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2199Y1 - 경첩 - Google Patents

경첩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2199Y1
KR0122199Y1 KR2019950013069U KR19950013069U KR0122199Y1 KR 0122199 Y1 KR0122199 Y1 KR 0122199Y1 KR 2019950013069 U KR2019950013069 U KR 2019950013069U KR 19950013069 U KR19950013069 U KR 19950013069U KR 0122199 Y1 KR0122199 Y1 KR 01221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door
shaped frame
present
op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30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2074U (ko
Inventor
박흥식
Original Assignee
박흥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흥식 filed Critical 박흥식
Priority to KR20199500130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2199Y1/ko
Publication of KR9700020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0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21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21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4Flat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수기함에 사용되는 경첩에 관한 것으로써, ㄷ자형프레임의 양단에 경첩을 힌지축으로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경첩에 다수의 절곡부를 형성하여 ㄷ자형프레임에 절곡부의 선단이 접촉할 수 있도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첩.

Description

경첩
제1도는 종래 사용되어 온 양수기함의 경첩부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 사용상태도.
본 고안은 양수기함에 사용되는 경첩에 관한 것으로써, 2단으로 동작되며 180°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경첩에 관한 것이다.
종전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경첩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로 돌출되는 힌지축(11)을 이용하여 본체(12)로부터 도어(13)를 여닫게 되므로 힌지부가 돌출되어 미관을 해칠뿐 아니라 통로를 지나는 사람의 옷에 걸려 옷이 찢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도어 개방시 도어가 180°회전하여 본체와 접촉하도록 하여 시공 및 작업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경첩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힌지부가 내장되어 외관을 미려하게 장식하며 도어를 단계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ㄷ자형프레임의 양단에 경첩을 힌지축으로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경첩에 다수의 절곡부를 형성하여 ㄷ자형프레임에 절곡부의 선단이 접촉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2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면 ㄷ자형프레임(1)에 양단부에 경첩(2)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1')를 형성하여 힌지축(3)을 이용하여 경첩(2)을 결합하되 상기 경첩(2)의 중앙을 일부 절결하여 ㄴ자형 절곡부(5)를 형성하되 절곡부(5)의 선단이 ㄷ자형프레임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였다.
위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2개의 힌지축을 이용하여 도어(20)가 개폐될 수 있도록 하여 도어(20)가 180°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ㄷ자형프레임(1)의 일측에 결합된 경첩(2a)을 본체 하우징(30)에 결합하고 타측의 경첩(2b)을 도어(20)에 결합한다. 이때 본체 하우징(30)의 선단 및 도어의 선단이 ㄷ자형프레임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며 양선단이 서로 약간 이격되도록 결합한다.
이와 같이 조립된 경첩은 도어(20)를 열고자 할때 도어(20)의 끝단을 당기면 힌지축(3b)을 중심으로 경첩(2b)이 회전하면서 도어(20)가 열리게 된다. 이때 도어(20)가 90°이상 열리게 되면 도어(20)의 후단이 ㄷ자형프레임의 내벽(1c)에 접촉하여 ㄷ자형프레임에 대하여 도어의 회전이 제어되며 이후 힌지축(3a)이 회전하면서 ㄷ자형프레임(10)이 따라 회전하게 되어 도어(20)는 제3도에서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접촉되는 방향으로 열리게 된다. 이와 같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양수가 함내에서 작업을 완료한 후 문을 닫을 경우에는 상기 개방동작의 반대로 작동되는데 도어(20)의 끝단을 닫고 닫으면 회전축(3a)을 중심으로 경첩(2a)이 회전하면서 ㄷ자형프레임(1)과 도어(20)가 함께 닫히게 되면 90°회전하면 ㄷ자형프레임(10)의 측벽(1a)이 경첩(2a)의 ㄱ자형절곡부(5a)의 선단과 접촉하게 되어 ㄷ자형프레임(1)은 더이상 회전하지 못한다. 이후 도어가 계속 닫힘에 따라 힌지축(3b)을 중심으로 회전하던 경첩(2b)은 도어(20)에 결합된 경첩(2b)의 ㄱ자형절곡부(5b)의 선단이 ㄷ자형프레임의 측벽(5b)에 접촉하여 더 이상 진행을 제어하는 것으로 도어는 완전히 닫힌 상태가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도어를 완전히 개방하여 작업에 편리를 기할 수 있으며 단계적으로 여닫을 수 있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ㄷ자형프레임(1)에 양단부에 경첩(2)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2)를 형성하여 힌지축(3)을 이용하여 경첩(2)을 결합하되 상기 경첩(2)의 중앙을 일부 절결하여 ㄴ자형절곡부(5)를 형성하며, 상기 절곡부(5)의 선단히 ㄷ자형프레임 방향으로 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첩.
  2. 제1항에 있어서, 경첩(2)에 형성되는 ㄴ자형절곡부는 적어도 둘이상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첩.
KR2019950013069U 1995-06-10 1995-06-10 경첩 KR01221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3069U KR0122199Y1 (ko) 1995-06-10 1995-06-10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3069U KR0122199Y1 (ko) 1995-06-10 1995-06-10 경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2074U KR970002074U (ko) 1997-01-24
KR0122199Y1 true KR0122199Y1 (ko) 1998-10-15

Family

ID=19415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3069U KR0122199Y1 (ko) 1995-06-10 1995-06-10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219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0221A (ko) * 2000-03-24 2001-10-18 김재겸 도어용 경첩
KR102382422B1 (ko) * 2019-10-29 2022-04-05 주식회사 엔젤 착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2074U (ko) 199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164819A (ja) 窓障子用ステ−
KR0122199Y1 (ko) 경첩
JPS625502Y2 (ko)
JPH0189575U (ko)
KR20200007120A (ko) 축 이동이 가능한 여닫이 도어용 힌지축 지지장치
JPH0640838Y2 (ja) 嵌込み型扉用隠し蝶番
JP2707422B2 (ja) 隠し蝶番
JPS5834223Y2 (ja) 折畳扉
JPS5914636Y2 (ja) 折り畳み扉
JPH063087B2 (ja) 蝶 番
JPH049838Y2 (ko)
KR200228976Y1 (ko) 회전형 힌지구조
JP2545168Y2 (ja) 伸縮門扉の継手の構造
KR920001270Y1 (ko) 접문용 프레임
KR200259171Y1 (ko) 치약 짜집기
KR200279168Y1 (ko) 여닫이 문의 경첩취부 장치.
JPH0819804B2 (ja) ヒンジ
KR100317164B1 (ko) 창문의 개폐장치용 접이식 핸들구조
JP2891890B2 (ja) 戸 袋
JPH0363579U (ko)
KR200181818Y1 (ko) 세탁기의 도어
JPS63171457U (ko)
JPS6214289Y2 (ko)
KR100265879B1 (ko) 도어용 경첩
KR960007604Y1 (ko) 도어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