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2497B1 - 케이블 접속용 내부보호관의 접속구조 - Google Patents

케이블 접속용 내부보호관의 접속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2497B1
KR0122497B1 KR1019940034810A KR19940034810A KR0122497B1 KR 0122497 B1 KR0122497 B1 KR 0122497B1 KR 1019940034810 A KR1019940034810 A KR 1019940034810A KR 19940034810 A KR19940034810 A KR 19940034810A KR 0122497 B1 KR0122497 B1 KR 0122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tube
inner protective
sleeve
heat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4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3985A (ko
Inventor
이종호
김준선
최종철
Original Assignee
권문구
엘지전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문구, 엘지전선주식회사 filed Critical 권문구
Priority to KR1019940034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2497B1/ko
Publication of KR960023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3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2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24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Landscapes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 및 케이블 접속용 내부보호관의 접속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보호관의 고정력을 향상시켜 내부압력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접속용 내부보호관의 접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 한쌍의 반원형 몸체(10a)(10b)로 이루어지고 양 단부에는 케이블 등의 굴곡접속을 위해 일정깊이의 슬릿형 날개(10c)가 형성되며, 상기 반원형 몸체(10a)(10b)를 접속하기 위해 서로 대응되는 요철부(10d)(10e)가 형성된 내부보호관(10)에 있어서, 상기 일측의 요철부(10e)에 요철잠김용 슬릿편(10f)을 형성하여 이 슬릿핀(10f)이 상대 요철부(10d)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케이블 접속용 내부보호관의 접속구조
제1도는 일반적인 열수축성 슬리이브를 이용하여 관 또는 케이블을 접속시킨 상태의종단면도.
제2도는 종래 내부보호관의 분리 사시도.
제3도는 종래 내부보호관의 조립상태의 상세예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내부보호관의 분리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내부보호관의 조립상태의 상세예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내부호호관과 열수축성 슬리이브를 함께 사용하여 케이블을 접속시킨 상태의 종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열수축성 슬리이브의 단면도.
본 발명은 관 및 케이블 접속용 내부보호관의 접속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보호관의 고정력을 향상시켜 내부압력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접속용 내부보호관의 접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유관이나 가스관 또는 각종 케이블의 연결접속 부위는 보호를 위해 접속용 슬리이브로 감싸 수분이나 기타 유해물질과 차단시킨다.
접속용 슬리이브로는 열수축성 슬리이브를 많이 사용하는데 이것들은 주로 열에 의해 수축되는 성질을 갖는 합성섬유재나 고분자중합체시트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도는 일반적인 열수축성 슬리이브를 이용하여 관 또는 케이블을 접속시킨 상태의 종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케이블을 접속시킨 상태의 것을 공기주입용 밸브(12)를 구비한 내부보호관(10)내부에 위치시키고 내부보호관(10)의 외부를 열수축성 슬리브(14)로 감싼 후 열수축성 슬리이브(14)이 양단부를 C형 채널(16)로 고정시키고 이를 열에 의해 수축시켜 케이블 등을 밀봉 접속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내부보호관(10)은 통신 케이블등의 접속부위를 보호 또는 공기주입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밸브(12)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였을 경우 1-2.5kg/㎠의 내부압력을 유지시켜야 하는 강도를 요구한다.
