soportado por conducto.
WO1998039155A1 (en) Heat shiel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heat shield
US20020182001A1 (en) Connection element for cable pulls
EP1657097B1 (en) Body of a fuel cap unit fitted to the fuel pipe, and its production processes
FR2776583B1 (fr)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e assise dont l'armature est fixee de maniere pivotante sur le plancher du vehicule
US20050284220A1 (en) Float arm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e
CN216530348U (zh) 一种可塑型的汽车线束用波纹管
KR970003204Y1 (ko) 차량의 악셀러레이터(accelerator) 와이어 가이드용 외부 케이싱(casing)
JPS6346280Y2 (ko)
KR0129155B1 (ko) 자동차 휠 아치 프로텍타의 구조
JPH01275222A (ja) フィラーチューブの取付構造
US11979010B2 (en) Overmolded wiring harness
JPH0330178Y2 (ko)
JP3194144B2 (ja) リヤパーセルサイドの配設構造
JPS58221739A (ja) 自動車用モ−ル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