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1910Y1 - 높이조절식 수평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식 수평이송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1910Y1
KR0121910Y1 KR2019950018116U KR19950018116U KR0121910Y1 KR 0121910 Y1 KR0121910 Y1 KR 0121910Y1 KR 2019950018116 U KR2019950018116 U KR 2019950018116U KR 19950018116 U KR19950018116 U KR 19950018116U KR 0121910 Y1 KR0121910 Y1 KR 01219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bent
glass
rod
plate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81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5795U (ko
Inventor
정영철
Original Assignee
정영철
영경실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철, 영경실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영철
Priority to KR20199500181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1910Y1/ko
Publication of KR9700057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7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19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1910Y1/ko

Links

Landscapes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높이조절식 수평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층유리를 연속으로 제조하는 일련 장치중에서 그 크기가 다르게 적층된 여러장의 판유리를 한 장씩 분리시켜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수직상태에서 수평상태로 이동시키도록 된 높이조절식 수평이송장치는 판유리(31)를 흡착하는 흡착구(9)와 판유리(31)를 분리시켜주는 고정구(14)가 구비되고 수직 또는 수평이동 하도록 된 절곡형 이동레버(1)로 이루어지되, 상기 절곡형 이동레버(1)는 내부양측벽에 가이드홈(2)이 형성된 상부몸체(3)와 외부에 양쪽 바깥측벽에 가이드판(4)이 구비된 하부몸체(5)로 나누어져 상기 상부몸체(3)의 아랫쪽 내부로 하부몸체(5)의 상부가 가이드판(4)의 안내로 미끄럼 삽입되어지고, 상기 하부몸체(5)내에는 상부몸체(3)의 내측상부에 구비된 걸림부(8)에 로드(7)가 결합된 제3실린더(6)가 내장되며, 상기 절곡형 이동레버(1)의 윗쪽선단에는 흡착편(10)이 구비된 흡착구(9)와 내부에 외부와 연통된 로드(15)가 삽입된 고정구(14)가 결합되어지되, 상기 로드(15)의 앞쪽선단에는 걸림부(18)가 연결되고, 이 결합부(18)에는 내부에 일측으로 스프링(20)이 걸리도록 걸림턱(21)이 구비된 누름부재(23)가 끼워지 흡착부재(19)가 결합되어지되, 상기 다수개의 절곡형 이동레버(1)가 결합된 이동단자(25)의 중간부에는 수평이송가능하도록 제1실린더(29)가 구비되어 흡착된 판유리(31)를 간편하게 떼어내고, 절곡형 이동레버(1)가 수평·수직운동을 순서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높이조절식 수평이송장치
제1도는 복층유리 제조장치의 공정순서를 나타낸 공정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식 수평이송장치의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식 수평이송장치의 측면도로서,
(a)는 적층된 판유리의 크기에 따라 절곡형 이동레버가 높이조절되는 상태도.
(b)는 흡착된 판유리를 수평이송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제4도는 제3도의 J부를 나타낸 확대단면도로서,
(a)는 흡착편이 판유리를 흡착하는 상태도.
(b)는 흡착편이 전진되고 누름부재가 후진되면서 흡착된 1장의 판유리를 적층된 판유리로부터 분리해 내는 상태도.
제5도는 제3도의 K부를 나타낸 확대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높이조절식 수평이송장치 B:절단장치
C:도입장치 D:세척 및 건조장치
E:검사장치 F:자동간봉장치
G:접합장치 H:수직·수평 이동장치
I:수평테이블 J:흡착부
K:높이조절부 1:절곡형 이동레버
2:가이드홈 3:상부몸체
4:가이드 판 5:하부몸체
6:제3실린더 7:피스톤
8:걸림부 9:흡착구
10:흡착편 11:공실
12:측벽 13:슬라이드장공
14:고정구 15:로드
16:격판 17:센서
18:결합부 19:흡착부재
20:스프링 21:걸림턱
22:완충고무 23:누름부재
24:피니언 25:이동단자
26:래크 27:제2실린더
28:연결부 29:제1실린더
30:피스톤 31:피스톤
32:판유리 32:공기 유입공
33:공실
본 고안은 높이조절식 수평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층유리를 연속으로 제조하는 일련장치중에서 그 크기가 다르게 적층된 여러장의 판유리를 한 장씩 분리시켜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수직상태에서 수평상태로 이동시키는 높이 조절식 수평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층유리를 제조하는 일련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보통 절단장치(B)에서 소정크기로 절단된 판유리를 도입시키는 도입장치(C), 도입된 판유리를 세척 건조하는 장치(D), 검사장치(E), 자동간봉장치(F) 및 이와같은 작업들이 끝난 2장의 판유리를 상호 접합시키는 접합장치(G)등이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세척건조 작업부터 접합작업이 연속적으로 자동으로 진행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이러한 복층유리를 자동으로 제도하는 일련장치에 1장의 판유리를 투입하기 전에 고정규격으로 절단해야 하는데, 이러한 절단작업은 통상1장의 판유리를 작업대위에 수평으로 얹어놓고 절단커터를 수평이송시켜 절단되도록 되어있다.
