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3271B1 - 배터리의 충/방전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의 충/방전 표시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3271B1
KR0123271B1 KR1019940018418A KR19940018418A KR0123271B1 KR 0123271 B1 KR0123271 B1 KR 0123271B1 KR 1019940018418 A KR1019940018418 A KR 1019940018418A KR 19940018418 A KR19940018418 A KR 19940018418A KR 0123271 B1 KR0123271 B1 KR 0123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e
discharge
battery
state display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8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공일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40018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32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3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3271B1/ko

Links

Landscapes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표시소자를 이용하여 배터리의 충/방전상태 및 충/방전량을 표시함으로써 배터리의 방전으로 인한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된 배터리의 충/방전 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점화스위치(4)의 온/스타트위치에 따라 점등/소등되는 충전경고등(2)과, 시동모터(5)에 의한 엔진시동시 발전기(3)에 의해 전류가 충전되는 배터리(1)를 갖춘 차량에서, 상기 배터리(1)의 현재 충전/방전상태를 표시하는 충/방전상태 표시수단(6)과, 상기 충/방전상태 표시수단(6)에서 표시하는 충전/방전상태에 따른 충전/방전량을 디스플레이시키는 충/방전상태 표시수단(7)을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충/방전상태 표시수단(6)은 상기 배터리(1)가 상기 발전기(3)에 의해 현재 충전되고 있음을 알리는 충전상태 표시부(6A)와, 상기 배터리로(1)부터 소정이 전원이 현재 방전되고 있음을 알리는 방전상태 표시부(6B)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배터리의 충/방전 표시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배터리의 충/방전 표시장치의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충/방전 표시장치의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터리, 2 : 충전경고등,
3 : 발전기, 4 : 점화스위치,
5 : 시동모터, 6 : 충/방전상태 표시수단,
7 : 충/방전량 표시수단(전압계).
본 발명은 배터리의 충/방전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의 충/방전상태 및 충/방전량을 소정의 표시소자를 이용하여 표시하도록 된 배터리의 충/방전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면 제어패널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1)의 충/방전상태를 알리는 충전경고등(2)이 설치되어 있고, 차량의 내부에는 주행중에 엔진을 구동시켜 배터리(1)를 충전시키는 발전기(Alternator; 3) 및 점화스위치(4)가 스타트위치(ST)에 있게 됨에 따라 엔진시동을 거는 시동모터(5)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면, 운전자가 점화스위치(4)를 온시키게 되면 계기판의 충전경고등(2)은 점등되고, 그후 시동모터(5)에 의해 엔진시동이 걸리게 되면 상기 충전경고등(2)은 소등됨과 더불어 발전기(3)내의 도시되지 않은 모터가 회전을 시작하여 스테이터코일(도시되지 않음)에 3상교류가 유발되고 그 전류가 실리콘다이오드(도시되지 않음)로 정류되어 밧데리(1)에 충전된다. 통상적으로 이 충전동작은 엔진아이들링(Idling)시에도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구성동작에 의해 점등/소등되는 충전경고등(2)은 발전기(3)의 레귤레이터에 고장이 발생하였거나 배선의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동작을 할수 없게 되어 운전자는 발전기(3)의 고장유무를 파악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하고, 그로 인해 배터리(1)의 방전상태를 알지 못하여 차량주행중 배터리의 완전방전으로 인한 사고를 발생시키게 된다.
다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소정의표시소자를 이용하여 배터리의 충/방전상태 및 /충/방전량을 표시함으로써 배터리의 방전으로 인한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된 배터리의 충/방전 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충/방전 표시장치는, 점화스위치의 온/스타트위치에 따라 점등/소등되는 충전경고등과, 시동모터에 의한 엔진시동시 발전기에 의해 전류가 충전되는 배터리를 갖춘 차량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현재 충전/방전상태를 표시하는 충/방전상태 표시수단과, 그 충/방전상태 표시수단에서 표시하는 충전/방전상태에 따른 충전/방전량을 디스플레이시키는 충/방전량 표시수단을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충/방전상태 표시수단은 상기 배터리가 상기 발전기에 의해 현재 충전되고 있음을 알리는 충전상태 표시부와, 상기 배터리로부터 소정의 전원이 현재 방전되고 있음을 알리는 방전상태 표시부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충전상태 표시부는 상기 배터리와 접지단사이에 소정의 권수(券數)로 감긴 코일의 양단사이에 상호 직렬접속된 다이오드와 충전상태표시용 램프 및 저항으로 구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방전상태 표시부는 상기 코일의 양단사이에 상호 직렬접속된 다이오드와 방전상태 표시용 램프 및 저항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충전상태 표시부의 다이오드와 상기 방전상태 표시부의 다이오드의 접속방향은 상호 반대이다.
