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2984Y1 - 커넥터 보드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보드 결합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2984Y1
KR0122984Y1 KR92019057U KR920019057U KR0122984Y1 KR 0122984 Y1 KR0122984 Y1 KR 0122984Y1 KR 92019057 U KR92019057 U KR 92019057U KR 920019057 U KR920019057 U KR 920019057U KR 0122984 Y1 KR0122984 Y1 KR 01229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connector board
lock
groove
coupl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90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1142U (ko
Inventor
장문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920190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2984Y1/ko
Publication of KR9400111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11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29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29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커넥터 보드 결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 보드 결합 장치는 커넥터 보드 상단부에 소정 크기의 기역자형 앵글 조각모양의 걸림 턱이, 하단부에 탄성력을 지닌 쐐기형 록이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대응 결합되는 프레임에는 역시 프레임 상단부에 상기 걸림 턱이 걸리는 걸림홈이, 하단부에 마찬가지로 상기 록이 삽입 고정되는 직사각형의 록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보드를 삽입, 분리할 수 있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으로 말미암아 본 고안의 커넥터 보드 결합 장치는 종래의 나사에 의한 결합 방식에 비해 월등히 빠른 조립시간으로 소요 작업시간을 대폭 감축할 수 있음은 물론, 나사등과 같은 부속품을 따로 요하지 않아 경제적 이득의 효과도 동시에 획득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텍터 보드(connector board) 결합장치
제1도는 종래의 커넥터 보드 결합장치의 분리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 보드 결합장치의 분리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 보드 결합장치의 조립완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프레임(FRAME) 2,2':커넥터보드
3:나사 4:보드(BOARD)구멍
5:돌출 기둥 6:탭 구멍
7:가이드(GUIDE) 홈 8:걸림 홈
9:프레임 홈 10:록(LOCK) 홈
11:걸림 턱 12:보드 홈
13:록(LOCK) 14:삽입 면
본 고안은 TV, 브이씨알(VCR:Video Cassette Recorder), 전축등 전자 제품의 메인 시스템을 구성하는 주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시스템 회로 구성상 주 기능의 역할분담 내지는 보조적 기능을 수행하는 커넥터 보드의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결합 수단을 한층 합리적으로 개선하여 결합상의 번거로움을 제거하고 조립 시간을 단축할 커넥터 보드 결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자 제품의 내부를 들여다 보면 다양한 종류의 회로소자 및 부품들로 복잡한 내부 구성을 이루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그러한 소자들은 통상적으로 전기 절연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계열의 기판, 즉 흔히 말하는 PCB(Printed Circuit Board)에 조립 설치되어 시스템 전반에 걸친 회로를 구성하게 된다. 그런데,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 회로구성의 성격상 그리고 프레임 내부의 공간 구조등에 있어서, 회로구성의 성격상 그리고 프레임 내부의 공간 구조등에 따라 시스템을 제어하는 회로를 기판 한 장으로 전부 소화해 낸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한 일이다. 따라서, 회로 구성의 특성상 주요 기능을 담당한 부분은 주로 메인(main) 기판에, 보조적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은 보조 기판에 각각 분리 설치하여 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줌으로써 하나의 완성된 시스템 회로를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분리 기판이 첨부 도면에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1도는 종래의 보조 기판(경우에 따라서는 즉 기판일 수도 있음. 이하 커넥터 보드(2)로 통칭함.)을 프레임(1)에 결합 고정시키는 관계를 분리하여 도시한 것으로, 커넥터 보드(2)의 각 모서리 부분에는 나사(3)에 의해 관통되는 보드 구멍(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사(3) 및 보드 구멍(4)과 동일 축으로 프레임(1)상에는 각각 탭구멍(6)이 뚫린 원뿔형 돌출 기둥(5)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전술한 회로소자들은 상기 커넥터보드(2)면에 배열 설치되어 회로의 구성에 따른 각각의 특정 기능을 발휘하게 되는바, 첨부 도면사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커넥터 보드 결합 장치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보드(2)가 나사(3)에 의해 돌출기둥(5)에 고정되어 프레임(1)과 결합을 함에 있어서, 몇가지 문제점이 따랐다. 