여기서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실용신안 공고 제95-3257호로 제시한 바 있는 판유리의 분리 및 수평이송장치(A)는 복층유리 제조장치의 전체공정자동화를 완성시켜주기 위하여 세로방향으로 여러장 적층된 판유리를 사람의 힘을 빌리지 않고 기계의 힘으로 한 장씩 분리시켜내고 수평상태로 회전시켜 다음 공정의 위치로 이송시켜 주도록 된 것으로써, 흡착판이 부착설치된 절곡형이동레버가, 기대의 뒤쪽에 설치된 실린더의 신축작동과 기대의 래크상에서 피니언을 통한 전.후진 작동에 의해, 전후진 및 회전작동하면서 선단의 흡착판에 판유리를 부착하여 분리시킴과 동시에 수평방향으로 전환해 주도록 된 것이다.
그런데 이와같은 종래의 판유리의분리 및 수평이송장치는 유리공장에서 여러형태의 크기로 제작되어 운반된 판유리를 수평상태로 이동시킬 때 적층되어 운반된 판유리가 흡착판의 높이보다 크거나 작을 경우에는 흡착판의 높이가 조절되지 않음으로 인해 판유리를 제대로 이송시키지 못나는 사례가 종종 발생되었는 한편, 적층되어 밀착된 판유리를 한 장씩 떼어낼 때 다수개의 흡착판을 순서대로 작동시켜 점차적인 틈새를 갖도록 되었기 때문에 긴밀하게 적층된 판유리를 순간적으로 한쪽만을 잡아 당기게 되면 판유리가 깨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다수개의 절곡형 이동레버가 각각 개별적인 구동수단에 의해 한동작으로 도시에 수평·수직운동을 하였기 때문에 이동단자의 전진 및 후진시 작동상태가 다소 불규칙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적층된 판유리의 크기에 따라 흡착판의 높이가 간편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적층되어 밀착된 판유리가 쉽게 분리될 수 있고, 또한 다수개의 흡착판이 구비된 절곡형 이동레버가 수평·수직운동을 동시에 하지 않고 순서에 맞추어 규칙적으로 거동될 수 있도록 한 높이 조절식 수평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흡착판이 판유리를 흡착한 상태에서 고정구내에 구비된 로드의구동에 의해 미세하게 떨림진동할 수 있고,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절곡형 이동레버 선단부가 윗쪽에 대해 높이조절될 수 있으며, 각 실린더의 작동으로 다수개의 흡착판이 구비된 절곡형 이동레버가 수평 및 수직운동이 순서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높이 조절식 수평이송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식 수평이송장치는 제(1)에 도시된 바와같아, 복층유리 제조장치중 절단장치(B)의 전단계에 배치되는 장치로서, 흡착편(10)이 부착설치된 절곡형 이동레버(1)가, 기대(36)의 뒤쪽에 설치된 실린더의 신축작동과 기대(36)의 래크상에서 피니언을 통한 전·후진 작동에 의해, 전후진 및 회전작동하면서 선단의 흡착편(10)에 판유리(31)를 부착하여 분리시킴과 동시에 수평방향으로 전환해 주도록 된 판유리의 분리 및 수평이송장치(A)에 있어서, 상기 절곡형 이동레버(1)는 제(3)도 (a)(b)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내부에 양측벽으로 가이드홈(2)이 형성된 상부몸체(3)와 외부에 양쪽 바깥측벽으로 가이드판(4)이 구비된 하부몸체(5)로 나누어져 상기 상부몸체(3)의 아랫쪽으로 하부몸체(5)의 상부가 가이드판(4)의 안내로 미끄럼 삽입되어지되, 상기 하부몸체(5)의 내부에는 제3실린더(6)가 내장되어있고, 이 제3실린더(6)에서 뻗어나온 로드(7)의 상단은 상기 상부몸체(3) 내측 상부에 구비된 걸림부(8)에 결합된 구조로 되어있다.
