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3374B1 - 식기세척기용 급수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용 급수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3374B1
KR0123374B1 KR1019950043176A KR19950043176A KR0123374B1 KR 0123374 B1 KR0123374 B1 KR 0123374B1 KR 1019950043176 A KR1019950043176 A KR 1019950043176A KR 19950043176 A KR19950043176 A KR 19950043176A KR 0123374 B1 KR0123374 B1 KR 0123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vel
water supply
water level
optical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3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5553A (ko
Inventor
김인수
Original Assignee
이영서
동양매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서, 동양매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영서
Priority to KR1019950043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3374B1/ko
Publication of KR970025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5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3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33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44Water-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7Fittings for water supply, e.g. valves or plumbing means to connect to cold or warm water lines, aquas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09Water lev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05Drain or recirculation pump, e.g. regulation of the pump rotational speed or flow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용 급수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광센서의 발신과 수신에 의해 수위를 감지하여 간단한 구조로 정확하게 수위를 감지하므로 제품의 신뢰성 향상과 제품 제조원가절감을 이루는 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척조(20) 하단에 있는 집수조(21)의 하단에 연결되어 일측면에 수위측정함(30)을 취부하고 상기 수위 측정함(30)의 일측외각부에 다수개로 수위가 감지되게 하는 광센서 수신부(40)와, 수위측정함(30) 내부에 수위의 부력에 의해 수위감지가 가능한 중공체인 부레(50)와, 수위측정함(30)의 일측외각에 부착된 광센서수신부(40)에 빛신호를 보내게 되어 부레(50)의 일정부분에 취부한 광센서(60)를 구비하고 집수조(21)의 하단에 물을 뿌려서 흘려보내는 살수펌프(12)와, 집수조(21) 하단부에 배수로를 연결하여 배수가능한 배수펌프(70)와, 집수조(21) 하단부에 급수 가능한 급수밸브(80)가 구비하여 정확하게 수위를 감지하고 적정유량을 사용하여 세척시간과 전기사용 및 수도사용료 등으로 세척성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켜 제품의 신뢰성상승과 제품제조원가를 절감시키는 효과를 제공받는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용 급수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제 1 도는 종래의 식기세척기를 나타내는 구성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 급수제어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제 3 도의 (a)는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 급수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b)는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 급수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급수조 2 : 살수펌프
3 : 흡입관 4 : 적정스위치
5 : 과수위스위치 6 : 토출관
7 : 배수펌프 8 : 급수벨브
9 : 누수감지스위치 10 : 고압스위치
11 : 급수조 12 : 살수펌프
20 : 세척조 21 : 집수조
30 : 수위측정함 40 : 광센서 수신부
50 : 부레 60 : 광센서
70 : 배수펌프 80 : 급수벨브
81 : 급수펌프 100 : 배수행정
200 : 급수행정 300 : 세척행정
150 : 배수오류발생감지행정 250 : 급수오류발생감지행정
400 : 과수위오류발생감지행정 450 : 누수오류발생감지행정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용 급수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광센서의 발신과 수신에 의해 수위를 감지하여 간단한 구조로 정확하게 수위를 감지하므로 제품의 신뢰성 향상과 제품 제조원가 절감을 이루는 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는 제 1 도의 식기세척기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의 내부에 급수조(1)가 설치되고 상기 급수조(1) 하부 일측면에는 살수펌프(2)와 연결되어지는 흡입관(3)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살수펌프(2) 상단부에 수위를 감지하는 적정스위치(4)와 과수위스위치(5)를 가지고 있으며, 살수펌프(2)의 타측에는 토출관(6)이 연결되어지고 이러한 토출관(6)은 상부공급관과 하부공급관으로 분기되고, 급수조(1)의 바닥면에는 배수펌프(7)가 연결되어 있어 세척이 완료되면 외부로 물을 배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바, 상기의 토출관(6) 일측부에는 고압스위치를 설치하여 살수펌프(2)에서 토출되어지는 물의 토출압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배수펌프(7)의 상단에 급수가 이루어지게 하는 급수벨브(8)를 가지며 급수조(1) 하단에 누수가 감지되는 누수감지스위치(9)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식기세척기는 식기세척기의 급수조에 급수가 이루어지게 되고 급수조에 차인 물들은 살수펌프의 작동에 의해 흡입관으로 흡입되어 토출관으로 토출되는 상태가 되며 토출관으로 토출된 물은 상, 하부 공급관을 따라 이동되어 세척기의 상, 하측에서 일정한 압력으로 분사되어 식기를 자동으로 세척하게 된다.
