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1592B1 - 주위 밀봉 방법 및 그 제품 - Google Patents

주위 밀봉 방법 및 그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1592B1
KR0171592B1 KR1019910701681A KR910701681A KR0171592B1 KR 0171592 B1 KR0171592 B1 KR 0171592B1 KR 1019910701681 A KR1019910701681 A KR 1019910701681A KR 910701681 A KR910701681 A KR 910701681A KR 0171592 B1 KR0171592 B1 KR 0171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legs
sealing material
clip
heat shrink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701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700889A (ko
Inventor
쟝-마리 에띠엥 놀프
마이클 로저 리드
알렌 웸베크
Original Assignee
안토니 윌리암 제이
엔.브이.레이켐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토니 윌리암 제이, 엔.브이.레이켐 에스.에이. filed Critical 안토니 윌리암 제이
Priority claimed from PCT/GB1990/000852 external-priority patent/WO1990015344A1/en
Publication of KR920700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0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1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15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1/00Shaping by liberation of internal stresses; Making preforms having internal stresses; Apparatus therefor
    • B29C61/06Making preforms having internal stresses, e.g. plastic memo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1/00Shaping by liberation of internal stresses; Making preforms having internal stresses; Apparatus therefor
    • B29C61/06Making preforms having internal stresses, e.g. plastic memory
    • B29C61/0608Making preforms having internal stresses, e.g. plastic memory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r structure of the preforms
    • B29C61/0641Clips for dividing preforms or forming branch-offs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 Gasket Seal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열수축성 슬리브와 적어도 두개의 기재사이에 분기 시일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기재를 상기 열수축성 슬리브내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b) 적어도 3개의 장각을 갖는 클립을 열수축성 슬리브의 개방 단부에서 그것의 외면에 위치시키므로써 적어도 2개의 열수축성 종말도관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장각중 적어도 2개는 슬리브의 외부에 위치되고, 상기 기재는 상기 종말도관의 내부에 있고, 상기 장각중 적어도 1개는 상기 슬리브의 내부에 위치되는 단계와; (c) 상기 클립을 상기 열수축성 슬리브의 외면에 끼운체로 열을 가함으로써 상기 슬리브를 수축시켜 소정의 시일을 형성시키는 가열 단계를 포함하며, 이때 슬리브의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장각은 그 말단부를 지나서까지 연장되는 열연화성 밀봉물질로 된 피복물을 가지며, 상기 연장부는 밀봉 물질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c)단계의 시행중 별로 유동하지 않을 정도로 형성되는 방법이다.

Description

주위 밀봉 방법 및 그 제품
본 발명은 케이블 접속부(cable splice), 특히 통신 케이블 접속부의 주위 밀봉 방법 및 주위 밀봉품에 관한 것이다.
둘 또는 그 이상의 케이블을 함께 접속할 경우, 함께 전기 접속될(또는, 광 케이블의 경우에는 광학 접속될) 각 케이블의 도선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케이블의 외피중 일부를 벗겨내야 한다. 그 후, 습기, 먼지, 곤충 또는 기타의 주변 이물질 등으로 인하여 케이블의 기능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려면, 케이블 외피가 제거된 부분을 원상회복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원상회복 작업은 일반적으로 케이블 접속부 둘레에 소위 접속부 케이브(splice case)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서 수행되며, 때에 따라서는 기계적 보호용 라이너를 먼저 설치한 다음, 그 라이너 둘레에서 치수 복원성 슬리브의 크기를 복원시키는 것에 의해 수행되기도 한다. 복원(일반적으로, 열수축)된 슬리브는 접속부의 양측면에서 케이블에 결합되어 하나의 밀봉 폐쇄체(sealed enclosure)를 형성하게 된다.
슬리브의 내부에는 열활성 밀봉 재료(heat-activatable sealing material), 특히 열용융성 접착제를 피복할 수도 있으며, 슬리브는 한번의 가열 단계만으로도 열수축되고 밀봉 재료는 활성화되어 케이블에 대해 접합될 수 있다.