그리고, 상기 충/방전량 표시수단은 상기 충/방전상태 표시수단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계기판에 설치되는 전압계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발전기에 의해 배터리에 소정의 전원이 충전되는 경우 충전상태 표시용 램프가 점등됨과 동시에 전압계의 바늘이(+)쪽으로 이동하여 현재 충전상태임을 표시하게 되고,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해 배터리가 방전되는 경우 방전상태표시용 램프가 점등됨과 동시에 전압계의 바늘이 (-)쪽으로 이동하여 현재 방전상태임을 표시하게 되며, 엔진아이들(Idle)상태에서 모든 전기적인 부하를 오프시켰음에도 불구하고 전압계의 바늘이 (-)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현재 발전기가 고장임을 알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충/방전 표시장치의 회로도로서, 제1도에서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구성요소[즉, 배터리(1), 충전경고등(2), 발전기(3), 점화스위치(4), 시동모터(5)]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참조부호 6은 상기 배터리(1)가 충전상태인지 아니면 방전상태인지를 표시하는 충/방전상태 표시수단이다.
여기서, 상기 충/방전상태 표시수단(6)은 상기 배터리(1)와 접지단(GND)사이에 소정의 권수(卷數)로 감긴 코일(L)의 양단사이에 상호 직렬접속된 다이오드(D1)와 충전상태표시용 램프(LP1) 및 저항(R1)으로 구성된 충전상태 표시부(6A)와, 상기 코일(L)의 양단사이에 상호 직렬접속된 다이오드(D2)와 방전상태표시용 램프(LP2) 및 저항(R2)으로 구성된 방전상태 표시부(6B)로 구성된다.
그리고, 참조부호 7은 상기 충/방전상태 표시수단(6)에서 표시하는 충전/방전상태에 따른 충전/방전량을 디스플레이시키는 충/방전량 표시수단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충/방전량 표시수단(7)은 상기 충/방전상태 표시수단(6)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운전석 전방계기판에 설치되는 전압계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충/방전 표시장치에 의한 충/방전 표시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에 있어서, 운전자가 키삽입홈에 키를 삽입한 후 엔진시동을 걸기 위하여 점화스위치(4)를 스타트(ST)위치로까지 돌리면, 시동모터(5)의 솔레노이드가 작동하게 됨에 따라 배터리(1)로부터 전류가 방전된다. 이때, 코일(L)에 유도전류가 흐르게 되고, 방전상태 표시부(6B)의 구성요소인 방전상태표시용 램프(LP2)(본 발명은 명세서에서 방전상태표시용 램프의 색깔은 빨간색으로 한다)가 점등된다.
또한, 현재 배터리(1)가 방전되고 있으므로 충/방전량 표시수단으로서의 전압계(7)의 바늘은 (-)쪽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그리하여 운전자는 상기 점등상태인 방전상태표시용 램프(LP2)를 보고 현재 배터리(1)가 방전상태임을 인식하게 됨과 더불어 상기 전압계(7)의 바늘을 보고 현재의 방전량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그후, 점화스위치(4)는 온(ON)위치에 이동하게 되고, 그 순간 계기판의 충전경고등(2)은 점등된다. 이어, 엔진이 시동이 걸려서 주행을 하게 되면 상기 충전경고등(2)은 소등됨과 더불어 발전기(3)에 의한 발전에 의해 상기 배터리(1)에 소정의 전류가 충전된다. 이때, 상기 방전상태표시용 램프(LP2)는 소등되고, 충전상태표시용 램프(LP1)(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충전상태표시용 램프는 파란색으로 한다)가 점등된다.
