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3141Y1 - 쌍롤식 박판 주조장치에서의 용강 표면산화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쌍롤식 박판 주조장치에서의 용강 표면산화 방지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3141Y1
KR0123141Y1 KR2019940034731U KR19940034731U KR0123141Y1 KR 0123141 Y1 KR0123141 Y1 KR 0123141Y1 KR 2019940034731 U KR2019940034731 U KR 2019940034731U KR 19940034731 U KR19940034731 U KR 19940034731U KR 0123141 Y1 KR0123141 Y1 KR 01231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ten steel
roll
metal
molten
oxy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47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0426U (ko
Inventor
하만진
윤순관
박종학
윤종칠
Original Assignee
김종진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진,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종진
Priority to KR20199400347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3141Y1/ko
Publication of KR9600204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04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31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31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1Treating the molten metal
    • B22D11/114Treating the molten metal by using agitating or vibrating means
    • B22D11/115Treating the molten metal by using agitating or vibrating means by using magnetic f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22D11/0622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formed by two casting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박판을 주조생산하는 쌍롤식 박판 주조공장에서 대기중의 산소와 용강과의 접촉을 방지하여 용강의 산화를 방지함으로서 양질의 박판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 쌍롤식 박판 주조장치에서의 용강 표면산화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각각의 롤 상부에는 외주면에 롤의 길이 방향으로 마그네트가 설치된 내화물벽을 설치하고, 용강의 표면에는 용강보다 비중이 가볍고 전기전도도가 큰 상부금속용탕을 소정의 두께만큼 덮어주엇으며, 상부금속 주입노즐의 선단부는 상부금속용탕에 삽입 되도록하여 대기중의 산소가 상기 롤과 롤사이에 주입된 용강과 접촉되지 못하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쌍롤식 박판 주조장치에서의 용강 표면산화 방지장치
본 고안은 박판을 주조생산하는 쌍롤식 박판 주조공장에서 롤과 롤 사이에 주입된 용강과 대기중의 산소와의 접촉을 방지하여 용강의 산화를 방지함으로서 양질의 박판을 생산될 수 있도록 한 쌍롤식 박판 주조장치에서의 용강 표면산화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쌍롤식 박판 주조법(Twin Roll Strip Cating)은 두개이 회전하는 롤 사이에 용강을 주입하여 이를 응고시켜 박판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생산되는 주편의 품질은 표면에 있는 크랙(Crack)등에 의해 크게 좌우되는데 이의 크랙 생성 원인중의 하나가 불균일 응고이다.
이를 조장하는 산화물과 과응고된 덩어리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용강 표면의 산화를 막아야 한다.
