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2887Y1 - 공업용 클립 - Google Patents

공업용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2887Y1
KR0122887Y1 KR2019950010652U KR19950010652U KR0122887Y1 KR 0122887 Y1 KR0122887 Y1 KR 0122887Y1 KR 2019950010652 U KR2019950010652 U KR 2019950010652U KR 19950010652 U KR19950010652 U KR 19950010652U KR 0122887 Y1 KR0122887 Y1 KR 01228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leg
button
hole
clip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06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7883U (ko
Inventor
김중건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106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2887Y1/ko
Publication of KR9600378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78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28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28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8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 F16B21/08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the shank of the stud, pin or spigot having elevations, ribs, fins or prongs intended for deformation or tilting predominantl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inser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탈착이 용이한 구조로 된 공업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구멍에 끼우는 방식으로 두 부재를 결합시키는 데 사용하는 공업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공업용 클립은 장착방향에서 탈착이 가능하고, 장·탈착시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부재의 결합시 작업성 및 보수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업용 클립
제1도 내지 제3도는 종래의 여러가지 공업용 클립의 구조 및 그 사용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클립몸체 110 : 머리부
111 : 중심공 120 : 다리부
200 : 버튼 210 : 머리부
220 : 다리부 230 : 탄성봉
본 고안은 장·탈착이 용이한 구조로 된 공업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구멍에 끼우는 방식으로 두 부재를 결합시키는 데 사용하는 공업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종래의 여러가지 공업용 클립의 구조 및 그 사용상태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에 공업용으로 여러가지 클립(10a,10b,10c)이 사용되는 바, 부재의 구멍에 끼우는 방식으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것들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번째 예로서,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클립(10a)은 일측면에서 볼 때 다리부가 화살표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다리부 하단에 탄성을 갖는 두 돌기가 수직방향으로 경사지게 벌어져 있다. 그리하여 사용시, 두 부재를 맞대어 놓고 구멍을 통하여 클립(10a)의 다리부를 때려 박으면 돌기에 의해 이탈되지 않으므로 두 부재가 결합된다.
그리고 두번째 예로서,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클립(10b)은 일측면에서 볼때 다리부에 타원형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다리부의 중간이 폭이 크고 중간에서 상하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하여 사용시, 두 부재의 구멍을 통하여 때려 박으면 다리부가 탄성복원되어 이탈되지 않으므로 두 부재가 결합된다.
마지막으로, 세번째 예로서,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클립(10c)은 다리부가 여러 갈래로 갈라져 있으며, 머리부 중심을 통하여 다리부 중심으로 진입되게 나사가 끼워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사용시에는, 부재의 구멍에 클립(10c)의 다리부를 끼운 상태에서 나사를 조이면 여러갈래의 다리가 확장되면서 두 부재가 결합된다.
그런데,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류의 클립(10a,10b)은 장착성이 좋으나 부재의 배면이 밀폐되어 있을 경우 탈착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그리고,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류의 클립(10c)은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다 장·탈착시 나사를 조이거나 풀기위한 별도의 공구, 즉 드라이버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단점을 감안한 본 고안은 장·탈착이 용이하며, 동시에 별도의 공구가 필요없는 장·탈착이 가능한 새로운 구조의 공업용 클립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이고, 제5도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 사시도이며, 제6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제4도 내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측의 머리부(110), 상기 머리부(110)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복수개로 갈라지면서 반경방향으로 확장되었다가 축소된 다리부(120)로 구성되며, 상기 머리부(110)와 상기 다리부(120) 중심을 수직으로 관통하면서 상협 하광으로 턱이지게 중심공(111)이 형성된 클립몸체(100)와, 상측이 상기 중심공(111) 내측 상부에 형합되게 형성된 머리부(110), 상기 머리부(110)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탄성봉(230)이 취부된 다리부(220)로 구성된 버튼(200)을 마련하여, 상기 클립몸체(100)의 중심공(111)에 상기 버튼(200)을 상하 이동되게 내설시킨 것에 그 특징이 있다.
클립몸체(100)와 버튼(200)으로 분리가 가능한 본 고안은 각각 플라스틱재로 제작되며, 클립몸체(100)의 다리부(120)는 탄성력을 갖도록 성형한다.
그리하여 본 고안은 조립시 클립몸체(100)의 중심공(111)에, 클립몸체(100)의 다리부(120)에 대하여 버튼(200)의 머리부(210)를 진입시키는 방식으로 클립몸체(100)에 버튼(200)을 내장시킨다. 클립몸체(100)의 중심공(111)에 버튼(200)을 진입시킬 때에는 클립몸체(100)의 다리부(120) 하단을 외향으로 벌린 상태로 하면된다.
이와같이, 클립몸체(100)와 버튼(200)을 일체로 조립시킨 본 고안은,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시 두 부재를 맞대어 놓은 상태에서 구멍에 클립몸체(100)의 다리부(120)를 위치시킨 후, 버튼(200)을 하향으로 누르는 한편 클립몸체(100)를 누르면 서서히 구멍으로 진입된다.
즉, 버튼(200)을 누르게 되면 탄성봉(230) 양단이 다리부(120) 내면에 닿으면서 구부러지고, 이때 클립몸체(100)를 누름에 따라 다리부(120)의 중간부위가 좁아지면서 삽입된다.
이와같이 삽입이 되면, 탄성봉(230)의 탄성력에 의해 버튼(200)이 초기 위치로 상승되며, 클립몸체(100)의 다리부(120)가 탄성력으로 확장되어 두 부재의 장착이 완료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탈착시 버튼(200)을 하향으로 누른 상태에서 클립몸체(100)의 머리부(110) 가장자리를 잡아 당기면 두 부재의 구멍으로부터 이탈된다.
즉, 버튼(200)을 누르게 되면, 장착시와 마찬가지로 탄성봉(230) 양단이 다리부(120) 내면에 닿으면서 구부러지고, 이때 클립몸체(100)를 상향으로 당김에 따라 두 부재의 구멍에 의해 다리부(120)의 중간 부위가 좁아지면서 구멍으로부터 인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공업용 클립은 장착방향에서 탈착이 가능하고, 장·탈착시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부재의 결합시 작업성 및 보수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구멍에 끼우는 방식으로 최소한 두 부재를 결합시키는데 사용하는 공업용 클립에 있어서,상측의 머리부(110), 상기 머리부(110)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복수개로 갈라지면서 반경방향으로 확장되었다가 축소된 다리부(120)로 구성되며, 상기 머리부(110)와 상기 다리부(120) 중심을 수직으로 관통하면서 상협 하광으로 턱이지게 중심공(111)이 형성된 클립몸체(100)와, 상측이 상기 중심공(111) 내측 상부에 형합되게 형성된 머리부(110), 상기 머리부(110)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탄성봉(230)이 취부된 다리부(220)로 구성된 버튼(200)을 마련하여, 상기 클립몸체(100)의 중심공(111)에 상기 버튼(200)을 상하 이동되게 내설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업용 클립.
KR2019950010652U 1995-05-19 1995-05-19 공업용 클립 KR01228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0652U KR0122887Y1 (ko) 1995-05-19 1995-05-19 공업용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0652U KR0122887Y1 (ko) 1995-05-19 1995-05-19 공업용 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883U KR960037883U (ko) 1996-12-18
KR0122887Y1 true KR0122887Y1 (ko) 1998-12-01