많은 경우에 있어서, 예를 들면, 슬리브의 설치 공간이 제약을 받거나, 케이블의 단부에 접근할 수 없는 경우(예를 들면, 케이블 접속부를 수리 및 개조하고, 도선중 일부가 접속상태로 유지되는 경우)에는, 단순한 관상 슬리브는 사용하기 어렵거나 사용 불가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용도에 사용하기 위하여, 권착 슬리브(wrap-around sleeve)가 개발된 바 있다. 이러한 권착 슬리브는 케이블 접속부나 기타 기재를 둘러싸서 대체로 관 형상을 이룰 수 있는 열수축성 시이트로서, 일반적으로는, 열수축되는 동안 그 슬리브를 권착 상태(wrapped around configuration)로 유지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바람직한 구조에 있어서, 그러한 슬리브는 그것의 종방향 대향 연부에 임의의 적절한 형상의 융기부(ridge)를 구비하며, 이 융기부 위에는 C자형 횡단면의 채널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레이켐(Raychem) 소유의 영국 특허 제 1155470 호와 유럽 특허 제 0 116 392 호를 참조할 수도 있다.
열수축성 슬리브는 여러 분야에서 성공적으로 사용되어 왔지만, 둘 또는 그 이상의 기재(케이블, 파이프 및 기타 공급라인 등)를 하나의 위치에서 밀봉시켜야 하는 경우에는 문제점이 야기될 수도 있다. 분기(branch-off) 또는 분지(branch-out)로 알려진 이러한 문제점은 하나의 케이블을 다른 케이블의 중간부분내로 접속하거나, 셋 또는 그 이상의 케이블을 상호 접속시킬 경우에 발생될 수도 있다. 특히, 이러한 상황은 케이블 접속 케이스를 제조하는 과정중에 열수축성 슬리브의 일단부에서 발생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의 해결책은 영국 특허 제 1604986 호(레이켐 소유)에 제시되어 있다. 즉, 이 특허에서는 열수축성 슬리브의 단부위에서 클립을 끼워서 슬리브의 원주방향 이격부를 상호 접근시키는 것에 의해 열수축성 슬리브의 단부에 적어도 2개의 도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영국 특허 제 1604986 호의 클립은 둘 또는 그 이상의 긴 외부 레그와, 적어도 하나의 긴 내부 레그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 레그의 표면중 적어도 일부에는 열활성 접착제 또는 밀봉재가 구비되며, 상기 레그들은 클립을 열수축성 슬리브의 개방단부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외부 레그는 슬리브의 외측에 위치되고, 내부 레그는 슬리브의 내측에 위치됨으로써, 긴 형상의 기재를 수용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말단 도관(terminal conduit)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영국 특허 제 1604986 호에 개시된 클립은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는 것으로서 전 세계에 걸쳐 폭넓게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제안에 의하면, 예를 들면 미숙련공이 과도한 열을 가함으로써 과열상태의 내부 레그를 기재쪽으로 가압시키는 결과를 야기함으로 인하여 기재의 손상 가능성이 만족스러운 상태로 감소되지는 못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클립이 유럽 특허 제 0 110 750 호(레이켐 소유)에 개시되어 있는 바, 상기 클립은 적어도 2개의 외부 레그와 하나의 내부 레그를 포함하며, 상기 클립은 복원성 슬리브의 일단부에서의 그 슬리브의 외부 표면 위에 배치될 수 있도록 배열되되, 외부 레그는 슬리브의 외측에 배치되고, 내부 레그는 슬리브의 내측에 배치되며, 내부 레그는 열활성 밀봉 재료와, 외부 레그를 이 밀봉 재료와 열적으로 접속시키는 열전도성 부재 또는 영역을 포함한다. 이 클립은 가열에 따라 밀봉 재료가 활성화되는 시점 또는 그 직후에 열전도성 부재 또는 영역중 적어도 일부의 치수 안정성이 약화됨으로써, 열적 접속을 감소시키거나, 내부 레그중 적어도 일부의 강성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양자를 모두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구조의 분기 클립(branch-off clip)이 유럽 특허 제 0 120 603 호(레이켐 소유)에 개시되어 있다. 이 클립은 적어도 2개의 외부 레그와 적어도 4:1의 종횡비를 갖는 하나의 내부 레그를 갖는다. 상기 클립은 내부 재킷에 대한 시일과 외장부(external armouring)에 대한 기계적 접합이 필요한 통신용 외장 케이블의 둘레를 시일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두가지 요건을 충족시키려면, 각기 다른 특성의 밀봉 재료를 슬리브와 클립의 조립체의 서로 다른 부분, 예를 들면, 클립의 내부 레그의 말단부와 기단부에 각각 도포해야 한다. 내부 레그의 기단부에 위치한 접착제는 고온에 노출될 수도 있으므로, 레그의 말단부보다 더 강력한 접합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유럽 특허 제 0 127 457 호(레이켐 소유)에는 전기적 열복원성 슬리브와 이 슬리브의 일단부에 위치되어 적어도 2개의 말단 도관을 형성할 수 있는 클립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클립은 열활성 밀봉 재료로 이루어진 하나의 내부 레그와 2개의 외부 레그를 포함한다. 