종래의 방법은 도1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외부공기가 용강(5)과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매니스커스 쉴드(Meniscus shield)(1)를 사용하여 대기중의 산소와 롤(6)과 롤(6)사이에 주입된 용기(5)과의 접촉을 최대한 차단시키고, 상기 매니스커스 쉴드(1)와 용강(5)상부의 공간부에는 아르곤가스를 주입하여 압력을 높게 만들어줌으로서 외부산소의 혼입을 방지하여 용강(5)의 산화를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롤(6)은 회전을 하고 또한 아르곤가스 주입구(2)나 삽입노즐(3)이 들어가야 하는 자리등에 틈이 생길 수 밖에 없어 아르곤가스를 주입한다 할지라도 용탕면의 산화를 막기에는 미흡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고안한 것으로, 각각의 롤 상부에는 롤의 길이 방향으로 마그네트가 설치된 내화물벽을 설치하고, 용강의 표면에는 용강보다 비중이 가볍고 전기전도도가 큰 상부금속용탕을 소정의 두께만큼 덮어주었으며, 상부금속 주입노즐의 선단부는 상부금속용탕에 삽입 되도록하여 대기중의 산소가 상기 롤과 롤 사이에 주입된 용강과 접촉되지 못하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쌍롤식 박판 주조장치에서의 용강 표면산화 방지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쌍롤식 박판 주조장치에서늰용강 표면산화 방지장치를 나타낸 정면 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이 쌍롤식 박판 주조장치에서의 용강 표면산화 방지장치를 나타낸 평면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매니스커스 쉴드 2 : 아르곤가스 주입구
3 : 삽입노즐 4 : 용강 높이측정장치
5 : 용강 6 : 롤
7 : 박판 8 : 마그네트
9 : 내화물 벽 10 : 상부금속 주입노즐
11 : 상부금속용탕
본 고안은 도2 및 도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롤(6) 상부에는 롤(6)의 길이 방향으로 마그네트(8)가 설치된 내화물벽(9)을 설치하되, 이 내화물벽(9)이 용강(5)과 상부금속용탕(10)을 수용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용강(5)의 표면에는 용강(5)보다 비중이 가볍고 전기전도도가 좋은 상부금속용탕(11)을 소정의 두께만큼 덮어주었고, 상부금속 주입노즐(10)의 선단부는 상부금속용탕(11)내에 삽입 되도록하여 대지웅의 산소가 상기 롤(6)과 롤(6)사이에 주입된 용강(5)과 전혀 접촉되지 못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용강(5)과 대기중의 산소와의 완전한 차단을 위해 용강(5) 표면에 상부금속용탕(11)을 덮는다.
또한 용강(5)과 상부금속용탕(11)이 섞이는 것을 막기 위하여 내화물벽(9)에 설치된 마그네트(8)를 상부금속용탕(11)과 용강(5)과의 접촉부분에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내화물벽(9)에 설치된 마그네트(8)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기력은 용강(5)과 상부금속용탕(11) 경계층에서의 유동을 억제시켜 서로 섞이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부금속용탕(11)은 전기전도가 좋고 비중이 가벼워 같은 전자기장하에서도 힘을 많이 받으므로 도2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상부금속용탕(11)이 용강(5)의 표면에 떠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금속용탕(11) 은용강(5)과 함께 휩쓸려들어가지 않는다.
이때 상부금속용탕(11)은 용강(5)에 비하여 비중이 가볍거나 전기전도도가 좋은 알루미늄, 구리, 타이타늄 및 이들과 철의 합금을 사용한다.
한편 상기 상부금속용탕(11)의 산화물과 철과의 반응물은 상부금속용탕(11)의 표면 윗쪽에 뜨게 되기 때문에 이는 용강(5)속에 섞여 들어가지 않는다.
또한 마그네트(8)는 AC전류가 흐르는 유도 코일(Induction Coil)로써, 마그네트(8)에 흐르는 전류의 주파수는 유동을 일으키는 회전력을 최대한으로 발생시키기 위해 저주파를 사용한다.
이때 상기는 주울율에 의해 이 경계층이 냉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마그네트(8) 내부는 냉각수가 흘러 마그네트(8)의 자체의 온도상승을 방지한다.
내화물벽(9)은 상부금속용탕(11)이 롤(6)과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여 상부금속용탕(11)이 롤(6)에 닿아 응고되어 주편 표면에 달라 붙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용강(5)의 높이를 가능한한 높여 마그네트(8)가 위치할 자리를 만들어 주는 역할도 한다.
처음에는 상부금속용탕(11) 없이 주조를 시작하고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 상부금속 주입노즐(10)을 통하여 상부금속용탕(11)을 공급한다. 공급된 상부금속용탕(11)은 고온에서 녹고 마그네트(8)에 의해 발생된 전자기력을 받아 도2에서 도시된바와 같이 용강(5)과 분리된다.
