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2705Y1 -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공급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2705Y1
KR0122705Y1 KR2019950002182U KR19950002182U KR0122705Y1 KR 0122705 Y1 KR0122705 Y1 KR 0122705Y1 KR 2019950002182 U KR2019950002182 U KR 2019950002182U KR 19950002182 U KR19950002182 U KR 19950002182U KR 0122705 Y1 KR0122705 Y1 KR 01227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hole
rotating shaft
compresso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21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9193U (ko
Inventor
한남석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500021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2705Y1/ko
Publication of KR9600291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91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27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27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2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 F04C29/025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using a lubricant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56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40Electric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70/00Control; Monitoring or safety arrangements
    • F04C2270/16Wear

Abstract

본 고안의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공급장치는,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구멍이 형성됨과 동시에 그 둘레면에 상기 관통구멍과 직각되게 제 1 내지 제 4 오일구멍이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저부에 있는 오일을 픽업하여 회전축에 공급하도록 회전축의 관통구멍에 삽입된 오일패들부재를 구비한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일패들부재(70)의 일측단 둘레에는 그 몸체가 90도의 각도로 트위스트되어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될 때 상기 회전축(60)의 하단 둘레면에 대하여 관통구멍과 직각되게 관통된 오일흡입구멍(60e)에 탄력적으로 끼워맞춤되어 고정되도록 그 몸체의 중앙에 형성된 요홈부(70a)를 중심으로 수축 및 확장되는 걸림턱(70b)이 형성된 것이므로, 외부의 충격이 압축기에 인가되어도, 상기 오일패들수단(70)이 빠지지 않으므로 오일을 흡입해서 공급하는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어 오일을 흡입해서 공급하는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어 오일을 펌핑하는 부품과 부품사이의 마찰을 감소시켜 이상마모현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정상적으로 압축기를 운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공급장치
제 1 도는 종래의 회전식 압축기를 나타내는 전체종단면도.
제 2 도는 종래 압축기에서 회전축과 실린더부재의 분해사시도.
제 3a 도는 종래 압축기에서 회전축과 오일패들부재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제 3b 도는 오일패들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이고,
제 4 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회전식 압축기를 나타내는 전체 종단면도.
제 5a 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회전식 압축기에서 회전축과 오일패들부재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제 5b 도는 오일패들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제 6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회전식 압축기에서 회전축과 오일패들부재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준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고정자 14 : 회전자
50 : 실린더부재 54 : 상부플랜지
56 : 하부플랜지 58 : 흡입관
60 : 회전축 70 : 오일패들부재
80 : 회전축
본 고안은 냉장고, 공기조화기등에 사용되어 냉매등의 유체를 압축하여 토출시키는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압축기내에서 원활한 오일이 공급되도록 하므로서 압축기의 회전을 정상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터리 압축기는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내부에서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자장을 형성시키는 고정자(12)와, 상기 고정자(12)에 형성된 자장의 영향으로 회전되는 회전자(14)와, 상기 회전자(14)와 연동하여 회전되며 일단부에 편심축(30)이 형성된 회전축(32)과, 상기 회전축(32)의 편심축(30)에 삽입되어 있는 롤러부재(34)와, 상기 회전축(32)의 내부에 삽입되어 압축기의 저면부에 있는 오일을 회전축(32)에 공급하는 오일패들부재(40)와, 상기 편심축(30) 및 롤러부재(34)를 수용하며 흡입실 및 토출실이 형성되어 냉매를 압축시키는 공간이 형성된 실린더부재(50)와, 상기 실린더부재(50)에 형성된 슬로트부(58)에 탄성수단(55)을 개재해서 출몰가능하게 배설되어서 상기 실린더부재(50)의 내부공간을 흡입실과 토출실로 구획하는 베인부재(52)와, 상기 실린더부재(50)의 상면에 고착된 상부플랜지(54)와, 상기 실린더부재(50)의 하면에 고착된 하부플랜지(5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0)의 상부에는 실린더부재(50)에서 압축된 냉매가 도시되지 않은 응축기로 공급되도록 냉매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토출관(16)이 배설되고, 상기 본체(10)의 일측에는 도시되지 않은 증발기에서 증발작용된 저온저압의 냉매가 상기 실린더부재(50)내로 흡입되도록 냉매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흡입관(92)이 배설되어 있다.