또한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절곡형이동레버(1)의 윗쪽선단에는 흡착편(10)이 구비된 흡착구(9)와 내부에 공실(11)이 형성되고 측벽(12)에 외부와 연통하는 슬라이드장공(13)이 형성된 고정구(14)가 결합되고, 이 고정구(14)에는 상기 슬라이드 장공(13)을 통해 로드(15)가 삽입되어 있는데, 이 로드(15)상에 구비된 격판(16)이 상기 공실(11)내에서 센서(17)와 공압에 의해 미끄럼 전후진하도록 되어있고, 상기 로드(15)의 앞쪽선단에는 결합부(18)가 구비되어, 상기 흡착편(10)이 형성된 흡착부재(19)와 결합된 구조로 되어있는 한편 상기 흡착부재(19) 내부에는 일측으로 스프링(20)이 걸리도록 걸림턱(21)이 구비되고, 타측선단으로는 완충고무(22)가 끼워진 누름부재(23)가 내장되어, 상기 완충고무(22)의 끝단이 흡착편(10)의 끝단 중심에 위치한 구조로 되어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식 수평이송장치(A)는 제(2)도 및 제3도(a)(b)에 도시된 바와같이, 양측에 피니언(24)이 구비되고 다수개의 절곡형 이동레버(1)가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 이동단자(25)가 양쪽의 래크(26)에 올려져 있고, 상기 이동단자(25)의 중간부에는 제1실린더(29)가 수평상태로 구비되어있으되, 상기 이동단자(25)와 각 절곡형 이동레버(1)의 연결부(28)에는 각각의 제2실린더(27)가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된 구조로 되어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식 수평이송장치(A)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제3도(a)(b)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1실린더(29)를 작동시키면 로드(30)가 양측에 피니언(24)이 결합된 이동단자(25)를 밀고, 이 이동단자(25)는 피니언(24)과 맞물린 래크(26)의 안내로 일정거리만큼 전진되며, 연속해서 제3도(a)(b)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다수개의 제2실린더(27)가 동시에 작동하게 되어 다수개의 절곡형 이동레버(10가 회동시키고 상기 절곡형 이동레버(10가 수직상태로 되면 선단부에 구비된 흡착편(10)이 판유리(31)의 표면에 붙게 되는 것이다.
이때 각 절곡형 이동레버(1)의 하부몸체(5) 내부에 구비된 제3실린더(6)를 동시에 작동시키면 다수개의 절곡형이동레버(10는 제3도(a)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 선단부가 동시에 상승되어 이송하기 적당한 판유리(10)의 흡착위치에 이르러 멈추고, 계속되는 절곡형 이동레버(1)의 회동으로 흡착편(10)이 판유리(31)에 밀착되는데, 여기서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흡착편(10)이 눌려짐과 동시에 누름부재(23)가 뒤쪽으로 스프링(20)을 압축하여 후진되고, 연속해서 걸림턱(21)의 외주면에 의해 닫혀진 공기유입공(32)이 열려져 이곳을 통해 실린더(미도시)의 작동으로 공기를 빼내게 되면 공실(33)내부가 진공상태로 바뀌게 되면서 흡착편(10)은 판유리(31)에 긴밀하게 흡착되는 것이다.
이와동시에 고정구(14)내의 공압실린더에 의해 구동되는 로드(15)의 연속적인 미세한 작동으로 러드(15)에 의해 연결된 흡착편(10)은 미세하게 떨림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현상으로 적층된 판유리(31)가 하나씩 분리되어지는 것이다.
이후 흡착된 판유리(31)를 역순으로 제3도(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린더(27)를 작동시켜 절곡형 이동레버(1)를 회동시키고, 상기 판유리(31)가 수평상태로 되면 제1실린더(29)를 작동시켜 판유리(31)를 안내로울러(34) 윗쪽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흡착구(9)의 공기유입공(32)으로 공기를 불어넣으면 흡착구(9)내에 구비된 스프링(20)의 복원력에 의해 누름부재(23)가 앞으로 전진되면서 판유리(31)를 밀게되고, 동시에 흡착편(10)에 붙어있는 판유리(31)가 분리되는 것이다.