즉, 우선 프레임(1)상에 돌출기둥(5)을 형성해야 하고, 그 돌출기둥(5)에 나사 체결을 위한 탭구멍(6)을 내야 하며, 또한 커넥터 보드(2)에도 나사(3)의 통과를 위한 구멍(4)(탭을 형성하든 안하든 간에)을 뚫어야 하는 것은 물론, 탭구멍(6)에 맞는 나사를 구비해 일일이 채워야 하는 등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했다. 뿐만아니라, 그로 인해 필요이상의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프레임에 커넥터 보드를 결합하는 일련의 결합 매커니즘에 있어서, 종래의 나사에 의한 결합 방식에서 탈피하여 커넥터 보드 자체로 결합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을 강구해 결합상의 번거로움을 제거하고, 조립 시간을 감축한 커넥터 보드 결합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 보드 결합 장치는, 커넥터 보드 일측에 소정의 크기에 기역자형 앵글조각 형태의 걸림 턱이 하향 돌출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걸림 턱과 대칭적으로 연직방향에 대해 소정 폭의 직각면부를 갖는 쐐기형 록(LOCK)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커넥터 보드와 결합되는 프레임에는 일부위에 상기 커넥터 보드의 양측면을 삽입할 수 있는 ㄷ자형의 가이드 홈이 대칭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홈사이의 면부 일측에 상기 걸림턱이 걸릴 수 있는 걸림 홈이, 그리고 타측에는 상기 록이 결합될 수 있는 작은 사각형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 보드 및 프레임의 결합 매커니즘을 분리 도시한 것으로, 소정 두께를 가진 직사각형의 커넥터 보드(2') 상단에는 상기 커넥터 보드(2')와 동일한 두께의 기역자형 앵글(angle) 조각 모양의 걸림 턱(11)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소정의 크기로 2개소 하향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 턱(11)과 대칭적으로 일정 거리 떨어진 연직 하방에는 소정 넓이의 수평면을 갖는 쐐기형 록(LOCK)(13)이 소정 넓이의 사각형 홈 내부에 상부 가로변을 기점으로해서 하향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록(13)과 걸림 턱(11) 사이에는 록(13)을 에워싼 사각형과 동일한 가로 폭의 직사각형 보드 홈(12)이 상기 걸림 턱(11)의 각각에 대해 두 개씩 동일 일직선 사어에 상하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커넥터 보드(2')의 삽입 및 분리시 손가락등을 이용해 작업을 수월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때문에 이러한 보드 홈(12)의 형태, 위치 및 갯수는 얼마든지 변경응용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이러한 커넥터 보드(2')와 결합하는 프레임(1')의 일부위에는 커넥터 보드(2')의 양 측면 삽입면(14)에 대응해서 커넥터 보드(2')의 가로변의 폭과 거의 동일한(정확히 말하면, 미세한 차이로 조금 더 넓은) 간격을 두고 ㄷ자형의 가이드 홈(7)이 상호 대칭으로 평행하게 연직 하방으로 연장형성 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홈(7) 사이의 프레임(1')면부 상단에는 상기 걸림 턱(11)이 걸침결합을 하게 되는 소정의 깊이를 가진 U자형의 걸림 홈(8)이 일정 거리를 두고 2개소 형성되어 있으며, 그 밑으로 소정 넓이의 비교적 큰 직사각형 프레임 홈(9)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상기 커넥터 보드(2')와 프레임(1')의 결합 및 분리시 접촉 슬라이딩 마찰을 최대한으로 줄여 삽입 및 분리 작업을 원활히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이 역시 프레임(1') 면부등의 상황에 따라 크기와 형태등을 변경응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 홈(9) 하부에는 상기 록(13)과 결합하는 소정 넓이의 작은 직사각형 록홈(10)이 상기 록(13)의 각 대응 지점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커넥터 보드(2')와 프레임(1')과의 결합상태를 제3도에서 볼 수 있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의 커넥터 보드(2')는 프레임(1')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홈(7)에 의해 양측면이 슬라이딩 삽입되어 커넥터 보드(2') 상단부의 걸림 턱(11)은 걸림 홈(8)과 상호 맞물림 고정결합을 이루고, 하단부의 록(13)은 슬라이딩 삽입되는 후반부에 프레임(1') 면부에 접촉되어 일단 뒤로 약간 휘어졌다가 록홈(10)에 이르러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시 앞으로 복귀하면서 프레임(1')을 밑으로 위로 떠받치듯이 삽입 고정된다. 이처럼 세 곳의 결합수단, 즉 가이드 홈(7), 걸림 턱(11)\걸림 홈(8), 록(13)\록홈(10)에 의해 커넥터 보드(2')는 상하좌우 유동없이 단단히 결합 고정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 보드 결합장치는 종래의 나사에 의한 결합방식에 비해 훨씬 조작이 간편해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감축할 수 있음은 물론, 나사등과 같은 다른 부속품을 필요로 하지 않아 경제적인 이득의 효과도 동시에 거둘수 있다.

