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2671Y1 - 전기면도기 - Google Patents

전기면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2671Y1
KR0122671Y1 KR2019930015323U KR930015323U KR0122671Y1 KR 0122671 Y1 KR0122671 Y1 KR 0122671Y1 KR 2019930015323 U KR2019930015323 U KR 2019930015323U KR 930015323 U KR930015323 U KR 930015323U KR 0122671 Y1 KR0122671 Y1 KR 01226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electric shaver
built
storage battery
micro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53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5878U (ko
Inventor
김윤구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300153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2671Y1/ko
Publication of KR9500058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8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26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26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38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hair clippers, or dry shavers, e.g. housings, casings, grips, guards
    • B26B19/3873Electric features; Charging; Compu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38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hair clippers, or dry shavers, e.g. housings, casings, grips, guards
    • B26B19/3806Accessories
    • B26B19/382Built-in accesso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존의 전기면도기내에 내장되어 있는 축전지 이외에 부가적으로 착탈용 축전지를 사용하여 수염을 깎는 전기면도기에 관한 것으로써, 마이크로컴퓨터(40)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40)의 제어에 의해 정류수단(10)으로부터의 직류전압을 받아서 전압을 축적하는 충전수단(20)과, 상기 충전수단(20)에 의해 축적된 전압을 받아서 충전되는 축전지(30)와, 상기 전기면도기의 동작개시신호 및 상기 축전지(30)의 충전개시신호를 상기 마이크로컴퓨터(40)에 출력하는 스위치수단(50)과, 상기 마이크로컴퓨터(4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축전지(30)의 충전량을 표시함과 동시에 모터(70)의 과부하 상태를 표시수단(6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면도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기면도기의 제어블록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기면도기의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기면도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표시수단의 개략적인 상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위치접점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교류전원입력수단 10 : 정류수단
20 : 충전수단 30 : 축전지
33 : 축전지취부함 40 : 마이크로컴퓨터
50 : 스위치수단 60 : 표시수단
70 : 모터
본 고안은 기존의 전기면도기내에 내장되어 있는 축전지 이외에 부가적으로 착탈용 축전지를 사용하여 수염을 깎는 전기면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 의한 전기면도기는 교류전원입력단의 상용교류전압을 직류로 변환하여 모터를 구동하는 교류식 모터구동방식과, 상기 교류전원입력단의 상용교류전압을 직류로 변환하여 상기 전기면도기내에 내장되어 있는 내장용 축전지에 충전시킨다음 상기 내장용 축전지에 충전된 전원에 의해 모터를 구동하는 충전식 모터구동방식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와같은 방식에 있어서는 전기면도기내에 내장되어 있는 내장용 축전지의 전원용량이 한정되어 있어 출장이나 차내 및 야외등에서 전기면도기를 사용할 경우, 사용하기가 불편할뿐만 아니라, 상기 전기면도기내에 먼지나 털 등의 이물질이 축적됨으로 모터의 과부하 상태를 알 수가 없기 때문에 상기 모터의 소비전류가 커짐으로써 모터가 빨리 마모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전기면도기의 충전수단은 전기면도기내에 내장되어 있는 내장용 축전지만 충전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마이크로컴퓨터와 충전수단을 이용하여 전기면도기내에 내장되어 있는 내장용 축전지를 충전시킴은 물론, 부가적으로 착탈용 축전지를 충전시켜 모터를 구동하기 때문에 상기 전기면도기의 사용시간을 연장할 수 있는 전기면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착탈용 축전지를 이용하여 소형카세트나 건전지용 면도기 등의 건전지 및 축전지를 사용하는 일반 제품에 이용할 수 있는 충전용 어댑터의 기능을 갖는 전기면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표시수단을 이용하여 축전지의 충전량을 표시함은 물론, 전기면도기내에 먼지나 털 등의 이물질로 인한 모터의 과부하 상태를 표시하여 사용자의 신속한 조치가 가능토록 함으로써 상기 모터를 보호할 수 있는 전기면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전기면도기는 전기면도기에 있어서, 마이크로컴퓨터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의 제어에 의해 정류수단으로부터의 직류전압을 받아서 전압을 축적하는 충전수단과, 상기 충전수단에 의해 축적된 전압을 받아서 충전되는 축전지와, 상기 전기면도기의 동작개시신호 및 상기 축전지의 충전개시신호를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에 출력하는 스위치수단과,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의 제어에 의해 상기 축전지의 충전량을 표시함과 동시에 모터의 과부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정류수단(10)은 교류전원입력수단(1)으로부터의 상용교류전압을 받아서 직류전압으로 정류하고, 충전수단(20)은 후술하는 마이크로컴퓨터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정류수단(10)으로부터의 직류전압을 받아서 전압을 축적함과 동시에 그 축적된 전압으로 직접 모터(70)를 구동하여 전기면도기의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축전지(30)는 상기 충전수단(20)에 의해 축적된 전압을 받아서 상기 모터(70)를 구동하기 위한 전압을 충전하는 것으로써, 이 축전지(30)는 상기 전기면도기내에 내장되어 모터(70)를 구동하는 내장용 축전지(31)와, 상기 전기면도기의 후면하단부에 착탈가능하도록 취부되어 있는 착탈용 축전지(32)로 구성되어 있다.