이후 고정구(14)내의 로드(15)가 후진되면서 판유리(31)가 안내로울러(34)에 올려지게되고, 연속된 모타(35)의 작동으로 판유리(31)는 안내로울러(34)의 안내를 받아 절단장치(B)로 이송되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식 수평이송장치(A)는 적층된 판유리(31)의 크기에 따라 흡착편(10)의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한편, 적층되어 밀착된 판유리(31)를 흡착편(10)의 떨림으로 쉽게 분리할 수 있고, 또한 다수개의 흡착편(10)이 이동순서에 맞추어 규칙적으로 작동하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흡착편(10)이 부착설치된 절곡형 이동레버(1)가, 실린더의 신축작동과 기대(36)의 래크상에서 피니언을 통한 전·후진 작동에 의해, 전후진 및 회전작동하면서 선단의 흡착편(10)에 판유리(31)를 부착하여 분리시킴과 동시에 수평방향으로 전환해 주도록 된 판유리의 분리 및 수평이송장치(A)에 있어서,
    상기 절곡형 이동레버(1)는 가이드홈(2)이 형성된 상부몸체(3)와 가이드판(4)이 형성된 하부몸체(5)로 나누어져 상기 상부몸체(3)의 아랫쪽 내부로 하부몸체(5)의 상부가 가이드판(4)의 안내로 미끄럼 삽입되어지고, 상기 하부몸체(5)내에는 제3실린더(6)가 내장되며, 이 제3실린더(6) 로드(7)의 상단은 상기 상부몸체(3)의 내측상부에 구비된 걸림부(8)에 연결되어지되, 상기 절곡형 이동레버(1)의 윗쪽선단에는 흡착편(10)이 구비된 흡착구(9)와 내부에 외부와 연통된 로드(15)가 삽입된 고정구(14)가 결합되고, 상기 로드(15)의 앞쪽선단에는 흡착부재(19)가 구비된 결합부(18)가 연결되어지며, 이 결합부(18)에는 내부에 스프링(20)이 걸리도록 걸림턱(21)이 구비된 누름부재(23)가 끼워지되, 상기 다수개의 절곡형 이동레버(1)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이동단자(25)의 중간부에는 수평이송가능하도록 제1실린더(29)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식 수평이송장치.
KR2019950018116U 1995-07-22 1995-07-22 높이조절식 수평이송장치 KR01219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8116U KR0121910Y1 (ko) 1995-07-22 1995-07-22 높이조절식 수평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8116U KR0121910Y1 (ko) 1995-07-22 1995-07-22 높이조절식 수평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5795U KR970005795U (ko) 1997-02-21
KR0121910Y1 true KR0121910Y1 (ko) 1998-07-15

Family

ID=19418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8116U KR0121910Y1 (ko) 1995-07-22 1995-07-22 높이조절식 수평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191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5795U (ko) 199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66167B (zh) 自动上下料系统
EP17459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lying label to pseudo-core in in-mold labeling system
CN107398721A (zh) 一种边框组件的组装方法
KR0121910Y1 (ko) 높이조절식 수평이송장치
CN109449500A (zh) 一种锂电池生产设备
JP4716002B2 (ja) 成形品取出装置
JPH08169544A (ja) ガラス板の積層方法並びに装置およびガラス板の取出し方法並びに装置
KR101969555B1 (ko) 반도체 칩 분리 장치 및 반도체 칩 분리 방법
KR101665868B1 (ko) 2열 이송장치가 구비된 복합금형 장치
JPH07315337A (ja) カートン開函装置
CN210592608U (zh) 纸张装盒机
CN209065173U (zh) 一种铭板-纸分离装置
JP4174379B2 (ja) 成形品の取出機及びその取出方法
CN208246366U (zh) 智能自动化专机设备
CN216860692U (zh) 一种自动折纸盒机
CN215665859U (zh) 一种自动封片机
JPH069050A (ja) トレー自動供給装置
CN219005172U (zh) 一种写字板自动组装设备
CN219651479U (zh) 一种吸塑盒自动分盘装置
CN220942914U (zh) 板件抓取装置及具有其的自动折弯工作台
JPH08156917A (ja) 製茶用大海袋の自動装着装置
CN213727932U (zh) 一种实现点胶和密封测试一体的自动化密封测试设备
JPS6047014B2 (ja) 板材の折り曲げ装置
KR200237415Y1 (ko) 포장용 트레이 인출장치
JPH02239028A (ja) 部品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