Claims (1)

  1. 프레임 본체와 여기에 결합되는 보드로 이루어진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드(2')의 일측에 소정의 크기로 기역자형 앵글 조각 형태의 거러림 턱(11)이 하향 돌출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걸림 턱(11)과 대칭적으로 연직방향에 대해 소정 폭의 직각면부를 갖는 쐐기형 록(LOCK)(13)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보드(2')와 결합되는 프레임(1')에는 일부위에 상기 보드(2')의 양측면을 삽입할 수 있는 ㄷ자형의 가이드 홈(7)이 대칭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홈(7) 사이의 면부 일측에 상기 걸림 턱(11)이 걸릴 수 있는 걸림 홈(8)이, 그리고 타측에는 상기 록(13)이 결합 될 수 있는 작은 사각형 홈(1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보드 결합 장치.
KR92019057U 1992-10-06 1992-10-06 커넥터 보드 결합장치 KR01229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9057U KR0122984Y1 (ko) 1992-10-06 1992-10-06 커넥터 보드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9057U KR0122984Y1 (ko) 1992-10-06 1992-10-06 커넥터 보드 결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1142U KR940011142U (ko) 1994-05-27
KR0122984Y1 true KR0122984Y1 (ko) 1998-09-15

Family

ID=19341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9057U KR0122984Y1 (ko) 1992-10-06 1992-10-06 커넥터 보드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298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1142U (ko) 199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5180B2 (en) Modular plug and plug installation structure
US7224588B2 (en) Card guide and method for use in guiding circuit board with respect to chassis
US6030251A (en) Keyed interlock and mechanical alignment integrated mechanical retention features for PC system
US5019947A (en) Coding device for printed circuit cards which can be inserted into a printed circuit card rack
US5934915A (en) Grounding and screening device
US6010351A (en) Connector connecting structure of a junction box
KR0122984Y1 (ko) 커넥터 보드 결합장치
KR101780363B1 (ko) 기판 접속용 커넥터
US5971802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board retention means
JP3294635B2 (ja) プリント基板の誤挿入防止機構を備えたコネクタ構造とそれを備えた電子装置
KR900008974Y1 (ko) 코넥터
KR200295660Y1 (ko) 전기/전자제품의 프론트 패널 장착장치
JPH0334923Y2 (ko)
JPH0311913Y2 (ko)
KR0136924Y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안테나 보드 조립체
DE3838399A1 (de) Einbaugeraet
US5492490A (en) Insert mounting and method for inserting and mounting components in printed wiring board holes
JP3774511B2 (ja) 基板取付装置
KR19980028865U (ko) 프레임의 pcb 장착구조
JPH0310691Y2 (ko)
US20050128718A1 (en) Subrack for receiving plug-in units with code pins
JP2996365B2 (ja) 回路基板の取付構造
JP2557312Y2 (ja) 卓上電子機器のプリント回路板差し換え構造
KR930003987Y1 (ko) 조작판넬과 케이스간의 결착구조물
SU1651392A1 (ru) Радиоэлектронный бло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