마이크로컴퓨터(40)는 도시되지 않은 직류전원수단으로부터의 전압을 인가받아서 상기 전기면도기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함은 물론, 상기 축전지(30)의 충전량에 따라 상기 충전수단(20)의 동작전원을 제어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스위치수단(50)은 상기 전기면도기의 동작을 개시하거나 상기 축전지(30)를 충전시키도록 동작개시신호 및 충전개시신호를 상기 마이크로컴퓨터(40)에 출력한다.
그리고, 표시수단(60)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4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축전지(30)의 충전량을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전기면도기내의 일정부위에 형성된 축적부(도시하지 않음)에 먼지나 털 등의 이물질이 축적됨으로 모터(70)의 과부하 상태를 표시하는 것으로써, 이 표시수단(60)은 내장용 축전지(31)의 충전량을 표시하는 제1표시부(61)와, 착탈용 축전지(32)의 충전량을 표시하는 제2표시부(62)와, 상기 전기면도기내에 먼지나 털 등의 이물질로 인한 모터(70)의 과부하 상태를 표시하는 제3표시부(63)와, 상기 내장용 축전지(31) 및 착탈용 축전지(32)의 충전량 부족상태를 표시하는 제4표시부(64)와, 상기 내장용 축전지(31)의 충전시에 점등되는 제1램프(65)와, 상기 착탈용 축전지(32)의 충전시에 점등되는 제2램프(66)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표시부(61,62)는 상기 내장용 축전지(31) 및 착탈용 축전지(32)의 충전량이 많아질수록 바그래프의 레벨이 올라가도록 되어 있다.
제2도내지 제5도에 있어서, 참조부호 5는 전기면도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이고, 상기 본체(5)의 정면상단부에는 상기 전기면도기의 동작을 개시하거나 착탈용 축전지(32)를 충전시키도록 조작되는 스위치수단(50)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수단(50)을 상단으로 온시키면, 제1접점부(70':모타(70)의 접점부)와, 제2접점부(31':내장용 축전지(31)의 접점부), 제3접점부(20':충전수단(20)의 접점부), 제4접점부(32':착탈용 축전지(32)의 접점부)가 선택적으로 접속된다.
반면에, 상기 스위치수단(50)을 하단으로 온시키면, 제3접점부(20')와, 제4접점부(32')가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수단(50)의 상·하부에는 걸림후크(51)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스위치수단(50)이 상단 혹은 하단 중 어느 한 부분으로 온되면, 그 접속의 확실함을 위해서 상기 걸림후크(51)가 걸림턱(52)에 끼워짐으로 상기 스위치수단(50)이 오프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또한, 상기 본체(5)의 정면하단부에는 상기 전기면도기내에 내장되어 있는 내장용 축전지(31)이외에 착탈용 축전지(32)의 충전량을 표시하거나 상기 전기면도기내에 일정부위에 형성된 축적부에 먼지나 털 등의 이물질이 축적됨으로 모터(70)의 과부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60)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5)의 내측후면하단부에는 상기 착탈용 축전지(32)를 취부하는 축전지취부함(33)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축전지취부함(33)의 상단에는 단자부(34)가 형성되어 상기 착탈용 축전지(32)의 양(+)의 단자와 음(-)의 단자를 연결시킨다.
상기 착탈용 축전지(32)를 축전지취부함(33)에 삽입하면, 상기 축전지취부함(33)내의 도시되지 않은 감지스위치가 온되므로 마이크로컴퓨터(40)에서 상기 축전지취부함(33)에 축전지(32)가 삽입되었음을 감지한다.