또한, 상기 흡입관(92)은 스탠드관(72)과 접속되며, 상기 스탠드관(72)은 증발기에서 증발된 냉매 중에서 가스냉매만이 압축기로 공급되도록 가스냉매와 액냉매를 분리시키는 어큐뮤레이터(70)에 접속되어 있다.
제 3a 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32)에는 오일이 공급되도록 제 1 내지 제 4 오일구멍(32a)(32b)(32c)(32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32)의 삽입되는 오일패들부재(40)는 제 3b 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얇은 철판으로 형성되어 압축기의 저면부에 있는 오일을 회전축(32)의 상부로 공급하기 용이하도록 양단부가 서로 90도 비틀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오일패들부재(40)는 외력에 대하여 탄성력을 가질 수 있도록 일단부에 요홈부(40a)가 형성되어 있으며, 오일챔버(18)에 저류되어 있는 오일을 회전축(32)의 내부에서 강한 흡착력을 가질 수 있도록 오일패들부재(40)의 일단부가 중심을 기준으로 상방향으로 굽어져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로터리 압축기는 제 3a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32)내에 형성된 관통구멍내에 오일패들부재(40)를 삽입하면, 상방향으로 굽어진 일단부가 상기 회전축(32)의 내경에 밀착력을 가지고 삽입될 수 있으나, 외부로부터 충격이나 불량품의 오일패들부재(40)가 삽입될 경우에는 상기 회전축(32)내부에 삽입된 오일패들부재(40)가 상기 회전축(32)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빠져나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회전축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는 오일패들부재를 외부에서 강제적으로 분리하지 않는 한 빠지지 않도록 하므로서,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제 1 내지 제 4 오일구멍에 용이하게 오일이 공급되어서 펌핑부재의 마찰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로터리 압축기는,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구멍이 형성됨과 동시에 그 둘레면에 상기 관통구멍과 직각되게 제 1 내지 제 4 오일구멍이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저부에 있는 오일을 픽업하여 회전축에 공급하도록 회전축의 관통구멍에 삽입된 오일패들부재를 구비한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일패들부재의 일측단 둘레에는 그 몸체가 90도의 각도로 트위스트되어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될 때 상기 회전축의 하단 둘레면에 대하여 관통구멍과 직각되게 관통된 오일흡입구멍에 탄력적으로 끼워맞춤되어 고정되도록 그 몸체의 중앙에 형성된 요홈부를 중심으로 수축 및 확장되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병기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터리 압축기는 외간을 형성하는 본체(10)내에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자장을 형성하는 고정자(12)가 배설되어 있고, 이 고정자(12)내측에는 상기 고정자(12)에서 발생되는 자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자(14)가 배설되어 있으며, 이 회전자(14)의 중심부에는 회전자(14)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60)이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어큐뮤레이터(70)에서 가스냉매와 액냉매로 분리된 냉매중 가스냉매만을 압축기에 도입시키도록 상기 실린더부재(50)에는 흡입관(92)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흡입관(92)과 어큐뮬레이터(70)는 스탠드관(72)을 통해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한편, 상기 회전자(14)의 회전에 따라 실린더부재(50)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설된 편심축(64) 및 롤러부재(34)의 회전에 의해 실린더부재(50)내에서 압축된 고온고압의 압축냉매는 실린더부재(50)에 형성된 도시되지 않은 토출구를 통해서 상부플랜지(54)에 형성된 배출구멍을 통해서 본체(10)상부로 배출된 후, 압축기외부로 배출되도록 본체(10) 상부에는 토출관(16)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60)의 둘레면에 대하여 상기 편심측(30)과 인접한 하부 및 상부에는 회전시에 하부 및 상부플랜지(54)(56)와 회전축(60)과의 윤활작용에 의해 마찰력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키도록 오일을 공급하는 제 1 및 제 3 오일구멍(60a)(60c)이 분산형성되어 있고, 그 둘레면에 대하여 상기 편심축(30)의 후측에는 편심축(30)및 롤러부재(34)와 회전축(60)과의 윤활작용 및 냉각작용을 하도록 제 2 오일구멍(60b)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둘레면에 대하여 상단측에는 상기 상부플랜지(54)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키도록 제 4오일구멍(60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60)에는 오일패들부재(70)가 삽입되는 관통구멍이 길이방향에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60)의 하단측에는 상기 관통구멍에 대해 대체로 수직으로 형성되어 오일패들부재(70)에 돌출형성된 걸림턱(70b)이 삽입됨과 동시에, 오일챔버(18)내에 저류되어 있는 오일을 흡입하는 오일흡입구멍(60e)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60)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내부에 형성된 관통구멍내에 삽입되어 회전축(60)의 회전에 따라 오일챔버(18)내에 저류되어 있는 오일을 흡입하는 오일패들부재(70)는 얇은 철판의 양단부를 90도 각도로 트위스트되어 있다.