Family

ID=19413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0652U KR0122887Y1 (ko) 1995-05-19 1995-05-19 공업용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288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883U (ko) 1996-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71513A (en) Clip
KR100223576B1 (ko) 끈고정구
US7124482B2 (en) Fixing device for laces
TR200001917T2 (tr) Plastik şilteler.
KR960036973A (ko) 압착박리형 파스너
KR950017104A (ko) 파스닝 장치
JPS581452A (ja) おしやぶり
KR0122887Y1 (ko) 공업용 클립
US5611639A (en) Locking fastener construction
KR200483882Y1 (ko) 장신구용 체결구
JP2532208Y2 (ja) スクリューグロメット
KR200265564Y1 (ko) 등받이판
KR200258351Y1 (ko) 테이블 조립구조
KR200353479Y1 (ko) 삼각 버클 어셈블리
KR19980057842U (ko) 화스너
JPS6028811Y2 (ja) 部品取付装置
KR200375670Y1 (ko) 식탁 또는 탁자용 연결 고정구
KR200163153Y1 (ko) 플라스틱 고정구의 구조
KR200336658Y1 (ko) 가스파이프에 결합되는 텐션지지부를 갖는 지지구
KR900008555Y1 (ko) 조립식 천정판의 부재
JPH025124Y2 (ko)
KR200184774Y1 (ko) 스냅핀
KR950008812Y1 (ko) 책상의 측판과 천판의 결합장치
KR200307915Y1 (ko) 차량용 간이시트커버 고정구
JPH086981Y2 (ja) 把手部材、クッション部材及び引出し用把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