한편, 미설명부호 35는 상기 축전지취부함(33)을 외부로부터 밀폐하는 취부함커버이고, 53은 상기 스위치수단(50)을 외부로부터 밀폐하는 스위치커버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기면도기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도시되지 않은 전원플러그를 교류전원입력수단(1:예를들어, 콘센트)에 접속하면, 상기 교류전원입력수단(1)으로부터의 상용교류전압이 정류수단(10)에서 직류전압으로 정류되어 충전수단(20)에 인가됨과 동시에 표시수단(60)의 제1램프(65)가 점등된다.
따라서, 상기 충전수단(20)에서는 마이크로컴퓨터(40)의 제어에 따라 정류수단(10)으로부터의 직류전압을 받아서 전압을 축적하고, 그 축적된 전압을 내장용 축전지(31)에 인가하여 상기 내장용 축전지(31)를 충전시킨다.
이때, 상기 내장용 축전지(31)에 충전되는 전압의 양은 마이크로컴퓨터(40)의 제어에 따라 제1표시부(61)에 표시되므로 상기 내장용 축전지(31)의 충전량을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내장용 축전지(31)에 충전이 계속되어 일정시간후에 충전이 완료되면, 마이크로컴퓨터(40)에서는 상기 충전수단(2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내장용 축전지(31)의 충전을 종료한다.
또한, 상기 충전수단(20)에 의해 전기면도기내에 내장되어 있는 상기 내장용 축전지(31)이외의 취부가능한 착탈용 축전지(32)를 충전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착탈용 축전지(32)를 제2도에 도시한 본체(5)의 내측후면하단부에 장착된 축전지취부함(33)에 삽입한다.
이에 따라, 상기 축전지취부함(33)내의 감지스위치가 온되고 상기 마이크로컴퓨터(40)에서 이를 감지하여 표시수단(60)의 제2램프(66)를 점등시킴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축전지취부함(33)에 착탈용 축전지(32)가 삽입되었음을 알려준다.
이때, 상기 본체(5)의 정면상단부에 부착된 스위치수단(50)을 하단으로 온시키면, 제5도에 도시한 제3접점부(20')와 제4접점부(32')가 접속되어 상기 충전수단(20)에 축적된 전압이 착탈용 축전지(32)에 인가됨으로써 강기 착탈용 축전지(32)를 충전시킨다.
이때, 상기 착탈용 축전지(32)에 충전되는 전압의 양은 마이크로컴퓨터(40)의 제어에 따라 제2표시부(62)에 표시되어 상기 착탈용 축전지(32)의 충전량을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착탈용 축전지(32)에 충전이 계속되어 일정시간후에 충전이 완료되면, 마이크로컴퓨터(40)에서는 상기 충전수단(2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착탈용 축전지(32)의 충전을 종료한다.
이와같이, 상기 충전수단(20)에 의해 내장용 축전지(31)와 착탈용 축전지(32)가 충전된 상태에서 전기면도기를 동작시키려면, 상기 전원플러그를 교류전원입력단자(1)에서 분리한 다음 스위치수단(50)을 상단으로 온시킨다.
이에 따라, 제5도에 도시한 제1접점부(70')와 제2 및 제3접점부(31',32')가 접속되어 상기 내장용 축전지(31)와 착탈용 축전지(32)에 충전된 전압이 모터(70)에 인가되면서 상기 모터(70)를 구동시킴으로써 전기면도기의 사용할 때간을 연장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내장용 축전지(31)와 착탈용 축전지(32)에 충전된 전압이 일정시간후에 일정레벨로 감소되면, 표시수단(60)의 제4표시부(64)에서는 상기 내장용 축전지(31)와 착탈용 축전지(32)의 충전량이 부족함을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재차 상기 내장용 축전지(31)와 착탈용 축전지(32)를 충전시키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가 전기면도기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전원플러그를 교류전원입력단자(1)에 접속하고 스위치(50)를 상단으로 온시킨다.