내부 레그내의 중앙에 전도성 부재가 없으면, 시공 도중에 케이블이 손상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클립의 내부 레그는 말단끼리 접하여 배치되는 2개의 상이한 재료를 포함한다. 클립의 브리지 부분(즉, 적어도 개념상으로 레그를 접합시키는 부분) 근처의 재료는 댐(dam)으로서의 작용을 할 수도 있다. 변형예로, 브리지 근처의 재료는 가열시 유동하여 슬리브의 단부에 시일을 형성하지만, 설치한 후에는 다시 강성을 지니게 되는 것일 수도 있다. 한편, 내부 레그의 말단부에 위치한 재료는 어느 정도의 가요성을 가지며, 상기 강성 재료와 케이블 또는 슬리브 사이의 임의의 누출 경로를 폐쇄시키는 작용을 한다.
또한, 프랑스 특허 제 2500223 호[더블유 로우즈(W. Rose)]와 영국 특허 제 1594818 호(레이켐 소유)를 참조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선행 종래 기술의 각 특허 명세서의 기재내용은 본원 명세서에 참조로 인용된다.
본 발명자들은 케이블의 손상 가능성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고, 밀봉 제품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선된 클립 및 그에 따른 분기 시일(branch-off seal)의 형성 방법을 고안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클립을 보다 열악한 설치 및 수리조건하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강력한 수축력의 슬리브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또 대형 및 중량 케이블 둘레를 양호하게 밀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장점은, 필요한 곳에 여분의 접착제를 도포하되, 슬리브의 수축에 따른 상기 접착제의 변위를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클립은 설치를 쉽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을 수행하기에 충분한 접착제를 보유하도록 설계된다. 종래에는, 양호한 시일을 위해서 다량의 접착제를 사용하였고, 클립의 용이한 설치를 위해서는 소량의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슬리브에 대해 레그사이에 보다 큰 간극을 유지해야 한다는 것이 모순점이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모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열수축성 슬리브와 적어도 2개의 기재 사이에 분기 시일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바, 상기 방법은:
(a) 상기 기재를 상기 열수축성 슬리브내에 배치하는 단계와;
(b) 적어도 3개의 긴 레그를 갖는 클립을 열수축성 슬리브의 개방 단부에서 그 슬리브의 외면에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적어도 2개의 열수축성 말단 도관을 형성하되, 상기 레그중 적어도 2개는 슬리브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기재는 상기 말단 도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레그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슬리브의 내부에 배치되는 단계와;
(c) 상기 클립을 상기 열수축성 슬리브의 외부 표면에 끼운상태로 열을 가함으로써(예를 들면, 상기 슬리브의 외측을 향해 화염 또는 열풍을 공급하거나, 전기적으로 자체 가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슬리브를 수축시키고, 또 소정의 시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레그는 그 말단부를 지나서 연장되는 열연화성 밀봉 재료의 피막(coating) 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장부는 밀봉 재료중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단계(c)중에 거의 유동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클립을 제공한다.
상기 연장부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1cm 내지 5c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3cm 내지 5cm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5cm 내지 3cm이다. 또한, 상기 연장부의 길이는 슬리브의 내부에 배치되는 레그의 방향을 따라, 바람직하게는 밀봉 재료의 전체 길이의 10% 내지 5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0%이다. 상대 체적의 경우, 상기 연장부의 체적은 밀봉 재료의 전체 체적의 10% 내지 60%이고,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0%이다.