즉, 상기 오일패들부재(70)의 외주면에 대하여 일측단에는 회전축(60)에 형성된 오일흡입구멍(60e)에 삽이되어 고정되도록 180도의 각도로 서로 대향되게 한쌍의 걸림턱(70b)이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쌍의 걸림턱(70b)의 중앙에는 걸림턱(70b)이 오일흡입구멍(60e)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삽입시 또는 삽입 후에는 외부의 충격등에 의해 상기 오일흡입구멍(60e)으로부터 오일패들부재(70)가 빠지지 않도록 수축 및 확장자유롭게 요홈부(70a)가 형성되어있다.
다음에,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터리 압축기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전원이 고정자(12)에 인가되면 상기 고정자(12)에는 자장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자(12)에 형성된 자장에 의하여 상기 회전자(14)는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자(14)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고정자(12)와 회전자(14) 사이에 반발력에 의한 회전력이 발생하고, 상기 회전력에 의해서 회전자(14)에 고정되어 있는 회전축(60)은 고속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축(60)이 회전함에 따라서 편심축(30)이 회전되어 상기 롤러부재(34)가 연동해서 회전하고, 상기 롤러부재(34)가 연동하여 회전함에 따라서 상기 베인부재(52)가 상기 슬로트부(58)내에서 직선왕복운동을 하면서 실린더(50)내를 흡입실과 토출실로 구획한다.
따라서, 회전축(60) 및 롤러부재(34)의 작동에 따라 실린더부재(50)내의 토출실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냉매가스가 토출구(53)을 개방시키면서 냉매가스의 토출이 이루어지고, 냉매가스의 토출후에는 실린더부재(50)내의 흡입실내에 저온저압의 냉매가스를 흡입관(92)을 통해 흡입하여 편심축(30)의 회전에 따라 압축시켜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토출구(53)를 통해 압축기의 본체(10)상부로 배출시킨다.
즉, 상기 편심축(30)이 회전됨에 따라서 상기 베인부재(52)에 의해서 구획된 상기 실린더부재(50)의 흡입실과 토출실이 가변되므로서 냉매가 고온고압으로 압축되어 토출구(53)를 통해 배출된 고온고압의 압축냉매는 토출관(16)을 통하여 도시하지 않은 응축기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60)의 고속회전으로 인한 원심력으로 압축기의 오일챔버(18)내에 저류되어 있는 오일이 오일패들부재(70)에 가이드되어 상기 회전축(60)의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회전축(60)의 상부로 이동한 오일는 회전축(60)에 형성된 제 1 내지 제 4 오일구멍(60a)(60b)(60c)(60d)을 통하여 배출되게 되는데, 그 중에서 상기 회전축(60)의 회전에 의한 펌핑력의 차이로 인해서 상기 회전축(60)의 하측에 형성된 제 1 오일구멍(60a)의 회전에 의한 펌핑력의 차이로 인해서 상기 회전축(60)의 하측에 형성된 제 1 오일구멍(60a)을 통하여 회전축(60)의 외부로 배출되어 하부플랜지(54)주위를 윤활, 냉각시킨다.
또한, 오일패들부재(70)로부터 상승된 오일중 일부는 상기 제 2 오일구멍(60b)을 통하여 편심축(30) 및 롤러부재(34)사이를 윤활, 냉각시키고, 제 3 오일구멍(60c)은 상부플랜지(54)와 회전축(60)사이를 윤활냉각시키고, 제 4오일구멍(60d)은 상부플랜지(54)를 윤활, 냉각시키면서 오일챔버(18)내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축기의 오일공급장치는 회전축(60)내의 길이방향에 따라 형성된 오일패들부재(70)의 일측부에 서로 대항해서 한쌍의 걸림턱(70b)을 형성하고, 이 걸림턱(70b)을 상기 회전축(60)에 형성된 오일흡입구멍(60e)에 삽입해서 고정하고 있으므로, 외부의 충격이 압축기에 인가되어도 회전축(60)으로부터 오일패들부재(70)가 빠지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60)의 회전에 따라 오일챔버(18)내에 저류되어 있는 오일을 항상 용이하게 흡입해서 회전축(60)에 형성된 제 1 내지 제 4오일구멍(60a)(60b)(60c)(60d)에 오일을 공급하므로 회전축(60)과 상,하부플랜지(54)(56), 편심축(30) 및 롤러부재(34)와의 마찰을 감소시킴으로서, 이들 부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또 마찰에 따른 열을 냉각시킬 수 있다.