이에 따라, 제5도에 도시한 제1접점부(70')와 제3접점부(20')가 접속되어 상기 충전수단(20)에 축적된 전압이 모터(70)에 직접 인가되면서 상기 모터(70)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내장용 축전지(31)와 착탈용 축전지(32)에 충전된 전압이 없을 경우에도 전기면도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표시수단(60)의 제3표시부(63)에서는 상기 전기면도기의 사용할 때 전기면도기내의 일정부위에 형성된 축적부에 먼지나 털 등의 이물질이 축점됨으로 모터(70)의 과부하 상태를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전기면도기를 청소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모터(70)를 보호하여 전기면도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전기면도기에 의하면, 마이크로컴퓨터와 충전수단을 이용하여 전기면도기내에 내장되어 있는 축전지를 충전시킴은 물론, 부가적으로 착탈용 축전지를 충전시켜 모터를 구동하기 때문에 상기 전기면도기의 사용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며, 표시수단을 이용하여 축전지의 충전량을 표시함은 물론, 전기면도기내에 먼지나 털 등의 이물질로 인한 모터의 과부하 상태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편리하면서도 상기 모터를 보호할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전기면도기내의 충전수단에 의해 충전된 착탈용 축전지를 소형카세트나 건전지용 면도기 등의 건전지 및 축전지를 사용하는 일반제품에 사용할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마이크로컴퓨터(40)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40)의 제어에 의해 정류수단(10)으로부터의 직류전압을 받아서 전압를 축적하는 충전수단(20)를 구비한 전기면도기에 있어서, 상기 충전수단(20)에 의해 축적된 전압을 받아서 충전되며 전기면도기에 내장된 내장용 축전지(31)와, 상기 충전수단(20)에 의해 축적된 전압을 받아서 충전되며 전기면도기의 후면에 착탈가능케 결합된 착탈용 축전지(32)와, 상기 전기면도기의 동작개시신호 및 상기 내장용, 착탈용 축전지(31)(32)의 충전개시신호를 상기 마이크로컴퓨터(40)에 출력하는 스위치수단(50)과, 상기 마이크로컴퓨터(4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내장용, 착탈용 축전지(31)(32)의 충전량을 표시함과 동시에 모터(70)의 과부하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면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60)은 내장용 축전지(31)의 충전량을 표시하는 제1표시부(61)와, 착탈용 축전지(32)의 충전량을 표시하는 제2표시부(62)와, 전기면도기내에 먼지나 털 등의 이물질로 인한 모터(70)의 과부하 상태를 표시하는 제3표시부(363)와, 상기 내장용 축전지(31) 및 착탈용 축전지(32)의 충전량 부족상태를 표시하는 제4표시부(64)와, 상기 내장용 축전지(31)의 충전시에 점등되는 제1램프(65)와, 상기 착탈용 축전지(32)의 충전시에 점등되는 제2램프(6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면도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용 축전지(32)는 전기면도기의 내측후면에 장착되어 있는 축전지취부함(33)에 취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면도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용 축전지(32)는 건전지 및 축전지를 사용하는 일반 제품에 이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면도기.
KR2019930015323U 1993-08-10 1993-08-10 전기면도기 KR01226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5323U KR0122671Y1 (ko) 1993-08-10 1993-08-10 전기면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5323U KR0122671Y1 (ko) 1993-08-10 1993-08-10 전기면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878U KR950005878U (ko) 1995-03-20
KR0122671Y1 true KR0122671Y1 (ko) 1998-10-15

Family

ID=19360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5323U KR0122671Y1 (ko) 1993-08-10 1993-08-10 전기면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267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878U (ko) 1995-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98055A (en) Externally rechargeable battery pack for a computer
US5318356A (en) Charger/shelter apparatus for electric shaver
KR0122671Y1 (ko) 전기면도기
KR0122667Y1 (ko) 전기면도기
US20040051388A1 (en) Power tool with replaceable power supply cartridge
JP3672021B2 (ja) コードレス工具
JP2002034874A (ja) 充電式電気掃除機
JPH0327575Y2 (ko)
US20220337057A1 (en) Vehicle Battery Jump-Start Device
JPH08336486A (ja) 充電式掃除機
KR900004485Y1 (ko) 전기및 충전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한 전동치솔
JP2003053683A (ja) コードレス工具
JPS62171420A (ja) 小型電気機器
KR100352330B1 (ko) 진공청소기 충전용 배터리의 과충전/과방전 보호회로
JPH0123415Y2 (ko)
JP2983568B2 (ja) 容量表示装置
JPH0357079Y2 (ko)
KR200171699Y1 (ko) 진공청소기 충전용 배터리의 과충전/과방전 보호회로
JPH0824187A (ja) 充交両用電気掃除機
JPS603875A (ja) 充電式小型電気機器
JPH0649076Y2 (ja) 充電式機器の電源装置
JPH04221594A (ja) 電気かみそり
JPS63238834A (ja) 電気掃除機
JPS6066781A (ja) 電源ケ−ス付設の電気かみそり
CN2293289Y (zh) 多功能微型电动擦鞋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