밀봉 재료로는 열용융성 접착제, 특히, 폴리아미드계 접착제가 바람직하다. 점도는 100℃에서 40 내지 110pa.s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내지 80pa.s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연화점은 70℃ 내지 120℃가 바람직하지만, 80℃ 내지 110℃가 보다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연장부의 밀봉 재료는 내부 레그를 둘러싸고 그리고 가열수단(슬리브의 외면을 향해 배치된 개방화염 토치 등)으로부터 외부 레그를 거쳐 클립의 브리지 부분을 통해 내부 레그 안으로의 전달에 의해 열을 수용하는 밀봉 재료에 비해서 대략 15℃ 내지 30℃ 낮은 온도로 가열될 것이다. 이러한 낮은 온도는 7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이용할 수 있는 바람직한 밀봉 재료는,
(a) 폴리아미드와;
(b) 에틸렌과 에틸렌형으로 불포화된 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의 공중합체로서, ASTM D1238-70에 따라 측정할 때 용융 유동 지수(melt flow index)가 적어도 40이고, 폴리아미드의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38%의 중량비를 갖는 상기 공중합체와;
(c) 선택적으로, 폴리에틸렌 아크릴산 공중합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밀봉 재료는 내부에 배치된 레그의 방향을 따라 거의 균일한 조성으로 이루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밀봉 재료는 레그의 기단부에 가까운 위치에서 보다 그 말단부에 가까운 위치에서 보다 높은 연화점 및/또는 용융점도를 가질 수도 있다. 고 연화점 및/또는 고 용융점도를 갖는 부분은 전술한 연장부이거나, 이 연장부보다 더 길거나 또는 단지 이 연장부의 일부일 수도 있다.
내부에 배치되는 레그의 길이는 외부에 배치되는 각 레그의 길이와 실질적으로동일하거나 또는 그 보다 더 긴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변형예로 밀봉 재료는 외부에 배치되는 상기 2개의 레그의 말단부를 연결하는 직선과 거의 같은 길이로 연장되거나 또는 그를 지나는 길이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립의 레그는 실질적으로 하나의 평면상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어도 외부 레그는 두께(상기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의 치수)보다는 상당히 넓은 폭(상기 평면내의 치수)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봉 재료는 말단부에서 그 말단부를 향하여 경사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3개의 레그와 동일한 평면상에 놓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3개의 레그의 평면내에서 각각의 외부 레그의 두께는 그 길이를 따라서 중간 부분의 양단부에서 보다는 그 중간 부분에서 더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상은 각 외부 레그가 그 외주 둘레에(바람직하게는, 각 표면상에) 융기부(ridge)를 가지되, 이 융기부가 상기 중간 부분에서 종단되게 될 수도 있다.
이와같이 두께가 감소된 부분은 내부 레그(즉, 내부에 위치된 레그)와 외부 레그 사이의 클립의 길이를 따라 누출 경로(leak path)가 형성될 가능성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러한 누출 경로는 케이블이 클립의 연부쪽으로 가압되는 것으로 인하여 밀봉 재료가 압착되는 결과로부터 발생될 수도 있다. 그러나, 슬리브가 레그의 두께 변화를 정확하게 추적하여 변형될 수는 없으므로 어느 정도의 밀봉 재료는 남아있게 된다. 또한, 두께가 감소됨으로써 비용도 절감되고, 얇은 부분의 두께는 4mm 또는 그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3mm 또는 그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분리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점이다. 상기 분리수단은, 예를 들면, 고무 또는 바람직한 기타 탄성체의 블록으로서, 열전도율이 낮은 비유동성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며, 기재들간에 분리상태를 유지하도록 배치된다. 그러한 분리 수단은 3개의 레그를 연결하는 클립의 브리지 부분의 각 측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리수단은 통공, 바람직하게는 개방형 홈을 구비할 수도 있으며, 밀봉 재료는 단계(c)의 종료시점에서 상기 통공 또는 홈을 통해 유동할 수 있다. 유동된 밀봉 재료는 대체로 케이블 사이에 형성된 접속부 케이스 등의 외부에서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 바, 이러한 유동재료가 목격되면 충분한 열이 가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케이블의 손상 가능성은 외부 레그에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더욱 감소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슬리브의 외부에 가해지는 개방형 화염 등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는 소요 열량도 감소되며, 또한 클립에 의해 가려진 슬리브를 어느 정도 직접 가열(구멍을 통해)하는 것이 허용될 수도 있으므로 가열시간도 단축된다.
