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2065Y1 - 기관의 발전기 - Google Patents

기관의 발전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2065Y1
KR0122065Y1 KR92025062U KR920025062U KR0122065Y1 KR 0122065 Y1 KR0122065 Y1 KR 0122065Y1 KR 92025062 U KR92025062 U KR 92025062U KR 920025062 U KR920025062 U KR 920025062U KR 0122065 Y1 KR0122065 Y1 KR 01220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generator
pulley
electromagne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50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8057U (ko
Inventor
박용범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920250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2065Y1/ko
Publication of KR9400180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80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20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20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8Structural association of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e.g. with turbines
    • H02K7/1807Rotary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3Couplings; Details of shaf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004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pulleys
    • H02K7/10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pulley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machine r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원 고안은 기관의 발전기에 있어서,
엔진(2)의 동력을 가변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발전기(6)의 로우터와 벨트풀리(14) 사이에 형성한 차단 작동부(12)의 하우징(20)내 풀리축(34)에 설치한 풀리 디스크(38)와,
상기 풀리 디스크(38)의 타측 하우징(20) 측벽에 고정 설치한 고정 전자석(26)과,
상기 고정 전자석(26)과 풀리 디스크(38) 사이의 로우터축(24) 축이음수단(22)에 조립되는 단속 디스크(30)로 좌, 우 이동하게 조립 설치되는 이동 전자석(32)과,
상기 고정 전자석(26)과 이동 전자석(32)에 축전지(8)의 충전 상태를 감지하여 전원을 선택 인가하는 ECU(10)를 연결 설치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기관의 발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Description