또한, 살수펌프(2)에서 토출되는 토출압이 고압스위치(10)에 이미 설정되어 있는 기준치를 넘어서게 될 경우 고압스위치(9)의 작동에 의한 경보가 울리게 되며 적정스위치(4)와 과수위스위치(5)는 급수조(1)의 수위를 감지하게 되어 적정수위와 과수위로 분류하여 감지하고 누수감지스위치(9)는 급수조(1)의 하단부에 누수현상을 감지하여 경보음을 울리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작용하는 종래의 식기세척기는 각각의 감지기능을 개별 스위치에 의해 감지하게 되어 복잡한 구성을 가지며 제조원가 상승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 다른 문제점은 수위감지스위치가 스프링과 다이아프램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감지정도가 떨어져 정확한 수위감지가 불가능하여 필요없이 많은 수량사용으로 수돗물과 전기료 낭비를 가져다주며, 세척수를 가열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증기압에 의해 수위감지 스위치가 오동작하는 등의 문제점을 야기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광센서의 발신과 수신에 의해 수위를 감지하여 간단한 구조로 정확하게 수위를 감지하므로 제품의 신뢰성향상과 제품 제조원가절감을 이루는 장치 및 제어방법을 마련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도의 식기세척기 급수제어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세척조(20) 하단에 있는 집수조(21)의 하단에 연결되어 일측면에 수위측정함(30)을 취부하고 상기 수위측정함(30)의 일측외각부에 다수개로 수위가 감지되게 하는 광센서 수신부(40)와, 수위측정함(30) 내부에 수위의 부력에 의해 수위감지가 가능한 중공체인 부레(50)와, 수위측정함(30)의 일측외각에 부착된 굉센서수신부(40)에 빛신호를 보내게 되어 부레(50)의 일정부분에 취부한 광센서(60)를 구비하고 집수조(21)의 하단에 물을 뿌려서 흘려보내는 살수펌프(12)와, 집수조(21) 하단부에 배수로를 연결하여 배수가능한 배수펌프(70)와, 집수조(21) 하단부에 급수 가능한 급수밸브(8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도의 식기세척기 급수제어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집수조(11) 하단부에 수위측정함(30)을 취부하여 수위가 감지되게 하고 급수조(11)와 수위측정함(30)은 관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세척조(20) 내부 수위와 수위측정함(30)내의 수위가 평형을 유지되도록 하고 있다.
수위측정함(30)은 일측에 일정높이(H0, H1, H2, H3)에 해당되는 광센서 수신부(40)을 부착하여 광센서(60)의 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며 광센서(60)는 수위측정함(30)내부에 부레(50)를 일정높이에 부설하여 떠오름에 따라 각각의 높이를 감지할 수 있어 가장 높은 높이에서 광센서(60)는 배수감지수위인 H0을 감지하게 된다.
여기에서 H0은 배수감지수위로서 배수가 완료된 상태의 수위를 나타내며, H1은 정상수위에서 누수된 누수감지수위를 말하며, H2는 정상작동수위를 나타낸다. 또한 H3은 정상수위보다 높은 수위의 과수위감지수위를 나타낸다.
한편 세척조(20)내에 과수위 감지 수위 높이에 배수로를 연결하여 과수위시에도 물이 세척조외부로 흐르지 않도록 배수가 가능하게 된다.
살수펌프(12)와 급수펌프(81) 및 급수밸브(80)는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운영되도록 하고 있다.
제 3 도의 식기세척기 급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크게 배수행정(100)과, 급수행정(200) 및 세척행정(300)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각의 행정은 각 행정에서 이상이 없을때에 다음 행정으로 넘어가게 되며 오류발생 감지행정으로는 배수오류발생감지행정(150)과 급수오류발생 감지행정(250) 및 과수위오류발생감지행정(400) 또는 누수오류발생감지행정(450)으로 분류하고 있다.
여기에서, 배수행정(100)은 초기 작동시작에서 배수펌프를 작동시키고 일정시간이 경과되어 배수의 일정시간(Td)에 비해 초기시간(T)이 적으면 초기수위가 배수감지수위(H0)와 비교하게 되어 배수펌프를 정지시키게 된다.
그러나 초기시간(T)에 비해 배수시간(Td)이 적으면 배수오류발생감지행정(150)으로 제어된다. 상기 배수오류발생감지행정(150)은 배수오류발생으로 경고음을 울리게 되고 배수과정을 종료하게 되며, 초기수위에 비해 배수감지수위(H0)가 적으면 일정시간을 보내게 된다.
배수펌프정지로부터 급수행정(200)은 시작된다.
급수행정(200)은 급수밸브작동으로 일정시간이 경과되어 급수의 일정시간(Ti)에 비해 초기시간(T)가 작으면 초기수위가 급수감지수위(H2)와 비교하게 되어 급수펌프를 정지시키게 된다.
그러나 초기시간(T)에 비해 급수시간(Ti)이 적으면 급수오류발생감지행정(250)으로 제어된다. 상기 급수오류발생감지행정(250)은 급수오류발생으로 배수 및 경고음을 울리게 되고 급수과정을 종료하게 되며, 초기 수위에 비해 급수감지수위(H2)가 적으면 일정시간을 보내게 된다.