전술한 특징들은 밀봉 재료가 접속 케이스의 내부를 향해, 즉 소망의 슬리브 단부로부터 멀리 유동하지 못하게 하는데 도움을 준다. 따라서, 누출 경로는 차단될 수도 있고 그리고 고온의 내부 레그 둘레에 충분한 양의 접착제가 배치되어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클립은 섬유사를 갖는 복합 재료를 포함하는 열수축성 슬리브, 특히 권착 슬리브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섬유사는 소정의 매트릭스 재료로 보강되어, 예를 들면, 파열 저항을 개선시키거나, 내압하에서 충격 강도, 또는 후프 강도를 개선시킬 수 있다. 변형예로, 또는 추가로, 복합 재료는 복원성 섬유 요소, 선택적으로는 복원성 직물에 의해 수축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직물은 슬리브를 원주방향으로 수축시키는 복원성 폴리에틸렌 또는 기타 섬유사와, 슬리브내에 종방향으로 이동되는 비수축성 유리섬유 또는 기타의 강성 섬유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섬유사는 중합 매트릭스 재료로 적층되거나 또는 함침되는 직물 또는 니트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한 복합 재료는 매우 강력하고 높은 수축력을 보여줄 수도 있으며, 장착하는 동안 충분히 가열됨으로써, 본 발명의 클립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그러한 재료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참조가 되는 유럽 특허 제 0 116 393 호(레이켐 소유)에 개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케이블, 특히 가압식 또는 비가압식 케이블용의 통신 케이블을 주위 밀봉하는데 사용된다. 그러한 케이블 접속부에는 접속부 보호용 라이너가 추가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제1도는 분기 케이블 접속 케이스를 형성하는 종래 기술의 열수축성 슬리브 및 분기 클립을 도시하는 도면.
제2도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의 클립을 도시하는 도면.
제1도에는 열수축성 슬리브(2)의 단부에 2개의 도관(3)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슬리브의 일단부상에 위치된 종래 기술의 클립(1)이 도시되어 있다. 이 클립에 대해서는 영국 특허 제 1604986 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클립(1)은 슬리브의 외측에 위치하는 2개의 외부 레그(4)와, 슬리브의 내측에 위치되고 열용융 접착제로 피복되는 하나의 내부 레그(5)를 갖는다. 상기 레그들은 클립의 브리지 부분(6)에서 접합되는 것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 멀티코어 통신 케이블(7)이 도관(3)중 하나에 배치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다른 도관내의 케이블은 도시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되었다. 그러한 2개의 케이블(7) 사이의 케이블 접속부는 슬리브(2)에 의해서 그내에 밀봉된다. 가열하게 되면, 슬리브(2)는 수축되어 케이블(7)과 밀봉 결합되고, 내부 레그(5)상의 접착제는 용융된다.
본 발명의 클립은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내부 레그(5)상의 밀봉 재료(8)는 레그의 말단부(9)를 지나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클립은 금속 또는 기타 열전도성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은 에폭시 또는 기타 재료로 이루어진 보호용 피막을 구비할 수도 있으며, 상기 피막은 내부 레그에서는 생략될 수도 있다. 브리지 부분(6)이 종단되고 레그가 시작되는 정확한 라인이 다소 불분명하기는 하지만, 레그의 기단부는 참조번호(10)로 도시된 위치를 기준으로 한다. 이것을 언급하는 이유는 본 명세서에서 레그의 길이에 대한 기준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실제의 경우, 레그의 길이를 비교하는 것은 그다지 어렵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밀봉 재료(8)의 연장부는 참조번호(11)로 도시되어 있으며, 그 길이(X)를 따라 경사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경사진 방향은 그 말단부를 향하여 얇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사부(12)는 클립을 케이블 사이의 슬리브 단부상으로 쉽게 삽입시킬 수 있게 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클립에는 댐(dam)이 제공되어, 설치하는 동안 밀봉재료가 클립의 단부로부터 멀리 유동하는 양을 감소시킨다. 지금까지는 이러한 유동을 보상하기 위해 다량의 접착제를 제공해야 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접착제의 양을 감소시켜 슬리브에 대해 레그 사이의 큰 초기 간극이 수용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으며, 접착제의 양이 감소되더라도 양호한 시일을 유지하기에는 충분하다.
