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3505Y1 - 철도차량의 형광등 취부기구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의 형광등 취부기구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3505Y1
KR0123505Y1 KR2019950008721U KR19950008721U KR0123505Y1 KR 0123505 Y1 KR0123505 Y1 KR 0123505Y1 KR 2019950008721 U KR2019950008721 U KR 2019950008721U KR 19950008721 U KR19950008721 U KR 19950008721U KR 0123505 Y1 KR0123505 Y1 KR 01235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orescent lamp
frame
recess
fluorescent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87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4283U (ko
Inventor
홍재성
정원석
김인홍
Original Assignee
유철진
현대정공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철진, 현대정공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철진
Priority to KR20199500087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3505Y1/ko
Publication of KR9600342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42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35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35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9/00Ligh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4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vehicle types
    • B60Q3/41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vehicle types for mass transit vehicles, e.g. buses
    • B60Q3/43General ligh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1Mount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lighting devices onto vehicle interior, e.g. onto ceiling or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02Frames
    • F21V1/04Frames rig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21V21/041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 F21V21/042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도차량용 형광등 취부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철도차량의 객실천장에 설치되는 형광등을 보다 용이하게 취부할 수 있도록 된 철도차량용 형광등 취부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객실의 조명을 위해 객실의 중천장상에 설치하도록 된 철도차량용 형광등에 있어서, 형광등과 안전기가 장착된 형광등 프레임이 안착되는 프레임용 제1요부와 이 제1요부의 외부 둘레에 소정 두께의 투명덮개가 안착되도록 된 덮개용 제2요부 및, 그 외부에 상기 중천장부재와 결합하여 본 장치를 고정시키는 스냅식 고정기구가 설치된 내장판과, 이 내장판과 상기 형광등 프레임을 체결시키는 체결기구, 상기 내장판의 제2요부에 체결되는 투명덮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도차량의 형광등 취부기구
본 고안은 철도차량의 형광등 취부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철도차량의 객실천장에 설치되는 형광등을 보다 용이하게 취부할 수 있도록 된 철도차량의 형광등 취부기구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철도차량의 형광등 취부기구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면부호(1)은 개실의 중천장이며, 도면부호(2)는 형광등 중천장(1)에 소정의 지름으로 뚫린 형광등 취부용 홀의 둘레에 취부되어 후술할 형광등(3)과 안정기(6)가 일체로 설치되는 형광등 프레임이다.
그리고 도면부호(5)는 알루미늄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고정설치되어 상기 형광등 프레임(4)을 덮는 형광등 커버이고, (6)은 형광등 안정기이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철도차량의 형광등 취부기구를 객실의 중천장에 취부하려면 먼저, 상기 형광등 취부용 홀의 주변 중천장(1)에 상기 브라켓(2)을 용접해야 한다. 그리고 형광등 프레임(4)에 패킹(Packing)을 접착시킨 후,이 패킹(미도시)이 접착된 형광등 프레임(4)을 상기 브라켓(2)에 취부한다.
브라켓(2)에 형광등 프레임(4)의 취부가 완료되면, 이 취부 완료된 형광등 프레임(4)에 상기 형광등 커버(5)를 알루미늄 프레임으로 고정시키면 모든 형광등 취부기구의 객실 중천장 취부작업은 끝나게 된다.
그런데 상기 형광등 취부에 있어서는 취부시 작업자는 중천장 골조에 일일이 상기 브라켓(2)을 용접해야 하는데 이러한 잦은 용접에 따른 부재비 상승과 차체중량을 증가시켜 왔고, 뿐만 아니라 상기 내장판의 취부가 현장 맞춤식으로 취부해야 함에 따라 상기 브라켓(2)의 위치가 맞지 않게 되는 경우, 상기 형광등 프레임(4)을 현장에서 잘라 브라켓의 위치에 맞추거나 또는 상기 브라켓(2)의 위치를 재조정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형광등 한 개를 취부할 때마다 위보기 작업으로 드릴작업과 탭작업을 해야 하므로 이러한 힘든 작업이 지나치게 많아 작업자의 피로를 가중시키며, 또 상기 형광등 커버(5)가 중천장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어 미관과 안전성에 있어서도 좋지 않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 철도차량의 형광등 취부시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개소된 재질에 의해 제조될 수 있어 미관과 성능에 있어 개선된 철도차량의 형광등 취부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종래의 철도차량 형광등 취부기구를 나타낸 도면.