다음에, 제 6 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에서, 종래 및 본 고안에 의한 일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병기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4 도 및 제 5a 도에 도시한 회전축(60)과 다른점을 오일패들부재(70)에 형성된 한쌍의 걸림턱(70b)을 수용하는 회전축(32)에서 오일흡입구멍(60e)을 제거하고, 상기 오일패들부재(70)를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구멍내에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대로 삽입해서 회전축(32)의 제 3 오일구멍(32c)내에 걸림턱(70b)을 삽입함으로써 외부충격이 압축기에 가해져도 빠지지 않도록 고정한 점이다.
제 6 도에서 32a, 32b, 32d는 제 1, 제 2 및, 제 4 오일구멍을 표시힌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공급장치는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에 별도로 오일이 유동하도록 관통된 오일흡입구멍내에 상기 오일패들부재의 일단부에 형성된 걸림턱을 삽입해서 고정하므로서, 외부의 충격이 압축기에 인가되어도, 상기 오일패들부재가 빠지지 않으므로 오일을 흡입해서 공급하는 기능을 충분히 수횅할 수 있어 오일을 펌핑하는 부품과 부품사이의 마찰을 감소시켜 이상마모현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정상적으로 압축기를 운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구멍이 형성됨과 동시에 그 둘레면에 상기 관통구멍과 직각되게 제 1 내지 제 4 오일구멍이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저부에 있는 오일을 픽업하여 회전축에 공급하도록 회전축의 관통구멍에 삽입된 오일패들부재를 구비한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일패들부재(70)의 일측단 둘레에는 그 몸체가 90도의 각도로 트위스트되어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될때 상기 회전축(60)의 하단 둘레면에 대하여 관통구멍과 직각되게 관통된 오일흡입구멍(60e)에 탄력적으로 끼워맞춤되어 고정되도록 그 몸체의 중앙에 형성된 요홈부(70a)를 중심으로 수축 및 확장되는 걸림턱(70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공급장치
KR2019950002182U 1995-02-11 1995-02-11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공급장치 KR01227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2182U KR0122705Y1 (ko) 1995-02-11 1995-02-11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2182U KR0122705Y1 (ko) 1995-02-11 1995-02-11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9193U KR960029193U (ko) 1996-09-17
KR0122705Y1 true KR0122705Y1 (ko) 1998-08-17

Family

ID=19407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2182U KR0122705Y1 (ko) 1995-02-11 1995-02-11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270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9193U (ko) 1996-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00369A (ko) 로터리 압축기
CA2080577C (en) Rotary vane compressor with reduced pressure on the inner vane tips
JPWO2002061285A1 (ja) スクロール圧縮機
KR0122705Y1 (ko)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공급장치
US20220349405A1 (en) Rotary compressor with selective oil communication
CN107893758B (zh) 涡旋压缩机及具有其的空调器
US5409358A (en) Lubricant suppplying system of a hermetic compressor
KR0132990Y1 (ko) 로터리 압축기의 압축장치
JPH10148193A (ja) ロータリ圧縮機
EP1805419B1 (en) Rotary compressor
JP3600694B2 (ja) ロータリ圧縮機
JPH11294353A (ja) ロータリ圧縮機
CN113260786B (zh) 压缩机
JP2000170677A (ja) ロータリー圧縮機
KR200142898Y1 (ko) 압축기
KR0139334Y1 (ko) 로터리 압축기용 오일흡입관의 설치구조
KR20010055150A (ko) 밀폐형 압축기의 커넥팅로드와 피스톤핀 간의 마모방지 장치
KR200150835Y1 (ko) 회전압축기
KR100323543B1 (ko) 회전식압축기의마찰저감장치
KR0133345Y1 (ko) 횡형 회전압축기
KR20230064057A (ko) 스크롤 압축기
KR0117041Y1 (ko) 로터리 압축기
KR0182539B1 (ko) 왕복동형 압축기의 피스톤장치
KR19990002723U (ko) 회전압축기
JP4622793B2 (ja) 密閉型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