기관의 발전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적용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기관의 발전기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V : 벨트 8 : 축전지
10 : ECU 12 : 차단 작동부
14 : 벨트 풀리 16 : 로우터축홀
18 : 벨트풀리축홀 20 : 하우징
22 : 축 이음수단 24 : 로우터축
26 : 고정 전자석 28 : 축 이음부
30 : 단속 디스크 32 : 이동 전자석
34 : 풀리축 38 : 풀리 디스크
본 고안은 기관의 발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의 크랭크 샤프트의 회전력을 필요에 따라 차단하여 기관의 출력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하는 기관의 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기관의 기동장치나 점화장치의 전장품을 비롯하여 램프류, 에어컨 장치 등 많은 전지장치가 있으며, 이러한 전지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으로 축전지와 발전기가 있다.
상기 발전기는 벨트로 기관의 크랭크 샤프트와 연계되어 구동하며, 그 발전량은 기관의 회전수에 따라 다르고, 발전량이 부하량보다 적은 경우에는 축전지의 전원이 일시 방전한다.
그리고 발전량이 부하량보다 많은 경우에는 발전기만으로 모든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고, 축전지도 발전기에 의해 충전된다.
또, 상기한 발전기와 함께 사용하는 전압 조정기(voltage regulator)는 발전기의 계자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여 발전기의 출력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각 전기장치에 알맞은 전력을 공급하고, 또 축전지에 규정 용량으로 충전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특히, 발전기와 전압 조정기는 축전지를 충전하는 기능을 가졌기 때문에 충전장치(charging system)라고도 하며, 발전기는 교류전기를 직류전기로 바꾸는 정류방식에 따라 직류 발전기와 교류 발전기로 분류된다.
상기한 교류 발전기는 3상 교류 발전기의 출력을 실리콘 다이오드에 의해 전파 정류하여 직류로 바꾸는 형식이며, 크기가 작고 브러쉬의 수명이 길 뿐 아니라, 공회전이나 저속시에 충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직류 발전기 보다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교류 발전기에 있어서 그 구조는 브라켓으로 지지된 스테이터의 안쪽에서 로우터가 회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로우터는 벨트풀리를 장착한 로우터 축을 보유토록 하여 벨트풀리가 기관의 크랭크 샤프트축과 연계된 벨트에 의해 기관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발전기의 스테이터 코일에서 발전된 교류전기는 브라켓에 부착된 실리콘 다이오드에 의해 정류되어 단상 직류로 바뀜으로써, 자동차의 여러 전기장치에 공급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관의 발전기는 이의 로우터에 고정 장착된 벨트풀리가 기관의 크랭크 샤프트와 벨트로 연계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어 자동차의 전기장치와 축전지에 전기를 충분히 공급하여 더 이상의 구동이 필요하지 않을 때도 기관의 구동에 따라 항상 일정하게 구동 작동하기 때문에 결국, 기관의 출력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기관의 크랭크 샤프트와 벨트로 연계된 벨트풀리가 발전기의 로우터축과 필요에 따라 회전력의 전달이 차단되도록 하여 기관의 동력 소모를 줄임으로써, 기관의 출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기관의 발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기관의 발전기에 있어서,
에진(2)의 동력을 가변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발전기(6)의 로우터와 벨트풀리(14) 사이에 형성한 차단 작동부(12)의 하우징(20) 내 풀리축(34)에 설치한 풀리 디스크(38)와,
상기 풀리 디스크(38)의 타측 하우징(20) 측벽에 고정 설치한 고정 전자석(26)과,
상기 고정 전자석(26)과 풀리 디스크(38)사이의 로우터축(24) 축이음수단(22)에 조립되는 단속 디스크(30)로 좌,우 이동하게 조립 설치되는 이동 전자석(32)과, 상기 고정 전자석(26)과 이동 전자석3엔진(2)에 축전지(8)의 충전 상태를 감지하여 전원을 선택 인가하는 ECU(10)를 연결 설치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기관의 발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적용 부위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으로서, 기관(2)의 일측면에 크랭크 샤프트(4)와 벨트(V)로 연계되는 발전기(6)를 설치토록 하여 기관(2)의 회전 동력으로 발전을 행하여 자동차의 각 전지장치(E)나 축전지(8)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축전지(8)는 ECU(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 충전 상태를 상기 ECU(10)가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제2도에서와 같이 상기한 ECU(10)의 지시에 따라 전원이 공급되어 기관(2)의 동력을 차단할 수 있는 차단 작동부(12)를 발전기(6)와 벨트풀리(14)의 사이에 개재 형성하되, 이와 같은 차단 작동부(12)는 그 외부를 이루며 로우터축홀(16) 및 벨트 풀리축홀(18)이 뚫려진 하우징(20)을 구비토록 하고 있다.
상기한 하우징(20)의 로우터축홀(16)에는 축 이음수단(22)을 형성한 로우터축(24) 끝단이 관통하도록 하고, 이러한 로우터축(24)이 격리의 상태로 관통됨과 아울러 ECU(10)의 신호에 따라 자계를 형성할 수 있는 고정 전자석(26)을 장착토록 하고 있다.
또한, 로우터축(24)과 축방향의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로우터축(24)과 체결되는 축 이음부(28)를 연장 형성한 단속 디스크(30)를 보유토록 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단속 디스크(30)의 축 이음부(28)외주에는 ECU(10) 의 신호에 따라 자력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 전자석(26)에 부착 또는 반발하는 이동 전자석(32)을 고정 장착하고 있다.
한편, 기관(2)의 크랭크샤프트(4)와 벨트(V)로 연계되는 벨트풀리(14)와 고정된 풀리축(34)이 하우징(20)의 벨트풀리축홀(18)을 관통하여 이의 내주에 베어링(36)에 의해 원활한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하고 있다.
상기 풀리축(34)의 끝단에는 풀리 디스크(38)를 장착하므로서 이동 전자석(32)에 인가되는 전원의 통전 여부에 따라 단속 디스크(30)로 하여금 부착되거나 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기관의 발전기는 기관(2)의 크랭크 샤프트(4)와 벨트(V)로 연결된 벨트풀리(14)로 하여금 기관(2)의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하고, 이러한 기관(2)의 회전 동력이 풀리축(34)의 풀리 디스크(38)와 부착된 단속 디스크(30)를 통해 로우터축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발전기(6)로 하여금 발전을 행하게 하여, 축전지(8)를 충전시킨다.
이와 같은 작용으로 축전지(8)에 충전이 완료되어 더 이상의 전기 충전이 필요없게 되면 이를 감지한 ECU(10)는 제3도에서와 같이 이동 전자석(32)에 전원을 인가하여 고정 전자석(26)으로부터 반발하여 축 이음수단(22)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일체인 단속 디스크(30)는 풀리 디스크(30)로부터 떨어지게 되어 벨트풀리(14)를 통한 기관(2)의 회전 동력을 차단시킬 수가 있게 되어 발전을 멈추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기관의 발전기는 기관의 크랭크 샤프트와 벨트로 연계된 벨트풀리가 필요에 따라 발전기의 로우터축과 회전력의 전달이 차단되도록 하여 기관의 동력 소모를 줄임으로써, 기관의 출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이점이 있다.