제2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형광등 취부기구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중천장 2:브라켓
3:형광등 4:프레임
5:커버 6:안정기
21:제1요부 22:제2요부
23:내장판 24:체결구
25:투명커버 26:브라켓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철도차량의 형광등 취부기구는,형광등과 안정기를 장착 수용하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을 수용하며 약간 경사지게 형성된 제1요부(凹)와, 중천장 표면보다 약간 깊게 형성된 제2요부(凹)가 일체로 이루어진 내장판(23)과, 이 내장판(23)의 제2요부(22)의 외부에 중천장 표면과 평행하게 설치된 투명커버(25)와, 상기 내장판(23)과 형광등 프레임(4)을 브라켓(26)과 함께 체결시키는 체결구(2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철도차량의 형광등 취부기구의 객실천장의 설치를 살펴보면, 작업자는 본 장치를 중천장에 취부하기 전에 형광등 프레임을 상기 내장판의 제1요부에 삽입한 후, 이를 상기 체결구로 상기 내장판과 체결하여 일체화시킨다. 이어 작업자는 중천장에 고정 설치된 내장판의 제2요부에 상기 투명커버를 고정 설치시키면 모든 형광 등의 중천장에 대한 설치작업은 끝난다.
여기서, 작업에 있어 가장 힘이 드는 천정작업은 단지 형광등용 프레임이 장착된 내장판을 천정의 소정 홀에 간단한 스냅 고정기구로 장착하고 이후 설치된 내장판에 투명커버를 설치할 때 뿐이다.
따라서, 형광등의 설치가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투명커버가 제2요부내에 요부된 거리만큼 들어가므로 중천장과 평행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미관에 있어서도 매우 뛰어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형광등 취부기구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1도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부호를 지정하고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도에서 도면부호(21)은 형광등프레임(4)이 장착되는데 제1요부이고, 도면부호(22)는 후술할 형광등 투명커버(25)가 장착되는 제2요부이며, 도면부호(23)은 상기 제1요부(21)와 제2요부(22) 및 상기 중천장과 결합되는 스냅식 체결구를 가지고 있는 내장판이고, 도면부호(24)는 상기 제1요부(21)에 수용된 상기 형광등 프레임(4)과 내장판(23)을 브라켓(26)과 함께 체결시키는 체결구이다.
또한 형광등의 투명커버(25)는 그 재질이 투명하고 소정의 곡률 반지름이 있으며, 상기 내장판(23)에 설치된 형광등(3)으로부터 나오는 빛을 객실내로 출력시키는 한편, 상기 내장판(23)과 글로브(Globe) 취부용 래치에 의해 취부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철도차량의 형광등 취부기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는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형광등 취부기구를 취부위치에 가져온 후, 상기 형광등의 투명커버(25)를 벗긴다. 이어 객실의 중천장에 뚫린 형광등 설치용 홀에, 상기 형광 등의 투명커버(25)가 없는 내장판(23)의 후면을 삽입한 후, 상기 홀 주변에 설치된 스냅식 체결기구(미도시)와 내장판(23)의 가장자리에 있는 스냅식 체결기구(미도시)를 상호 결합시켜 내장판(23)을 중천장에 고정시킨다.