제2도는 종래 내부보호관(10)을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보호관(10)은 알루미늄 등으로 제작되며, 한쌍의 반원형 몸체(10a)(10b)로 이루어지고 양 단부에는 케이블 등의 굴곡접속을 위해 일정깊이로 파여진 다수의 슬릿형 날개(10c)가 형성되고, 상기 반원형 몸체(10a)(10b)에는 이를 접속하기 위해 서로 대응되는 요철부(10d)(10e)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내부보호관(10)의 조립시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부(10d)(10e)를 화살표 방향으로 압압하여 끼우게 되면 서로 대응되는 요철부(10d)(10e)에 의해 양 반원형몸체(10a)(10b)는 접속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접속된 내부보호관(1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밸브(12)를 통해 주입된 공기의 압력을 받게 되며, 이 압력은 1-2.5kg/㎠정도인데, 내부 공기압력에 의한 응력이 직접적으로 요철부(10d)(10e)인 접속부위에 발생되면서 밀봉을 위하여 내부보호관(10)의 표면을 감싸 열수축시킨 슬리이브(14)에 작용함으로써 요철부(10d)(10e)축의 슬리이브(14)가 파손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내부보호관의 접속부위의 고정력을 보다 견고히 하여 내부보호관의 압력에 의한 응력으로 슬리이브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접속용 내부보호관의 접속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한쌍의 반원형 몸체(10a)(10b)로 이루러지고 양 단부에는 케이블 등의 굴곡접속을 위해 일정깊이의 슬릿형 날개(10c)가 형성되며, 상기 반원형 몸체(10a)(10b)를 접속하기 위해 서로 대응되는 요철부(10d)(10e)가 형성된 내부보호관(10)에 있어서, 상기 일측의 요철부(10e)에 요철잠김용 슬릿핀(10f)을 형성하여 이 슬릿편(10f)이 상대 요철부(10d)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는 본 발명의 내부보호관의 분리사시도이고, 제5도는 본 발명의 내부보호관의 조립상태의 상세예시도로서, 본 발명의 설명에서 종래와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은 같은 도면부호로 표기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반원형 몸체(10a)(10b)로 이루어지고 양단부에는 케이블 등의 굴곡접속을 위해 일정깊이의 슬릿형 날개(10c)가 형성되고, 상기 반원형 몸체(10a)(10b)를 접속하기 위해 서로 대응되는 요철부(10d)(10e)가 형성된 내부보호관(10)에 있어서, 상기 일측의 요철부(10e)에 요철잠김용 슬릿편(10f)을 형성하여 이 슬릿편(10f)이 상대 요철부(10d)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접합용 요철부위(10d)(10e)는 제4도에서와 같이 2개의 반원형 몸체(10a)(10b)로 구성되어 있다. 한쪽의 반원형 몸체(10a)는 조립기능을 갖고, 다른쪽 반원형 몸체(10b)는 조립과 잠김기능을 갖고 있으며, 이를 서로 마주보게 하여 조립한 후 반원형 몸체(10b)를 잠김방향(화살표방향)으로 당기거나 밀면 슬릿편(10f)이 상대편 요철부(10d)에 삽입되어 결국 조립된 양 반원형 몸체(10a)(10b)는 원심방향으로 빠지지 않게 된다.
위와 같은 2개의 반원형 몸체(10a)(10b)가 가지고 있는 조립과 잠김구조의 실시예를 보면, 첫번째 조립기능을 위해서
L의 길이는 1.5cm에서 5cm
W의 길이는 0.4cm에서 1cm가 바람직하며,
잠김기능을 위해서 LL의 길이는 L길이의 50%에서 20%
정도가 바람직한 반면에, LW의 길이는 내부구조체로 사용되는 판재의 두께(0.5mm에서 2mm)보다 크거나 같으면 좋은데 바람직하게는 판재두께의 1.5배에서 2.5배가 좋다. 특히 잠김기능에 있어서 W에서 LW를 뺀 길이와 LL의 길이 및 판재의 두께는 내부 공기압력으로부터 발생되는 내부응력을 분산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고, LW의 길이는 두개의 몸체(10a)(10b)를 사용하여 내부구조체를 만들었을때 두개의 몸체(10a)(10b)가 서로 흔들리지 않고 한 몸체를 이루도록 한 역할을 한다.
실험을 위하여 아래와 같은 실시예를 사용하였다.