급수밸브의 정지로부터 과수위 감지행정(300)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과수위감지수위(H3)에 비해 세척조수위가 크면 과수위 오류발생으로 배수 및 경고음을 울리게 되고 과수위행정을 종료시키게 된다. 따라서 정상급수후 급수밸브 등의 고장으로 물이 계속 급수되어 과수위되어 범람하지 않도록 하며 세척이 완전히 종료되는 시점까지 항상 감지하게 된다.
과수위감지수위(H3)에 비해 세척조수위가 적으면 세척행정(400)과정을 실행한다. 세척행정(400)은 살수펌프작동으로 세척조수위에 비해 누수감지수위(H1)가 크면 누수오류발생으로 배수 및 경고음을 울리고 종료를 하게 되며, 세척조수위가 크면 다음 행정을 진행하고 살수펌프를 정지시키게 된다. 누수감지수위(H1)는 정상수위(H2)보다 일정높이 낮게 위치하고 있어, 살수펌프작동시 세척수가 상,하부 분사구에 공급되므로 일정수위만큼 내려가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행정과정을 반복해서 수행하므로 정확하게 수위를 감지하고 적정유량을 사용하여 세척시간과 전기사용 및 수도사용료 등으로 세척성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켜 제품의 신뢰성상승과 제품제조원가를 절감시키는 효과를 제공받는다.

Claims (1)

  1. 세척조(20)하단에 있는 집수조(21)의 하단에 연결되어 일측면에 수위측정함(30)을 취부하고 상기 수위측정함(30)의 일측외각부에 다수개로 수위가 감지되게 하는 광센서 수신부(40)와, 수위측정함(30)내부에 수위의 부력에 의해 수위감지가 가능한 중공체인 부레(50)와, 수위측정함(30)의 일측외각에 부착된 광센서수신부(40)에 빛신호를 보내게 되어 부레(50)의 일정부분에 취부한 광센서(60)를 구비하고 집수조(21)의 하단에 물을 뿌려서 흘려보내는 살수펌프(12)와, 집수조(21) 하단부에 배수로를 연결하여 배수가능한 배수펌프(70)와, 집수조(21) 하단부에 급수 가능한 급수밸브(80)가 구비된 급수제어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용 급수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19950043176A 1995-11-23 1995-11-23 식기세척기용 급수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0123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3176A KR0123374B1 (ko) 1995-11-23 1995-11-23 식기세척기용 급수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3176A KR0123374B1 (ko) 1995-11-23 1995-11-23 식기세척기용 급수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5553A KR970025553A (ko) 1997-06-24
KR0123374B1 true KR0123374B1 (ko) 1997-11-27

Family

ID=19435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3176A KR0123374B1 (ko) 1995-11-23 1995-11-23 식기세척기용 급수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33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3744A (ko) * 2007-11-23 2009-05-27 비트론 에스.피.에이. 넘침 방지 안전 시스템을 갖춘 식기 세척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3744A (ko) * 2007-11-23 2009-05-27 비트론 에스.피.에이. 넘침 방지 안전 시스템을 갖춘 식기 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5553A (ko) 1997-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1569B2 (en) Water guide for dishwasher
KR101266870B1 (ko) 식기세척기
CN102573595A (zh) 清洗机,例如洗碗机或洗衣机,以及操作清洗机的方法
CN100413455C (zh) 洗碗机的过量给水防止结构及其方法
KR0123374B1 (ko) 식기세척기용 급수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20050122358A (ko) 식기세척기의 수위감지장치
CN108088689B (zh) 一种用水设备排水故障检测方法
CN211324815U (zh) 一种用于洗碗机的底座结构
KR101241866B1 (ko) 식기세척기
CN215650941U (zh) 一种呼吸器以及洗碗机
KR101054104B1 (ko) 식기 세척기의 에어 브레이크 구조
KR100863859B1 (ko) 식기 세척기
KR101070063B1 (ko) 수위 감지장치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의 에어 브레이크
KR0124978Y1 (ko) 식기세척기의 누수 방지장치
JP3086631B2 (ja) 洗浄機
CN214632065U (zh) 储液装置及洗碗机
KR910006913Y1 (ko) 식시세척기의 급배수 장치
KR960013165B1 (ko) 식기세척기의 누수감지장치
CN209048067U (zh) 洗碗机的高水位报警结构
CN219846441U (zh) 一种清洗机
KR20100082663A (ko)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급수 방법
KR0119130Y1 (ko) 수위감지장치를 갖는 식기세척기
KR0119131Y1 (ko) 수위감지장치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KR20080006230A (ko) 수위감지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식기세척기
KR0113457Y1 (ko) 식기세척기 세척조의 수위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