(피복된) 내부 레그와 각각의 외부 레그사이의 간극은 적오도 3mm, 또는 적어도 4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3도에 도시된 클립은 외부 레그(4)를 구비하며, 상기 외부 레그의 중간부분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얇은 부분(13)이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얇은 부분은 외부 레그(4)의 외주 둘레의 융기부(14)가 종단됨으로써 형성되는 부분이다. 도시된 클립은 소위 음각된 유두 형상의 요부(recess)(15)를 가짐으로써, 레그 사이의 슬리브가 원주방향으로 수축되는 경우, 그 일부의 두께가 증가되고 그리고 이들 요부(15)내로 고정됨으로써, 클립이 슬리브의 단부로부터 미끄러지지 않게 한다.
제4도에는 본 발명의 또다른 여러 특징들이 도시되어 있다. 외부 레그는 구멍, 예를 들면, 둥근 구멍(16), 또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멍 또는 슬롯(17)을 갖는다. 또한, 슬롯(19)을 갖는 이격 수단(18)이 제공되며, 밀봉 재료(8)는 상기 슬롯(19)을 통해 유동됨으로써 작업자가 충분한 열이 가해졌는지의 여부를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서 난점으로 주목되어온 대형 및/또는 중량 케이블을 밀봉하는데 특히 유용한다. 예를 들면, 5℃ 내지 60℃에서 100 사이클 또는 그 이상의 주위 물 순환 테스트(예를 들면, 영국 표준 통신 테스트의 기본임)를 쉽게 통과할 수 있는 접속 케이스의 제조에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각기 56mm인 2개의 케이블 분기 또는 각기 46mm와 66mm인 2개의 케이블 분기와 관련된 이들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으며, 또한 다른 형상들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신규한 클립은 레이켐(Raychem)의 등록 상표 XAGA 1000, 예를 들면, 사이즈 122로 알려진 제품에 사용되는 경우 특히 유용한다.
이상의 설명으로 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케이블의 손상 또는 누출 경로의 생성이 없이 클립을 용이하게 설치하여 양호한 밀봉을 제공할 수 있는 분기형 시일의 형성 방법 및 그 제품을 제공한다. 접착제의 양은 불필요한 유동이 방지됨으로 인해 감소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여러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밀봉 재료 연장부, 그 특성, 위치 또는 형상, 클립의 형상 또는 치수, 이격 수단, 레그 내의 구멍 등을 선택할 수도 있다.

Claims (24)

  1. 하나의 열수축성 슬리브와 2개의 기재 사이에 분기 시일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기재를 상기 열수축성 슬리브내에 배치하는 단계와, (b) 3개의 긴 레그를 갖는 클립을 상기 열수축성 슬리브의 개방 단부에서 그의 외부 표면위에 배치하여 2개의 열수축성 말단 도관을 형성하되, 상기 레그중 2개는 상기 열수축성 슬리브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기재는 상기 말단 도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레그중 하나는 상기 열수축성 슬리브의 내부에 배치되는 단계와, (c) 상기 클립을 상기 열수축성 슬리브의 외부 표면상에 배치한 상태로 열을 가함으로써 상기 슬리브를 수축시켜 소망의 시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열수축성 슬리브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레그는 그 말단부를 지나서 연장되는 열연화성 밀봉 재료의 피막 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피막 연장부는 밀봉 재료중 일부분이 상기 (c)단계중에 유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는 분기 시일의 형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길이는 1cm 내지 5cm인 분기 시일의 형성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길이는 상기 내부 레그의 방향을 따라 상기 밀봉 재료의 전체길이의 10% 내지 50%인 분기 시일의 형성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체적은 상기 밀봉 재료의 전체 체적의 10% 내지 60%인 분기 시일의 형성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재료는 열용융성 접착제를 포함하는 분기 시일의 형성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재료는 상기 내부 레그의 방향을 따라 균일한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분기 시일의 형성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재료의 연화점 또는 용융 점도는 그의 기단부에 가까운 위치에서 보다 그 말단부에 가까운 위치에서 더 높은 분기 시일의 형성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재료는 100℃에서 50Pa.s 내지 80Pa.s의 점도를 갖는 분기 시일의 형성방법.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레그의 길이는 상기 각 외부 레그의 길이와 같거나 또는 그보다 더 긴 분기 시일의 형성방법.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재료는 상기 2개의 외부 레그의 말단부를 연결하는 직선과 일치하거나 또는 그 직선을 지나 연장되는 분기 시일의 형성방법.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레그는 하나의 평면내에 배치되는 분기 시일의 형성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재료는 상기 3개의 레그의 평면내의 그 말단부에서 경사지는 분기 시일의 형성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레그 평면내에서 상기 각각의 외부 레그의 두께는 그의 길이를 따라서 상기 중간 부분의 양단부에서 보다는 그 중간 부분에서 더 얇은 분기 시일의 형성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외부 레그는 편평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외주를 둘러싸는 융기부를 가지며, 상기 융기부는 상기 중간 부분에서 종단되는 분기 시일의 형성방법.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열전도율이 낮은 분리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분리수단은 상기 기재 사이를 분리상태로 유지시키도록 위치되는 분기 시일의 형성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수단은 상기 3개의 레그를 접합하는 상기 클립의 브리지 부분의 각 측면에 배치되는 분기 시일의 형성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수단은 그내에 구멍을 구비하여, 상기 (c)단계가 완결될 때 상기 밀봉 재료가 상기 구멍을 통해 유동될 수 있는 분기 시일의 형성방법.