제6도는 본 발명의 내부보호관(10)을 이용하여 슬리이브(14)를 수축시켜 밀봉시킨 모습으로 내부보호관(10)을 슬리이브(14)로 감싸고 한쌍의 모서리부에 C형 채널(16)을 끼운 다음 외부에서 열을 가하면 내측의 열화성접착제(18)가 용융되어 슬리이브(14)와 내부보호관(10)을 밀착시켜 줌과 동시에 모서리부 사이에도 열활성접착제(18)가 용융되어 완전히 밀봉된다.
제7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열수축성 슬리이브(14)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슬리이브(14)의 구조는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여 보강직물(20)을 열수축시트재(22)의 양면에 넣는 방법도 가능하고 한면에만 넣는것도 가능하나 실험결과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보강효과 및 균열에 대한 저항성 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별도의 밀봉자재는 필요치 않으나 열활성접착제(18)가 부족해서 공기가 누출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제6도와 같이 적당한 크기의 열활성 접착제로 만들어진 패드(24)를 조립용 요철부위(10a)(10b)에 사용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밀착정도는 열활성접착제(18)의 접착력과 슬리이브(14)에 수축력에 상관되며, 실험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 제시한 내부보호관(10)을 사용하고 열수축성 슬리이브(수축되기전 슬리이브의 두께 : 1.5mm)를 10% 정도 수축하였을때 완성품의 내압강도는 약 5.3kg/㎠정도였으며, 기존의 내부보호관과 상기의 열수축성 슬리이브(14)를 사용하였을 경우 10% 정도 수축하였을때 완성품의 내압강도는 약 3.2kg/㎠를 보였다.
여기에서 열수축성 슬리이브(14)를 10% 정도 수축시켜 실험한 것을 사용하는 내부보호관(10)의 굴곡부분을 위하여 만든 슬릿형 날개(10c) 부위를 제외한 몸체 부분을 감싸는 수축되기 전의 열수축성 슬리이브(14)가 통상적으로 10%에서 20% 정도 크기 때문이다.
상기 열수축성 슬리이브(14)의 완성품을 실제 사용함에 있어 내압강도는 통상적으로 2.5kg/㎠이상이어야 하며, 열수축성 슬리이브 완성품에 대한 안전도계수(safety-factor) 1.5를 고려하면 3.75kg/㎠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내부보호관(10)을 사용함에 있어서 열수축시트재(22)를 사용한 슬리이브가 적당하며 이것은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가 바람직하다.
제7도의 구조를 살펴보면 열수축시트재(22)사이에 보강직물(20)이 들어 있고 양면을 보호용시트(26)로 보호하며, 그 한면에 열활성접착제(18)가 붙어있다.
상기 슬리이브(14)의 열수축시트재(22)는 유기과산화물 단독으로 혹은 실란 등과 함께 화학가교하여 팽창연신시켜 사용하며, 사용재질은 폴리올레핀이 적당하다. 보강직물(20)은 열수축 슬리이브의 강도를 증가시키고 균열에 대한 저항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그 재질은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등 내열플라스틱이 바람직하다.