이때 상부금속용탕(11)의 가장자리는 전자기력에 의해 생긴 유동에 의하여 상부금속용탕(11)과 용강(5)사이는 농도구배를 갖는 얇은 경계층이 형성되고, 내화물벽(9)과는 거의 닿을 정도로 유지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용강 표면의 산화를 방지함으로서 크랙을 유발하는 산화물이 주편의 표면에 나타나지 않아 주편의 표면특성을 좋게 할 수 있고, 또한 용강이 공기와 직접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용강의 온도 저하기 줄어 들어 주조중에 일정한 온도를 가진 용강으로 주조를 할 수 있어 양질의 주편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각각의 롤(6) 상부에는 롤(6)의 길이 방향으로 마그네트(8)가 설치된 내화물벽(9)을 설치하고, 용강(5)의 표면에는 디기중의 산소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용강(5)보다 비중이 가볍고 전기 전도도가 좋은 상부금속용탕(11)을 소정의 두께만큼 덮어주었으며, 상부금속 주입노즐(10)이 선단부는 상부금속용탕(11)내에 삽입 되도록하여 대기중의 산소가 상기 롤(6)과 롤(6)사이에 주입된 용강(5)과 접촉되지 못하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쌍롤식 박판 주조장치에서의 용강 표면산화 방지장치.
KR2019940034731U 1994-12-20 1994-12-20 쌍롤식 박판 주조장치에서의 용강 표면산화 방지장치 KR01231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4731U KR0123141Y1 (ko) 1994-12-20 1994-12-20 쌍롤식 박판 주조장치에서의 용강 표면산화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4731U KR0123141Y1 (ko) 1994-12-20 1994-12-20 쌍롤식 박판 주조장치에서의 용강 표면산화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0426U KR960020426U (ko) 1996-07-18
KR0123141Y1 true KR0123141Y1 (ko) 1998-11-02

Family

ID=19401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4731U KR0123141Y1 (ko) 1994-12-20 1994-12-20 쌍롤식 박판 주조장치에서의 용강 표면산화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314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495B1 (ko) 2017-11-15 2019-05-10 주식회사 포스코 쌍롤식 주조장치의 주조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0426U (ko) 199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45534A (en) Process for control of continuous casting conditions
CN102294451B (zh) 一种提高薄带连铸铸带质量的方法
KR0123141Y1 (ko) 쌍롤식 박판 주조장치에서의 용강 표면산화 방지장치
JP4231176B2 (ja) 治金容器のストッパー及び/又は上ノズル
EP0235340B1 (en) An anode system for plasma heating usable in a tundish
PL98546B1 (pl) Nadstawka wlewnicy do wytwarzania wlewkow metoda elektrozuzlowa
KR20080055417A (ko) 도가니 내에 용해잔탕이 남지 않도록 하는수평연속주조장치
JPH03138052A (ja) 加熱装置付きのタンディッシュ
JP2000271706A (ja) 双ロール式連続鋳造方法とその装置
JP2555768B2 (ja) 金属の連続鋳造装置および鋳造方法
CN110756752A (zh) 一种薄带连铸布流除渣方法
JPH0318979B2 (ko)
JPH01289543A (ja) 鋼の連続鋳造方法
JPH01266950A (ja) 連続鋳造方法
KR950012480B1 (ko) 강의 연속 주조 방법
JPS62130746A (ja) 非接触金属連続鋳造装置と方法
JPS63171248A (ja) アルミおよびアルミ合金鋳片ホツトトツプ鋳造用銅モ−ルド
JPH06229680A (ja) 加熱効率に優れた誘導加熱溶解用るつぼ
KR100954789B1 (ko) 전자기 단공 침지노즐을 이용한 슬래브 연속주조장치 및연속주조방법
JP2558187B2 (ja) 連続鋳造用加熱鋳型
JPH07266004A (ja) 金属の連続鋳造装置および連続鋳造方法
JPS58224043A (ja) 金属薄板の連続鋳造方法
JPH07132352A (ja) 鋼の連続鋳造方法
JPH06170494A (ja) 金属の連続鋳造装置
JPH10328785A (ja) 鋼の連続鋳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0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