Claims (1)

  1. 기관의 발전기에 있어서, 엔진(2)의 동력을 가변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발전기(6)의 로우터와 벨트풀리(14) 사이에 형성한 차단 작동부(12)의 하우징(20)내 풀리축(34)에 설치한 풀리 디스크(38)와, 상기 풀리 디스크(38)의 타측 하우징(20) 측벽에 고정 설치한 고정 전자석(26)과, 상기 고정 전자석(26)과 풀리 디스크(38)사이의 로우터축(24) 축 이음 수단(22)에 조립되는 단속 디스크(30)로 좌,우 이동하게 조립 설치되는 이동 전자석(32)과, 상기 고정 전자석(26)과 이동 전자석(32)에 축전지(8)의 충전 상태를 감지하여 전원을 선택 인가하는 ECU(10)를 연결 설치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기관의 발전기.
KR92025062U 1992-12-10 1992-12-10 기관의 발전기 KR01220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5062U KR0122065Y1 (ko) 1992-12-10 1992-12-10 기관의 발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5062U KR0122065Y1 (ko) 1992-12-10 1992-12-10 기관의 발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8057U KR940018057U (ko) 1994-07-30
KR0122065Y1 true KR0122065Y1 (ko) 1998-10-01

Family

ID=19346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5062U KR0122065Y1 (ko) 1992-12-10 1992-12-10 기관의 발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206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8057U (ko) 1994-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9738B2 (en) Composite drive system for compressor
US5350031A (en) Plural generator apparatus for an electric hybrid automobile
JP4291298B2 (ja) 回転電機
JPS62268370A (ja) 内燃機関起動用スタ−タ発電機
KR20020087943A (ko) 다상 가역 회전 전기기계의 제어 방법
JP2007097236A (ja) 車両用回転電機
US20180109169A1 (en) Multi-ring disc motor
US20180123427A1 (en) Electricity generation device with low power consumption
JPS63202255A (ja) エンジンの始動兼充電装置
KR0122065Y1 (ko) 기관의 발전기
GB2350946A (en) Motor vehicle power supply
RU2265133C1 (ru) Стартер-генератор автомобиля
CN115378319A (zh) 模块化混合励磁爪极电机控制器及混合励磁爪极电机与控制方法
JP4341402B2 (ja) 回転電機
JP2010035398A (ja) 省エネ型電力・動力発生装置
KR20040090256A (ko) 풍력 전기 자동차의 구동, 발전용 터빈 및 보조모터 장치와 작동 회생 제어 방법
KR100245593B1 (ko) 브러쉬레스 발전기
KR100245872B1 (ko) 출력 소모 저감형 알터내이터 구조
EP0652626A1 (en) An electrical generator assembly
KR100369023B1 (ko) 회전 제어식 알터네이터
JP3055180B2 (ja) 車両用電源装置
KR100359609B1 (ko) 차량용 발전기 조립체
KR0180589B1 (ko) 교류 발전기의 전자제어장치
KR200174493Y1 (ko) 구동축을 이용한 알터네이터(Alternator)
EP3182561A1 (en) Electricity generation device with low power consump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