열수축시트재(22)의 제조는 보강직물(20)을 시트재(22) 사이에 넣어 압출하여 같이 팽창시킨는 방법이 있고, 가교 팽창한 열수축시트재(22)사이에 넣어 융착시키는 방법이 모두 가능하며, 단, 열수축시트재(22)사이에 넣어 압출할때는 보강직물(20)이 열수축시트재(22)와 같이 팽창되므로 직물의 팽창률이 열수축시트재(22)의 팽창률보다 크거나 같아야 하며 팽창후에도 일정규모의 직물이 유지될 수 있도록 충분히 조밀하여야 한다. 보호용 시트(26)의 재질은 열가소성 수지이면 족하나 열수축시트재(22)와의 접촉을 좋게 하기 위하여 폴리올레핀이 바람직하며, 가교는 되지 않아도 좋으나 보강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10% 정도 가교되면 더욱 좋고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40% 이하의 가교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상기 보호용시트(26)나 열수축시트재(22)와 동시 압출하는 방법과 따로 압출하여 융착시키는 방법이 모두 가능하나, 동시 압출하는 것이 열수축시트재(22)와의 접촉면에서 유리하다. 열활성접착재(18)는 흐름특성 및 열적특성이 보호용시트(26)나 열수축시트재(22)와는 많은 차이가 있으므로 따로 압출해서 용착시키거나 열활성접착제도 포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케이블 접속용 내부보호관의 접속구조에 의하면 내부보호관의 요철부위에 고정력을 더욱 견고히 함으로써 내부압력으로부터 발생되는 내부응력이 밀봉을 위해 사용되는 열수축성 슬리이브에 직접 작용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발생되는 내부응력을 보호관 자체에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게되어 내부압력유지에 따른 내부보호관의 조립부위의 열수축성 슬리이브가 파손되어 밀봉효과가 상실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Claims (1)

  1. 한쌍의 반원형 몸체(10a)(10b)로 이루어지고 양 단부에는 케이블등의 굴곡접속을 위해 일정깊이의 슬릿형 날개(10c)가 형성되며, 상기 반원형 몸체(10a)(10b)를 접속하기 위해 서로 대응되는 요철부(10d)(10e)가 형성된 내부보호관(10)에 있어서, 상기 일측의 요철부(10e)에 요철감김용 슬릿편(10f)을 형성하여 이 슬릿편(10f)이 상대 요철부(10d)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용 내부보호관의 접속구조.
KR1019940034810A 1994-12-17 1994-12-17 케이블 접속용 내부보호관의 접속구조 KR0122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4810A KR0122497B1 (ko) 1994-12-17 1994-12-17 케이블 접속용 내부보호관의 접속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4810A KR0122497B1 (ko) 1994-12-17 1994-12-17 케이블 접속용 내부보호관의 접속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3985A KR960023985A (ko) 1996-07-20
KR0122497B1 true KR0122497B1 (ko) 1997-12-03

Family

ID=19401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4810A KR0122497B1 (ko) 1994-12-17 1994-12-17 케이블 접속용 내부보호관의 접속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249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3985A (ko)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02428A (en) Multi-layer wraparound heat shrink sleeve
US4532168A (en) Heat shrinkable covering
FI64482C (fi) Vaermeaoterhaemtbar anordning och anordning av densamma foer en kabelskarv
KR880004616A (ko) 케이블접속부의 밀봉방법 및 그 장치
JPH01295613A (ja) 導管接続部分の保護絶縁用組立体
JPS6132126B2 (ko)
US4409426A (en) Splice case
US3891790A (en) Splicing and repairing insulated electrical wire
CN1037304C (zh) 密封电缆接头的方法和组件
JPS58207812A (ja) 不均一断面基材の包囲用アツセンブリおよび方法
GB1594103A (en) Sealed enclosures for cable joints and the like
JPS58207814A (ja) 分岐用包囲体およびそれにより包囲された接続部
KR0122497B1 (ko) 케이블 접속용 내부보호관의 접속구조
GB1604983A (en) Bracing method
CA1148712A (en) Heat-shrinkable cable-fitting with permanently plastic sealing insert
JPH02223321A (ja) 再封入再包囲方法
EP0041388B1 (en) Heat recoverable closure assembly
EP0002959B1 (en) Pipe joints
KR0126430B1 (ko) 관 및 케이블 접속용 열수축성 슬리브의 밀봉구조와 그 슬리브
JP3895682B2 (ja) 遮水チューブ
CA2114288C (en) Multi-layer wraparound heat shrink sleeve
KR19980071091A (ko) 살충제를 첨가한 플라스틱 피복
KR0171592B1 (ko) 주위 밀봉 방법 및 그 제품
KR102574034B1 (ko) 케이블용 방화매트
KR200246859Y1 (ko) 열수축 연결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9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