  1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레그는 금속 표면을 가지며, 상기 밀봉 재료는 상기 금속 표면상에 직접 피복되는 분기 시일의 형성방법.
  1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외부 레그는 그 두께를 관통하는 구멍을 갖는 분기 시일의 형성방법.
  2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분기 시일의 형성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통신용 케이블을 포함하는 분기 시일의 형성방법.
  22. 열수축성 슬리브와 2개의 기재 사이에 분기 시일을 형성하는 클립에 있어서, 3개의 긴 레그를 포함하며, 상기 레그중 2개는 상기 열수축성 슬리브의 외부에 배치되고 그리고 상기 레그중 하나는 상기 슬리브의 내부에 배치되어, 2개의 기재를 각각 수납하는 2개의 도관을 형성하며, 상기 하나의 레그는 그의 말단부를 지나서 연장되는 열연화성 재료의 피막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피막 연장부는 열을 상기 열수축성 슬리브에 가함으로써 상기 열수축성 슬리브를 수축시켜 시일을 형성할 때, 상기 밀봉 재료의 일부분이 유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는 클립.
  23. 클립과 열수축성 슬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클립이 상기 열수축성 슬리브와 2개의 기재 사이에 분기 시일을 형성하도록 된 부품 키트(a-kit-of-parts)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3개의 긴 레그를 구비하며, 상기 레그중 2개는 상기 열수축성 슬리브의 외부에 배치되고 그리고 상기 레그중 하나는 상기 슬리브의 내부에 배치되어, 2개의 기재를 각각 수납하는 2개의 도관을 형성하며, 상기 하나의 레그는 그의 말단부를 지나서 연장되는 열연화성 재료의 피막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피막 연장부는 열을 상기 열수축성 슬리브에 가함으로써 상기 열수축성 슬리브를 수축시켜 시일을 형성할 때, 상기 밀봉 재료의 일부분이 유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는 부품 키트.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섬유를 갖는 복합 재료를 포함하는 부품 키트.