이어 상기 내장판(23)과 체결에 의해 일체화된 형광등 프레임(4) 내부의 전기적 결손을 마친후, 상기 형광등 투명커버(25)를 상기 내장판(23)에 형성된 제2요부(22)위에 삽입한 후, 상기 글로브 취부용 래취로 고정설치시킨다. 이와같이, 작업자는 형광등을 객실의 중천장에 설치할 때 취부를 위해 용접이나 탭핑작업이 전혀 없이 간단한 조작으로 취부시키게 되며, 형광등 설치에 필요한 모든 탭핑이나 용접은 형광등 설치이전 밑보기 작업에 의해 준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형광 등의 투명커버(25)는 상기 내장판(23)에 요철된만큼 삽입되어 중천장의 표면과 수평을 유지하고, 또한 소정의 곡률 반지를을 지니고 있어 그 미관에 있어서도 뛰어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 철도차량의 형광등 취부시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개선된 재질에 의해 제조될 수 있어 미관과 성능에 있어 개선된 철도차량의 형광등 취부기구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철도차량의 객실 조명을 위해 사용되는 형광등 취부기구에 있어서, 형광등(3)과 안정기(6)가 장착된 형광등 프레임(4)과, 상기 프레임(4)과 체결되며, 제1요부(21)가 경사지게 형성되고 투명 커버(25)가 외측에 형성된 제2요부(22)로 이루어지는 내장판(23)과 상기 내장판(23)과 형광등 프레임(4)을 브라켓(26)과 함께 체결시키는 체결구(2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형광등 취부기구.
KR2019950008721U 1995-04-26 1995-04-26 철도차량의 형광등 취부기구 KR01235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8721U KR0123505Y1 (ko) 1995-04-26 1995-04-26 철도차량의 형광등 취부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8721U KR0123505Y1 (ko) 1995-04-26 1995-04-26 철도차량의 형광등 취부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283U KR960034283U (ko) 1996-11-19
KR0123505Y1 true KR0123505Y1 (ko) 1998-08-17

Family

ID=19412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8721U KR0123505Y1 (ko) 1995-04-26 1995-04-26 철도차량의 형광등 취부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350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7104A (ko) 2017-02-22 2018-08-30 (주)화전조명 램프추락방지용 홀더가 더 구비된 엘이디 터널 등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7104A (ko) 2017-02-22 2018-08-30 (주)화전조명 램프추락방지용 홀더가 더 구비된 엘이디 터널 등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283U (ko) 1996-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1485B1 (en) Vehicle light bar assembly
KR0123505Y1 (ko) 철도차량의 형광등 취부기구
BR9902352A (pt) Estrutura de montagem de cobertura de corpo de veìculo.
JP2005319907A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KR20200134367A (ko) 자동차용 누광 방지 램프 브래킷
KR100387957B1 (ko) 매입형 조명등기구
JPS637554Y2 (ko)
KR100346438B1 (ko) 개선된 룸 램프 브라켓을 가지는 룸 램프
JPS6126125Y2 (ko)
CN113573945B (zh) 后照明装置
KR200244549Y1 (ko) 차량용 차폭등 장착구조
KR0127064Y1 (ko) 자동차용 맵 램프
JPH045392Y2 (ko)
KR0139592Y1 (ko) 자동차용 스톱 램프
JP5184963B2 (ja) 車室内部品
KR100280365B1 (ko) 어린이 통학용 보호차량 표시등 취부구조
KR200190128Y1 (ko) 룸램프 취부장치
JP2001018711A (ja) 自動車用窓ガラスの警告灯取付構造
JPH0131547Y2 (ko)
KR960003558Y1 (ko) 자동차용 사이드 백미러에 부설되는 보조표시등
JPH023212Y2 (ko)
JPH0771911B2 (ja) ライセンスプレート照射用ランプの取付構造
KR970010357A (ko) 차량용 실내등
KR970038489A (ko) 차량용 발광신호탄 설치용 브라켓
KR960009006Y1 (ko) 썬루프(sun roof)위에 부착하는 택시의 승차등(방범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