또한, 현재 배터리(1)가 충전되고 있으므로 충/방전량 표시수단으로서의 전압계(7)의 바늘은 (+)쪽으로 기울지게 된다. 그리하여 운전자는 상기 점등상태인 충전상태표시용 램프(LP1)를 보고 현재 배터리(1)가 충전상태임을 인식하게 됨과 더불어 상기 전압계(7)의 바늘을 보고 현재 충전량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엔진이 아이들상태(즉, 공회전상태)에서 전기부하를 모두 오프시켰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전압계(7)의 바늘이 (-)쪽으로 기울어져 있으면 운전자는 상기 발전기(3)가 고장났음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운전자가 희망하는 목적지에 도달하여 차량을 주차시킨 후 모든 전기부호를 오프시켜 상기 배터리(1)로부터 방전되는 전류가 없도록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상기와 마찬기지로 전압계(7)의 바늘이 (-)쪽으로 기울어져 있으면 운전자는 상기 발전(3)가 고정났음을 판단할 수 있게 되낟.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점화스위치의 온/스타트위치에 따라 현재 배터리의 충전/방전상태가 즉각적으로 표시됨과 더불어 그 충전/방전량이 디스플레이되므로, 점화스위치를 온시킨 후 엔진시동이 걸리게 되면 충전경고등이 소등됨에 따라 배터리의 방전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없는 종래의 방식에 비해 배터리의 충/방전상태를 효과적으로 식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모든 전기부하를 오프시켰음에도 불구하고 전압계의 바늘이 (-)쪽으로 이동하게 되는 경우 운전자는 발전기가 고장났음을 알수 있으므로 안전운전에 반전을 기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점화스위치(4)의 온/스타트위치에 따라 점등/소등되는 충전경고등(2)과, 시동모터(5)에 의한 엔진시동시 발전기(3)에 의해 전류가 충전되는 배터리(1)를 갖춘 차량에 현재 충전/방전상태를 표시하는 충/방전상태 표시수단(6)과, 상기 충/방전상태 표시수단(6)에서 표시하는 충전/방전상태에 따른 충전/방전량을 디스플레이시키는 충/방전상태 표시수단(7)을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충/방전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길 충/방전상태 표시수단(6)은 상기 배터리(1)가 상기 발전기(3)에 의해 현재 충전되고 있음을 알리는 충전상태 표시부(6A)와, 상기 배터리(1)로부터 소정의 전원이 현재 방전되고 있음을 알리는 방전상태 표시부(6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충/방전 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상태 표시부(6A)는 상기 배터리(1)와 접지단(GND)사이에 소정의 권수(券數)로 감긴 코일(L)의 양단사이에 상호 직렬접속된 다이오드(D1)와 충전상태표시용 램플(LP1) 및 저항(R1)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충/방전 표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상태 표시부(6B)는 상기 코일(L)의 양단사이에 상호 직렬접속된 다이오드(D2)와 방전상채표시용 램프(LP2) 및 저항(R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충/방전 표시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상태 표시부(6A)의 다이오드(D1)와 상기 방전상태 표시부(6B)의 다이오드(D2)의 접속방향은 상호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충/방전 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상태 표시수단(7)은 상기 충/방전상태 표시수단(6)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계기판에 설치되는 전압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충/방전 표시장치.
KR1019940018418A 1994-07-28 1994-07-28 배터리의 충/방전 표시장치 KR0123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8418A KR0123271B1 (ko) 1994-07-28 1994-07-28 배터리의 충/방전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8418A KR0123271B1 (ko) 1994-07-28 1994-07-28 배터리의 충/방전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23271B1 true KR0123271B1 (ko) 1997-12-05

Family

ID=19389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8418A KR0123271B1 (ko) 1994-07-28 1994-07-28 배터리의 충/방전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3271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17908B2 (ja) 車両用電源装置
US4769586A (en) Battery jumper cable apparatus
US5371455A (en) Control circuit for safe charging a rechargeable battery
KR101315645B1 (ko) 듀얼 배터리 제어시스템 및 방법
EP0019864B1 (en) Power generation control system for vehicle generator
EP0646723A1 (en) Apparatus suitable for use in batteryless vehicle, for reducing and controlling loads such as electrical components upon its start-up
JPS6159050B2 (ko)
KR0123271B1 (ko) 배터리의 충/방전 표시장치
KR101860107B1 (ko) 소형엔진 충전표시장치
KR100536334B1 (ko) 충전상태 표시기능을 가진 자동차 배터리의 충방전 시스템
JPS6341294B2 (ko)
KR200158160Y1 (ko) 배터리 충전 경고장치
JP2765116B2 (ja) 二輪車用盗難防止装置
KR100256907B1 (ko) 차량의 전기 전자 제어장치
ES2247667T3 (es) Circuito electrico de vehiculo automovil adaptado para la alimentacion de un microcontrolador.
KR0133235B1 (ko) 자동차의 과방전 방지장치
KR0134318Y1 (ko) 자동차의 알터네이터 고장시 자동 경고 장치
KR200246564Y1 (ko) 충전기를이용한자동차의시동시스템
KR0114130Y1 (ko) 자동차의 재시동 방지장치
KR0184975B1 (ko) 자동차의 충전시스템
KR20000072422A (ko)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대책 시스템
KR0168104B1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충전상태 감지장치
KR20050023481A (ko) 자동차용 충방전시스템의 자기진단 방법
KR100209025B1 (ko) 배터리 경고등 점멸 제어 장치
KR200178370Y1 (ko) 자동차의 전원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