KR1019910701681A 1989-05-26 1990-05-25 주위 밀봉 방법 및 그 제품 KR01715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898912143A GB8912143D0 (en) 1989-05-26 1989-05-26 Environmental sealing
GB8912143.8 1989-05-26
GB89121438 1989-05-26
PCT/GB1990/000852 WO1990015344A1 (en) 1989-06-02 1990-06-01 Distance measurement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0889A KR920700889A (ko) 1992-08-10
KR0171592B1 true KR0171592B1 (ko) 1999-05-01

Family

ID=10657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701681A KR0171592B1 (ko) 1989-05-26 1990-05-25 주위 밀봉 방법 및 그 제품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5271782A (ko)
EP (1) EP0475970B1 (ko)
JP (1) JPH04505844A (ko)
KR (1) KR0171592B1 (ko)
AR (1) AR247796A1 (ko)
AT (1) ATE118401T1 (ko)
AU (1) AU640380B2 (ko)
BR (1) BR9007396A (ko)
CA (1) CA2053927C (ko)
DE (1) DE69017023T2 (ko)
ES (1) ES2070324T3 (ko)
FI (1) FI106588B (ko)
GB (1) GB8912143D0 (ko)
NO (1) NO302264B1 (ko)
NZ (1) NZ233826A (ko)
WO (1) WO1990014213A1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5044A (en) * 1976-10-26 1978-06-13 Raychem Corporation Multiple cable adapter and splice case including the same
GB1604986A (en) * 1978-01-09 1981-12-16 Raychem Sa Nv Clip
GB1604981A (en) * 1978-01-09 1981-12-16 Raychem Sa Nv Branchoff method
DE3105471A1 (de) * 1981-02-14 1982-09-02 Walter Rose Gmbh & Co Kg, 5800 Hagen "vorrichtung zur verklammerung der endbereiche eines die aussenumhuellung einer kabelmuffe bildenden schrumpffaehigen kunststoffschlauches"
CA1261595A (en) * 1982-11-29 1989-09-26 Jan Vansant Branch-off clip
GB8305311D0 (en) * 1983-02-25 1983-03-30 Raychem Sa Nv Cable branch-off
GB8314651D0 (en) * 1983-05-26 1983-06-29 Raychem Sa Nv Electrically heat-recoverable article
DE8424167U1 (de) * 1984-08-16 1985-12-12 Philips Patentverwaltung Gmbh, 2000 Hamburg Klammer für Schrumpfmuffe
DE3430088A1 (de) * 1984-08-16 1986-02-27 Philips Patentverwaltung Gmbh, 2000 Hamburg Klammer zum einziehen einer schrumpfmuffe bei kabelverzweigun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915537A0 (fi) 1991-11-25
NO302264B1 (no) 1998-02-09
GB8912143D0 (en) 1989-07-12
WO1990014213A1 (en) 1990-11-29
EP0475970B1 (en) 1995-02-15
US5271782A (en) 1993-12-21
AU640380B2 (en) 1993-08-26
CA2053927A1 (en) 1990-11-27
FI106588B (fi) 2001-02-28
NZ233826A (en) 1992-09-25
ATE118401T1 (de) 1995-03-15
KR920700889A (ko) 1992-08-10
AR247796A1 (es) 1995-03-31
AU5729890A (en) 1990-12-18
NO914615L (no) 1991-11-25
DE69017023T2 (de) 1995-10-12
JPH04505844A (ja) 1992-10-08
EP0475970A1 (en) 1992-03-25
BR9007396A (pt) 1992-04-28
DE69017023D1 (de) 1995-03-23
CA2053927C (en) 2000-10-17
NO914615D0 (no) 1991-11-25
ES2070324T3 (es) 1995-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34543A (en) Branch-off assembly
CA1210211A (en) Dimensionally heat recoverable article
CA1165418A (en) Splicing branching or terminating cables
US4466846A (en) Method of using heat-recoverable articles to produce a pressurizable casing around a substrate
EP0245067B1 (en) Heat recoverable article
US4400579A (en) Branch-off assembly
RU2177633C2 (ru) Способ соединения оптических волокон, имеющих металлическое покрытие
CA1226343A (en) Electrically heat-recoverable sleeve for branch cables
CA1209655A (en) Cable joint protection comprising recoverable sleeve and a liner
JPS59110910A (ja) 分岐クリツプ
KR0171592B1 (ko) 주위 밀봉 방법 및 그 제품
CA1311812C (en) Wrap-around recoverable sleeve
CA1329970C (en) Method of cable sealing
GB1604985A (en) Branchoff method
EP0120603B1 (en) Cable branch-off and method of forming such
US4647718A (en) Assembly and method for cable joint protection
US5278355A (en) Environmental sealing
US5317797A (en) Method of enclosing a substrate within a heat-shrinkable sleeve
WO1998021797A1 (en) Insert parts for sealed closure bonding
JPS58144518A (ja) クロ−ジヤ−アツセンブリ
WO1994023471A1 (en) Sealing ground wires using heat shrinkable sleeves
WO1998021798A1 (en) Bonded sealed closure systems and methods
CA1177627A (en) Branch-off method
EP0610279A1 (en) Article and method for bonding to an elongate object
KR930017258A (ko) 관 및 케이블 접속용 열수축성 슬리이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